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이씨
경주 이씨 慶州 李氏 경주 이씨의 종문
이칭 월성 이씨(月城 李氏) 나라 한국 관향 경상북도 경주시 시조 이알평 (李謁平)중시조 이거명 (李居明)집성촌 경상북도 경주 ·예천 ·상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임실군 전라남도 고흥군 ·해남군 대구광역시 동구 울산광역시 북구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보령시 경상남도 밀양시 주요 인물 이금현, 이금서 , 이제정, 이주좌 , 이녹천, 이총섬, 이진 , 이규, 이세기, 이제현 , 이천 , 혜비 이씨 , 이달충 , 이성림 , 이수림, 이보림, 이성중 , 이존오 , 이래, 이항복 , 이완 , 이유태 , 이경억 , 이태좌 , 이광좌 , 이종성 , 이경일 , 이유원 , 이석영 , 이하영 , 이회영 , 이시영 , 이상설 , 이병철 , 이종대 , 이상배 , 이명박 , 이건희 , 이명희 , 이재명 , 이재용 , 이부진 인구(2015년) 1,391,867명 (5위) 비고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경주 이씨 (慶州 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 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이다.
기원
알평 관련 설화에 대해서는
알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조는 신라 의 건국 신화에 나오는 사로 (斯盧)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으로 전해지는 표암공(瓢巖公) 알평 (謁平)이다. 《경주이씨 대종보(大宗譜)》[ 1] 상계편에 의하면 알평은 6촌 촌장의 수장으로 화백회의를 주재하고 박혁거세 를 옹립하여 신라 건국의 원훈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고, 아찬(阿粲)에 올랐다고 한다. 32년(유리이사금 9년) 알천양산촌은 급량부(及梁部)로 개칭되었고, 이씨(李氏) 성을 사성(賜姓)받았다고 한다.
역사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 (李居明)이다. 이색이 찬한 이제현 (李齊賢) 묘지명(墓地銘)에 신라 말 소판(蘇判) 벼슬을 지낸 이거명 이후의 세계가 기록되어 있어, 이거명을 1세로 기세(起世)하고 있다.
분파
경주의 옛 이름이 월성(月城)이므로 월성 이씨(月城 李氏)라고도 한다. 경주 이씨의 세계(世系)는 고려 말 중시조의 15~21세(14~20세손)에서 14대파로 분파하였다.
중조 15세 열헌(悅軒) 이핵(李翮)의 본손 계대가 중조 16세, 17세에서 평리성암공파, 이암공파, 익재공파, 호군공파, 국당공파, 부정공파, 상서공파, 사인공파 8대파로 나뉘고, 중시조 지손 계대가 15세, 21세, 19세에서 판전공파, 월성군파, 직장공파, 석탄공파, 진사공파, 교감공파 6대파 총 14개 대파로 분파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14개 대파는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 파조 16세 李仁挺 이인정)[ 2] · 이암공파(怡庵公派- 파조 17세 李琯 이관)· 익재공파(益齋公派- 파조 17세 李齊賢 이제현)· 호군공파(護軍公派- 파조 17세 李之正 이지정)· 국당공파(菊堂公派- 파조 17세 李蒨 이천)· 부정공파(副正公派- 파조 17세 李邁 이매)· 상서공파(尙書公派- 파조 17세 李薖 이과)· 사인공파(舍人公派- 파조 17세 李蓨 이조)· 판전공파(判典公派- 파조 15세 李康+羽 이강)· 월성군파(月城君派- 파조 21세 李之秀 이지수)· 직장공파(直長公派- 파조 19세 李養吾 이양오)· 석탄공파(石灘公派- 파조 19세 李存吾 이존오)· 진사공파(進士公派- 파조 19세 李存中 이존중)· 교감공파(校勘公派- 파조 19세 李存斯 이존사)이다. 경주 이씨 14개 대파 중에서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 이들 3파가 가장 번창하고 주축이다.
