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고속도로

고속국도
10
고속국도 제10호선
남해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0호선
노선도
Map
총연장 영암~순천 : 106.8 km
순천~부산 : 166.3 km
개통년 1973년 11월 14일 (서순천 ~ 산인, 창원 ~ 덕천)
2001년 11월 8일 (산인 ~ 창원)
2012년 4월 27일 (서영암 ~ 도룡)
기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주요
교차도로
호남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9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6
고속국도 제6호선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남해고속도로
(고속국도 제6호선)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종점 전라남도 순천시

남해고속도로(南海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호선)는 전라남도 영암군을 기점으로, 부산광역시 북구를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순천~부산 구간은 1973년 호남고속도로 전주 ~ 순천 구간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서순천 나들목을 통해 호남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개통 초기에는 왕복 2차선이었으나, 1981년부터 1996년까지 진행된 확장 공사를 통해 전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01년 냉정 ~ 창원 구간이 왕복 8차선으로 확장되었고, 2011년 산인 ~ 진주 구간이 왕복 8차선으로, 사천 ~ 진주 구간이 왕복 6차선으로 확장되었고, 2014년 12월 냉정 ~ 대저 구간이 왕복 6 ~ 8차선으로 확장되는 등 일부 구간이 왕복 6차선 이상으로 확장되었다.

2001년산인 분기점에서 칠원 분기점북창원을 거쳐 창원 분기점을 잇는 우회도로인 마산외곽고속도로가 개통되었는데, 처음에는 남해고속도로의 지선이었지만, 2008년 마산외곽고속도로 구간이 남해고속도로 본선으로 편입되면서 기존의 남해고속도로 산인 분기점 ~ 내서 분기점 ~ 서마산 나들목 ~ 동마산 나들목 ~ 창원 분기점 노선은 제1지선으로 독립하였다. 그 외에도 지선 노선으로 1981년에 개통된 냉정에서 사상을 잇는 제2지선이 있다. 전라남도 광양시경상남도 하동군을 잇는 (구)제3지선도 있었으나 이 구간은 1995년에 개통되었다가 1996년에 고속도로에서 해제되었다. 2012년 7월 13일경상남도 창원시를 기점으로 하고 경상남도 김해시를 종점으로 하는 (신)제3지선이 착공되어 2017년 1월 13일 개통되었다.

2002년 착공한 영암 ~ 순천 구간은 2012년 4월 27일 개통되어 목포부산이 가까워졌으나, 일부 구간에서 직결되지 않고 일반 국도로 간접 연계된다는 것이 단점이 있다. 영암 ~ 순천 구간의 개통으로 동서 6축 고속도로 중에서는 영동고속도로에 이어 전 구간이 개통된 고속도로가 되었다. 영암 ~ 순천 구간에는 다른 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되는 분기점이 하나도 없다.

역사

개통 초기

1972년 1월 10일 호남고속도로 전주 ~ 순천 구간과 함께 서순천 나들목에서 덕천 나들목 / 구포 나들목에 이르는 구간을 착공하여, 1973년 11월 14일에 개통하였다.[1] 개통 당시의 고속도로 번호는 6번이었다. 개통 초기에는 왕복 2차선으로 구성되어 평면 교차로와 입체 나들목이 공존하였고, 신호등까지 있는 교차로도 있었다. 이후 교통량 증가로 인한 확장이 제기되었다.

왕복 4차선 확장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차관선인 세계은행과 협의를 거쳐 1976년 4월 1일부터 부산 ~ 마산 구간이 유료화에 들어갔으며[2], 순천 ~ 마산 구간도 일평균차량통행량이 1만대를 넘기자 1978년 6월 1일부터 전 구간이 유료화되었다.[3] 또한 교통량 증가로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978년 5월 22일, 동마산 나들목에서 냉정 분기점까지의 왕복 4차선 확장 공사와 냉정 분기점사상 나들목을 있는 고속도로 제9호선 부마고속도로(現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가 착공되어 1982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4] 이후 1983년 4월내서 분기점 ~ 동마산 나들목 구간의 왕복 4차선 확장 공사가 착공되어 1986년 12월 29일 개통되었다. 이후 1986년 10월에 착공한 사천 나들목 ~ 내서 분기점 구간은 1990년 5월 4일에 왕복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고, 1989년 10월 13일 착공한 광양 나들목 ~ 사천 나들목 구간은 1993년 12월 10일 확장 개통을[5], 1991년 12월 12일 착공한 서순천 나들목 ~ 광양 나들목 구간은 1995년 2월 16일 확장 개통되었다. 마지막으로 냉정 분기점 ~ 덕천 나들목 구간은 1992년 12월 14일 착공되어 1996년 11월 28일 확장 개통됨으로써 전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한편, 하동 나들목을 기점으로 광양까지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제3지선1991년 11월 9일 착공되어 1995년 12월 27일 개통되었지만, 개통된 지 6개월 만인 1996년 7월 1일 일반 국도로 격하해 국도 제59호선에 편입되었다.[6][7]

