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은 1902년 기공되었으며, 1896년프랑스 피브릴(Fives Lile)사가 처음으로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조달이 어려워 부설권을 상실하였다. 1899년 대한철도회사가 다시 특허를 얻었다가 또 다시 실패하자 1900년 정부 기관인 내장원(內藏院)에 서부철도국을 두고 서울 ~ 개성 구간 선로 측량을 시작하였다. 그 뒤 1904년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은 서울 ~ 신의주 구간 군용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였다. 일본제국은 이를 대륙 침략 노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사를 서둘렀다. 1904년 3월 용산 ~ 개성 구간의 노반공사에 착수, 1905년 평양 - 신의주 구간이 완공되어 용산 ~ 신의주 구간에 직통운전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 청천강·대동강 철교가 준공되면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08년 신의주 - 부산 사이(경부철도)에 한국 최초의 급행열차인 융희호(隆熙號)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11년 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 중국의 만주를 거쳐 유럽까지 이어지는 국제 철도 노선의 일부가 되기도 하였다. 1920년대에 서울역을 기점으로 하여, 신촌을 지나 가좌동에서 합류하는 신선이 개통되었다. 1943년에는 평양 - 신의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광복 후 남북 분단이 되었지만 열차는 계속 운행해 오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문산 - 개성 구간 운행이 중단되면서 남북간 철도는 끊기게 된다.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문산/일산/수색/능곡 - 용산 - 청량리/지평/덕소/팔당/용문/지평)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6 DMC
K315 가좌
경의중앙선 본선 경의선 급행 (문산 - (급행) - 용산 - 전역정차 - 덕소/팔당/용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경의중앙선 본선 중앙선 급행 (문산/일산/수색 - 전역정차 - 용산 - (급행) - 용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
경의중앙선 지선 경의선 완행 (문산/대곡(휴일에만)-서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
향동(미개통)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
경의중앙선 지선 경의선 급행 (문산-서울)
경의선을 개량해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도록 하는 사업은 1989년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대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1] 하지만 그해 12월 2기 지하철, 일산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의선 전철화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고 일산 지역 교통 대책으로 일산선만 건설되었다.[2]
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99년 착공되어 200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고, 2005년 지상화로 합의해 사업이 재개되었다. 2009년7월 1일디지털미디어시티 ~ 문산 구간(경의선)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특히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능곡역 ~ 문산역까지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또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강매역이 폐역되었으나, 2014년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경의선 복선 전철 개통 당시 일부 전철역들이 완공이 덜 된 상태에서 너무 급하게 전철을 개통시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31]
경의선을 복선 전철화할 때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참여 시공사들이 부실 공사를 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지만, 공단은 이를 무시하였다.[32]
대곡역의 환승 통로가 지나치게 승객들을 우회시켜 환승객들의 불편을 가져오고 있으며, 환승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33]
경의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한국철도공사가 행신역과의 거리를 이유로 강매역을 폐역한 것에 대하여 행신2지구 주민들이 반발한 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강매역을 신축하여 영업을 재개하기로 합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일부 서울역행 전동열차 편성으로 인해 용산선가좌역(지하) 이남의 역들은 일부 시간대에 30분 배차간격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대곡역까지 운행하는 공덕역 출발 급행 열차가 신설되었으며, 평일에만 운행하는 공덕발 대곡행 완행열차도 1편성 있었으나 직결운행 직후 대곡역 착발 열차는 서울역 착발의 완행열차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
경의선의 교통량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의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중장기적으로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능곡역 구간은 이미 복복선화되어있고, 문산역까지는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장차 경의고속철도 건설추진시 수색 ~ 서울역 구간 선로용량 부족대비 차원으로 수색 ~ 금천구청간 고속선 지하화를 추진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었다.[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