경주 이씨 월성군파에 대해서 2개의 분파도가 있다. 첫째 경주 이씨 분파도는 신우를 중시조의 12세로 둘째 경주 이씨 분파도는 신우를 중시조의 7세로 되어있다.
분관
경주 이씨의 시조 이알평 (李謁平)에 연원을 두고 있는 분관이 많지만 상당수는 계대 확인이 안 되어 분적종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경주 이씨의 확인된 분관은 8본이다. 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합천 이씨 (陜川李氏 - 분적조 강양군 李開 이개) · 차성 이씨 (車城李氏 - 분적조 차성군 李渭 이위)· 우계 이씨 (羽溪李氏 - 분적조 중서사인 좌복야공 李陽植 이양식)와 중시조 이거명 (李居明)의 후손 계대에서 원주 이씨 (原州李氏- 분적조 23세 경원군 李攀桂 이반계) · 아산 이씨 (牙山李氏 - 분적조 6세 증사공공 李周佐 이주좌) · 재령 이씨 (載寧李氏 - 분적조 7세 재령군 李禹偁 이우칭) · 진주 이씨 (晋州李氏 - 분적조 18세 대제학공 李永榟 이영재. 벽호공 李君榟 이군재)· 장수 이씨 (長水李氏 - 분적조 장천부원군 李林幹 이임간) 등이 이에 속하며 그 외 많은 이씨가 경주이씨 시조의 후손이라고 칭하고 있다.[ 3]
고대(신라)
이알평 (李謁平) - 시조. 알천양산촌 촌장. 신라 시조 의 좌명대신(佐命大臣). 급량부 대인. 충헌공(忠憲公)[ 4] . 은열왕(恩烈王)[ 5] .
이거명(李居明) - 중시조. 소판 (蘇判).
이금현(李金現) - 병부령(兵部令). 중시조 2세.
중세(고려)
이금서 (李金書) - 삼한공신(三韓功臣), 중원태수. 호부낭중. 신라 경순왕 의 사위. 고려 태조 의 외손서(外孫壻). 중시조 3세.
이승겸(李承謙) - 시중 ? 판예부사?[ 6] 중시조 5세.
이주좌(李周佐, ? ~ 1040) - 형부상서 판어사대사. 중시조 6세. 아산 이씨 의 시조.[ 7]
이총섬(李寵暹) - 문하시중 ?[ 8] 중시조 9세.
이녹천(李錄千)[ 9] - 공부상서 상장군. 중시조 11세.
이핵(李翮) - 문하평리[ 10] 증 상서좌복야, 열헌공. 중시조 15세.
이진(李瑱) - 검교첨의정승 , 정당문학[ 11] , 상의회의도감사, 임해군. 중시조 16세.
이세기(李世基) - 검교정승 , 보문각 대제학, 밀직부사. 중시조 16세.
이규(李揆, ? ~ 1346?[ 12] ) - 첨의참리[ 13] , 밀직부사, 수종공신 2등, 정렬공. 충혜왕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18세[ 14] . 월성군파.
이제현 (李齊賢, 1287 ~ 1367) - 섭정승 권단정동성 사·도첨의정승 ·우정승 ·문하시중 , 단성익찬공신, 추성양절공신, 수종공신,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 계림후, 계림부원군, 문충공. 공민왕 묘정 배향공신. 시인·역사학자·성리학자·화가. 중시조 17세. 익재공파 파조.
이천(李蒨, ? ~ 1349) - 첨의참리[ 15] , 정당문학[ 16] , 추성보리공신, 월성군, 문효공. 중시조 17세. 국당공파 파조.
이과(李薖) - 상서?[ 17] 중시조 17세. 상서공파 파조.
혜비 이씨 (惠妃 李氏, ? ~ 1408) - 공민왕 제2비. 이제현의 5녀. 중시조 18세. 익재공파.
