전라선

전라선
전라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익산역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종점여수엑스포역
(전라남도 여수시)
역 수31
노선 번호309
개통일1914년 10월 17일 (이리~전주)
1930년 12월 20일 (순천~여수)
1931년 10월 15일 (전주~남원)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
1936년 12월 16일 (곡성~순천)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에스알[1]
전라선철도[2]
노선 제원
영업 거리180.4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익산 - 여천)
1 (여천 - 여수엑스포)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ATP
영업 최고 속도익산 - 여수엑스포 200 km/h (KTX)[3]
익산 - 여수엑스포 150 km/h (일반열차)
설계 최고 속도230 km/h
노선도

0.0
익산 한국고속철도
장항선 (군산역 방면)
호남선 (목포역 방면)
2.8
동익산
13.6
삼례
17.6
동산
←전주제1산단 방면
전주천
20.8
송천
25.5
전주 한국고속철도
28.1
아중
아중제1,2터널
고덕터널
신리터널
34.9
신리
40.0
죽림온천
슬치굴(구전라선)/슬치터널(6,128m)
49.0
관촌
53.0
임실
임실터널(4,645m)
59.3
봉천
63.6
오수
오수터널
69.5
서도
무산터널
인화제1,2터널
산성굴/화정제2터널
75.9
산성
남원터널
79.5
남원 한국고속철도
85.3
주생
주생터널
88.3
옹정
91.4
금지
신기제1,2,3터널
97.1
곡성 한국고속철도
구 곡성(현 섬진강 기차마을)
오지터널
침곡터널
송정터널(2,830m)
108.6
압록
하한터널
조사터널
117.4
구례구 한국고속철도
121.0
봉덕
126.2
괴목
병풍터널(5,671m)
134.4
개운
137.6
동운
조곡터널(810m)
145.6
순천 한국고속철도
150.8
성산
157.0
율촌
165.6
덕양
170.9
여천 한국고속철도
여천터널(5,910m)
미평터널(구전라선)
마래터널
180.4
구 여수역

전라선(全羅線)은 호남선 익산역여수엑스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2012년 세계 박람회 개최와 함께 선형 개량과 복선 전철화 사업이 2011년 10월 5일 완공되었으나, 여천역 이남 구간은 여전히 단선이다.

역사

1913년 1월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철도 부설면허를 받아 1914년 2월 자본금 30만원으로 회사를 설립한 후, 60만원으로 증자해 본사를 전주에 두었다. 1914년 5월 토목공사에 착수해 같은 해 10월에 준공하고, 1914년 10월 17일 이리 ~ 전주 구간이 여객 운송을 개시하였다. 또한 화물 등 일반 운송업무는 같은 해 12월 1일부터 시작하였다.[4] 본선 철도 시설의 총 건설비는 1927년 기준으로 55만 3천원[5]이었다. 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90만원에 매수해 경전북부선으로 개칭하고, 표준궤로 개궤하였다. 그 당시 철도 종사원수는 112명이었고 기관고 1개소, 정차장 7개소와 차량은 기관차 6량, 객차 18량, 화물차 53량 등 이었다. 1일 1리 평균 수입은 1926년 51원으로, 사설철도 가운데 영업실적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936년개운역, 현재는 이설됨

그 이후 1929년 4월 18일 표준궤로 개궤하는 공사에 착공해 역사 등을 전면 신축하거나 개축했다. 개축 건조물 중 특이한 것은 익산역의 근대식 사옥 건물 구조와는 대조적으로 전주역사를 한옥 양식으로 세운점이다. 1931년 10월 1일 전주 ~ 남원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1933년 10월 5일 남원 ~ 곡성, 1936년 12월 16일 곡성 ~ 순천 구간 등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순천 ~ 여수항 구간은 이미 개통된 남조선철도 소속 광려선[6]을 조선총독부가 1936년 9월 매수해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 광려선 인수와 함께 익산 ~ 여수항 구간을 전라선으로 개칭해 1937년 3월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광복 이후 1981년 5월 25일 동산 ~ 신리 구간 이설과 함께 전주시내 구간은 동산 ~ 북전주 구간을 북전주선으로 남기고 폐지되었다. 한편 1990년대 이르어 여객열차, 화물열차의 빈번한 운행으로 선로용량 포화상태에 이르자 선로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꾀하기 위해 신리 ~ 임실, 금지 ~ 압록, 구례구 ~ 동순천 등 64.3km 구간을 1단계 구간으로 1989년 11월 18일에 복선화 공사를 착공하였고, 이후 잔여구간을 2단계 구간으로 1998년 6월 12일 착공하였다.[7] 1단계 구간은 1999년 5월 18일 완공되었고 이후에 2단계 압록 ~ 구례구의 8.9km 구간이 2001년 12월 27일 단선으로 이설 후, 복선화로 2002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이후 임실 ~ 금지의 49.4km 구간도 2004년 8월 31일 추가로 완공되었다.

