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태 타이거즈

해태 타이거즈
Haitai Tigers
회사명 해태타이거즈
설립 연도 1982년
해체 연도 2001년
마스코트 호랑이
소속 리그
한국야구위원회
한국프로야구
홈 구장
수용 인원 13,400명
이전 홈구장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1982년 ~ 2001년)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1982년 ~ 1989년)
연고지 광주, 전남, 전북
영구 결번
18 선동열 7 이종범
역대 타이틀
시리즈 우승(9회)
1983·1986·1987·1988·1989·1991·1993·1996·1997
리그 우승(4회)
1983전기·1988통합·1991·1993·1996·1997
성적(타이틀 이외)
시리즈 출장(9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3·1986·1987·1988·1989·1991·1993·1996·1997
플레이오프(4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7·1989·1990·1992
준플레이오프(1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94
구단 조직
구단주 이은경(구단주 대행, 전 해태 타이거즈 감독 대행)
감독 김동엽 (1982년)
조창수 (1982년, 감독대행)
김응룡 (1983년 ~ 2000년)
김성한 (2001년)
유니폼
원정

해태 타이거즈(Haitai Tigers)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였던 프로 야구팀이었다. 한국야구위원회 소속으로,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1982년 1월 30일에 창단되었고, 그 해 4위를 차지했다. 창단 당시부터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되기 이전인 1989년까지는 전라북도의 연고권도 갖고 있어서, 전라북도 전주시에서도 홈 경기를 분산 개최했다. 모기업인 해태그룹이 문어발식 경영에 따른[1] 재정난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 2001년 기아자동차가 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함에 따라 구단주가 바뀌어 KIA 타이거즈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태 타이거즈는 19년 동안 무려 9차례나 우승을 차지하여 우승 확률이 거의 50%에 가까웠다. 이는 뉴욕 양키스(약 26%)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약 30%)에 비해 대단히 높은 것이다.

더구나 1986년부터 1989년까지는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해태는 9차례 한국시리즈에 진출해서 9번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역사

창단과 1982년 시즌

해태 타이거즈는 1982년 1월 30일 해태제과 본사에서 1972년 황금사자기 우승 멤버인 김봉연, 김준환, 김우근을 비롯해 김용남, 김성한, 김종윤, 박전섭, 차정득 등 8명이 군산상고 출신. 광주일고를 나온 강만식, 차영화, 이상윤, 방수원, 광주상고 김종모, 최영조 그리고 1978년 이미 야구부를 해체한 전남고 출신의 신태중을 포함한 총 15명이라는 6개 구단 중에서도 가장 적은 초미니 선수단으로 OB 베어스MBC 청룡에 이어 3번째로 창단되었다. 선수들의 대부분은 군산상업고등학교 출신이었다. 개막 후 조창수와 유남호 두 코치가 감독의 폭력적인 행동 등 을 문제삼으며 팀을 이탈하는 사건이 터졌고 시시비비를 가리기도 전에 자존심이 상한 김동엽 감독은 5승 8패라는 성적만 남기고 곧장 스스로 옷을 벗고 팀을 떠나버려 조창수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전기 및 후기 리그 우승을 모두 놓치고 38승 42패, 4위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김성한은 투타를 겸업하며 전무후무한 10승(3선발승) - 타점왕(69타점)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김봉연은 22홈런을 기록하여 원년 홈런왕에 올랐다.

1983년 ~ 1985년 : 김응룡 감독의 첫 세 시즌

1983년 미국 조지아 서던 칼리지에서 야구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김응용 감독이 4800만원의 계약금과 연봉을 합친 금액에 부대조건으로 승용차 한대를 받고 해태 2대 감독으로 취임하여 대대적인 팀 개편에 들어갔다. 먼저 조창수와 유남호로 이뤄진 기존의 코치진에 군산상고 감독 출신 백기성과 동국대 감독으로 있던 김인식을 추가 영입해 코치스태프를 강화했다. 그 외에도 부족했던 선수를 보강하기 위해 삼성에서 벤치로 밀려나있던 서정환을 현금 트레이드로 영입했고 재일교포 선수인 김무종과 주동식을 영입해 팀의 약점인 배터리를 든든하게 했다. 한편 김응용감독은 스파르타식 훈련을 앞세운 전임 감독과는 정반대로 팀훈련 외 시간 은 철저하게 선수들의 자율에 맡겼다. 단체훈련도 하루 3시간을 넘기는 일이 드물었다. 1983년 6월 25일 당시 신문기사를 보면 김응롱 감독은 프로 선수에겐 결점 보완의 처방만이 필요한 게 아닙니다 훈련은 각자가 하는거지요.라고 밝혔다.