창원 ~ 냉정 구간의 왕복 6 ~ 8차선 확장과 선형 개량

전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되었지만 마산 ~ 부산간의 교통량이 많아져 정체가 심각하여 1996년 3월에 왕복 4차선이었던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을 왕복 8차선으로 확장하는 공사를 착공하였는데, 마산 시가지의 팽창에 따라 확장하기가 어려웠고, 마산 지역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선으로 새로 착공하게 되었다. 이 확장공사로 인해 2000년 11월 27일에 진영 나들목이 원래 위치인 김해시 진영읍에서 창원시 의창구 동읍으로 이설되었으며, 형태도 평면 Y자형에서 이중 트럼펫형으로 변경되었고 현재의 동창원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8] 이후 2001년 9월 29일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 구간이 왕복 8차로로 확장 개통하였고, 2001년 11월 8일 산인 분기점 ~ 북창원 나들목 ~ 창원 분기점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개통되어 마산외곽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9] 이후 2008년 11월 17일 마산외곽고속도로가 남해고속도로에 편입되면서 본선의 산인 분기점 ~ 내서 분기점 ~ 창원 분기점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격하되었다.[10]

산인 분기점 ~ 냉정 분기점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었던 2001년 8월 25일 남해고속도로의 노선번호가 제6호에서 제10호로 변경되었다.[11]

한편, 장지 나들목 ~ 곤양 나들목 구간과 동마산 나들목 부근에서 선형 개량 공사를 착공해 2001년 준공되었다.

1998년 12월 31일 순천 요금소 ~ 곤양 요금소 구간이 (순천 요금소 폐지), 2000년 1월 1일 곤양 요금소 ~ 지수 요금소 구간이 (곤양 요금소 폐지), 2001년 11월 8일 지수 요금소 ~ 북부산 요금소 구간이 (지수 요금소 폐지) 폐쇄형으로 전환하였고, 산인 요금소가 신설되었다. 또한 지수 요금소와 북부산 요금소 사이에 있는 마산 요금소는 현재도 살아 남아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진출입 톨게이트의 역할을 한다.

사천 ~ 마산 및 냉정 ~ 부산 구간의 확장과 영암 ~ 순천 구간의 개통

남해고속도로의 미개통 구간이었던 영암 ~ 순천 구간은 2002년 12월 5일 서영암 나들목 ~ 해룡 나들목 구간을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로 편입하면서 공사의 막을 올렸다.[12] 그리하여 2002년 12월 24일, 서영암 나들목 ~ 해룡 나들목 구간의 1, 2, 4공구가 착공되었고, 2002년 12월 28일에는 3공구가 착공되었다. 2006년 12월 19일에는 미처 착공하지 못한 나머지 공구인 5 ~ 12공구를 4년 만에 착공하여 당초 2012년 12월 개통 목표로 하였다가 2012년 5월 12일에 개막하였던 2012 여수 세계박람회를 대비하여 2012년 4월 27일에 당초 계획보다 8개월을 앞당겨서 조기 개통하였다.[13][14] 다른 나들목과 달리 고흥 나들목2009년 착공되어 2012년 개통 당시 미개통 나들목으로 남았다가 2013년 1월 30일 개통되었다.[15][16] 개통식은 정식 개통일 전날인 2012년 4월 26일 오후 4시 30분에 남순천 요금소에서 김황식 국무총리박준영 전라남도지사 등의 인사와 지역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통식이 치루어졌다.[17][18] 한편, 일반인 통행은 2012년 4월 27일 오전 0시부터 허용되었다.[19]

한편, 사천 ~ 마산 구간도 상습적인 정체로 인해 2007년 10월 25일, 사천 나들목 ~ 산인 분기점을 왕복 6 ~ 8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착공되었는데, 당초에는 2013년을 완공 목표로 하다가 2012년 12월, 2012년 6월로 개통 시기를 앞당기다가 2011년 12월 조기 개통으로 확정되었다. 확장 공사 도중에 남강휴게소의 노후로 인해 2010년 7월 22일에는 부산 방향이, 9월 2일에는 순천 방향이 폐쇄되어 각각 신설된 함안 휴게소로 이전하였다. 2011년 5월 25일에는 함안 나들목 ~ 산인 분기점 구간의 부산 방향이 3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 산인터널의 부산 방향도 개통되었다. 2011년 7월 20일 사천 나들목에서 진성 나들목까지의 구간의 순천 방향이 3차로로 확장 개통하였고, 2011년 10월 6일에는 산인터널의 순천 방향이 개통되었다. 2011년 12월 9일에는 장지 나들목 ~ 산인 분기점 구간의 부산 방향이 4차로로 확장 개통하였고, 2011년 12월 17일 진성 나들목 ~ 장지 나들목의 부산 방향이 4차로로 확장되었다. 남해고속도로 사천 ~ 마산 구간은 2011년 12월 21일 완전 개통해 창원과 진주 그리고 사천을 빠르게 연결해 주었다[20].

냉정 ~ 부산 구간도 확장 공사를 2008년 12월 29일에 시작하여 냉정 분기점 ~ 대저 분기점 구간의 왕복 6, 8차로 확장공사를 착공하여 2014년 12월 16일에 개통되었다. 동김해 나들목2014년 11월 11일 이전되었다.[21]

한편 2012년 7월 13일에는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이 착공되어 2017년 1월 13일에 개통되었다.