전주시 부근에서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인 모습

2008년 1월 1일에는 군산선이 장항선으로 편입되면서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2010년 10월 동운 ~ 순천 간 일부인 2.35km가 지하로 이설되면서, 순천 시내를 통과하도록 변경되어 복선화되었다. 2011년 4월 5일에는 순천 ~ 여수 구간 선로 이설로 덕양역, 여천역이 이전되고 신풍역, 미평역, 만성역이 폐역되었다. 2011년 10월 5일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4년 6월 1일부터 ITX-새마을도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4년 8월 18일부터 남원, 여천역 KTX 정차 횟수가 증가하였다.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익산역에서 호남고속선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KTX 진행 방향이 변경되었고 상행 10회, 하행 10회 등 이전보다 2편성 증가하였다. 열차 번호 순서도 재배치되었고 KTX-1이 일 상행 3편성, 하행 3편성 투입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를 통해 종점인 여수엑스포역까지 정차역 변수에 따라 2시간 40분에서 3시간 7분가량 소요된다.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KTX는 상행 14회, 하행 14회로 이전보다 4편성 증가하였고 증편된 4편성 가운데 2편성은 서대전역 경유 열차로 신설되었다.

2018년 현재 이 노선 내의 정차역 수는 11개 역[8]이며 이 중에서 KTX 정차역은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등 8개역으로, 전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수엑스포 등 총 5개역이다. 그리고 그와 함께 누리로도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2018년 8월 30일 상행열차를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서울을 오고가는 전라선 경유 열차는 현재 여수엑스포 - 수서/용산/행신 열차지만, 예전에는 용산을 출발해 순천에서 여수 대신 경전선으로 진입하여 진주로 가는 야간 무궁화호 1편성도 있었다.

연혁

일제강점기 시절

  • 1913년 1월: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조선총독부측에 이리 - 전주 간 협궤철도 노선 부설을 허가받음.
  • 1914년 2월: 전북철도주식회사 회사설립 (자본금 30만원)
  • 1914년 5월: 토목공사에 착수.
  • 1914년 10월 17일: 준공 및 이리 ~ 전주 구간이 여객 운송을 개시
  • 1914년 11월 12일: 협궤철도 부설완료.
  • 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해당 노선 매수.
  • 1929년 4월 18일: 이리(현, 익산)-여수간이 철도를 전주 방면에서부터 광궤도선으로 개축공사에 착공
  • 1930년 1월 11일: 표준궤로 개궤.
  • 1930년 12월 25일: 순천 ~ 여수항 구간 준공 및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 1931년 10월 1일: 전주 ~ 남원 구간 준공.
  • 1933년 10월 15일: 남원 ~ 곡성 구간 준공.
  • 1936년 12월 16일: 곡성 - 순천 개통, 전라선으로 개명.
  • 1937년 3월: 광려선 구간이던 순천 ~ 여수 구간을 매입으로 전라선 전구간 개통.
  • 1938년 10월 1일: 역명변경(구이리→동이리)
  • 1942년 7월 1일: 신리역을 보통역으로 승격.
  • 1943년 12월 1일: 여수항역을 폐지하고 여수부두역으로 개칭.
  • 1945년 8월 15일: 8.15 광복과 동시에 여수부두역 폐지.

해방이후 단선비전철 시절

  • 1948년 11월 7일: 여순사건으로 압록역 소실(11월 8일 가역사 준공).
  • 1950년 7월 8일: 6.25전쟁으로 남원역 소실.
  • 1955년 9월 1일: 신풍역을 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 여객 및 소화물취급 개시.
  • 1956년 7월 27일: 남원역사 준공.
  • 1965년 6월 21일: 봉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오수역관리)
  • 1966년 10월 11일: 상동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67년 6월 7일: 산성역을 임시승강장으로 개업.
  • 1969년 10월 5일: 현재의 덕양역사준공.
  • 1971년 9월 10일: 덕진역을 민수용 무연탄도착취급역 지정
  • 1975년 5월 1일: 덕진역을 민수용 무연탄도착취급역 지정취소.
  • 1981년 5월 25일: 전라선의 전주도심구간 이설사업으로 동산 ~ 신리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산업단지의 화물 출입을 위하여 동산 ~ 북전주 구간은 북전주선으로 명칭변경. 전주역 신축이전.
  • 1989년 11월 18일: 전라선 1단계 구간 선형개량 공사착공(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의 64.3km)[9]
  • 1997년 6월 1일 : 춘포역 배치간이역으로 격하[10]
  • 1998년 6월 12일: 전라선 2단계 구간 선형개량 공사착공(임실 - 금지, 압록 - 구례구의 58.3km)

