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1 2019 은 '슈퍼리그'에서 시작해 37번째를 맞은 시즌이자 2013년 도입한 승강제 이후 7번째 시즌이다.
시즌 개요
운영 방식
리그는 전년도와 똑같이 △12개팀이 3차에 걸쳐 라운드 로빈 을 치르는 정규 라운드 (1~33 라운드)와 △정규 라운드 성적을 토대로 나누어진 상・하위 스플릿 내에서 6개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을 치르는 파이널 라운드 (34~38 라운드)로 진행한다.
리그가 끝난 뒤 우승, 준우승 팀에게는 AFC 챔피언스리그 2020 조별리그 출전권이 주어지며, 리그 3위에게는 AFC 챔피언스리그 2020 플레이오프 출전권이 주어진다. 만약 리그 3위 이내의 팀이 FA컵 2019 에서 우승하는 경우와 군경팀인 경우, 리그 3위까지 조별리그 출전권이 주어지며 리그 4위가 플레이오프 출전권을 획득하게 되며 그리고 리그 최하위 12위는 자동으로 K리그2 2020 으로 강등된다.
승격 구단과 강등 구단
참가 구단
클럽
지난 시즌 순위
첫 리그 참가
총 시즌
연고지
홈구장
수용좌석
강원 FC
1 8위
2009
8
강원
춘천송암레포츠타운
20,000
경남 FC
1 2위
2006
11
경남
창원축구센터
15,116
대구 FC
1 7위
2003
14
대구
DGB대구은행파크
12,415
상주 상무
2 10위
2011
7
상주
상주시민운동장
15,042
FC 서울
1 11위
1984
36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66,806
성남 FC
LL K리그2 2위
1989
29
성남
성남종합운동장 (2019.3.~6.) 탄천종합운동장 (2019.7.~11.)
21,149 16,146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6위
1996
24
수원
수원월드컵경기장
43,959
울산 현대
1 3위
1984
36
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2019.3.~ 6.) 울산종합운동장 (2019.7.~11.)
44,474 19,471
인천 유나이티드
1 9위
2004
16
인천
인천축구전용경기장
20,300
전북 현대 모터스
0 우승
1995
25
전북
전주월드컵경기장
42,477
제주 유나이티드
1 5위
1983
37
제주
제주종합경기장 (2019.3.~ 5.12) 제주월드컵경기장 (2019.5.28.~)
29,791
포항 스틸러스
1 4위
1983
37
포항
포항스틸야드
18,960
감독, 주장, 유니폼 스폰서
감독 변화
외국인 선수
외국인 선수들은 각 팀당 AFC 소속 국가들의 국적인 1인을 포함해서 최대 4인까지 경기에서 뛸 수 있다.
범례 상반기: 겨울이적시장 이후 하반기: 여름이적시장 이후 : 여름이적시장을 통해 나간 선수 : 여름이적시장을 통해 들어온 선수
1. ^ 제리치 는 여름이적시장에서 이영재 와 트레이드되어 경남에 입단하였다.
2. ^ 네게바 는 상반기에 부상을 당했지만, 팀에 남아 재활과정을 거쳤다. 그 기간 동안 오스만 이 등록되어 활약하였다
선수 이적
경기 중계
시즌 순위
최종 순위
* 마지막 업데이트 : 2019년 12월 8일 * 출처 : K리그 공식 웹사이트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득점 수; 3) 골 득실차.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30주차 경기 중 "울산 현대 v 강원", "경남 v 전북 현대" 2경기들이 2019년 9월 22일 태풍 "타파"의 영향(태풍경보)으로 10월 2일 로 연기되었다.