연혁

  • 1971년 12월 8일 : 부산시 부산진구 만덕동 ~ 전라남도 승주군 서면 선평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6호선 부산 ~ 순천선으로 지정[22]
  • 1973년 11월 14일 : 부산시 부산진구 만덕동 ~ 전라남도 승주군 서면 선평리 176.5km 구간 개통[23]
  • 1977년 6월 14일 : 남강휴게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백곡리 일대 도로구역 결정[24]
  • 1977년 7월 : 남강휴게소 착공
  • 1978년 1월 21일 : 남강휴게소 준공 및 개점[25]
  • 1978년 6월 22일 : 기점을 '부산시 부산진구 만덕동'에서 '부산시 부산진구 덕천동'으로 단축함.[26]
  • 1978년 7월 8일 : 부산시 부산진구 감전동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7]
  • 1979년 11월 7일 : 창원공업지구 간선진입도로(팔용로) 확장으로 인해 경상남도 마산시 구암동 477m 구간 도로구역 변경[28]
  • 1981년 9월 4일 : 부산마산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냉정 분기점 개통
  • 1981년 11월 7일 : 남해고속도로(남해선)으로 노선명 변경[29]
  • 1982년 5월 13일 : 왕복 4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의창군 내서면 중리 ~ 창원시 소계동 8.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0]
  • 1982년 10월 8일 : 골약 나들목 건설로 인해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1.4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1]
  • 1983년 8월 16일 : 내서 분기점 ~ 동마산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 창원시 소계동 12.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 1983년 10월 12일 : 김해 나들목 건설을 위해 기존 김해시 부원동 360m 구간 도로구역을 해제하고 김해시 불암동 및 지내동 7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1984년 4월 30일 : 진교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 2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84년 6월 29일 : 봉강교차로 개량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광양군 광양읍 구산리 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5]
  • 1984년 8월 1일 : 구포 요금소 이전 공사로 인해 부산직할시 북구 강동동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6]
  • 1984년 10월 23일 : 왕복 4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진양군 문산면 상문리 ~ 진성면 중촌리 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7]
  • 1984년 12월 20일 : 진교 나들목이 입체 나들목으로 신설 개통[38]
  • 1987년 3월 5일 : 왕복 4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 사천군 축동면 사다리 45.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9]
  • 1987년 4월 20일 : 골약육교 건설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7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0]
  • 1988년 4월 18일 : 지수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양군 지수면 승내리 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문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양군 문산면 삼곡리 ~ 금산면 갈전리 4.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진주도로관리소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3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1]
  • 1988년 5월 26일 : 하동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3.0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2]
  • 1988년 7월 30일 : 진영휴게소 (하행) 주차장 설치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읍 우동리 3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3]
  • 1990년 1월 4일 : 사천 ~ 광양 간 왕복 4차로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사천군 축동면 사다리 ~ 전라남도 광양군 광양읍 우산리 5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 1991년 10월 30일 : 문산휴게소 (상행) 간이휴게소 건설로 인해 경상남도 진양군 문산면 소문리 1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5]
  • 1992년 1월 29일 : 광양 ~ 순천 간 왕복 4차로 확장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승주군 서면 압곡리 ~ 광양군 광양읍 우산리 8.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1992년 5월 15일 : 냉정 ~ 구포 간 왕복 4차로 확장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 양동리 ~ 부산직할시 북구 만덕동 2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1994년 1월 14일 : 1995년 12월까지 김해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 ~ 불암동 4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8]
  • 1994년 3월 18일 : 1996년 12월까지 사천휴게소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사천군 곤양면 묵곡리 8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9]
  • 1995년 1월 1일 : 기점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덕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덕천동'으로, 종점을 '전라남도 승주군 서면'에서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으로 변경[50]
  • 1995년 3월 24일 : 1996년 12월까지 동광양 나들목 개량을 위해 전라남도 동광양시 중군동 1.4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1]
  • 1995년 5월 27일 : 칠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풍유동 9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2]
  • 1995년 11월 6일 : 순천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 320m 구간을 1km로 도로구역 변경[53]
  • 1995년 12월 11일 : 1997년 12월까지 하동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3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4], 진교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280m 구간을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 진교리 520m로 도로구역 변경[55]
  • 1996년 3월 22일 : 1997년 12월까지 진월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120m 구간을 680m로 도로구역 변경[56], 1997년 12월까지 옥곡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신금리 60m 구간을 820m로 도로구역 변경[57], 1997년 12월까지 광양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 4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8]
  • 1996년 5월 11일 : 1998년 12월까지 산인 ~ 내서 구간 선형개량을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 마산시 회원구 내서면 호계리 2.51km 구간을 2.46km로 도로구역 변경[59], 1997년 12월까지 선형개량을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상촌리 1.79km 구간을 1.75km로 도로구역 변경[60]
  • 1996년 5월 28일 : 동마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마산시 회원구 구암동 ~ 창원시 소계동 1.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1]
  • 1996년 6월 28일 : 냉정 분기점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22.2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62]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부산직할시 북구 덕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으로 변경[63]
  • 1996년 7월 11일 : 2001년 12월까지 내서 ~ 냉정 구간 8차로 확장을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33.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4]
  • 1996년 12월 20일 : 대전통영고속도로 서진주 ~ 진주 구간 개통과 함께 진주 분기점 개통
  • 1996년 12월 28일 : 순천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5]
  • 1997년 1월 14일 : 1997년 12월까지 광양 나들목 회차로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 4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66]
  • 1997년 4월 24일 : 문산휴게소 (상행)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면 소문리 1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67]
  • 1997년 6월 2일 : 2001년 12월까지 산인 분기점서마산 요금소 설치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2.58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창원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외감리 1.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8]