이경중(李敬中) - 중서문하판병부사[ 18] , 월성부원군.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이달충(李達衷, 1309 ~ 1385) - 정당문학?[ 19] 밀직제학, 호부상서, 계림군, 문정공.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이성림(李成林, ? ~ 1388) - 좌시중 ·우시중 ·수문하시중 , 신축호종공신 1등. 중시조 19세. 이암공파.
이수림(李壽林, 1332 ~ 1369) - 추밀원사[ 20] , 이부·군부판서. 중시조 19세. 익재공파.
이보림(李寶林, ? ~ 1385) - 정당문학[ 21] , 계림군, 문숙공. 중시조 19세. 익재공파.
이존오(李存吾, 1341 ~ 1371) - 우정언(右正言). 증 성균대사성. 중시조 19세. 석탄공파 파조.
근세(조선)
이성중(李誠中, 1332 ~ 1411) - 고려 밀직제학. 조선 검교좌정승 , 정순공.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이휴(李携, 1372 ~ 1448) - 검교판한성부사. 중시조 19세. 국당공파.
이래(李來, 1362 ~ 1462) - 판경승부사, 지의정부사, 예문관 대제학 , 좌명공신 2등, 계성군. 태종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20세. 석탄공파.
이승상(李升商, ? ~ 1413) - 형조판서, 좌명공신 4등, 공정공/공의공. 중시조 20세. 국당공파.
이윤인(李尹仁, 1415 ~ 1471) - 평안도관찰사. 중시조 22세. 익재공파.
이유인(李有仁) - 예조참판, 사헌부 대사헌, 강원도관찰사. 중시조 22세. 익재공파.
이양생(李陽生, 1423 ~ 1488) - 포도대장, 적개공신 3등, 계성군, 양평공. 월성군파.
이공린(李公麟, 1437 ~ 1509) - 창평현감, 사육신 박팽년 (朴彭年)의 사위. 중시조 23세. 익재공파.
이원(李黿) - 호조좌랑, 성균관 박사 겸 봉상시. 무오사화 때 유배. 갑자사화 때 참형. 사림 (士林)의 추앙을 받음. 중시조 24세. 익재공파.
이사균(李思鈞, 1471 ~ 1536) - 찬성, 지중추부사 겸 지의금부사, 이조·호조·병조판서, 강원도·함경도·전라도·충청도·경상도관찰사, 문강공. 중시조 24세. 익재공파.
이탕(李宕) - 증 영의정, 오산부원군. 중시조 25세. 국당공파.
이정암(李廷馣, 1541 ~ 1600) - 황해도초토사, 황해도관찰사 겸 순찰사, 증 좌의정, 선무공신 2등, 월천부원군, 충목공. 중시조 26세. 국당공파.
이정형(李廷馨, 1549 ~ 1607) - 이조·호조참판, 동지중추부사, 경기도관찰사, 사헌부 대사헌, 사간원 대사간, 홍문관 부제학. 중시조 26세. 국당공파.
이항복 (李恒福, 1556 ~ 1618) - 영의정 , 대제학 , 평난공신 3등, 호성공신 1등, 위성공신 1등(삭제), 익사공신 2등(삭제), 형난공신 2등(삭제), 오성부원군, 문충공. 중시조 2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파조.
이시발(李時發, 1569 ~ 1626) - 형조판서, 삼남도검찰사, 증 영의정, 충익공. 중시조 28세. 익재공파.
이정(李靖) - 훈국 천총, 동부승지, 김해부사, 진무공신 3등. 중시조 29세. 국당공파.
이완 (李浣, 1602 ~ 1674) - 우의정 [ 22] , 공조·형조판서, 한성부판윤(11회), 훈련대장(16년), 정익공. 중시조 25세. 국당공파.
이경휘(李慶徽, 1617 ~ 1669) - 이조판서, 익헌공. 중시조 29세. 익재공파.
