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호
수학 기호 (數學記號, 영어 : mathematical symbol )는 수학 에서 쓰는 기호 로서, 수 , 계산 ,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기호로 사칙연산 의 + (더하기표) , − (빼기표) , × (곱하기표) , ÷ (나누기표)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수학 기호의 이름은 유명한 수학자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차용하여 짓기도 한다.
아래는 수학 기호의 목록이다.
기초 연산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displaystyle +}
더하기
X
+
Y
{\displaystyle X+Y}
는 수
X
{\displaystyle X}
와 수
Y
{\displaystyle Y}
를 더한 값을 의미한다.
1
+
1
=
2
{\displaystyle 1+1=2}
− − -->
{\displaystyle -}
빼기
X
− − -->
Y
{\displaystyle X-Y}
는 수
X
{\displaystyle X}
에서 수
Y
{\displaystyle Y}
를 뺀 값을 의미한다.
9
− − -->
7
=
2
{\displaystyle 9-7=2}
음의 부호
− − -->
X
{\displaystyle -X}
는 수
X
{\displaystyle X}
의 반수 를 의미한다.
5
+
(
− − -->
5
)
=
0
{\displaystyle 5+(-5)=0}
± ± -->
{\displaystyle \pm }
플러스마이너스
X
± ± -->
Y
{\displaystyle X\pm Y}
는 수
X
,
Y
{\displaystyle X,Y}
에 대해
X
+
Y
{\displaystyle X+Y}
와
X
− − -->
Y
{\displaystyle X-Y}
를 모두 의미한다.
x
2
=
1
{\displaystyle x^{2}=1}
의 근 은
x
=
± ± -->
1
{\displaystyle x=\pm 1}
이다.
측정 에서의 범위
X
± ± -->
Y
{\displaystyle X\pm Y}
는 수
X
,
Y
{\displaystyle X,Y}
에 대해
X
− − -->
Y
{\displaystyle X-Y}
부터
X
+
Y
{\displaystyle X+Y}
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a
=
100
± ± -->
1
{\displaystyle a=100\pm 1}
mm 는
99
{\displaystyle 99}
mm
≤ ≤ -->
a
≤ ≤ -->
101
{\displaystyle \leq a\leq 101}
mm를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times }
⋅ ⋅ -->
{\displaystyle \cdot }
곱하기
X
× × -->
Y
{\displaystyle X\times Y}
또는
X
⋅ ⋅ -->
Y
{\displaystyle X\cdot Y}
는 수
X
{\displaystyle X}
와 수
Y
{\displaystyle Y}
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기호를 생략해
X
Y
{\displaystyle XY}
로 쓰기도 한다.
7
× × -->
8
=
56
{\displaystyle 7\times 8=56}
5
⋅ ⋅ -->
7
=
35
{\displaystyle 5\cdot 7=35}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div }
나누기
X
/
Y
{\displaystyle X/Y}
또는
X
÷ ÷ -->
Y
{\displaystyle X\div Y}
는 수
X
{\displaystyle X}
를 0 이 아닌 수
Y
{\displaystyle Y}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12
/
4
=
3
{\displaystyle 12/4=3}
2
÷ ÷ -->
4
=
0.5
{\displaystyle 2\div 4=0.5}
◻ ◻ -->
◻ ◻ -->
{\displaystyle {\frac {\Box }{\Box }}}
분수
X
Y
{\displaystyle {\frac {X}{Y}}}
는 수
X
{\displaystyle X}
를 0 이 아닌 수
Y
{\displaystyle Y}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3
6
=
1
2
{\displaystyle {\frac {3}{6}}={\frac {1}{2}}}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소수
r
0
.
r
1
r
2
.
.
.
{\displaystyle r_{0}.r_{1}r_{2}...}
는 소수로 나타낸 실수 를 의미한다.
0.5
=
1
2
{\displaystyle 0.5={\frac {1}{2}}}
0.3333...
=
1
3
{\displaystyle 0.3333...={\frac {1}{3}}}
◻ ◻ -->
¯ ¯ -->
{\displaystyle {\bar {\Box }}}
◻ ◻ -->
˙ ˙ -->
{\displaystyle {\dot {\Box }}}
순환소수
소수점 아래 반복되는 마디 위에 선을 긋거나 마디 양끝 위에 점을 찍어 순환소수를 표현한다.
0.333
⋯ ⋯ -->
=
0.
3
¯ ¯ -->
=
0.
3
˙ ˙ -->
{\displaystyle 0.333\cdots =0.{\overline {3}}=0.{\dot {3}}}
2.4123123123
⋯ ⋯ -->
=
2.4
123
¯ ¯ -->
=
2.4
1
˙ ˙ -->
2
3
˙ ˙ -->
{\displaystyle 2.4123123123\cdots =2.4{\overline {123}}=2.4{\dot {1}}2{\dot {3}}}
{\displaystyle {\sqrt {\ }}}
√ √ -->
{\displaystyle \surd }
제곱근
x
{\displaystyle {\sqrt {x}}}
는 양수
x
{\displaystyle x}
의 제곱근 을 의미한다.
9
=
3
{\displaystyle {\sqrt {9}}=3}
거듭제곱근
x
n
{\displaystyle {\sqrt[{n}]{x}}}
는 수
x
{\displaystyle x}
의
n
{\displaystyle n}
제곱근 을 의미한다.
16
4
=
2
{\displaystyle {\sqrt[{4}]{16}}=2}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거듭제곱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또는
x
y
{\displaystyle x^{y}}
는 수
x
{\displaystyle x}
의
y
{\displaystyle y}
거듭제곱을 의미한다.
y
=
2
{\displaystyle y=2}
인 경우
x
{\displaystyle x}
의 제곱 을 의미한다.
3
2
=
9
{\displaystyle 3^{2}=9}
2
{\displaystyle 2}
^
3
=
8
{\displaystyle 3=8}
|
◻ ◻ -->
|
{\displaystyle |\Box |}
절댓값
|
x
|
{\displaystyle |x|}
는 수
x
{\displaystyle x}
의 절댓값을 의미한다.
|
− − -->
3
|
=
3
{\displaystyle |-3|=3}
∑ ∑ -->
{\displaystyle \sum }
유한합
∑ ∑ -->
k
=
1
n
a
k
{\displaystyle \sum _{k=1}^{n}{a_{k}}}
는 수
a
1
,
a
2
,
⋯ ⋯ -->
,
a
n
{\displaystyle a_{1},a_{2},\cdots ,a_{n}}
의 유한합을 의미한다.
∑ ∑ -->
k
=
1
4
k
2
=
1
2
+
2
2
+
3
2
+
4
2
=
30
{\displaystyle \sum _{k=1}^{4}{k^{2}}=1^{2}+2^{2}+3^{2}+4^{2}=30}
집합론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displaystyle \emptyset }
∅ ∅ -->
{\displaystyle \varnothing }
{
}
{\displaystyle \{\}}
공집합
원소가 없는 공집합 을 의미한다.
{
1
}
∩ ∩ -->
{
2
,
3
}
=
∅ ∅ -->
{\displaystyle \{1\}\cap \{2,3\}=\varnothing }
{
◻ ◻ -->
}
{\displaystyle \{\Box \}}
한원소 집합
{
x
}
{\displaystyle \{x\}}
는
x
{\displaystyle x}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의미한다.
{
1
}
{\displaystyle \{1\}}
{
◻ ◻ -->
,
⋯ ⋯ -->
,
◻ ◻ -->
}
{\displaystyle \{\Box ,\cdots ,\Box \}}
원소나열법으로 표현한 집합
중괄호 안에 원소 를 나열하고 쉼표 로 구분하여 집합 을 표현한다.
{
1
,
2
,
3
}
{\displaystyle \{1,2,3\}}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조건제시법 으로 표현한 집합
{
x
:
P
(
x
)
}
{\displaystyle \{x:P(x)\}}
또는
{
x
|
P
(
x
)
}
{\displaystyle \{x|P(x)\}}
는
x
{\displaystyle x}
에 대한 술어
P
(
x
)
{\displaystyle P(x)}
에 대하여,
P
(
x
)
{\displaystyle P(x)}
가 참 이 되도록 하는 원소
x
{\displaystyle x}
들로 이루어진 집합 을 의미한다.
{
x
:
1
≤ ≤ -->
x
≤ ≤ -->
3
,
x
∈ ∈ -->
N
}
=
{
1
,
2
,
3
}
{\displaystyle \{x:1\leq x\leq 3,x\in \mathbb {N} \}=\{1,2,3\}}
∈ ∈ -->
{\displaystyle \in }
∋ ∋ -->
{\displaystyle \ni }
포함관계
x
∈ ∈ -->
X
{\displaystyle x\in X}
또는
X
∋ ∋ -->
x
{\displaystyle X\ni x}
는 원소
x
{\displaystyle x}
가 집합
X
{\displaystyle X}
에 속함을 의미한다.