  • 1997년 7월 12일 : 1998년 12월까지 순천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 ~ 왕지동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9]
  • 1997년 7월 31일 : 1998년 12월까지 곤양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남문외리 ~ 송전리 1.23km 구간[70], 가산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 690m 구간[71], 사천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사다리 ~ 진주시 정촌면 예하리 1.75km 구간을 1.6km로[72], 진주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370m 구간[73], 문산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 810m 구간[74], 진성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상촌리 ~ 동산리 568m 구간 도로구역 변경[75]
  • 1997년 8월 27일 :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 함안군 산인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6호의3호선 마산외곽고속도로(마산외곽선)으로 지정[76]
  • 1997년 10월 21일 : 1998년 12월까지 지수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845m 구간 도로구역 변경[77]
  • 1998년 4월 3일 : 1998년 4월 30일까지 동광양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광양시 중군동 1.4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8]
  • 1998년 12월 29일 : 2003년 12월까지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구간 선형 개량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 ~ 상문리 3.70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9]
  • 1999년 3월 5일 : 2001년 12월까지 함안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300m 구간[80], 장지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장지리 ~ 유현리 1.6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1]
  • 1999년 4월 2일 : 2002년까지 군북 나들목 개량을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박곡리 ~ 사도리 3.4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2]
  • 1999년 10월 27일 : 1999년 12월까지 진주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3]
  • 1999년 12월 16일 : 2001년 12월까지 장유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삼문리 ~ 무계리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4]
  • 2000년 11월 27일 : 진영 나들목동창원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및 나들목 이설
  • 2001년 6월 1일 : 2001년 12월까지 동김해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 ~ 어방동 2.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5]
  •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부산 → 순천에서 순천 → 부산으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6호에서 제10호로 변경. 마산외곽고속도로의 노선번호를 제6호의3에서 제102호로 변경[86]
  • 2001년 11월 8일 : 산인 분기점 ~ 칠원 분기점 ~ 북창원 나들목 ~ 창원 분기점 17.2km 구간 마산외곽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개통[87],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 16.7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88], 지수 요금소 ~ 북부산 요금소 구간이 폐쇄형으로 전환됨에 따라 지수 요금소 폐쇄 및 산인 요금소 신설[89]
  • 2002년 3월 9일 : 2003년까지 군북 나들목 개량 및 군북면 일대 선형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박곡리 ~ 사도리 2.9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90]
  • 2002년 12월 5일 : 기점을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에서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으로 연장.[91]
  • 2002년 12월 6일 : 2009년 12월까지 목포 ~ 장흥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39.3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2]
  • 2003년 10월 29일 : 2004년까지 내서 분기점에 진·출입시설을 개설하기 위해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 호계리 ~ 중리 2.4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3], 2006년 12월까지 서김해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94]
  • 2005년 12월 29일 : 2010년까지 강진 나들목국도 제2호선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39.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95]
  • 2006년 1월 6일 : 2010년까지 목포 ~ 광양고속도로 장흥 ~ 보성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30.47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6]
  • 2006년 10월 17일 : 목포 ~ 광양고속도로 보성 ~ 광양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36.9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7]
  • 2006년 12월 4일 : 진주 ~ 마산 구간 확장공사 및 진주휴게소, 문산휴게소, 함안휴게소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사다리 ~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48.2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98], 덕천 나들목 개통[99]
  • 2007년 8월 29일 : 사천 ~ 산인 구간 확장공사로 문산 나들목 ~ 진주터널 구간 선형이 변경되면서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 ~ 상문리 2.74km 구간 기존 도로구역 해제[100]
  • 2008년 1월 3일 : 영암 ~ 순천(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 순천시 해룡면) 구간과 순천 ~ 부산(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 부산광역시 북구) 구간으로 분할[101]
  • 2008년 7월 16일 :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 부산광역시 북구 대저1동 17.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2]
  • 2008년 11월 17일 : 기존 마산외곽고속도로 구간을 본선으로 편입하고 기존 남해고속도로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을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분리[103]
  • 2010년 7월 22일 : 남강휴게소 폐쇄 및 함안휴게소 신설 개장
  • 2010년 8월 17일 : 진주 나들목 이설 및 진주휴게소 신설 개장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서영암 나들목부터 덕천 나들목까지 274.9km 구간을 남해고속도로로 고시[104]
  • 2011년 1월 31일 : 순천완주고속도로 서남원 ~ 순천 구간 개통과 함께 순천 분기점 개통
  • 2011년 4월 25일 : 2012년까지 고흥 나들목 추가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36.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5]
  • 2011년 10월 11일 : 2012년까지 장흥 나들목 국도 제23호선 접속부 선형 변경을 위해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39.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6]
  • 2013년 1월 30일 : 고흥 나들목 개통[107]
  • 2013년 4월 9일 : 사천 나들목 접속부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사다리 ~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48.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8]
  • 2014년 12월 16일 : 서김해 ~ 대저 구간 왕복 6, 8차선으로 확장 개통[109]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영암 ~ 순천 구간 기점을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종점을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로 명시하고 순천 ~ 부산 구간 기점을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동산리', 종점을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으로 명기[110]
  • 2015년 6월 11일 : 냉정 ~ 서김해 구간 왕복 6차선 확장, 김해 분기점 동시 개통
  • 2016년 5월 23일 : 2019년 12월까지 장흥휴게소 부지 조성 공사를 위해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1]
  • 2017년 1월 13일 : 진례 분기점 개통
  • 2017년 10월 : 서영암 요금소남순천 요금소에 스마트톨링 시스템 도입[112]
  • 2018년 1월 1일 : 학산 나들목이 서호학산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113]
  • 2018년 2월 7일 : 진영 분기점 개통
  • 2019년 5월 23일 : 2019년 12월까지 장흥휴게소 부지 조성을 위해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4]
  • 2019년 12월 10일 : 장흥휴게소 부지 조성공사 기간을 2019년 12월에서 2020년 12월까지로 연장[115]
  • 2020년 11월 2일 : 장흥정남진휴게소 신설 개장[116]