그 결과 해태는 시즌 전 중위권 전력이라던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고 1983년 6월 24일 구덕야구장에서 열린 롯데와의 경기에서 전기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6월 초까지 장명부를 앞세운 삼미와 1위자리를 놓고 엎치락 뒤치락을 거듭했고 2.5게임차로 뒤진 가운데 6월7일부터 열린 광주 3연전 맞대결을 싹쓸이 하며 단독 1위로 올라섰다. 그리고 마침내 6월 24일 삼미가 OB에게 패하면서 해태는 남은 경기와 관계없이 한국시리즈 직행을 확정 짓게 되었다. 여기에는 원년과 달리 막강해진 마운드의 힘이 절대적이었다. 이싱윤이 20승(13선발승)을 거두는 활약으로 에이스로 거듭났고 기존의 김용남(13승)(7선발승)과 강만식(6승)도 호투하며 힘을 보탰다. 김일권으로 시작해 김성한, 김봉연, 김종모, 김준환 등으로 줄줄이 이어지는 타선의 힘은 한충 강해져 전기리그1위를 기록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윘다.

그러나 후기 리그 우승을 MBC 청룡에 넘겨 주고, 55승 44패 1무, 최종 순위 2위로 정규 시즌을 마감한다.

MBC 청룡과 맞붙었던 1983년 한국시리즈에서 1승 2세이브를 따낸 마운드의 에이스 이상윤김용남, 그리고 최초의 언더핸드 주동식과 타선에서는 5경기 8타점을 기록한 한국시리즈 MVP를 받은 김봉연, 김성한, 김종모 등 'KKK포'의 활약 속에 해태는 4승 1무로 첫 한국시리즈 우승 트로피를 안게 된다. 그러나 1984년은 연봉처우에 대한 선수단의 불만이 극에 달하면서 악재로 작용하여 전기 리그 4위, 후기 리그 3위로 43승 54패 3무, 최종 순위 5위로 정규 시즌을 마감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5월 5일 광주무등구장에서 벌어진 삼미와의 경기에서 투수 방수원한국 프로 야구 최초의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1985년에도 에이스 이상윤의 부상공백으로 투수력에 애를 먹으면서 전기 리그 3위, 후기 리그 3위로 59승 52패 1무, 최종 순위 3위로 정규 시즌을 마감하였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신인 외야수 이순철투수 선동열, 그리고 홈런왕과 최다 안타, MVP를 차지한 김성한의 활약으로 1986년 ~ 1989년 한국시리즈 4연패의 기틀을 쌓게 된다.

1986년 ~ 1997년 : 해태 왕조 - 선동열과 이종범

1986년 해태 타이거즈는 평균 자책점 2.86을 기록한 철벽 마운드와 김봉연, 김종모, 김성한, 한대화, 이순철 등의 맹활약으로 전·후기 리그 2위를 기록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한국시리즈에서 투수 김정수의 맹활약으로 4승 1패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다.

이후 해태 타이거즈는 1989년까지 삼성 라이온즈를 1번, 빙그레 이글스를 2번 누르고 4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각각 김정수, 김준환, 문희수, 박철우한국시리즈 MVP를 차지하였다.

1989년 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제8구단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되면서 그동안 유지해 온 전라북도 지역 연고권을 신생 구단인 쌍방울 레이더스에 양도하게 된다. 또한 해태 타이거즈의 연고지 및 신인 1차 지명 연고 지역도 호남 전 지역에서 광주직할시전라남도로 축소되었다. 해태 타이거즈는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전주야구장에서 홈 경기를 분산 개최해 왔는데, 전주에서 거둔 통산 성적은 40승 1무 24패, 승률 0.623로 높았다. 특히 1987년에는 전국체전광주 개최로 인해 플레이오프를 전주야구장으로 옮겨서 치렀는데, 해태 타이거즈는 OB 베어스전주에서 물리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적이 있다.