복선화 시대

  • 1999년 5월 18일: 1단계 전구간 복선·직선화 개통.(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 간)[11]
  • 2001년 12월 27일: 2단계 중 압록 - 구례구(8.9km)구간 단선직선화 개통.
  • 2004년 8월 31일: 2단계 전구간 복선·직선화 개통.[12]
  • 2004년 10월 8일 : 동순천 ~ 순천 2.9km 구간 복선전철화 공사착공, 순천 ~ 여수 33.7km 구간 복선전철화 공사착공.
  • 2004년 12월 10일 : 춘포, 죽림온천, 개운, 동운, 성산, 신풍역 6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3]
  • 2005년 11월 21일: 춘포역사 등록문화재로 지정.
  • 2006년 6월 23일: 동순천역 폐지.
  • 2007년 1월 25일: 여천터널 5.9㎞ 관통[14]
  • 2007년 7월 31일: 임대형 민자사업(BTL) 방식으로 전라선 익산 ~ 신리 34.4km 구간 복선전철화 공사착공.[15]
  • 2009년 12월 17일: 순천역 신역사 준공 (조곡동→덕암동)
  • 2010년 10월: 전라선 동운 - 순천 사이 2.35km 지하화 완공.

고속철도 시대

역 목록

●표는 전 열차 정차, ▲표는 일부열차 정차, |표는 전 열차 통과.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K
R
I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경부선 용산역 방면
익산 Iksan 益山 0.0 0.0 호남선
장항선
호남고속선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동익산 Dongiksan 東益山 2.8 2.8 익산삼각선
삼례 Samnye 參禮 10.8 13.6 완주군
동산 Dongsan 東山 4.0 17.6 북전주선 전주시
전주 Jeonju 全州 7.9 25.5
신리 Sin-ri 新里 9.4 34.9 완주군
죽림온천 Jungnim oncheon 竹林溫泉 5.1 40.0 무인역
관촌 Gwanchon 館村 9.0 49.0 임실군
임실 Imsil 任實 4.0 53.0
봉천 Bongcheon 鳳泉 6.3 59.3 무인역
오수 Osu 獒樹 4.3 63.6
서도 Seodo 書道 5.9 69.5 남원시
산성 Sanseong 山城 6.4 75.9 무인역
남원 Namwon 南原 3.6 79.5
주생 Jusaeng 周生 5.8 85.3 무인역
옹정 Ongjeong 甕井 3.0 88.3 무인역
금지 Geumji 金池 3.1 91.4
곡성 Gokseong 谷城 5.7 97.1 전라남도 곡성군
압록 Amnok 鴨綠 11.5 108.6
구례구 Guryegu 求禮口 8.8 117.4 순천시
봉덕 Bongdeok 鳳德 3.6 121.0 무인역
괴목 Goemok 槐木 5.2 126.2 무인역
개운 Gaeun 開雲 8.2 134.4 무인역
동운 Dongun 東雲 3.2 137.6 무인역
순천 Suncheon 順天 8.0 145.6 경전선
성산 Seongsan 星山 5.2 150.8 전경삼각선 무인역
율촌 Yulchon 栗村 6.2 157.0 여수시
덕양 Deogyang 德陽 8.6 165.6 여천선
여천 Yeocheon 麗川 5.3 170.9
여수엑스포 Yeosu-Expo 麗水EXPO 9.5 180.4

폐지된 전주 시내 구간

동산 - 북전주 - 덕진 - 신리

지선 노선

전라선에는 총 2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0901 북전주선 동산역 북전주역 1.7
30902 여천선 덕양역 적량역 11.6

북전주선

북전주선동산역북전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본래 전라선 본선 구간에 해당되었으나, 1981년 5월 25일 동산역 ~ 신리역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산업단지 화물 출입을 위해 동산 ~ 북전주 구간을 존치시킨 것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901이다.

여천선

여천선덕양역적량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여수국가산업단지로 이어지는 화물 전용 노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902이다.

터널 목록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년도 비고
후정터널 80m 2011년
아중1터널 190m 2011년
아중2터널 190m 2011년
고덕터널 1,245m 2011년
신리터널 220m 2011년
죽림터널 190m 1999년
남관터널 320m 1999년
슬치터널 6,128m 1999년 최장터널
병암터널 210m 1999년
응암터널 452m 1999년
용운터널 144m 1999년
임실터널 4,645m 2004년
봉산터널 475m 2004년
대명터널 476m 2004년
국평터널 540m 2004년
오수터널 1,270m 2004년
무산터널 150m 2004년
인화1터널 160m 2004년
인화2터널 1,360m 2004년
화정터널 1,580m 2004년
남원터널 1,560m 2004년
주생터널 405m 2004년
신기1터널 239m 1999년
신기2터널 91m 1999년
신기3터널 236m 1999년
오지터널 1,584m 1999년
침곡터널 696m 1999년
대륙암터널 87m 1999년
송정터널 2,830m 1999년
하암터널 262m 1999년
압록터널 273m 1999년
대판터널 374m 2001년
하안터널 727m 2001년
조시터널 1,070m 2001년
칠안터널 78m 2001년
남암터널 223m 1999년
외구터널 280m 1999년
내구터널 400m 1999년
괴목터널 60m 1999년
병풍터널 5,672m 1999년
구천터널 504m 1999년
용산터널 163m 1999년
삼산터널 590m 1999년
조곡터널 810m 2010년
연향터널 1,063m 2010년
해룡터널 2,370m 2010년
발흥터널 1,414m 2010년
율촌터널 1,010m 2010년
덕양터널 295m 2011년
여천터널 5,910m 2011년
마래터널 1,968m 2011년