1
∈ ∈ -->
{
1
,
2
,
3
}
{\displaystyle 1\in \{1,2,3\}}
∉ ∉ -->
{\displaystyle \notin }
∌
{\displaystyle \not \ni }
미포함관계
x
∉ ∉ -->
X
{\displaystyle x\notin X}
또는
X
∌
x
{\displaystyle X\not \ni x}
는 원소
x
{\displaystyle x}
가 집합
X
{\displaystyle X}
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4
∉ ∉ -->
{
1
,
2
,
3
}
{\displaystyle 4\notin \{1,2,3\}}
⊆ ⊆ -->
{\displaystyle \subseteq }
⊂ ⊂ -->
{\displaystyle \subset }
⊇ ⊇ -->
{\displaystyle \supseteq }
⊃ ⊃ -->
{\displaystyle \supset }
부분집합
A
⊆ ⊆ -->
B
{\displaystyle A\subseteq B}
,
A
⊂ ⊂ -->
B
{\displaystyle A\subset B}
,
B
⊇ ⊇ -->
A
{\displaystyle B\supseteq A}
,
B
⊃ ⊃ -->
A
{\displaystyle B\supset A}
는 집합
A
{\displaystyle A}
가 집합
B
{\displaystyle B}
의 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
1
,
2
}
⊆ ⊆ -->
{
1
,
2
,
3
}
{\displaystyle \{1,2\}\subseteq \{1,2,3\}}
∅ ∅ -->
⊆ ⊆ -->
{
1
,
2
,
3
}
{\displaystyle \varnothing \subseteq \{1,2,3\}}
⊊ ⊊ -->
{\displaystyle \subsetneq }
⊋ ⊋ -->
{\displaystyle \supsetneq }
진부분집합
A
⊊ ⊊ -->
B
{\displaystyle A\subsetneq B}
,
B
⊋ ⊋ -->
A
{\displaystyle B\supsetneq A}
는 집합
A
{\displaystyle A}
가 집합
B
{\displaystyle B}
의 진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저자에 따라
⊂ ⊂ -->
{\displaystyle \subset }
,
⊃ ⊃ -->
{\displaystyle \supset }
이 진부분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
1
,
2
}
⊊ ⊊ -->
{
1
,
2
,
3
}
{\displaystyle \{1,2\}\subsetneq \{1,2,3\}}
⊈ ⊈ -->
{\displaystyle \nsubseteq }
⊊ ⊊ -->
{\displaystyle \varsubsetneq }
⊉ ⊉ -->
{\displaystyle \nsupseteq }
⊋ ⊋ -->
{\displaystyle \varsupsetneq }
부분집합 이 아님
A
⊈ ⊈ -->
B
{\displaystyle A\nsubseteq B}
,
A
⊊ ⊊ -->
B
{\displaystyle A\varsubsetneq B}
,
B
⊉ ⊉ -->
A
{\displaystyle B\nsupseteq A}
,
B
⊋ ⊋ -->
A
{\displaystyle B\varsupsetneq A}
는 집합
A
{\displaystyle A}
가 집합
B
{\displaystyle B}
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의미한다.
{
1
,
2
}
⊈ ⊈ -->
{
2
,
3
}
{\displaystyle \{1,2\}\nsubseteq \{2,3\}}
∪ ∪ -->
{\displaystyle \cup }
⋃ ⋃ -->
{\displaystyle \bigcup }
합집합
A
∪ ∪ -->
B
{\displaystyle A\cup B}
는 집합
A
{\displaystyle A}
에 속하거나 집합
B
{\displaystyle B}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1]
⋃ ⋃ -->
i
∈ ∈ -->
I
A
i
{\displaystyle \bigcup _{i\in I}A_{i}}
는 어떤
i
∈ ∈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해 집합
A
i
{\displaystyle A_{i}}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 ⋃ -->
M
{\displaystyle \bigcup {\mathcal {M}}}
은 집합족
M
=
{
M
i
:
i
∈ ∈ -->
I
}
{\displaystyle {\mathcal {M}}=\{M_{i}:i\in I\}}
에 대해
⋃ ⋃ -->
M
=
⋃ ⋃ -->
i
∈ ∈ -->
I
M
i
{\displaystyle \bigcup {\mathcal {M}}=\bigcup _{i\in I}M_{i}}
을 의미한다.
{
1
,
2
}
∪ ∪ -->
{
3
}
=
{
1
,
2
,
3
}
{\displaystyle \{1,2\}\cup \{3\}=\{1,2,3\}}
A
i
=
{
(
i
,
0
)
,
(
i
,
1
)
}
{\displaystyle A_{i}=\{(i,0),(i,1)\}}
에 대해,
⋃ ⋃ -->
i
∈ ∈ -->
N
A
i
=
{
(
i
,
0
)
,
(
i
,
1
)
:
i
∈ ∈ -->
N
}
{\displaystyle \bigcup _{i\in \mathbb {N} }A_{i}=\{(i,0),(i,1):i\in \mathbb {N} \}}
∩ ∩ -->
{\displaystyle \cap }
⋂ ⋂ -->
{\displaystyle \bigcap }
교집합
A
∩ ∩ -->
B
{\displaystyle A\cap B}
는 집합
A
{\displaystyle A}
와 집합
B
{\displaystyle B}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1]
⋂ ⋂ -->
i
∈ ∈ -->
I
A
i
{\displaystyle \bigcap _{i\in I}A_{i}}
는 모든
i
∈ ∈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해 집합
A
i
{\displaystyle A_{i}}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 ⋂ -->
M
{\displaystyle \bigcap {\mathcal {M}}}
은 집합족
M
=
{
M
i
:
i
∈ ∈ -->
I
}
{\displaystyle {\mathcal {M}}=\{M_{i}:i\in I\}}
에 대해
⋂ ⋂ -->
M
=
⋂ ⋂ -->
i
∈ ∈ -->
I
M
i
{\displaystyle \bigcap {\mathcal {M}}=\bigcap _{i\in I}M_{i}}
을 의미한다.
{
1
,
2
}
∩ ∩ -->
{
2
,
3
}
=
{
2
}
{\displaystyle \{1,2\}\cap \{2,3\}=\{2\}}
A
i
=
{
(
0
,
0
)
,
(
i
,
1
)
}
{\displaystyle A_{i}=\{(0,0),(i,1)\}}
에 대해,
⋂ ⋂ -->
i
∈ ∈ -->
N
A
i
=
{
(
0
,
0
)
}
{\displaystyle \bigcap _{i\in \mathbb {N} }A_{i}=\{(0,0)\}}
⊔ ⊔ -->
{\displaystyle \sqcup }
⨆ ⨆ -->
{\displaystyle \bigsqcup }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uplus }
⨄ ⨄ -->
{\displaystyle \biguplus }
분리합집합
A
⊔ ⊔ -->
B
{\displaystyle A\sqcup B}
,
A
+
B
{\displaystyle A+B}
,
A
⊎ ⊎ -->
B
{\displaystyle A\uplus B}
는 집합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
⨆ ⨆ -->
i
∈ ∈ -->
I
A
i
{\displaystyle \bigsqcup _{i\in I}A_{i}}
,
⨄ ⨄ -->
i
∈ ∈ -->
I
A
i
{\displaystyle \biguplus _{i\in I}A_{i}}
는 주어진 집합족
{
A
i
:
i
∈ ∈ -->
I
}
{\displaystyle \{A_{i}:i\in I\}}
에 대해
⋃ ⋃ -->
i
∈ ∈ -->
I
(
A
i
× × -->
{
i
}
)
{\displaystyle \bigcup _{i\in I}{(A_{i}\times \{i\})}}
을 의미한다.
A
=
{
a
,
b
}
{\displaystyle A=\{a,b\}}
,
B
=
{
b
,
c
,
d
}
{\displaystyle B=\{b,c,d\}}
에 대해
A
⊔ ⊔ -->
B
=
{
(
a
,
0
)
,
(
b
,
0
)
,
(
b
,
1
)
,
(
c
,
1
)
,
(
d
,
1
)
}
{\displaystyle A\sqcup B=\{(a,0),(b,0),(b,1),(c,1),(d,1)\}}
◻ ◻ -->
c
{\displaystyle \Box ^{c}}
∖ ∖ -->
{\displaystyle \setminus }
여집합
A
c
{\displaystyle A^{c}}
또는
U
∖ ∖ -->
A
{\displaystyle U\setminus A}
는 전체집합
U
{\displaystyle U}
의 원소 중
A
{\displaystyle A}
가 아닌 것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A
¯ ¯ -->
,
A
′
,
∁ ∁ -->
U
A
,
∁ ∁ -->
A
{\displaystyle {\overline {A}},A',\complement _{U}A,\complement A}
로 쓰기도 한다.