라운드별 순위
선두 & AFC 챔피언스리그 2020 조별 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2020 조별 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2020 플레이오프
승강 플레이오프 에 진출
K리그2 2020로 강등
1~33 라운드
팀 /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전북 현대 모터스
5
3
5
4
4
3
3
1
1
1
2
2
2
1
1
1
1
1
1
1
1
1
2
2
2
1
2
1
1
1
1
2
2
울산 현대
3
6
4
3
1
1
1
2
2
2
1
1
1
2
2
2
3
3
2
2
2
2
1
1
1
2
1
2
2
2
2
1
1
FC 서울
2
2
2
1
2
2
2
3
3
4
3
3
3
3
3
3
2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대구 FC
8
4
3
7
5
5
5
4
4
3
4
4
4
4
4
4
4
4
4
5
5
5
5
5
6
6
4
5
5
5
4
4
4
포항 스틸러스
11
11
8
9
8
7
9
10
8
6
7
6
6
6
7
7
7
8
8
8
7
8
9
9
9
9
9
8
8
8
6
6
5
강원 FC
12
9
7
5
7
9
10
7
7
8
6
5
7
7
6
6
5
5
5
4
4
4
4
4
4
4
5
4
4
5
5
5
6
상주 상무
1
1
1
2
3
4
4
6
5
5
5
7
5
5
5
5
6
6
6
7
7
7
7
7
5
5
6
6
7
7
7
7
7
수원 삼성 블루윙즈
10
12
12
10
10
8
8
9
10
9
8
8
8
8
8
8
8
9
7
6
6
6
6
6
7
7
7
7
6
6
8
8
8
성남 FC
9
10
10
11
9
10
7
5
6
7
9
9
9
9
9
9
9
7
9
9
9
9
8
8
8
8
8
9
9
9
9
9
9
경남 FC
4
7
9
6
6
6
6
8
9
10
10
10
11
10
10
10
10
10
10
11
11
11
11
11
10
10
10
10
10
10
10
11
10
인천 유나이티드
6
5
6
8
11
12
12
11
11
12
12
12
12
12
12
12
11
12
12
12
12
12
12
12
11
11
12
11
11
12
11
10
11
제주 유나이티드
7
8
11
12
12
11
11
12
12
11
11
11
10
11
11
11
12
11
11
10
10
10
10
10
12
12
11
12
12
11
12
12
12
마지막 업데이트: 2019년 10월 6일 출처: K리그 홈페이지
제30주차 경기 중 "울산 현대 v 강원", "경남 v 전북 현대" 2경기들이 2019년 9월 22일 태풍 "타파"의 영향(태풍경보)으로 10월 2일 또는 3일로 연기되었다.
34~38 라운드
마지막 업데이트: 2019년 12월 1일 출처: K리그 홈페이지
경기 결과
정규 라운드 (1~22 라운드)
원정
홈
강원
경남
대구
상주
서울
성남
수원
울산
인천
전북
제주
포항
강원 FC
2–1
0–2
4–0
1–2
2–1
0–2
0–0
1–0
2–3
0–1
5–4
경남 FC
0–2
2–1
1–1
1–2
2–1
3–3
1–3
1–1
3–3
2–2
1–2
대구 FC
2–2
1–1
1–0
1–2
1–1
0–0
1–1
2–1
1–4
2–0
3–0
상주 상무
2–0
1–1
2–0
1–3
1–0
0–2
0–1
2–0
0–3
4–2
1–1
FC 서울
2–2
2–1
2–1
2–0
3–1
4–2
2–2
0–0
2–4
0–0
2–0
성남 FC
1–2
1–1
0–1
1–0
0–1
2–1
1–4
0–0
0–0
1–1
2–0
수원 삼성 블루윙즈
1–1
0–0
0–0
0–0
1–1
1–2
1–3
3–1
0–4
2–0
3–0
울산 현대
2–1
2–0
0–0
2–2
2–1
0–1
2–1
1–0
2–1
2–1
1–0
인천 유나이티드
1–2
2–1
0–3
1–2
0–2
0–0
2–3
0–3
0–1
1–1
0–1
전북 현대 모터스
0–1
4–1
1–1
2–0
2–1
3–1
1–1
1–1
2–0
3–1
2–0
제주 유나이티드
2–4
2–0
1–1
2–3
4–2
1–2
1–3
1–3
1–2
0–1
1–1
포항 스틸러스
1–0
4–1
0–2
1–2
0–0
1–0
1–0
2–1
1–2
1–1
1–1
2019년 7월 24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K리그1 공식 웹사이트 색상 :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 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정규 라운드 (23~33 라운드)
2019년 10월 6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K리그1 공식 웹사이트 색상 :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 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파이널 라운드 (34~38 라운드)
파이널 A
2019년 12월 1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K리그 1 공식 웹사이트 색상 :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 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파이널 B
2019년 11월 30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K리그 1 공식 웹사이트 색상 :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 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승강 플레이오프
우승 구단
시즌 통계
개인 기록
해트트릭
선수
소속
경기 결과
날짜
비고
완델손
포항
강원 5:4 포항
6월 23일
소속팀은 짐
조재완
강원
강원 5:4 포항
6월 23일
추가시간에 두골, 0:4에서 5:4로 역전승
문선민
전북
대구 1:4 전북
7월 10일
윤일록
제주
제주 4:2 서울
7월 10일
타가트
수원
강원 1:3 수원
8월 17일
완델손
포항
포항 5:3 인천
8월 25일
한경기 3골 2도움, 시즌 두번째 해트트릭
무고사
인천
인천 3:3 울산
9월 1일
*최종 업데이트: 2019년 12월 2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 )
*득점/도움 수가 같을 경우 경기 수가 적은 선수가, 경기 수도 같을 경우 교체 횟수가 많은 선수가 윗 순위가 된다.