전라선의 교통량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전라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컨테이너 일반화물 운행총계
익산 - 동산 183 18 15 5 7 45
동산 - 순천 174 18 15 7 6 46
순천 - 여천 180 16 15 2 1 34
여천 - 여수엑스포 60 16 15 0 0 31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0]
통일(통근) 330,709 299,433 260,924 248,412 191,758 228,000 263,561 275,312 0 0 0 0 0 0 0 0
무궁화 2,360,019 2,490,291 2,299,801 2,135,073 2,016,620 2,146,456 2,096,154 2,083,140 2,217,863 2,158,104 2,253,172 2,263,487 2,820,202 2,516,154 2,438,313 2,356,354
새마을 348,296 362,697 327,004 295,113 318,822 344,182 340,486 361,153 377,729 398,950 445,262 433,937 269,819 207,392 287,812 320,643
KTX 미개통 137,116 826,339 864,535 1,001,435 1,491,138
건설 6,279 8,261 9,174 9,926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71,399 86,761 73,182 57,137
합계 3,116,703 3,247,443 2,970,085 2,745,661 2,527,200 2,718,638 2,700,201 2,719,605 2,595,592 2,557,054 2,698,434 2,834,540 3,916,360 3,588,081 3,727,560 4,168,135

2011년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는 병행하는 고속도로가 없었고, 호남 지방에서 인구가 많았으며, 산업단지가 밀집한 호남 동부 지역을 연결해 수요가 많은 편이다.

고속화

1990년부터 경부고속철도과 호남, 동서고속철도에 이어서 4번째로 이리에서 여수까지 잇는 전라선 고속철도를 건설계획을 수립했다.[21] 실제로 전라선은 2011년 10월 5일 복선전철화가 되어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5월 1일 고속화되어 운행시간이 단축되었다.

그러나 230km/h까지만 운행이 가능하고 기존선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새마을호와 비슷한 중저속으로 운행하면서 '무늬만 고속철도'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선권 지자체장은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나섰다.[22]

같이 보기

각주

  1. SRT열차만 운행
  2. 익산 - 신리간 BTL 및 유지 보수
  3. KTX #702열차는 순천 - 여수엑스포 구간이 230km/h이다.
  4. 대한민국에 있어서 사설철도로는 부산궤도에 이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철도였다.
  5. 1리당 약 34,000원 선
  6. 송정리 - 보성 - 순천 - 여수항
  7. 이준삼 기자 (1994년 9월 18일). “1998년 완공될 전라선 직선화 작업”. 《KBS 9시뉴스》. 
  8.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9. 백지연 앵커 (1989년 11월 28일). “철도청, 전라선 직선화 착공”. 《MBC뉴스데스크》. 
  10.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11. 김종진 앵커 (1999년 5월 18일). “전라선 1단계 개량구간 개통”. 《KBS》. 
  12. 윤석이 기자 (2004년 8월 9일). “철도청, 전라선 개량사업 완료”. 《연합뉴스》. 
  13.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14. 문성일 기자 (2007년 1월 24일). “전라선철도 여천터널 5.9㎞ 관통”. 《머니투데이》. 
  15. “서울~문산, 서울~포천 고속도로 민자사업 추진”. 국정브리핑. 2007년 3월 30일. 
  16. 최윤영 기자 (2011년 10월 5일). “전라선 복선전철 개통…서울~여수 KTX 3시간대”. 《MBN》. 
  17. 이정우 기자 (2012년 4월 30일). “전라선 고속화...여수엑스포 가기 편하다!”. 《YTN》. 
  18. 이경기 기자 (2015년 4월 3일). “여수~서울 호남고속철 개통 관광업 '맑음' 의료업 '흐림'. 《전남일보》. 
  1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0.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21. 김택곤 기자 (1990년 8월 9일). “전라선 고속전철 건설 계획, 오는 2008년 완공”. 《MBC뉴스데스크》. 
  22. "전주에 KTX 전용선 놓이나".. 신규 철도망 시급”. 《전주MBC》. 2020년 11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