(
A
∩ ∩ -->
B
)
c
=
A
c
∪ ∪ -->
B
c
{\displaystyle (A\cap B)^{c}=A^{c}\cup B^{c}}
− −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setminus }
차집합
A
− − -->
B
{\displaystyle A-B}
또는
A
∖ ∖ -->
B
{\displaystyle A\setminus B}
는 집합
A
{\displaystyle A}
의 원소 중 집합
B
{\displaystyle B}
에 있지 않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
1
,
2
,
3
}
− − -->
{
3
,
4
}
=
{
1
,
2
}
{\displaystyle \{1,2,3\}-\{3,4\}=\{1,2\}}
C
− − -->
{
0
}
=
C
∗ ∗ -->
{\displaystyle \mathbb {C} -\{0\}=\mathbb {C} ^{*}}
× × -->
{\displaystyle \times }
∏ ∏ -->
{\displaystyle \prod }
곱집합
A
× × -->
B
{\displaystyle A\times B}
는 집합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의 곱집합
{
(
a
,
b
)
|
a
∈ ∈ -->
A
,
b
∈ ∈ -->
B
}
{\displaystyle \{(a,b)|a\in A,b\in B\}}
을 의미한다.
∏ ∏ -->
i
∈ ∈ -->
I
A
i
{\displaystyle \prod _{i\in I}A_{i}}
는 주어진 집합족
{
A
i
:
i
∈ ∈ -->
I
}
{\displaystyle \{A_{i}:i\in I\}}
에 대해
{
(
a
i
)
i
∈ ∈ -->
I
|
a
i
∈ ∈ -->
A
i
}
{\displaystyle \{(a_{i})_{i\in I}|a_{i}\in A_{i}\}}
을 의미한다.
{
1
,
2
}
× × -->
{
3
,
4
,
5
}
=
{
(
1
,
3
)
,
(
1
,
4
)
,
(
1
,
5
)
,
(
2
,
3
)
,
(
2
,
4
)
,
(
2
,
5
)
}
{\displaystyle \{1,2\}\times \{3,4,5\}=\{(1,3),(1,4),(1,5),(2,3),(2,4),(2,5)\}}
R
n
=
R
× × -->
⋯ ⋯ -->
× × -->
R
⏟ ⏟ -->
n
=
{
(
x
1
,
⋯ ⋯ -->
,
x
n
)
|
x
i
∈ ∈ -->
R
,
i
=
1
,
⋯ ⋯ -->
,
n
}
{\displaystyle \mathbb {R} ^{n}=\underbrace {\mathbb {R} \times \cdots \times \mathbb {R} } _{n}=\{(x_{1},\cdots ,x_{n})|x_{i}\in \mathbb {R} ,i=1,\cdots ,n\}}
→ → -->
{\displaystyle \to }
함수 표기법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는 함수
f
{\displaystyle f}
가 집합
X
{\displaystyle X}
에서 집합
Y
{\displaystyle Y}
로 사상함을 의미한다.
f
:
R
→ → -->
R
{\displaystyle f:\mathbb {R} \to \mathbb {R} }
은 정의역 과 공역 이 실수 인 함수 이다.
↦ ↦ -->
{\displaystyle \mapsto }
함수 표기법
f
:
x
↦ ↦ -->
y
{\displaystyle f:x\mapsto y}
또는
f
(
x
)
=
y
{\displaystyle f(x)=y}
는 함수
f
{\displaystyle f}
가 정의역 의 원소
x
{\displaystyle x}
를 공역 의 원소
y
{\displaystyle y}
에 대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f
:
x
↦ ↦ -->
x
2
{\displaystyle f:x\mapsto x^{2}}
는
f
{\displaystyle f}
에 대한
x
{\displaystyle x}
의 상 이
x
2
{\displaystyle x^{2}}
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circ }
함수의 합성
g
∘ ∘ -->
f
{\displaystyle g\circ f}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의 합성
g
∘ ∘ -->
f
:
x
↦ ↦ -->
g
(
f
(
x
)
)
{\displaystyle g\circ f:x\mapsto g(f(x))}
를 의미한다.
함수
f
(
x
)
=
x
2
,
g
(
x
)
=
x
+
1
{\displaystyle f(x)=x^{2},g(x)=x+1}
에 대해,
(
g
∘ ∘ -->
f
)
(
x
)
=
x
2
+
1
{\displaystyle (g\circ f)(x)=x^{2}+1}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f
→ → -->
(
A
)
{\displaystyle f^{\rightarrow }(A)}
f
⋆ ⋆ -->
(
A
)
{\displaystyle f_{\star }(A)}
im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
image
{\displaystyle \operatorname {image} }
상
f
(
x
)
{\displaystyle f(x)}
는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에 대해
X
{\displaystyle X}
의 원소
x
{\displaystyle x}
의 상을 의미한다.
f
(
A
)
{\displaystyle f(A)}
또는
f
[
A
]
{\displaystyle f[A]}
,
f
→ → -->
(
A
)
{\displaystyle f^{\rightarrow }(A)}
,
f
⋆ ⋆ -->
(
A
)
{\displaystyle f_{\star }(A)}
는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에 대해
X
{\displaystyle X}
의 부분집합
A
{\displaystyle A}
의 상
{
f
(
x
)
:
x
∈ ∈ -->
A
}
{\displaystyle \{f(x):x\in A\}}
를 의미한다.
im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f}
또는
image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image} f}
는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의 상
f
(
X
)
{\displaystyle f(X)}
를 의미한다.
f
(
x
)
=
x
2
{\displaystyle f(x)=x^{2}}
은
f
:
x
↦ ↦ -->
x
2
{\displaystyle f:x\mapsto x^{2}}
와 같은 의미이다.
f
(
x
)
=
e
x
{\displaystyle f(x)=e^{x}}
로 정의된 함수
f
:
R
→ → -->
R
{\displaystyle f:\mathbb {R} \to \mathbb {R} }
에 대해
im
-->
f
=
f
(
X
)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f=f(X)=\mathbb {R} ^{+}}
|
{\displaystyle |}
함수의 제한
f
|
S
{\displaystyle f|_{S}}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정의역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로의 제한을 의미한다.
f
(
z
)
=
z
2
{\displaystyle f(z)=z^{2}}
으로 정의된 복소 함수
f
:
C
→ → -->
C
{\displaystyle f:\mathbb {C} \to \mathbb {C} }
에 대해,
f
|
R
{\displaystyle f|_{\mathbb {R} }}
은
f
(
x
)
=
x
2
{\displaystyle f(x)=x^{2}}
으로 정의된 실함수
f
:
R
→ → -->
R
⊂ ⊂ -->
C
{\displaystyle f:\mathbb {R} \to \mathbb {R} \subset \mathbb {C} }
가 된다.
◻ ◻ -->
− − -->
1
{\displaystyle \Box ^{-1}}
원상
f
− − -->
1
(
B
)
{\displaystyle f^{-1}(B)}
또는
f
− − -->
1
[
B
]
{\displaystyle f^{-1}[B]}
,
f
← ← -->
(
A
)
{\displaystyle f^{\leftarrow }(A)}
,
f
⋆ ⋆ -->
(
A
)
{\displaystyle f^{\star }(A)}
,
f
″
A
{\displaystyle f\,''A}
는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에 대한
Y
{\displaystyle Y}
의 부분집합
B
{\displaystyle B}
의 원상
{
x
∈ ∈ -->
X
:
f
(
x
)
∈ ∈ -->
B
}
{\displaystyle \{x\in X:f(x)\in B\}}
을 의미한다.
f
(
x
)
=
x
2
{\displaystyle f(x)=x^{2}}
으로 정의된 함수
f
:
R
→ → -->
R
{\displaystyle f:\mathbb {R} \to \mathbb {R} }
에 대해
f
− − -->
1
(
[
− − -->
1
,
4
]
)
=
[
− − -->
2
,
2
]
{\displaystyle f^{-1}([-1,4])=[-2,2]}
역함수
f
− − -->
1
{\displaystyle f^{-1}}
은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역함수를 의미한다.
함수
f
:
x
↦ ↦ -->
x
+
1
{\displaystyle f:x\mapsto x+1}
에 대해,
f
− − -->
1
:
x
↦ ↦ -->
x
− − -->
1
{\displaystyle f^{-1}:x\mapsto x-1}
P
(
◻ ◻ -->
)
{\displaystyle {\mathcal {P}}(\Box )}
2
◻ ◻ -->
{\displaystyle 2^{\Box }}
멱집합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또는
2
X
{\displaystyle 2^{X}}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부분집합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P
(
X
)
,
P
(
X
)
,
℘ ℘ -->
(
X
)
{\displaystyle P(X),\mathbb {P} (X),\wp (X)}
로도 쓴다.