구성

차로수
영암 ~ 순천 구간
지점 영암
방향
순천
방향
서영암 나들목 2 2
해룡 나들목
순천 ~ 부산 구간
지점 순천
방향
부산
방향
서순천 나들목 2 2
사천 나들목
3 3
진주 분기점
4 4
산인 분기점
2 2
창원 분기점
4 4
냉정 분기점
3 3
동김해 나들목
4 4
김해 분기점
3 3
대저 분기점
2 2
덕천 나들목
총 연장
제한 속도

터널

영암 ~ 순천 구간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영암1터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신덕리 612m 2012년 순천 방면
617m 영암 방면
영암2터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신덕리 510m 2012년 순천 방면
497m 영암 방면
영암3터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 250m 2012년
밤재터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묵동리 655m 2012년 순천 방면
669m 영암 방면
강진1터널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659m 2012년 순천 방면
667m 영암 방면
강진2터널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평기리 685m 2012년 순천 방면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삼당리 675m 영암 방면
강진3터널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삼당리 1,255m 2012년 순천 방면
1,265m 영암 방면
강진4터널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삭양리 1,260m 2012년 순천 방면
1,270m 영암 방면
장흥1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성불리 445m 2012년 순천 방면
380m 영암 방면
장흥2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성불리 434m 2012년 순천 방면
428m 영암 방면
장흥3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연산리 464m 2012년 순천 방면
493m 영암 방면
제암산1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439m 2012년 순천 방면
456m 영암 방면
제암산2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742m 2012년 순천 방면
694m 영암 방면
장동1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 1,705m 2012년 순천 방면
1,735m 영암 방면
장동2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204m 2012년 순천 방면
191m 영암 방면
장동3터널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조양리 519m 2012년 순천 방면
547m 영암 방면
보성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대야리 1,179m 2012년 순천 방면
1,154m 영암 방면
노동1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용호리 652m 2012년 순천 방면
614m 영암 방면
노동2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광곡리 195m 2012년 순천 방면
145m 영암 방면
미력1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명봉리 730m 2012년 순천 방면
741m 영암 방면
미력2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124m 2012년 순천 방면
초암산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2,211m 2012년 순천 방면
2,213m 영암 방면
조성1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 666m 2012년 순천 방면
645m 영암 방면
조성2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축내리 1,384m 2012년 순천 방면
1,396m 영암 방면
벌교1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신월리 301m 2012년 순천 방면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옥전리 269m 영암 방면
벌교2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옥전리 572m 2012년 순천 방면
499m 영암 방면
벌교3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마동리 1,980m 2012년 순천 방면
1,960m 영암 방면
고흥터널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한천리 950m 2012년 순천 방면
930m 영암 방면
호동터널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호동리 366m 2012년 순천 방면
314m 영암 방면
별량1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금치리 864m 2012년 순천 방면
872m 영암 방면
별량2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송기리 1,121m 2012년 순천 방면
1,117m 영암 방면
별량3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원창리 588m 2012년 순천 방면
596m 영암 방면
해룡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도롱리 1,419m 2012년 순천 방면
1,424m 영암 방면
순천 ~ 부산 구간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광양터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죽림리 270m 1992년 부산 방면
240m 순천 방면
하동터널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 196m 1992년 부산 방면
201m 순천 방면
진교터널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340m 1992년 부산 방면
400m 순천 방면
사천터널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송전리 168m 1973년 부산 방면
240m 1992년 순천 방면
진주1터널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614m 2010년 부산 방면
572m 순천 방면
진주2터널 647m 2011년 부산 방면
760m 2010년 순천 방면
산인터널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688m 2011년 부산 방면
604m 순천 방면
함안1터널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 877m 2001년 부산 방면
850m 순천 방면
함안2터널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 500m 2001년 부산 방면
520m 순천 방면
창원1터널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 2,551m 2001년 부산 방면
2,566m 순천 방면
창원2터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강리 854m 2001년
김해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 690m 2001년 부산 방면
643m 순천 방면

폐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진주터널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719m 1989년 부산 방면
562m 1973년 순천 방면
김해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 432m 1980년 부산 방면
415m 1973년 순천 방면

