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화명대교

대동화명대교
화명생태공원 북측에서 바라본 모습
공식이름대동화명대교
교통시설부산광역시 77호선
횡단낙동강
국적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리부산광역시
설계콘크리트 사장교
최대경간장270 m
길이1,039 m
17.8 m
착공일2007년 3월
완공일2012년 6월
개통일2012년 7월 9일
위치대한민국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동화명대교(大東華明大橋)는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와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사이를 잇는 다리다. 길이는 1,544 미터이며, 은 17.8 미터 ~ 27.8 미터로 왕복 4차로이며, 김해 안막 나들목 1개소 포함되어 있다. 2007년 3월 착공해서 2012년 6월 준공되었으며, 7월 9일 부분 개통하였다. 사업비는 1,806억원(공사 1,450억원, 감리 등 356억원)이 들었다.

개요

공사비 중 50 %는 국비, 부산시와 김해시가 각각 25 % 씩 분담했다.[1] 길이 3.55 킬로미터의 초정~화명간 광역 도로 구간 중 일부이다. 시공은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SK+한진중공업+쌍용건설+한창건업)에서, 설계는 도화, 신성에서, 책임감리는 다산컨설턴트에서 했다.

화명 나들목에서 안막 나들목까지 2012년 7월 9일에 개통하였고, 추후 안막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 초정 나들목까지 개통할 계획이다. 2016년 3월 31일에 부산 방향 진입로 6곳 중 1곳이 개통하였고[2], 같은 해 12월 27일에 4곳이 마저 개통되었다.[3] 안막~초정 구간은 언제 착공할지 정해지지 않았다.[4]

특징

교량 본선 길이는 1,039 미터, 주탑 2개가 지탱하는 사장교 구간은 500 미터로 대한민국 최대의 콘크리트 사장교다. 사장교 상판을 콘크리트로 건설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적인 선형관리 기술 및 하중 제어기술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며[출처 필요] 교각 사이 거리는 270 미터로 올림픽대교보다 120 미터 더 넓다.[5]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이름에 양측 지역명을 함께 넣은 것은 처음이다.[6]

이름

이 다리는 건설 중에는 화명대교로 불렸는데, 대동대교, 화명대동대교, 가락대교 등 다른 이름을 놓고 부산시와 김해시는 여러차례 협의한 끝에 두 도시 지역 주민들이 교량 명칭에 지역명이 포함되는 것을 희망하는 점을 감안하고, 도로명주소법 규정에 따라 서쪽에서 동쪽 원칙을 준용하는 등 지역 갈등해소와 상생협력을 위해 절충안인 대동화명대교로 최종확정했다. [7]

각주

  1. 손영신 기자 (2012년 4월 18일). “화명대교 명칭 부산 - 김해 갈등”. 부산일보. 2012년 7월 3일에 확인함. 
  2. 김상현 (2016년 3월 23일). “부산 화명대교 덕천IC 연결램프 31일 개통”. 연합뉴스.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3. 김선호 (2016년 12월 15일). “부산 화명대교 램프 4곳 27일 개통…"교통체증 완화 기대". 연합뉴스.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4. 임동우 (2019년 9월 29일). “대동화명대교 김해접속로 7년째 ‘차일피일’”. 국제신문.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5. 김광수 (2012년 3월). “콘크리트 사장교의 건설 동향” (PDF). 토목연구정보센터. 2014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3일에 확인함. 
  6. 이상현 (2012년 6월 22일). “명칭 갈등 김해~부산 교량, "대동화명대교" 합의”. 노컷뉴스.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7. 이수윤 기자 (2012년 6월 22일). “화명대교 이름은 대동화명대교”. 한겨레. 2012년 7월 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