P
(
{
x
,
y
}
)
=
{
∅ ∅ -->
,
{
x
}
,
{
y
}
,
{
x
,
y
}
}
{\displaystyle {\mathcal {P}}(\{x,y\})=\{\varnothing ,\{x\},\{y\},\{x,y\}\}}
◻ ◻ -->
◻ ◻ -->
{\displaystyle \Box ^{\Box }}
함수 전체집합
Y
X
{\displaystyle Y^{X}}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에서 집합
Y
{\displaystyle Y}
로 사상하는 함수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
◻ ◻ -->
|
{\displaystyle |\Box |}
card
{\displaystyle \operatorname {card} }
집합의 크기
|
X
|
{\displaystyle |X|}
또는
card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card} (X)}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의 크기를 의미한다.
n
(
X
)
,
# # -->
X
{\displaystyle n(X),\#X}
,
X
{\displaystyle X}
로도 쓴다.
|
{
2
,
4
,
6
}
|
=
3
{\displaystyle |\{2,4,6\}|=3}
|
N
|
=
ℵ ℵ -->
0
{\displaystyle |\mathbb {N} |=\aleph _{0}}
≈ ≈ -->
{\displaystyle \approx }
∼ ∼ -->
{\displaystyle \sim }
전단사 함수
X
≈ ≈ -->
Y
{\displaystyle X\approx Y}
또는
X
∼ ∼ -->
Y
{\displaystyle X\sim Y}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사이에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함을, 즉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의 크기 가 같음을 의미한다.
N
≈ ≈ -->
Q
{\displaystyle \mathbb {N} \approx \mathbb {Q} }
논리 및 관계 기호
논리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
↔ ↔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
≡ ≡ -->
{\displaystyle \equiv }
동치
A
⇔ ⇔ -->
B
,
A
↔ ↔ -->
B
,
A
≡ ≡ -->
B
{\displaystyle A\Leftrightarrow B,A\leftrightarrow B,A\equiv B}
는 명제
A
{\displaystyle A}
가 참 이면 명제
B
{\displaystyle B}
도 참이고,
A
{\displaystyle A}
가 거짓 이면
B
{\displaystyle B}
도 거짓임을 의미한다.
x
=
y
⇔ ⇔ -->
x
+
1
=
y
+
1
{\displaystyle x=y\Leftrightarrow x+1=y+1}
¬ ¬ -->
{\displaystyle \neg }
− −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mathord {\sim }}}
◻ ◻ -->
¯ ¯ -->
{\displaystyle {\overline {\Box }}}
!
{\displaystyle !}
논리적 부정
명제
P
{\displaystyle P}
에 대해
¬ ¬ -->
P
{\displaystyle \neg P}
,
− − -->
P
{\displaystyle -P}
,
∼ ∼ -->
P
{\displaystyle {\mathord {\sim }}P}
,
P
¯ ¯ -->
{\displaystyle {\overline {P}}}
,
!
P
{\displaystyle !P}
는 모두
P
{\displaystyle P}
의 부정 을 의미한다.
¬ ¬ -->
(
¬ ¬ -->
P
)
⇔ ⇔ -->
P
{\displaystyle \neg (\neg P)\Leftrightarrow P}
¬ ¬ -->
(
x
=
y
)
⇔ ⇔ -->
x
≠ ≠ -->
y
{\displaystyle \neg (x=y)\Leftrightarrow x\neq y}
∨ ∨ -->
{\displaystyle \lor }
논리합
A
∨ ∨ -->
B
{\displaystyle A\lor B}
는 명제
A
,
B
{\displaystyle A,B}
둘 중 하나 이상이 참 일 때 참, 둘 다 거짓 일 때 거짓인 명제를 의미한다.
(
x
>
0
)
∨ ∨ -->
(
x
<
0
)
⇔ ⇔ -->
x
≠ ≠ -->
0
{\displaystyle (x>0)\lor (x<0)\Leftrightarrow x\neq 0}
∧ ∧ -->
{\displaystyle \land }
논리곱
A
∧ ∧ -->
B
{\displaystyle A\land B}
는 명제
A
,
B
{\displaystyle A,B}
가 모두 참 일 때 참, 둘 중 하나 이상이 거짓 일 때 거짓인 명제를 의미한다.
(
x
>
0
)
∧ ∧ -->
(
x
<
1
)
⇔ ⇔ -->
0
<
x
<
1
{\displaystyle (x>0)\land (x<1)\Leftrightarrow 0<x<1}
→ → -->
{\displaystyle \rightarrow }
⇒ ⇒ -->
{\displaystyle \Rightarrow }
← ← -->
{\displaystyle \leftarrow }
⇐ ⇐ -->
{\displaystyle \Leftarrow }
실질적 함의
P
→ → -->
Q
{\displaystyle P\rightarrow Q}
,
P
⇒ ⇒ -->
Q
{\displaystyle P\Rightarrow Q}
,
Q
← ← -->
P
{\displaystyle Q\leftarrow P}
,
Q
⇐ ⇐ -->
P
{\displaystyle Q\Leftarrow P}
는 술어
P
{\displaystyle P}
가 참 일 때 술어
Q
{\displaystyle Q}
도 참임을 의미한다. 즉
Q
∨ ∨ -->
¬ ¬ -->
P
{\displaystyle Q\lor \neg P}
와 논리적으로 같다.
n
∈ ∈ -->
N
→ → -->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N} \rightarrow n\in \mathbb {Z} }
∀ ∀ -->
{\displaystyle \forall }
보편 양화사
∀ ∀ -->
x
P
(
x
)
{\displaystyle \forall xP(x)}
는 술어
P
(
x
)
{\displaystyle P(x)}
가 모든(임의의) 변수
x
{\displaystyle x}
에 대해 참 임을 의미한다.
∀ ∀ -->
n
∈ ∈ -->
N
(
n
2
≥ ≥ -->
n
)
{\displaystyle \forall n\in \mathbb {N} (n^{2}\geq n)}
∃ ∃ -->
{\displaystyle \exists }
존재 양화사
∃ ∃ -->
x
P
(
x
)
{\displaystyle \exists xP(x)}
는 술어
P
(
x
)
{\displaystyle P(x)}
가 참 이 되도록 하는 (어떤)변수
x
{\displaystyle x}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 ∃ -->
n
∈ ∈ -->
N
(
n
2
=
n
)
{\displaystyle \exists n\in \mathbb {N} (n^{2}=n)}
∃ ∃ -->
!
{\displaystyle \exists !}
유일 한정자
∃ ∃ -->
!
x
P
(
x
)
{\displaystyle \exists !xP(x)}
는 술어
P
(
x
)
{\displaystyle P(x)}
가 참 이 되도록 하는 (어떤)변수
x
{\displaystyle x}
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의미한다.
∃ ∃ -->
!
n
∈ ∈ -->
N
(
n
2
=
1
)
{\displaystyle \exists !n\in \mathbb {N} (n^{2}=1)}
⋈ ⋈ -->
{\displaystyle \!\,\bowtie }
관계대수
T
{\displaystyle {}^{\mathsf {T}}}
항진, 언제나 참
⊤ ⊤ -->
{\displaystyle \top }
참
⊥ ⊥ -->
{\displaystyle \bot }
모순
⊨ ⊨ -->
{\displaystyle \vDash }
명제 논리
⊢ ⊢ -->
{\displaystyle \vdash }
명제 논리
‖ ‖ -->
{\displaystyle \|}
합, 불 논리
& & -->
{\displaystyle \&}
곱, 불 논리
관계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displaystyle =}
등호
x
=
y
{\displaystyle x=y}
는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2
=
2
{\displaystyle 2=2}
1
+
1
=
2
{\displaystyle 1+1=2}
36
− − -->
5
=
31
{\displaystyle 36-5=31}
≠ ≠ -->
{\displaystyle \neq }
부등호
x
≠ ≠ -->
y
{\displaystyle x\neq y}
는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2
+
2
≠ ≠ -->
5
{\displaystyle 2+2\neq 5}
36
− − -->
5
≠ ≠ -->
30
{\displaystyle 36-5\neq 30}
≈ ≈ -->
{\displaystyle \approx }
근삿값
x
≈ ≈ -->
y
{\displaystyle x\approx y}
는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의 근삿값임을 의미한다. ≃, ≅, ~, ≒로도 쓸 수 있다.
π π -->
≈ ≈ -->
3.14159
{\displaystyle \pi \approx 3.14159}
≅ ≅ -->
{\displaystyle \cong }
≃ ≃ -->
{\displaystyle \simeq }
동형
X
≅ ≅ -->
Y
{\displaystyle X\cong Y}
또는
X
≃ ≃ -->
Y
{\displaystyle X\simeq Y}
는 두 대수 구조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동형 임을 의미한다.
Z
6
≅ ≅ -->
Z
2
× × -->
Z
3
{\displaystyle Z_{6}\cong Z_{2}\times Z_{3}}
합동
F
≅ ≅ -->
F
′
{\displaystyle F\cong F'}
또는
F
≃ ≃ -->
F
′
{\displaystyle F\simeq F'}
는 두 도형
F
{\displaystyle F}
와
F
′
{\displaystyle F'}
이 서로 합동임을 의미한다.