교량

구간 과속 단속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영암 ~ 순천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국도 제2호선 무영로 직결
영암기점 - - 0.00 전라남도 영암군
1 서영암 W.Yeongam 0.38 0.38 국도 제2호선 (에프1경주장로·무영로)
2 서영암 요금소 W.Yeongam TG 노정길
(지방도 제819호선 (망월천로·영암로))
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
영암방향 진입과 순천방향 진출만 가능, 진출입 시 요금 지불
구 학산 나들목
서호학산 Seoho-Haksan 4.96 5.34
SA 영암휴게소 Yeongam SA 양방향
3 강진무위사 Gangjin-Muwisa 14.19 19.53 국도 제2호선 (녹색로)
지방도 제830호선 (금강로)
(국도 제13호선 (예향로))
강진군
4 장흥 Jangheung 18.73 38.26 국도 제23호선 (장흥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장흥대로)
장흥군
SA 장흥정남진휴게소 Jangheung Jungnamjin SA 양방향 통합형
5 보성 Boseong 22.95 61.21 국도 제18호선 (송재로·화보로)
국도 제29호선 (화보로)
보성군
SA 보성녹차휴게소 Boseong Nokcha SA 양방향
6 벌교 Beolgyo 18.50 79.71 국도 제2호선 (녹색로)
지방도 제843호선 (녹색로)
7 고흥 Goheung 4.20 83.91 고흥로·채동선로
(국도 제15호선 (우주항공로))
(국도 제27호선 (우주항공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우주항공로))
고흥군 순천방향 진입과 영암방향 진출만 가능
TG 남순천 요금소 S.Suncheon TG 순천시 본선요금소
8 순천만 Suncheonman 16.36 100.27 국도 제2호선 (녹색로) 순천방향 진입, 영암방향 진출 시 요금지불
9 도롱 Dorong 4.71 104.98 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엑스포대로)
영암방향 진입과 순천방향 진출만 가능
해룡 Haeryong 1.64 106.62 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순천방향 진입과 영암방향 진출만 가능
순천종점 Suncheon 0.22 106.84
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직결

순천 ~ 부산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직결
순천기점 Suncheon - 0.00 전라남도 순천시
10 서순천 W.Suncheon 0.05 0.05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순천로(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2호선)
11 순천 Suncheon 3.76 3.81 국도 제17호선 (무평로·백강로)
지방도 제840호선 (매천로·백강로)
12 순천 분기점 Suncheon JC 2.19 6.00 27호선 순천완주고속도로 부산방향의 경우 순천완주고속도로(순천방향) 진출 불가능
13 광양 Gwangyang 6.58 12.58 국도 제2호선 (백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백운로)
지방도 제865호선 (백운로)
광양항전용1로
광양시
14 동광양 E.Gwangyang 5.14 17.72 국도 제2호선 (백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백운로·옥진로)
15 옥곡 Okgok 6.48 24.20 지방도 제861호선 (강변로)
16 진월 Jinwol 4.42 28.62 국도 제2호선 (백운1로)
SA 섬진강휴게소 Seomjingang SA 양방향
17 하동 Hadong 6.98 35.60 국도 제19호선 (섬진강대로)
국도 제59호선 (섬진강대로·산업로)
경상남도 하동군
18 진교 Jingyo 10.05 45.65 지방도 제1002호선 (경충로)
19 곤양 Gonyang 6.40 52.05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곤양로)
지방도 제1005호선 (곤양로)
구고속도로
(지방도 제1002호선 (곤북로))
사천시
SA 사천휴게소 Sacheon SA 양방향
20 축동 Chukdong 8.00 60.05 지방도 제1002호선 (서삼로) 구 가산 나들목
21 사천 Sacheon 5.91 65.96 국도 제3호선 (사천대로)
국도 제33호선 (사천대로)
(지방도 제1002호선 (서삼로))
22 진주 분기점 Jinju JC 2.51 68.47 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 진주시
23 진주 Jinju 3.25 71.72 가호로·대신로·동부로
SA 진주휴게소 Jinju SA 부산방향
24 문산 Munsan 4.01 75.73 지방도 제1009호선 (월아산로)
동진로
SA 문산휴게소 Munsan SA 순천방향
25 진성 Jinseong 6.84 82.57 지방도 제1007호선 (동부로·진의로)
26 지수 Jisu 6.00 88.57 용봉로
(지방도 제1037호선 (지수로))
27 군북 Gunbuk 9.19 97.76 국도 제79호선 (함마대로) 함안군
28 장지 Jangji 2.79 100.55 지방도 제1029호선 (장백로)
SA 함안휴게소 Haman SA 양방향
29 함안 Haman 3.69 104.24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함안대로)
지방도 제1011호선 (함안대로)
30 산인 분기점 Sanin JC 8.68 112.92 102호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순천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창원방향) 진출 불가능
31 칠원 분기점 Chirwon JC 3.04 115.96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창원방향) 진출 불가능
32 북창원 N.Changwon 8.86 124.82 국도 제79호선 (정렬대로)
천주로
창원시
33 창원 분기점 Changwon JC 3.54 128.36 102호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부산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제1지선(함안방향) 진출 불가능
34 동창원 E.Changwon 5.06 133.42 김해대로·의창대로 구 진영 나들목
SA
34-1
진영휴게소
진영 분기점
Jinyeong SA
Jinyeong JC
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김해시 양방향
35 진례 Jillye 6.28 139.70 지방도 제1042호선 (서부로)
35-1 진례 분기점 Jillye JC 105호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36 냉정 분기점 Naengjeong JC 7.02 146.72 104호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37 서김해 W.Gimhae 4.76 151.48 국도 제14호선 (동서대로)
국도 제58호선 (금관대로)
(지방도 제1020호선 (칠산로))
38 동김해 E.Gimhae 4.55 156.03 김해대로·인제로 구 김해 나들목
38-1 김해 분기점 Gimhae JC 2.65 158.68 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 순천방향의 경우 중앙고속도로지선(양산방향) 진출 불가능
TG 북부산 요금소 N.Busan TG 부산광역시 강서구 본선요금소
39 대저 분기점 Daejeo JC 4.77 163.45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나들목 역할 병행
40 덕천 Deokcheon 2.91 166.36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강변대로·남해고속도로 연결도로)
북구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남해고속도로 직결

주요 통과지

전라남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교통량

2018년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18].