이경억 (李慶億, 1620 ~ 1673) - 좌의정 . 문익공. 중시조 29세. 익재공파.
이인환(李寅換, 1633 ~ 1699) -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이인병(李寅炳) - 황해도관찰사, 사간원 대사간.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이인엽(李寅燁, 1656 ~ 1710) -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판서, 사헌부 대사헌, 판의금부사, 대제학 , 수어사.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이태좌 (李台佐, 1660 ~ 1739) - 좌의정 , 판중추부사, 봉조하, 충정공. 중시조 29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성룡(李聖龍, 1672 ~ 1748) - 공조판서, 지돈녕부사, 도승지, 사간원 대사간, 충청도·전광도·황해도관찰사, 도승지, 혜정공. 국당공파. 중시조 31세.
이광좌 (李光佐, 1674 ~ 1740) - 영의정 , 대제학 , 문충공. 소론의 영수. 중시조 29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종성 (李宗城, 1692 ∼ 1759) - 영의정 , 문충공, 장조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30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경일 (李敬一, 1734 ~ 1820) - 좌의정 , 오은군, 봉조하, 효정공. 중시조 31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집두(李集斗, 1744 ~ 1820) - 예조·형조판서, 한성부판윤, 판돈녕부사. 중시조 34세. 익재공파.
이벽(李蘗, 1754 ~ 1785) - 한국천주교회 창립성조 5인[ 23] 중 한 명. 중시조 33세. 국당공파.
이현직(李顯稷, 1795 ~ ?) - 판의금부사, 형조·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총융사, 어영대장, 삼도수군통제사, 함경북도·전라도병마절도사,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중시조 34세. 국당공파.
이규팽(李圭祊) -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황해도·평안도관찰사. 중시조 36세. 익재공파.
이유원 (李裕元, 1814 ~ 1888) - 영의정 , 영중추부사, 봉조하, 충문공. 중시조 34세. 상서공파-백사공파.
근·현대
이하영 (李夏榮, 1858 ~ 1929)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외부·법부대신. 조선귀족 자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친일반민족행위자.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회영 (李會榮, 1867 ~ 1932) - 독립운동가.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시영 (李始榮, 1869 ~ 1953) -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상설 (李相卨, 1871 ~ 1917) - 독립유공자(건국훈장 대통령장). 성균관 대사성. 법부·학부협판. 의정부 참찬. 국제법 전문가. 헤이그 특사 정사(正使). 권업회 의사부 의장. 대한광복군정부 초대 정도령(正都領). 신한혁명당 본부장. 중시조 39세. 익재공파.
이종만 (李鍾萬, 1885 ~ 1977) - 기업인. 조선총독부 대화숙평의회의장 직무대리 겸 대표상무평의원. 친일반민족행위자. 북한 광업부 고문.
이병철 (李秉喆, 1910 ~ 1987) - 삼성그룹 창업주 겸 초대 총수. 삼성전자 창업주. 중시조 39세. 판전공파.
이규창 (李圭昌, 1913 ~ 2005) - 독립운동가. 중시조 36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민우 (李敏雨, 1915 ~ 2004) - 신한민주당 제1~3대 총재. 제9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제4·5·7·9·10·12대 국회의원. 중시조 38세.
이종대 (李鍾大, 1933 ~ 2018) - 유한킴벌리 초대 회장. 한국제지공업연합회 회장.
이창희 - 기업인. 중시조 40세. 판전공파.
이건희 (李健熙, 1942 ~ 2020) - 삼성그룹 제2대 총수. 삼성전자 회장. 대한아마추어복싱연맹 회장. 대한레슬링협회 회장.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위원. 이병철의 3남. 중시조 40세. 판전공파.
이상득 (李相得, 1935 ~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부의장 . 중시조 39세. 국당공파.