△ △ -->
A
B
C
≅ ≅ -->
△ △ -->
D
E
F
{\displaystyle \triangle ABC\cong \triangle DEF}
≡ ≡ -->
{\displaystyle \equiv }
항등식
등식 이 변수 의 값과 상관없이 항상 성립함을 의미한다.
sin
2
-->
θ θ -->
+
cos
2
-->
θ θ -->
≡ ≡ -->
1
{\displaystyle \sin ^{2}\theta +\cos ^{2}\theta \equiv 1}
∼ ∼ -->
{\displaystyle \sim }
동치관계
x
∼ ∼ -->
y
{\displaystyle x\sim y}
는 집합 의 원소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동치 관계임을 의미한다.
닮음
F
∼ ∼ -->
F
′
{\displaystyle F\sim F'}
는 두 도형
F
{\displaystyle F}
와
F
′
{\displaystyle F'}
이 서로 닮음임을 의미한다.
◻ ◻ -->
A
B
C
D
∼ ∼ -->
◻ ◻ -->
E
F
G
H
{\displaystyle \Box ABCD\sim \Box EFGH}
∝ ∝ -->
{\displaystyle \propto }
∼ ∼ -->
{\displaystyle \sim }
비례
y
∝ ∝ -->
x
{\displaystyle y\propto x}
또는
y
∼ ∼ -->
x
{\displaystyle y\sim x}
는
y
{\displaystyle y}
가
x
{\displaystyle x}
에 비례함을 의미한다.
y
=
k
x
{\displaystyle y=kx}
일 때
y
∝ ∝ -->
x
{\displaystyle y\propto x}
라 쓴다.
:=
{\displaystyle :=}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triangleq }
=
d
e
f
{\displaystyle {\overset {\underset {\mathrm {def} }{}}{=}}}
정의 기호
X
:=
E
,
E
=:
X
,
X
≜ ≜ -->
E
,
X
=
d
e
f
E
{\displaystyle X:=E,E=:X,X\triangleq E,X{\overset {\underset {\mathrm {def} }{}}{=}}E}
는 대상
X
{\displaystyle X}
를 수식
E
{\displaystyle E}
로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X
:=
{
x
∈ ∈ -->
R
|
x
>
1
}
{\displaystyle X:=\{x\in \mathbb {R} |x>1\}}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prec }
>
{\displaystyle >}
≻ ≻ -->
{\displaystyle \succ }
부등호
x
<
y
{\displaystyle x<y}
,
x
≺ ≺ -->
y
{\displaystyle x\prec y}
,
y
>
x
{\displaystyle y>x}
,
y
≻ ≻ -->
x
{\displaystyle y\succ x}
는 주어진 부분 순서 (특히, 실수 )에서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3
<
4
{\displaystyle 3<4}
5
>
4
{\displaystyle 5>4}
≤ ≤ -->
{\displaystyle \leq }
⪯ ⪯ -->
{\displaystyle \preceq }
≥ ≥ -->
{\displaystyle \geq }
⪰ ⪰ -->
{\displaystyle \succeq }
부등호
x
≤ ≤ -->
y
{\displaystyle x\leq y}
,
x
⪯ ⪯ -->
y
{\displaystyle x\preceq y}
,
y
≥ ≥ -->
x
{\displaystyle y\geq x}
,
y
⪰ ⪰ -->
x
{\displaystyle y\succeq x}
는 주어진 부분 순서 (특히, 실수 )에서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보다 작거나 같음을, 즉
y
{\displaystyle y}
보다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3
≤ ≤ -->
4
{\displaystyle 3\leq 4}
4
≥ ≥ -->
4
{\displaystyle 4\geq 4}
≪ ≪ -->
{\displaystyle \ll }
≫ ≫ -->
{\displaystyle \gg }
부등호
x
≪ ≪ -->
y
{\displaystyle x\ll y}
또는
y
≫ ≫ -->
x
{\displaystyle y\gg x}
는 수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훨씬'이라는 말은 명확하게 정의된 것이 아니라 서술하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이다.
3
≪ ≪ -->
10
3
{\displaystyle 3\ll 10^{3}}
≲ ≲ -->
{\displaystyle \lesssim }
≳ ≳ -->
{\displaystyle \gtrsim }
원순서
x
≲ ≲ -->
y
{\displaystyle x\lesssim y}
또는
y
≳ ≳ -->
x
{\displaystyle y\gtrsim x}
는 주어진 원순서 에서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보다 작거나 같음을 의미한다.
max
{\displaystyle \max }
⊤ ⊤ -->
{\displaystyle \top }
최대 원소
max
S
{\displaystyle \max S}
는 부분 순서 집합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의 모든 원소보다 큰 원소를 의미한다.
부분 순서 집합 전체에서의 최대 원소를
⊤ ⊤ -->
{\displaystyle \top }
또는 1로 표기한다.
실수 의 부분집합
S
=
[
0
,
1
]
{\displaystyle S=[0,1]}
에 대해,
max
S
=
1
{\displaystyle \max S=1}
min
{\displaystyle \min }
⊥ ⊥ -->
{\displaystyle \bot }
최소 원소
min
S
{\displaystyle \min S}
는 부분 순서 집합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의 모든 원소보다 작은 원소를 의미한다.
부분 순서 집합 전체에서의 최소 원소를
⊥ ⊥ -->
{\displaystyle \bot }
또는 0으로 표기한다.
실수 의 부분집합
S
=
[
0
,
1
]
{\displaystyle S=[0,1]}
에 대해,
min
S
=
0
{\displaystyle \min S=0}
sup
{\displaystyle \sup }
⋁ ⋁ -->
{\displaystyle \textstyle \bigvee }
상한
sup
S
{\displaystyle \sup S}
또는
⋁ ⋁ -->
S
{\displaystyle \textstyle \bigvee S}
는 원순서 집합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해
S
{\displaystyle S}
의 상한을 의미한다.
실수 의 부분집합
S
=
(
0
,
1
)
{\displaystyle S=(0,1)}
에 대해,
sup
S
=
1
{\displaystyle \sup S=1}
inf
{\displaystyle \inf }
⋀ ⋀ -->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
하한
inf
S
{\displaystyle \inf S}
또는
⋀ ⋀ -->
S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S}
는 원순서 집합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해
S
{\displaystyle S}
의 하한을 의미한다.
실수 의 부분집합
S
=
(
0
,
1
)
{\displaystyle S=(0,1)}
에 대해,
inf
S
=
0
{\displaystyle \inf S=0}
기호
의미
정의
N
{\displaystyle \mathbb {N} }
자연수 집합
N
=
{
1
,
2
,
3
,
⋯ ⋯ -->
}
{\displaystyle \mathbb {N} =\{1,2,3,\cdots \}}
. 경우에 따라 0을 포함하기도 한다.
Z
{\displaystyle \mathbb {Z} }
정수 집합
Z
=
{
⋯ ⋯ -->
,
− − -->
2
,
− − -->
1
,
0
,
1
,
2
,
⋯ ⋯ -->
}
{\displaystyle \mathbb {Z} =\{\cdots ,-2,-1,0,1,2,\cdots \}}
Z
p
{\displaystyle \mathbb {Z} _{p}}
p진 정수환 (p 는 소수 )
p진수 참고
Z
n
{\displaystyle \mathbb {Z} _{n}}
Z
/
n
Z
{\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
Z
{\displaystyle \mathbb {Z} }
의
n
Z
{\displaystyle n\mathbb {Z} }
에 대한 몫환
모듈러 산술 참고
(
Z
/
n
Z
)
× × -->
{\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times }}
n 을 법 으로 하는 정수 의 곱셈군
(
Z
/
n
Z
)
× × -->
=
{
a
:
g
c
d
(
a
,
n
)
=
1
,
a
∈ ∈ -->
{
0
,
1
,
⋯ ⋯ -->
,
n
− − -->
1
}
}
{\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times }=\{a:gcd(a,n)=1,a\in \{0,1,\cdots ,n-1\}\}}
Q
{\displaystyle \mathbb {Q} }
유리수 집합
Q
=
{
m
n
:
m
,
n
∈ ∈ -->
Z
,
n
≠ ≠ -->
0
}
{\displaystyle \mathbb {Q} =\{{\frac {m}{n}}:m,n\in \mathbb {Z} ,n\neq 0\}}
Q
p
{\displaystyle \mathbb {Q} _{p}}
p진체
p진수 참고
R
{\displaystyle \mathbb {R} }
실수 집합
실수의 구성 참고
C
{\displaystyle \mathbb {C} }
복소수 집합
C
=
{
a
+
b
i
:
a
,
b
∈ ∈ -->
R
}
{\displaystyle \mathbb {C} =\{a+bi:a,b\in \mathbb {R} \}}
.
i
{\displaystyle i}
는 허수 단위 이다.