구간 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 24시간
목포 ~ 순천 105.0 11,236 13,876
서순천 ~ 순천 6.0 20,723 26,005
순천 ~ 진주 62.5 28,629 37,221
진주 ~ 산인 44.5 55.059 72,347
산인 ~ 창원 15.4 48,986 67,926
창원 ~ 진영 7.4 79,188 106,402
진영 ~ 진례 7.2 73,053 97,349
진례 ~ 냉정 3.8 70,705 91,696
냉정 ~ 부산 18.6 54,825 74,112

최고 통행량 지점은 창원 분기점에서 동창원 나들목까지의 5.1km 구간으로, 24시간에 109,526대 (8개 차선, 차선당으로 환산하면 13,691대/차선)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대저 분기점부터 부산 종점까지 1.7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선당 19,335대 (4개 차선, 총 77,339대)가 통과한다.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부산광역시도
66
광역시도 제66호선
남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의 일부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주요
교차도로
남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만덕대로
의성로

과거 덕천 나들목 ~ 구포 나들목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으나, 1978년 6월 22일에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었으며,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이 구간을 관리한다. 다만, 도로명은 여전히 남해고속도로이다.

고속도로 지정 해제 이후 부산 순환도로 계획이 확정되면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에 편입되었다. 이후 강변대로, 제2만덕터널과 노선을 공유하며,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은 황령터널을 경유한 뒤 대연동 49호광장으로 이어진다.[119]

종류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남해고속도로 직결
IC 덕천 Deokcheon - 0.00 남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 북구
IC 덕천IC 교차로 부산광역시도 제4105호선 (의성로) 덕천방향 진입과 만덕방향 진출만 가능
IC 구포
(고속도로입구 교차로)
Gupo 1.6 1.6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만덕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만덕대로)
만덕방향 진입과 덕천방향 진출만 가능
만덕대로 직결

옛 남해고속도로

개통 당시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 개통되었고, 현재는 확장 공사가 되었기 때문에 옛 남해고속도로 구간이 남아있다. 하지만 동해고속도로와는 달리 남아있는 구간은 상당히 짧은 편이며, 남아있는 곳도 간선도로로 활용되지 못하고 마을도로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논란

새로 개통이 된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구간 중 순천만 나들목의 순천 (광양) 방향 진출입로에 설치되어 있는 순천만 요금소에서 요금을 징수하고 있는데 순천시의회에서는 순천만 나들목 ~ 도롱 나들목 / 해룡 나들목 구간의 통행료 징수 폐지를 국토해양부 (현재의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에 요청하는 건의문을 채택하였다.[122]