이종찬 (李鍾贊, 1936 ~ ) - 제11~14대 국회의원. 국정원장. 중시조 37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명박 (李明博, 1941 ~ )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 이상득의 동생. 중시조 39세. 국당공파.
이재정 (李在禎, 1944 ~ ) - 국회의원. 성공회대학교 총장. 통일부장관. 경기도교육감.
이만우 - 제19대 국회의원.
이상돈 - 제20대 국회의원.
이철우 (李喆雨, 1955 ~ ) - 제18-20대 국회의원.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이종걸 (李鍾杰, 1957 ~ ) - 제16~20대 국회의원. 중시조 37세. 상서공파-백사공파.
이응우 (李應雨, 1957 ~ ) - 제6대 충청남도 계룡시장. 중시조 38세.
이재명 (李在明, 1963 ~ ) - 더불어민주당 제6대 당대표 . 중시조 41세. 국당공파.
이장우 (李莊雨) - 제16대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제19-20대 국회의원. 제13대 대전광역시장.
이재용 (李在鎔, 1968 ~ ) - 삼성그룹 제3대 총수. 삼성전자 회장. 삼성그룹 제2대 총수. 이건희의 장남. 중시조 41세. 판전공파.
이부진 (李富眞, 1970 ~ ) -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 이건희의 장녀, 이재용의 동생. 중시조 41세. 판전공파.
집성촌
경상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유적지
표암재
항렬자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56세
57세
58세
59세
口영(榮)
규(圭)
종(鍾)
口우(雨)
상(相)
口희(熙) 口형(炯)
재(在)
口호(鎬) 口건(鍵)
제(濟) 준(濬)
口동(東)
병(丙) 심(心)
口교(敎) 口세(世)
진(鎭)
口구(求)
근(根)
口섭(燮)
준(埈)
口선(善)
태(泰)
口모(模)
현(炫)
口균(均)
용(鎔)
口순(淳)
병(秉)
60세
61세
62세
63세
64세
65세
66세
67세
68세
69세
70세
口경(炅) 口걸(杰)
기(基)
口옥(鈺)
낙(洛) 영(永)
口식(植)
덕(德)
口주(周) 口기(起)
용(鏞) 일(鎰)
口호(浩) 口수(洙)
준(住) 채(綵)
口훈(熏) 口엽(燁)
왕실과의 인척 관계
고려
조선
각주
↑ 1987년 간행. 1978년판은 《경주이씨 대동보》라고 한다.
↑ 경주이씨의 장파(長派)이고, 경주이씨대종보(권지1~권지44, 총편, 경주이씨중앙화수회 1987년 인쇄)에는 평리공파이며 경주이씨중앙화수회에는 평리성암공파로 개칭한 파명이다.
↑ 경주이씨대종보 총편 경주이씨분적도 203쪽 경주이씨분파도 204쪽(경주이씨중앙화수회 1987년 인쇄), 경주이씨대동보 총편1 경주이씨분적도 1쪽 경주이씨본종분파도 2쪽(경주이씨대동보편찬위원회 1978년 인쇄), 경주이씨중앙화수회 분파도와 분적도.
↑ 경주 정씨 족보에 의하면 535년(법흥왕 23) 시호를 충헌(忠憲)으로 하였다고 한다. 다만 경주 설씨 족보에서는 시호가 충헌군(忠憲君)이라고 한다. 한편 위작 논란이 있는 35대 실전세계는 시호를 문선은열왕(文宣恩烈王)으로 적고 있다.
↑ 경주 정씨 족보, 경주 설씨 족보 등에 의하면 656년(태종 무열왕 3)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하였다고 한다. 한편 위작 논란이 있는 35대 실전세계는 시호를 문선은열왕(文宣恩烈王)으로 적고 있다. 535년(법흥왕 23)에 받은 시호가 문선(文宣)이라는 뜻인 것 같다.