H
{\displaystyle \mathbb {H} }
사원수 집합
H
=
{
a
+
b
i
+
c
j
+
d
k
:
a
,
b
,
c
,
d
∈ ∈ -->
R
}
{\displaystyle \mathbb {H} =\{a+bi+cj+dk:a,b,c,d\in \mathbb {R} \}}
.
{
1
,
i
,
j
,
k
}
{\displaystyle \{1,i,j,k\}}
는 기저 이다.
O
{\displaystyle \mathbb {O} }
팔원수 집합
팔원수 참고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GF(q)
유한체 (q 는 소수 의 거듭제곱 )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는 원소 의 개수가
q
=
p
n
{\displaystyle q=p^{n}}
개인 (p 는 소수 ) 유한체
기호
의미
설명
1
{\displaystyle 1}
자연수 1
곱셈 항등원
일반적으로 군 의 곱셈의 항등원을 1로 표기한다.
0
{\displaystyle 0}
정수 0
덧셈 항등원
일반적으로 군 의 덧셈의 항등원을 0으로 표기한다.
π π -->
{\displaystyle \pi }
원주율
π π -->
{\displaystyle \pi }
는 원의 지름 에 대한 둘레 의 비율이다. 해석적 으로는 사인 함수 가 0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양수로 정의된다.
e
{\displaystyle e}
자연로그의 밑
e
{\displaystyle e}
는
lim
n
→ → -->
∞ ∞ -->
(
1
+
1
n
)
n
{\displaystyle \lim _{n\to \infty }\left(1+{\frac {1}{n}}\right)^{n}}
로 정의되는 초월수 이다.
i
{\displaystyle i}
허수 단위
i
{\displaystyle i}
는 제곱 해서 -1 이 되는 복소수 이다.
− − -->
1
{\displaystyle {\sqrt {-1}}}
로 쓰기도 한다.
기타
기호
의미
설명
예시
ω ω -->
{\displaystyle \omega }
ω ω -->
0
{\displaystyle \omega _{0}}
자연수 집합
ω ω -->
{\displaystyle \omega }
또는
ω ω -->
0
{\displaystyle \omega _{0}}
는 순서수 로서의 자연수 집합, 즉 가장 작은 무한 순서수이다.
ℵ ℵ -->
{\displaystyle \aleph }
알레프 수
알레프 수는 무한 기수 를 나타내는 표기법이다.
ℵ ℵ -->
0
{\displaystyle \aleph _{0}}
알레프 제로
ℵ ℵ -->
0
{\displaystyle \aleph _{0}}
는 자연수 집합의 크기 를 나타내는 기수 이다.
c
{\displaystyle {\mathbf {\mathfrak {c}}}}
|
R
|
{\displaystyle |\mathbb {R} |}
실수 의 크기
c
{\displaystyle {\mathbf {\mathfrak {c}}}}
또는
|
R
|
{\displaystyle |\mathbb {R} |}
는 실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수 이다.
ℶ ℶ -->
{\displaystyle \beth }
베트 수
베트 수는 가산 무한 집합 의 거듭된 멱집합 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법이다.
gcd
{\displaystyle \gcd }
최대공약수
gcd
(
n
,
m
)
{\displaystyle \gcd(n,m)}
은 적어도 하나가 0이 아닌 두 정수 (일반적으로, 가환환 의 원소)
n
,
m
{\displaystyle n,m}
을 동시에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가장 큰 수를 의미한다.
gcd
(
12
,
18
)
=
6
{\displaystyle \gcd(12,18)=6}
lcm
{\displaystyle \operatorname {lcm} }
최소공배수
lcm
-->
(
n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lcm} (n,m)}
은 두 정수 (일반적으로, 가환환 의 원소)
n
,
m
{\displaystyle n,m}
으로 동시에 나누어 떨어지는 가장 작은 양수를 의미한다.
lcm
-->
(
6
,
15
)
=
30
{\displaystyle \operatorname {lcm} (6,15)=30}
◻ ◻ -->
¯ ¯ -->
{\displaystyle {\overline {\Box }}}
◻ ◻ -->
∗ ∗ -->
{\displaystyle \Box ^{*}}
켤레복소수
z
¯ ¯ -->
{\displaystyle {\overline {z}}}
또는
z
∗ ∗ -->
{\displaystyle z^{*}}
는 복소수
z
{\displaystyle z}
의 켤레복소수를 의미한다.
2
+
3
i
¯ ¯ -->
=
2
− − -->
3
i
{\displaystyle {\overline {2+3i}}=2-3i}
Re
{\displaystyle \operatorname {Re} }
실수부
Re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Re} z}
는 복소수
z
{\displaystyle z}
의 실수부를 의미한다.
Re
-->
(
2
+
3
i
)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Re} (2+3i)=2}
Im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
허수부
Im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z}
는 복소수
z
{\displaystyle z}
의 허수부를 의미한다.
Im
-->
(
2
+
3
i
)
=
3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2+3i)=3}
arg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
Arg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
편각
arg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z}
는 복소수
z
{\displaystyle z}
의 편각을 의미하며 여러 개의 값을 가진다.
Arg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z}
는 복소수
z
{\displaystyle z}
의 편각 중
(
− − -->
π π -->
,
π π -->
]
{\displaystyle (-\pi ,\ \pi ]}
사이의 값을 갖는 주편각을 의미한다.
Arg
-->
(
i
)
=
π π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i)={\frac {\pi }{2}}}
arg
-->
z
=
{
Arg
-->
z
+
2
π π -->
n
:
n
∈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 z=\{\operatorname {Arg} z+2\pi n:n\in \mathbb {Z} \}}
B
n
{\displaystyle B_{n}}
베르누이 수 또는 벨 수
⟨
n
m
⟩
{\displaystyle \left\langle {n \atop m}\right\rangle }
오일러 수
E
n
{\displaystyle E_{n}}
오일러 수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
◻ ◻ -->
=
◻ ◻ -->
{\displaystyle \Box |_{\Box =\Box }}
대입
f
(
x
)
|
x
=
a
{\displaystyle f(x)|_{x=a}}
는
x
{\displaystyle x}
에 대한 함수
f
{\displaystyle f}
에
a
{\displaystyle a}
를 대입한 값
f
(
a
)
{\displaystyle f(a)}
를 의미한다.
f
(
x
)
|
x
=
a
x
=
b
{\displaystyle f(x)|_{x=a}^{x=b}}
는
f
(
b
)
− − -->
f
(
a
)
{\displaystyle f(b)-f(a)}
를 의미한다.
f
(
x
,
y
)
=
x
2
+
y
2
− − -->
2
{\displaystyle f(x,y)=x^{2}+y^{2}-2}
에 대해
f
(
x
,
y
)
|
(
x
,
y
)
=
(
0
,
1
)
=
0
2
+
1
2
− − -->
2
=
− − -->
1
{\displaystyle f(x,y)|_{(x,y)=(0,1)}=0^{2}+1^{2}-2=-1}
.
sin
-->
x
|
0
π π -->
=
sin
-->
π π -->
− − -->
sin
-->
0
=
0
{\displaystyle \sin x|_{0}^{\pi }=\sin \pi -\sin 0=0}
lim
{\displaystyle \lim }
극한
함수의 극한 또는 수열의 극한 참고
lim
x
→ → -->
∞ ∞ -->
1
x
=
0
{\displaystyle \lim _{x\to \infty }{\frac {1}{x}}=0}
◻ ◻ -->
′
{\displaystyle \Box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미분 의 라그랑주 표기법
f
′
{\displaystyle f'}
은 함수
f
{\displaystyle f}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f
″
,
f
‴
{\displaystyle f'',f'''}
은 각각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이계 도함수와 삼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f
(
n
)
{\displaystyle f^{(n)}}
은
f
{\displaystyle f}
의
n
{\displaystyle n}
계 도함수 를 의미한다.
함수
f
(
x
)
=
x
2
{\displaystyle f(x)=x^{2}}
에 대해
f
′
(
x
)
=
2
x
{\displaystyle f'(x)=2x}
◻ ◻ -->
˙ ˙ -->
{\displaystyle {\dot {\Box }}}
미분 의 뉴턴의 표기법
x
˙ ˙ -->
{\displaystyle {\dot {x}}}
는 일반적으로 시간
t
{\displaystyle t}
에 의존하는 변수
x
{\displaystyle x}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x
{\displaystyle x}
가 물체의 위치 를 의미하는 변수이면
x
˙ ˙ -->
{\displaystyle {\dot {x}}}
는 물체의 속도 를 의미한다.
d
◻ ◻ -->
d
◻ ◻ -->
{\displaystyle {\frac {d\Box }{d\Box }}}
미분 의 라이프니츠의 표기법
d
y
d
x
{\displaystyle {\frac {dy}{dx}}}
는 변수
x
{\displaystyle x}
에 의존하는 변수
y
{\displaystyle y}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d
f
d
x
{\displaystyle {\frac {df}{dx}}}
는 단일 변수
x
{\displaystyle x}
에 의존하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도함수를 의미하고,
d
f
d
x
(
a
)
{\displaystyle {\frac {df}{dx}}(a)}
는
a
{\displaystyle a}
에서의 도함수의 값을 의미한다.