같이 보기

사진

각주

  1. 건설부공고 제104호, 1973년 11월 10일.
  2. 釜山(부산)·馬山高速道(마산고속도) 料金(요금)확정 4월부터 有料化(유료화), 매일경제, 1976년 2월 10일 작성.
  3. 6월부터 有料化(유료화), 매일경제, 1978년 5월 31일 작성.
  4. 건설부공고 제96호, 1981년 9월 4일.
  5. 南海(남해)고속도 晋州(진주)~光陽(광양) 50km(km) 4차선 확장 完工(완공), 동아일보, 1993년 12월 10일 작성.
  6.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96년 7월 1일
  7.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96년 7월 1일
  8. 새 진영 IC 개통, 경남신문, 2000년 11월 27일 작성.
  9.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5호, 2001년 11월 7일.
  10.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8년 11월 17일 일부 개정
  11.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1년 8월 25일 전면 개정
  12. 대통령령 제17794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2년 12월 5일 일부 개정
  13.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542호, 2012년 4월 26일.
  14. “여수엑스포行 영암~순천 간 남해고속도로 27일 조기 개통”. 이데일리. 2012년 4월 25일.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국토해양부공고 제2013-53호, 2013년 1월 29일.
  16. “한국도로공사 전남본부 "30일 고흥나들목 개통". 뉴스1. 2013년 1월 28일. 
  17. “광양~목포간 고속도로 27일 0시 개통”. 뉴스1. 2012년 4월 26일. 
  18.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 개통”. YTN. 2012년 4월 26일. 
  19. “이 시각 교통정보”. MBC. 2012년 4월 27일. 
  20. “진주~마산 남해고속도 뻥 뚤렸다..확장 개통”. 뉴시스. 2011년 12월 21일. 
  21. “김해서 부산 양산 3개 고속도로 개통으로 교통난 해소”. 뉴시스. 2014년 12월 15일. 2019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대통령령 제58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71년 12월 8일.
  23. 건설부공고 제104호, 1973년 11월 10일.
  24. 건설부고시 제109호, 1977년 6월 14일.
  25. 南江(남강)휴계소준공 道路公社(도로공사), 매일경제, 1978년 1월 21일 작성.
  26. 대통령령 제905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78년 6월 22일.
  27. 건설부고시 제174호, 1978년 7월 4일.
  28. 건설부고시 제395호, 1979년 11월 7일.
  29.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87년 11월 7일 일부개정.
  30. 건설부고시 제193호, 1982년 5월 13일.
  31. 건설부고시 제364호, 1982년 10월 8일.
  32. 건설부고시 제279호, 1983년 8월 16일.
  33. 건설부고시 제330호, 1983년 10월 12일.
  34. 건설부고시 제146호, 1984년 4월 30일.
  35. 건설부고시 제217호, 1984년 6월 29일.
  36. 건설부고시 제286호, 1984년 8월 1일.
  37. 건설부고시 제414호, 1984년 10월 23일.
  38. 辰橋(진교)인터체인지 開通(개통), 경향신문, 1984년 12월 20일 작성.
  39. 건설부고시 제70호, 1987년 3월 5일.
  40. 건설부고시 제140호, 1987년 4월 20일.
  41. 건설부고시 제172호, 1988년 4월 18일.
  42. 건설부고시 제241호, 1988년 5월 26일.
  43. 건설부고시 제364호, 1988년 7월 30일.
  44. 건설부고시 제809호, 1990년 1월 4일.
  45. 건설부고시 제634호, 1991년 10월 30일.
  46. 건설부고시 제92-21호, 1992년 1월 29일.
  47. 건설부고시 제1992-232호, 1992년 5월 15일.
  48. 건설부고시 제1994-6호, 1994년 1월 14일.
  49. 건설부고시 제1994-84호, 1994년 3월 18일.
  50. 대통령령 제14486호, 1994년 12월 31일 타법개정.
  5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96호, 1995년 3월 24일.
  5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79호, 1995년 5월 27일.
  5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69호, 1995년 11월 6일.
  5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99호, 1995년 12월 11일.
  5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401호, 1995년 12월 11일.
  5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8호, 1996년 3월 22일.
  57.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9호, 1996년 3월 22일.
  58.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90호, 1996년 3월 22일.
  5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34호, 1996년 5월 11일.
  60.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35호, 1996년 5월 11일.
  6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54호, 1996년 5월 28일.
  62. 부산-경남 고속도2곳 개통, 한겨레, 1996년 6월 22일 작성.
  63.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6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25호, 1996년 7월 11일.
  6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406호, 1996년 12월 28일.
  6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5호, 1997년 1월 14일.
  67.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19호, 1997년 4월 24일.
  68.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76호, 1997년 6월 2일.
  6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23호, 1997년 7월 12일.
  70.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7호, 1997년 7월 31일.
  7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8호, 1997년 7월 31일.
  7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9호, 1997년 7월 31일.
  7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0호, 1997년 7월 31일.
  7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1호, 1997년 7월 31일.
  7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2호, 1997년 7월 31일.
  76.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7년 8월 27일 일부개정.
  77.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0호, 1997년 10월 21일.
  78.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01호, 1998년 4월 3일.
  7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430호, 1998년 12월 29일.
  80.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60호, 1999년 3월 5일.
  8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61호, 1999년 3월 5일.
  8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89호, 1999년 4월 2일.
  8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32호, 1999년 10월 27일.
  8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91호, 1999년 12월 16일.
  85.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41호, 2001년 6월 1일.
  86.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87.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5호, 2001년 11월 7일.
  88.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6호, 2001년 11월 7일.
  89.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7호, 2001년 11월 7일.
  90.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35호, 2002년 3월 9일.
  91. 대통령령 제17794호, 2002년 12월 5일 일부개정.
  92.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244호, 2002년 12월 6일.
  93.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45호, 2003년 10월 29일.
  94.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54호, 2003년 10월 29일.
  95.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95호, 2005년 12월 29일.
  96.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9호, 2006년 1월 6일.
  97.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32호, 2006년 10월 17일.
  98.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504호, 2006년 12월 4일.
  99. 부산광역시공고 제2006-824호, 2006년 11월 29일.
  100.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332호, 2007년 8월 29일.
  101.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월 3일 일부개정.
  102.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318호, 2008년 7월 16일.
  103.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1월 17일 일부개정.
  104.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2010년 12월 28일.
  105.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56호, 2011년 4월 25일.
  106.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542호, 2011년 10월 11일.
  107. 국토해양부공고 제2013-53호, 2013년 1월 29일.
  10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19호, 2013년 4월 9일.
  109. 국토교통부공고 제2014-1547호, 2014년 12월 12일.
  11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2015년 3월 27일.
  11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84호, 2016년 5월 23일.
  112. 에스트레픽 "종합 교통 솔루션 기업 도약...2020년 매출 3,000억원 달성", 한국스포츠경제, 2017년 11월 20일 작성.
  113. 남해고속도로 학산IC 명칭변경 알림, 한국도로공사 공지사항, 2017년 12월 11일 작성.
  11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49호, 2019년 5월 23일.
  11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13호, 2019년 12월 10일.
  116. 영암순천고속도로 '장흥정남진휴게소' 운영 시작, 프레시안, 2020년 11월 2일 작성.
  117. 경남 47곳에 과속·신호위반 무인단속카메라 설치 Archived 2015년 2월 15일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13년 12월 31일
  118.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Archived 2014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2019년 6월 4일 읽어봄.
  119. 부산 4개 순환도로망 만든다 (서울신문, 2007년 3월 28일)
  120. 냉정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 정체시 우회도로로 활용
  121. 이 도로는 국도나 지방도는 아니지만, 간선도로로 쓰이고 있다. 또한, 하동군 구간에는 트럼펫형 나들목이 존재한다.
  122. “순천시의회 "고속도 시내구간 통행료 폐지해야". 연합뉴스. 2012년 6월 5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