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1호선의 일부 구간은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고 있었다.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까지의 구간은 조선 정조 시기 놓인 시흥대로, 경수대로와 겹치며,[4][5] 서울에서 의주군까지 이어지던 조선 시대의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는 주요 도로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의 국도 1호선과 겹친다. 의주로는 책문을 넘어 베이징시까지 이어지기에 연행로라고도 하였다.[6]
일제강점기에 들어 일본 제국은 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7]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거의 대부분 조선의 대로(大路)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본 제국이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8]서울 북부의 경기도 구간에서는 고양시덕양구 선유동에서 파주시문산읍 신원리까지의 통일로 구간은 조선 시대의 의주로와 겹치나 의주로의 그 이외 구간은 지금의 국도 1호선과 39호선 그리고 지방도로 307호선에 걸쳐 있다.[9] 천안 이남의 구간에서는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의 구간[10]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하였다. 조선의 7로는 천안 - 차령 - 공주 - 부여 - 강경으로 이어졌으나 국도 1호선은 천안 - 조치원 - 대전 - 논산으로 연결된다.[8][11] 일제는 이렇게 놓인 국도 1호선을 이용하여 서울 이북 구간은 만주 침략의 이동로로 호남 구간은 징발된 쌀의 운송로로 사용하였다.[12]
2012년6월 29일, 목포대교가 개통되어 국도 제1호선 기점이 종전 유달산우체국 부근에서 목포대교 남측 종점인 고하도 ~ 허사도 (신외항)로 변경되었다.[13] 이에 따라 2012년 기준 국도 제1호선의 총 연장은 943.37km로 이전 길이 939.1 km 보다 약 4.27km가 연장되었다.[14] 실제 노선 변경 승인은 2013년 2월 28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15]
연혁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1호선 목포 ~ 신의주선이 됨.[16]
1973년 9월 7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나주군 다시면 월태리 ~ 문평면 옥당리 3.4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1973년 9월 8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대덕군 진잠면 내동리 ~ 기성면 관저리 1.85 km 구간을 1.15km로, 대덕군 기성면 가수원리 1.1 km 구간을 800m로,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동 ~ 죽림동 2.2 km 구간을 2.18km로, 연기군 남면 갈운리 420m 구간을 360m로, 논산군 논산읍 취암동 ~ 반월동 1.77 km 구간을 1.2km로, 논산군 연산면 천호리 ~ 두마면 망석리 1.97 km 구간을 논산군 연산면 천호리 ~ 두마면 광석리 1.35km로 도로구역 변경[18]
1997년 11월 5일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나성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외삼동 10.25 km 구간 개통, 기존 5.54 km 구간 폐지[30]
1997년 12월 16일 : 논산시 두마면 광석리 ~ 지산동 ~ 내동 21 km 구간 개통, 기존 18.2 km 구간 폐지[31]
1998년 1월 8일 : 연기군 조치원읍 죽림리 ~ 남면 나성리 13.2 km 구간 개통, 기존 8.31 km 구간 폐지[32]
1998년 6월 20일 : 자유의 다리 ~ 판문점간 도로(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 군내면 점원리) 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33]
1998년 9월 4일 : 병점지하차도(화성군 태안읍 병점리 ~ 진안리) 720m 구간 개통[34]
1998년 9월 16일 : 목포시 연산동 ~ 삼향동 5.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5]
1998년 9월 28일 :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대양동) 1.9 km 구간 확장 개통[36]
1998년 12월 2일 : 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 강산동 9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37]
1998년 12월 31일 : 병점육교(오산시 세교동 ~ 화성군 태안읍 병점리) 1.28 km 구간 개통[38]
1999년 3월 29일 : 내기리우회도로(나주시 산포면 내기리) 3.8 km 구간 개통[39]
1999년 3월 31일 : 여산우회도로(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 여산리) 2.3 km 구간 개통[40]
1999년 7월 1일 : 금마우회도로(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9 km 구간 개통, 기존 2.4 km 구간 폐지[41]
2000년 12월 31일 :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리 ~ 전동면 미곡리 13.11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연기군 조치원읍 죽림리 ~ 전동면 청람리 13.6 km 구간 폐지[42], 연기군 전동면 미곡리 ~ 천안시 광덕면 행정리 6.9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연기군 전동면 청람리 ~ 천안시 광덕면 행정리 7.8 km 구간 폐지[43]
2001년 6월 20일 : 삼례 ~ 금마간 도로 및 금마우회도로(완주군 삼례읍 후평리 ~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9.7 km 구간 확장 개통[44]
2001년 11월 16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목포시 연산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4.908 km 구간 개통[45]
2004년 2월 :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 장단면 동장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46]
2004년 7월 5일 :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 덕진구 원동 7.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7]
2004년 9월 13일 : 나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다시 ~ 왕곡 ~ 금천간 도로(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 금천면 석전리 19.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8]
2004년 12월 10일 : 논산시 연무읍 마전리 ~ 죽평리 4.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49]