함수
f
(
x
)
=
x
2
{\displaystyle f(x)=x^{2}}
에 대해
d
f
d
x
=
2
x
{\displaystyle {\frac {df}{dx}}=2x}
∂ ∂ -->
{\displaystyle \partial }
편미분
f
x
i
{\displaystyle f_{x_{i}}}
,
∂ ∂ -->
f
∂ ∂ -->
x
i
{\displaystyle {\frac {\partial f}{\partial x_{i}}}}
,
∂ ∂ -->
x
i
f
{\displaystyle \partial _{x_{i}}f}
,
∂ ∂ -->
∂ ∂ -->
x
i
f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x_{i}}}f}
는 변수
x
1
,
⋯ ⋯ -->
,
x
n
{\displaystyle x_{1},\cdots ,x_{n}}
에 의존하는 함수
f
(
x
1
,
⋯ ⋯ -->
,
x
n
)
{\displaystyle f(x_{1},\cdots ,x_{n})}
의
x
i
{\displaystyle x_{i}}
에 대한 편미분을 의미한다.
f
(
x
,
y
)
=
x
2
+
x
y
+
y
2
{\displaystyle f(x,y)=x^{2}+xy+y^{2}}
에 대해
∂ ∂ -->
f
∂ ∂ -->
x
=
2
x
+
y
{\displaystyle {\frac {\partial f}{\partial x}}=2x+y}
경계
∂ ∂ -->
S
{\displaystyle \partial S}
는 위상 공간 의 부분 공간
S
{\displaystyle S}
의 경계를 의미한다.
∂ ∂ -->
Q
=
R
{\displaystyle \partial \mathbb {Q} =\mathbb {R} }
∫ ∫ -->
{\displaystyle \int }
부정적분
∫ ∫ -->
f
(
x
)
d
x
{\displaystyle \int f(x)dx}
는 도함수 가
f
{\displaystyle f}
인 함수를 의미한다.
∫ ∫ -->
x
2
d
x
=
x
3
3
+
C
{\displaystyle \int x^{2}dx={\frac {x^{3}}{3}}+C}
정적분
∫ ∫ -->
a
b
f
(
x
)
d
x
{\displaystyle \int _{a}^{b}f(x)dx}
는 구간
[
a
,
b
]
{\displaystyle [a,b]}
위에서 정의된 함수
f
(
x
)
{\displaystyle f(x)}
의 정적분을 의미한다.
∫ ∫ -->
a
b
x
2
d
x
=
b
3
− − -->
a
3
3
{\displaystyle \int _{a}^{b}x^{2}dx={\frac {b^{3}-a^{3}}{3}}}
선적분
∫ ∫ -->
C
f
d
s
{\displaystyle \int _{C}f\ ds}
는 곡선
C
{\displaystyle C}
위의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선적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oint }
폐곡선의 선적분 , 경로적분
∮ ∮ -->
C
f
d
s
{\displaystyle \oint _{C}f\,ds}
또는
∫ ∫ -->
C
f
d
s
{\displaystyle \int _{C}f\,ds}
는 폐곡선
C
{\displaystyle C}
위의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선적분을 의미한다.
복소평면 위의 단위원
C
{\displaystyle C}
에 대해
∮ ∮ -->
C
1
z
d
z
=
∫ ∫ -->
0
2
π π -->
1
e
i
t
i
e
i
t
d
t
=
2
π π -->
i
{\displaystyle \oint _{C}{\frac {1}{z}}\,dz=\int _{0}^{2\pi }{\frac {1}{e^{it}}}ie^{it}\,dt=2\pi i}
∬ ∬ -->
{\displaystyle \iint }
이중적분 , 면적분
∬ ∬ -->
S
f
d
S
{\displaystyle \iint _{S}f\mathrm {\,} dS}
는 곡면
S
{\displaystyle S}
위의 함수
f
{\displaystyle f}
의 면적분을 의미한다.
폐곡면의 면적분
S
{\displaystyle S}
f
d
S
{\displaystyle f\,dS}
는 폐곡면
S
{\displaystyle S}
위의 함수
f
{\displaystyle f}
의 면적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nabla }
델 연산자
∇ ∇ -->
{\displaystyle \nabla }
는 스칼라 함수 의 기울기 , 또는 벡터 함수 의 발산 , 회전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벡터 연산자이다. 벡터 미적분학 및 델 참고.
함수
f
(
x
,
y
,
z
)
=
2
x
+
3
y
2
− − -->
sin
-->
(
z
)
{\displaystyle f(x,y,z)=\ 2x+3y^{2}-\sin(z)}
에 대해
∇ ∇ -->
f
=
(
∂ ∂ -->
f
∂ ∂ -->
x
,
∂ ∂ -->
f
∂ ∂ -->
y
,
∂ ∂ -->
f
∂ ∂ -->
z
)
=
(
2
,
6
y
,
− − -->
cos
-->
(
z
)
)
{\displaystyle \nabla f={\begin{pmatrix}{\frac {\partial f}{\partial x}},{\frac {\partial f}{\partial y}},{\frac {\partial f}{\partial z}}\end{pmatrix}}=(2,6y,-\cos(z))}
Δ Δ -->
{\displaystyle \Delta }
증분
Δ Δ -->
x
{\displaystyle \Delta x}
는 독립 변수
x
{\displaystyle x}
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유한차분
Δ Δ -->
f
{\displaystyle \Delta f}
또는
Δ Δ -->
[
f
]
{\displaystyle \Delta [f]}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차분
Δ Δ -->
f
(
x
)
=
f
(
x
+
1
)
− − -->
f
(
x
)
{\displaystyle \Delta f(x)=f(x+1)-f(x)}
를 의미한다.
라플라시안
Δ Δ -->
f
,
∇ ∇ -->
2
f
,
∇ ∇ -->
⋅ ⋅ -->
∇ ∇ -->
f
{\displaystyle \Delta f,\nabla ^{2}f,\nabla \cdot \nabla f}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라플라시안을 의미한다.
x
y
{\displaystyle xy}
-평면에서의 함수
f
{\displaystyle f}
에 대해,
Δ Δ -->
f
=
∂ ∂ -->
2
f
∂ ∂ -->
x
2
+
∂ ∂ -->
2
f
∂ ∂ -->
y
2
{\displaystyle \Delta f={\frac {\partial ^{2}f}{\partial x^{2}}}+{\frac {\partial ^{2}f}{\partial y^{2}}}}
∗ ∗ -->
{\displaystyle *}
합성곱
f
∗ ∗ -->
g
{\displaystyle f*g}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의 합성곱
∫ ∫ -->
− − -->
∞ ∞ -->
∞ ∞ -->
f
(
τ τ -->
)
g
(
t
− − -->
τ τ -->
)
d
τ τ -->
{\displaystyle \int _{-\infty }^{\infty }f(\tau )g(t-\tau )\,d\tau }
을 의미한다.
d
(
◻ ◻ -->
,
◻ ◻ -->
)
{\displaystyle d(\Box ,\Box )}
거리
d
(
x
,
y
)
{\displaystyle d(x,y)}
는 거리 공간 의 원소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좌표평면 위의 두 점
x
=
(
x
1
,
x
2
)
{\displaystyle x=(x_{1},x_{2})}
와
y
=
(
y
1
,
y
2
)
{\displaystyle y=(y_{1},y_{2})}
에 대해
d
(
x
,
y
)
:=
(
x
1
− − -->
y
1
)
2
+
(
x
2
− − -->
y
2
)
2
{\displaystyle d(x,y):={\sqrt {(x_{1}-y_{1})^{2}+(x_{2}-y_{2})^{2}}}}
diam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m} (\Box )}
지름
diam
-->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m} (S)}
는 거리 공간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에 속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상한 이다.
B
◻ ◻ -->
(
◻ ◻ -->
)
{\displaystyle B_{\Box }(\Box )}
B
◻ ◻ -->
[
◻ ◻ -->
]
{\displaystyle B_{\Box }[\Box ]}
공
B
r
(
x
)
{\displaystyle B_{r}(x)}
는 주어진 거리 공간
(
X
,
d
)
{\displaystyle (X,d)}
의 원소
x
{\displaystyle x}
와 실수
r
{\displaystyle r}
에 대해
B
r
(
x
)
=
{
y
∈ ∈ -->
X
:
d
(
x
,
y
)
<
r
}
{\displaystyle B_{r}(x)=\{y\in X:d(x,y)<r\}}
을 의미한다.