↑ 경주이씨 족보에는 판예부사(判禮部事)라고 적혀 있으나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다. 다만 강릉박씨 족보에는 시중(侍中)을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즉 박광렴(朴光廉)의 처 경주이씨가 시중 이승겸(李承謙)의 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박광렴은 효자로서 관직과 품계 등을 받은 것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는 고려 초기의 기록이 너무 부실하기 때문에 이승겸에 대한 기록이 누락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중시조 5세 이승훈(李承訓)의 아들로 추정된다. 이승훈의 아들들을 장남 이주복(李周復), 차남 이제정(李齊廷), 3남 이주좌(李周佐)로 보기도 하지만 확실치 않다. 이주좌의 후손 이서(李舒)가 아주백(牙州伯)에 봉해지면서 이주좌는 아산 이씨(牙山李氏) 시조로 모셔지고 있다. 그러나 이주좌와 이서 사이의 계대가 실전되었다
↑ 경주이씨 무진보에서는 문하시랑이라고만 적고 있다. 그러나 해주오씨 족보, 함열남궁씨 족보 등에 의하면, 988년(성종 7) 문하시중 이총섬이 오인유(吳仁裕), 남궁원청(南宮元淸), 이윤관(李允寬) 등과 함께 사직(社稷), 오묘(五廟), 국자감(國子監) 등의 창건을 주청함으로써, 989년(성종 8) 태묘(太廟)를 짓기 시작하여 991년(성종 10) 처음으로 사직(社稷)을 세웠으며 992년(성종 11) 태묘(太廟)가 낙성되고 국자감(國子監)이 창립되었다고 한다. 고려사에는 사직, 오묘, 국자감 창건에 대한 내용만 나오고 주청자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고려사에는 고려 초기의 기록이 너무 부실하기 때문에 누락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경주이씨 대종보에서는 문하시중이라고만 적었다.
↑ 고려사에는 錄이 아니라 祿으로 되어 있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다음 서열로 삼재(三宰)라고도 한다. 국초에 참지정사였던 것이 첨의참리(1275), 평리(1308), 참리(1330), 첨의평리(1362), 참지문하부사(1369), 문하평리(1372) 등으로 개칭되었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참지정사(평리, 참리) 다음 서열로 사재(四宰)라고도 한다.
↑ 1346년 충혜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따라서 사망시기는 1346년 이전일 것이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다음 서열로 삼재(三宰)라고도 한다. 국초에 참지정사였던 것이 첨의참리(1275), 평리(1308), 참리(1330), 첨의평리(1362), 참지문하부사(1369), 문하평리(1372) 등으로 개칭되었다.
↑ (신)원주이씨 족보와 비교할 때, 월성군파 파조 이지수는 중시조 21세가 아닌 중시조 17세로 추정된다. 이규는 이지수의 장남이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다음 서열로 삼재(三宰)라고도 한다. 국초에 참지정사였던 것이 첨의참리(1275), 평리(1308), 참리(1330), 첨의평리(1362), 참지문하부사(1369), 문하평리(1372) 등으로 개칭되었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참지정사(평리, 참리) 다음 서열로 사재(四宰)라고도 한다.
↑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다.
↑ 중서문하성의 재신(宰臣)이 겸직하는 판병부사.
↑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다.
↑ 추밀원의 재상급 관원을 추신(樞臣)이라 하며, 추밀원사는 추밀원에서 판추밀원사 다음 서열의 추신이다. 재신(宰臣)과 추신(樞臣)을 통칭하여 재추(宰樞) 또는 양부재상(兩府宰相)이라고 한다.
↑ 고려의 재상직이다. 시중(중찬, 정승), 평장사(찬성사), 참지정사(평리, 참리) 다음 서열로 사재(四宰)라고도 한다.
↑ 조선시대 단 7명뿐인 무과 출신 정승.
↑ 세례자 요한 이벽, 베드로 이승훈,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권일신, 암브로시오 권철신, 복자 아우구스티노 정약종.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