무실점경기
팀 기록
관중 기록
구단별 관중 기록
Pos
팀
총합
최다
최소
평균
변화
1
FC 서울
324,162
32,057
7,719
17,061
+47.6% †
2
전북 현대 모터스
278,738
20,637
10,044
13,937
+16.9% †
3
대구 FC
203,951
12,172
8,247
10,734
+205.1% †
4
울산 현대
184,148
19,011
1,568
9,692
+28.8% †
5
수원 삼성 블루윙스
168,024
24,019
3,353
8,843
+31.8% †
6
인천 유나이티드
161,593
18,541
4,879
8,505
+92.0% †
7
포항 스틸러스
161,134
14,769
2,486
8,481
+13.3% †
8
성남 FC
105,950
11,238
2,421
5,576
+132.3% †
9
경남 FC
73,646
7,252
1,034
3,876
+23.0% †
10
제주 유나이티드
66,741
6,034
955
3,708
+14.7% †
11
강원 FC
54,331
5,823
1,732
2,860
+110.9% †
12
상주 상무
44,702
6,278
1,161
2,353
+78.5% †
리그 합계
1,827,120
32,057
955
8,014
+47.2% †
Updated to games played on 2019년 12월 1일 Source: [3] [깨진 링크 ] [4] Notes: 무료 티켓으로 입장한 관중은 포함되지 않음.† 이전 시즌 K리그2
수상
후원: 하나원큐
K리그1의 수상자는 아래와 같다
▲ 클럽상[ 2]
▲ 특별상[ 3]
▲ 심판상
최우수 주심상 : 이동준
최우수 부심상 : 윤광열
이달의 감독상
이달의 선수상
후원 : EA 스포츠
매달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 한 명을 전문가 의견 (70%), K리그 팬 투표 (20%), 피파온라인4 유저 투표 (10%) 토대로 선발한다.
탱고 어워드
후원 : 아디다스
한 달간 가장 센스있고, 개성있는 플레이를 선보인 선수 1명을 뽑아 시상한다. 매달 두 건의 플레이를 후보로 선정해 연맹 공식 SNS채널을 통한 팬 투표 결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같이 보기
전체 2019년 대한민국의 축구
국가대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9 시즌
2019년 대한민국 프로/아마 리그와 FA컵 대회
1부 (프로) K리그1 2019
2부 (프로) K리그2 2019
3부격 (세미프로, 한국실업축구연맹 주관) 내셔널리그 2019
4부격 (세미프로) K3리그 어드밴스 2019
5부격 (세미프로) K3리그 베이직 2019
6부격(아마추어) K5리그 2019
7부격(아마추어) K6리그 2019
8부격(아마추어) K7리그 2019
FA컵 FA컵 2019
참고 자료
각주
외부 링크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국내 리그 국내 컵 리그컵 슈퍼컵 지역 클럽 대항전 AFC 클럽 대항전 국가대표 대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