1990년 해태는 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한국시리즈 5연패에 실패하나, 1991년 빙그레 이글스를 누르고 6번째 우승에 성공하게 된다. 이 해 골든 글러브 수상자 10명 중 무려 6명(선동열, 장채근, 김성한, 한대화, 이호성, 이순철)의 골든 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하였으며, 팀 최다 수상 신기록을 경신하였다.

1992년 선동열의 부상으로 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패배하였으나, 1993년 괴물 신인 유격수 이종범의 등장과 다승왕 조계현을 비롯해 선동열, 이대진, 송유석, 이강철 등의 맹활약으로 81승 42패 3무의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서 진출하여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우승하였다.

1994년 이종범이 0.393(역대 2위)의 타율을 기록하였으나, 준 플레이오프에서 한화 이글스에게 패배하여 4위에 머물게 된다. 1995년에는 이종범이대진의 방위 복무로 인한 전력 공백으로 4위로 시즌을 마치고, KBO 규정에 따라 준 플레이오프에도 진출하지 못하여 시즌을 마친다.

1996년 선동열주니치 이적의 공백을 투수 임창용강태원이 메우며, 현대 유니콘스와의 한국시리즈에서 4승 2패로 여덟 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1997년에도 이종범, 이대진 등의 맹활약으로 아홉 번째 우승을 거머쥐어, 15년간 우승 9번이라는 전무한 기록을 세우는데, 투수 김상진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최연소 완투승을 거두었다.

1998년 ~ 2001년 : 왕조의 쇠락

이종범주니치로 이적한 후 맞은 첫 시즌인 1998년에 해태는 시즌 5위를 기록했다. 1996년 2차 1순위로 지명한 좌타자 장성호(.312)를 발견한 데에 위안을 삼았다. 대한민국이 IMF 관리 체제 하에 들어가 모기업 해태제과의 자금난이 심해지면서, 이는 2001년까지 해태 타이거즈의 악재가 되었다. 이 여파로 쌍방울 레이더스처럼 몇몇 선수들이 현금 트레이드로 이적했다. 1999년 투수 임창용을 상대로 트레이드로 영입한 좌타자 양준혁홍현우, 트레이시 샌더스의 맹활약으로 팀 최다 홈런 기록(210개)을 경신하였으나, 마운드의 부진으로 통합 7위에 머물게 된다. 2000년에도 역시 모기업의 자금난으로 6위에 머물렀고, 해태의 통산 우승 9회를 이룬 김응용 감독마저 2000 시즌을 마치고 라이벌 팀 삼성 라이온즈로 떠나면서 김성한 수석코치가 후임 감독으로 승격했다. 2001년 시즌 중반인 7월에 기아자동차가 해태 타이거즈 야구단을 인수했고, 동년 8월 1일부터 KIA 타이거즈로 팀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기록