2004년 12월 24일 : 반포 ~ 봉암간 도로(공주시 반포면 봉곡리 ~ 연기군 금남면 두만리) 5.8 km 구간 신설 개통[50], 기존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 연기군 금남면 감성리 8.0 km 구간 폐지[51]
2005년 12월 30일 : 정읍시 장명동 ~ 태인면 오봉리 12.92 km 구간 확장 개통[52]
2006년 9월 6일 : 무안우회도로(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 무안읍 성동리) 8.9 km 구간 확장 개통[53]
2007년 1월 3일 :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10.0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계룡시 금암동 연화 교차로 ~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박정자삼거리 11.36 km 구간 폐지[54][55]
2007년 8월 6일 : 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금천면 석전리 19.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6]
2008년 8월 14일 : 정읍시 옹동면 용호리 ~ 김제시 금구면 용복리 10.1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2 km 구간 폐지[57]
2008년 12월 24일 : 광주 ~ 장성간 도로(장성군 남면 삼태리 ~ 장성읍 단광리) 7.32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75 km 구간 폐지[58], 장성 ~ 야은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 상오리) 구간 5.4 km 확장 개통 및 기존 5.8 km 구간 폐지[59]
2008년 12월 26일 : 구이 ~ 용정간 도로(전주시 완산구 삼천동3가 ~ 덕진구 용정동) 14.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8.3 km 구간 폐지[60]
2008년 12월 30일 : 정읍시 태인면 오봉리 ~ 옹동면 용호리 3.7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9 km 구간 폐지[61]
2010년 12월 10일 : 전주시 덕진구 용정동 ~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4.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7 km 구간 폐지[62]
2010년 12월 31일 : 성환우회도로(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수헐리 ~ 성환읍 성환리) 6.9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5.2 km 구간 폐지[63]
2011년 5월 12일 : 성환우회도로(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수헐리 ~ 성환읍 성환리) 6.9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5.2 km 구간 폐지[65]
2012년 1월 18일 : 산포면사거리 입체화 고가(나주시 산포면 매성리 ~ 등정리) 800m 구간 개통[66]
2012년 6월 21일 : 목포시 달동 ~ 죽교동 3.8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7]
2012년 6월 29일 : 고하 ~ 죽교간 도로 및 목포대교(목포시 달동 ~ 죽교동) 4.129 km 구간 개통[68]
2012년 8월 1일 : 세종시 ~ 대전유성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두만리 ~ 용포리) 3.95 km 구간 신설 개통[69]
2012년 9월 26일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등정리 ~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9.13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8.5 km 구간 폐지[70], 남평우회도로 및 금천 ~ 왕곡간 도로(나주시 왕곡면 장산리 ~ 금천면 석전리) 10.6 km 구간 개통[71]
2012년 9월 27일 : 행정중심복합도시 우회도로 2공구(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평리 ~ 연기면 연기리) 11.7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9.1 km 구간 폐지[72]
2012년 12월 28일 : 소정 ~ 배방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 소정면 소정리) 2.79 km 구간 확장 개통[73]
2013년 2월 28일 :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2가"에서 "전라남도 목포시 충무동"으로 노선 변경하고[15] 기존 목포시 대의동2가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8.53 km 구간 폐지[74]
2013년 10월 10일 : 주추지하차도(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2.211 km 구간 개통[75]
2013년 12월 31일 : 삼산 ~ 금붕간 도로(정읍시 신월동 ~ 송산동) 3.2 km 구간 확장 개통[76]
2014년 12월 30일 : 다사 ~ 왕곡간 도로(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장산리) 8.9 km 구간 확장 개통[77]
2014년 12월 31일 : 다사 ~ 왕곡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금천면 석전리) 13.6 km 구간 폐지[78]
2015년 9월 24일 : 야은 ~ 원덕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상오리 ~ 북하면 대악리) 5.2 km 구간 확장 개통[79]
2015년 12월 21일 : 야은 ~ 원덕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상오리 ~ 북하면 약수리) 1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6 km 구간 폐지[80]
2016년 2월 5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2공구(정읍시 입암면 신면리 ~ 신월동) 4.8 km 구간 임시 개통[81]
2016년 6월 15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1공구(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 신성리) 3.64 km 구간 임시 개통[82]
2016년 7월 7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1공구(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 북이면 원덕리) 10.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1.4 km 구간 폐지[83] 정읍 ~ 원덕간 도로 2공구(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정읍시 입암면 신면리) 6.0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 12.88 km 구간 폐지[84]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김경수, 한국사 테마전, 돋을새김, 2009, ISBN89-6167-029-8, 46-47쪽 조선시대의 주요 도로는 제1로에서 제9로까지의 아홉이었는데 이중 서울 - 의주 구간의 제1로를 사행로로, 서울 - 부산의 제4로와 서울 - 통영의 제5로를 좌로와 중로로 서울 - 해남 - 제주의 구간인 제7로를 우로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