연도 순위 경기 승률 득점 실점 PW% ERA WHIP OAVG OOBP AVG OBP SLG OPS 안타 홈런 BB 삼진 도루 병살
종합 정규
1982 4 4 80 38 0 42 0.475 374 388 0.491 3.79 1.40 0.262 0.341 0.261 0.328 0.408 0.736 696 84 235 296 155 59
1983 1 2 100 55 1 44 0.556 422 390 0.520 3.17 1.23 0.244 0.311 0.268 0.334 0.388 0.722 881 78 292 372 130 76
1984 5 5 100 43 3 54 0.443 369 398 0.481 3.16 1.24 0.249 0.312 0.248 0.317 0.365 0.682 822 76 313 496 87 87
1985 3 3 110 57 1 52 0.523 483 465 0.509 3.64 1.29 0.265 0.325 0.272 0.337 0.402 0.739 1009 99 348 386 130 85
1986 1 2 108 67 4 37 0.644 474 372 0.560 2.86 1.21 0.238 0.308 0.259 0.325 0.390 0.715 929 99 321 406 120 82
1987 1 2 108 55 5 48 0.534 393 401 0.495 3.16 1.26 0.244 0.319 0.252 0.321 0.360 0.681 910 71 335 379 90 96
1988 1 1 108 68 2 38 0.642 505 364 0.581 2.86 1.18 0.239 0.303 0.283 0.350 0.421 0.771 1019 112 345 382 136 97
1989 1 2 120 65 4 51 0.560 500 442 0.531 3.34 1.23 0.236 0.310 0.255 0.339 0.364 0.703 1011 90 470 508 111 111
1990 3 2 120 68 3 49 0.581 538 458 0.540 3.36 1.23 0.233 0.312 0.270 0.352 0.392 0.744 1066 87 466 544 101 100
1991 1 1 126 79 5 42 0.653 618 409 0.602 2.89 1.10 0.226 0.290 0.259 0.350 0.418 0.768 1069 144 516 588 152 102
1992 3 2 126 71 1 54 0.568 701 571 0.551 4.21 1.36 0.263 0.336 0.272 0.365 0.425 0.789 1139 138 559 656 134 114
1993 1 1 126 81 3 42 0.659 513 420 0.550 2.92 1.16 0.229 0.304 0.251 0.330 0.368 0.698 1030 95 452 606 161 107
1994 4 4 126 65 2 59 0.524 563 509 0.525 3.60 1.26 0.243 0.321 0.271 0.328 0.388 0.716 1153 93 333 583 164 76
1995 4 4 126 64 4 58 0.525 431 434 0.498 3.06 1.16 0.232 0.304 0.242 0.309 0.345 0.654 989 75 341 675 130 94
1996 1 1 126 73 2 51 0.589 554 441 0.557 3.14 1.16 0.231 0.304 0.245 0.329 0.366 0.695 1022 92 463 744 170 86
1997 1 1 126 75 1 50 0.600 616 510 0.547 3.65 1.22 0.239 0.317 0.258 0.340 0.408 0.748 1081 133 466 722 148 102
1998 5 5 126 61 1 64 0.488 489 531 0.479 3.91 1.27 0.257 0.324 0.258 0.325 0.376 0.701 1067 94 367 669 58 125
1999 7 7 132 60 3 69 0.465 765 743 0.507 5.21 1.48 0.280 0.357 0.278 0.362 0.466 0.828 1264 210 555 871 98 104
2000 6 6 133 57 4 72 0.442 588 728 0.447 4.95 1.48 0.276 0.354 0.252 0.333 0.363 0.696 1137 86 527 866 112 107

통산 기록

연도 팀명 순위 승률 포스트 시즌 수상 선수 감독
1982 해태 전기 4위
후기 4위
38 0 42 0.475 김동엽
조창수(감독대행)
1983 전기 1위
후기 4위
55 1 44 0.556 * 한국시리즈 : MBC 전 4-1 승 김응용
1984 전기 5위
후기 3위
43 3 54 0.443
1985 전기 3위
후기 3위
57 1 52 0.523 김성한 (최)
이순철 (신)
1986 전기 2위
후기 2위
67 4 37 0.644 * 한국시리즈 : 삼성 전 4-1 승 선동열 (최)
1987 전기 3위
후기 2위
55 5 48 0.532 * 한국시리즈 : 삼성 전 4-0 승
1988 전기 1위
후기 1위
68 2 38 0.639 * 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2 승 김성한 (최)
1989 1위 65 4 51 0.558 * 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1 승 선동열 (최)
1990 3위 68 3 49 0.579 * 플레이오프 : 삼성 전 0-3 패 선동열 (최)
1991 1위 79 5 42 0.647 * 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0 승
1992 3위 71 1 54 0.567 * 플레이오프 : 롯데 전 2-3 패
1993 1위 81 3 42 0.655 * 한국시리즈 : 삼성 전 4-2 승
1994 4위 65 2 59 0.524 * 플레이오프 : 한화 전 0-2 패 이종범 (최)
1995 4위 64 4 58 0.524
1996 1위 73 2 51 0.587 * 한국시리즈 : 현대 전 4-2 승
1997 1위 75 1 50 0.599 * 한국시리즈 : LG 전 4-1 승
1998 5위 61 1 64 0.488
1999 드림 4위 60 3 69 0.465
2000 드림 4위 57 4 72 0.442
해태 타이거즈 19시즌 1202 51 976 한국시리즈 우승 9회

연도별 포스트시즌 성적

연도 최종 결과 라운드 상대 결과
승/패
1983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MBC 청룡 4 1 0
1986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4 0 1
1987 한국시리즈 우승 플레이오프 OB 베어스 3 0 2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4 0 0
1988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빙그레 이글스 4 0 2
1989 한국시리즈 우승 플레이오프 태평양 돌핀스 3 0 0
한국시리즈 빙그레 이글스 4 0 1
1990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삼성 라이온즈 0 0 3
1991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빙그레 이글스 4 0 0
1992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롯데 자이언츠 2 0 3
1993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4 1 2
1994 준플레이오프 진출 준플레이오프 한화 이글스 0 0 2
1996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현대 유니콘스 4 0 2
1997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시리즈 LG 트윈스 4 0 1

역대 감독

대수 이름 취임 퇴임
1대 김동엽 1982년 1982년
감독 대행 조창수 1982년 1982년
2대 김응룡 1983년 2000년[2]
3대 김성한 2001년 2001년

해태 타이거즈 주요 선수

역대 외국인 선수

2000년
1999년
1998년

역대 골든글러브 수상자

역대 개인 기록 수상자(투수 부문)

다승

최다 선발승

평균자책점(자책점)

최다 탈삼진

최다 세이브 포인트(세이브+구원승)

  • 1993년 선동열 10구원승 31세이브 41SP
  • 1995년 선동열 5구원승 33세이브 38SP
  • 1998년 임창용 8구원승 34세이브 42SP

최다 세이브(구원승 제외)

역대 개인 기록 수상자(타자 부문)

수위 타자(타율1위)

  • 1990년 한대화 418타수 140안타 타율 0.349
  • 1994년 이종범 499타수 196안타 타율 0.393

최다 안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최다 득점

최다 도루

최고 장타율

최고 출루율

역대 신인왕

역대 올스타전 MVP

역대 페넌트레이스 MVP

역대 한국시리즈 MVP

프로야구 진기록

  • 방수원의 프로 야구 최초 노히트 노런(1984년 5월5일, 삼미전)
  • 선동열의 최초 및 최다 0점대 평균 자책점(1986년, 1987년, 1993년)
  • 김성한의 프로야구 최초 10(10승)-10(13홈런) 클럽 가입, 프로야구 최초 30홈런 달성(1988), 프로 야구 최초 20(26홈런)-20(32도루) 클럽 가입(1989년)
  • 이종범의 단일 경기 최다 도루(6, 1993), 단일 시즌 최다 안타(196, 1994), 국내 출신 선수 최고 타율(0.393, 1994), 단일 시즌 최다 도루(84, 1994), 30(30홈런)-30(64도루) 클럽 가입(1997년)
  • 이대진의 10타자 연속 삼진(1998년 5월12일 현대전)
  • 홍현우의 2루수 최초 30(34홈런)-30(31도루) 클럽 가입(1999년)
  • 통산 9회 우승과 4년 연속 우승(1986년 ~ 1989년)

홈구장 경기 금지

광주 연고 구단인 해태 타이거즈는 프로야구 출범 이후 1982년부터 1999년까지 18년 동안 5월 18일에 광주에서 한 번도 경기를 치르지 못했다.[3] 5·18민주화운동 이후 신군부가 5월 18일에는 광주에서 프로야구 경기를 하지 못하도록 개입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1986·91년·93년·95년·97년·98년 5월 18일에 호남 지역에서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그 며칠 전에 신군부의 권유에 따라 다른 구장으로 경기 장소가 변경되었다.

광주에서 5월 18일에 프로야구 경기가 열린 것은 2000년부터이다.

영구 결번

18
선동열
7
이종범

각주

  1. 장순원 (2017년 10월 1일). “[M&A 그 이후]그 많던 와인 애호가는 어디 갔을까?”. 이데일리.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2. 역대 최장 감독
  3. [단독]신군부 “5월18일에는 광주서 프로야구 하지 마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