B
r
[
x
]
{\displaystyle B_{r}[x]}
는
B
r
[
x
]
=
{
y
∈ ∈ -->
X
:
d
(
x
,
y
)
≤ ≤ -->
r
}
{\displaystyle B_{r}[x]=\{y\in X:d(x,y)\leq r\}}
을 의미한다.
Res
-->
(
f
,
z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Res} (f,z_{0})}
유수
Res
-->
(
f
,
z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Res} (f,z_{0})}
는 유리형 함수
f
{\displaystyle f}
의 고립 특이점
z
0
{\displaystyle z_{0}}
에서의 유수를 의미한다.
Res
-->
(
1
z
,
0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Res} ({\frac {1}{z}},0)=1}
O
{\displaystyle O}
또는
o
{\displaystyle o}
빅 오 (Big O), 리틀 오 (little o), 점근 표기법
δ δ -->
{\displaystyle \delta \!\,}
크로네커 델타 ,텐서
◻ ◻ -->
{\displaystyle \Box \!\,}
달랑베르시안 연산자
D
{\displaystyle D\!\,}
디랙 연산자
a
^ ^ -->
{\displaystyle {\hat {a}}}
추정량 , 단위벡터
M
(
x
,
y
)
{\displaystyle M(x,y)}
,
a
g
m
(
x
,
y
)
{\displaystyle agm(x,y)}
산술 기하 평균
함수
E
i
(
x
)
{\displaystyle Ei(x)}
지수 적분 함수
L
i
(
x
)
{\displaystyle Li(x)}
로그 적분 함수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egin{pmatrix}\Box &\cdots &\Box \\\vdots &\ddots &\vdots \\\Box &\cdots &\Box \end{pmatri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egin{bmatrix}\Box &\cdots &\Box \\\vdots &\ddots &\vdots \\\Box &\cdots &\Box \end{bmatrix}}}
행렬
i
{\displaystyle i}
번째 행
j
{\displaystyle j}
번째 열의 성분이
a
i
j
{\displaystyle a_{ij}}
인
m
× × -->
n
{\displaystyle m\times n}
행렬을
(
a
11
a
12
⋯ ⋯ -->
a
1
n
a
21
a
22
⋯ ⋯ -->
a
2
n
⋮ ⋮ -->
⋮ ⋮ -->
⋱ ⋱ -->
⋮ ⋮ -->
a
m
1
a
m
2
⋯ ⋯ -->
a
m
n
)
{\displaystyle {\begin{pmatrix}a_{11}&a_{12}&\cdots &a_{1n}\\a_{21}&a_{22}&\cdots &a_{2n}\\\vdots &\vdots &\ddots &\vdots \\a_{m1}&a_{m2}&\cdots &a_{mn}\end{pmatrix}}}
또는
[
a
11
a
12
⋯ ⋯ -->
a
1
n
a
21
a
22
⋯ ⋯ -->
a
2
n
⋮ ⋮ -->
⋮ ⋮ -->
⋱ ⋱ -->
⋮ ⋮ -->
a
m
1
a
m
2
⋯ ⋯ -->
a
m
n
]
{\displaystyle {\begin{bmatrix}a_{11}&a_{12}&\cdots &a_{1n}\\a_{21}&a_{22}&\cdots &a_{2n}\\\vdots &\vdots &\ddots &\vdots \\a_{m1}&a_{m2}&\cdots &a_{mn}\end{bmatrix}}}
로 표기한다.
(
a
i
j
)
,
[
a
i
j
]
{\displaystyle \left(a_{ij}\right),\left[a_{ij}\right]}
또는
(
a
i
j
)
1
≤ ≤ -->
i
≤ ≤ -->
m
,
1
≤ ≤ -->
j
≤ ≤ -->
n
{\displaystyle \left(a_{ij}\right)_{1\leq i\leq m,\;1\leq j\leq n}}
로 표기하기도 한다.
A
=
(
1
9
− − -->
13
20
5
− − -->
16
)
{\displaystyle \mathbf {A} ={\begin{pmatrix}1&9&-13\\20&5&-16\end{pmatrix}}}
◻ ◻ -->
− − -->
1
{\displaystyle \Box ^{-1}}
역행렬
A
− − -->
1
{\displaystyle \mathbf {A} ^{-1}}
은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역행렬을 의미한다.
A
=
(
− − -->
1
3
2
1
− − -->
1
)
{\displaystyle \mathbf {A} ={\begin{pmatrix}-1&{\tfrac {3}{2}}\\1&-1\end{pmatrix}}}
에 대해
A
− − -->
1
=
(
2
3
2
2
)
{\displaystyle \mathbf {A} ^{-1}={\begin{pmatrix}2&3\\2&2\end{pmatrix}}}
◻ ◻ -->
T
{\displaystyle \Box ^{\operatorname {T} }}
◻ ◻ -->
⊤ ⊤ -->
{\displaystyle \Box ^{\top }}
t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 }\Box }
◻ ◻ -->
′
{\displaystyle \Box '}
◻ ◻ -->
tr
{\displaystyle \Box ^{\operatorname {tr} }}
전치 행렬
A
T
{\displaystyle \mathbf {A} ^{\operatorname {T} }}
,
A
⊤ ⊤ -->
{\displaystyle \mathbf {A} ^{\top }}
,
t
A
{\displaystyle ^{\operatorname {t} }\mathbf {A} }
,
A
′
{\displaystyle \mathbf {A} '}
,
A
tr
{\displaystyle \mathbf {A} ^{\operatorname {tr} }}
는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전치 행렬을 의미한다.
(
1
2
3
4
5
6
)
T
=
(
1
3
5
2
4
6
)
{\displaystyle {\begin{pmatrix}1&2\\3&4\\5&6\end{pmatrix}}^{\operatorname {T} }={\begin{pmatrix}1&3&5\\2&4&6\end{pmatrix}}}
◻ ◻ -->
H
{\displaystyle \Box ^{H}}
◻ ◻ -->
∗ ∗ -->
{\displaystyle \Box ^{*}}
◻ ◻ -->
† † -->
{\displaystyle \Box ^{\dagger }}
◻ ◻ -->
′
{\displaystyle \Box '}
켤레 전치
A
H
{\displaystyle \mathbf {A} ^{H}}
,
A
∗ ∗ -->
{\displaystyle \mathbf {A} ^{*}}
,
A
† † -->
{\displaystyle \mathbf {A} ^{\dagger }}
,
A
′
{\displaystyle \mathbf {A} '}
는 복소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켤레 전치를 의미한다.
A
=
(
1
− − -->
2
− − -->
i
5
1
+
i
i
4
− − -->
2
i
)
{\displaystyle \mathbf {A} ={\begin{pmatrix}1&-2-i&5\\1+i&i&4-2i\end{pmatrix}}}
에 대해
A
H
=
(
1
1
− − -->
i
− − -->
2
+
i
− − -->
i
5
4
+
2
i
)
{\displaystyle \mathbf {A} ^{\mathrm {H} }={\begin{pmatrix}1&1-i\\-2+i&-i\\5&4+2i\end{pmatrix}}}
◻ ◻ -->
∗ ∗ -->
{\displaystyle \Box ^{*}}
쌍대 공간
V
∗ ∗ -->
{\displaystyle V^{*}}
은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쌍대 공간을 의미한다.
◻ ◻ -->
× × -->
{\displaystyle \Box ^{\times }}
◻ ◻ -->
∗ ∗ -->
{\displaystyle \Box ^{*}}
환 의 가역원 으로 이루어진 곱셈군
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해
R
× × -->
{\displaystyle R^{\times }}
또는
R
∗ ∗ -->
{\displaystyle R^{*}}
은
R
{\displaystyle R}
의 가역원 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R
{\displaystyle R}
이 체 인 경우
R
× × -->
=
R
∖ ∖ -->
{
0
}
{\displaystyle R^{\times }=R\setminus \{0\}}
이다.
Z
× × -->
=
{
1
,
− − -->
1
}
{\displaystyle \mathbb {Z} ^{\times }=\{1,-1\}}
C
∗ ∗ -->
=
C
∖ ∖ -->
{
0
}
{\displaystyle \mathbb {C} ^{*}=\mathbb {C} \setminus \{0\}}
adj
{\displaystyle \operatorname {adj} }
고전적 수반 행렬
adj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adj} \mathbf {A} }
는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여인자 행렬 의 전치 행렬 이다.
adj
-->
(
− − -->
3
2
− − -->
5
− − -->
1
0
− − -->
2
3
− − -->
4
1
)
=
(
− − -->
8
18
− − -->
4
− − -->
5
12
− − -->
1
4
− − -->
6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j} {\begin{pmatrix}-3&2&-5\\-1&0&-2\\3&-4&1\end{pmatrix}}={\begin{pmatrix}-8&18&-4\\-5&12&-1\\4&-6&2\end{pmatrix}}}
det
{\displaystyle \operatorname {det} }
|
◻ ◻ -->
|
{\displaystyle |\Box |}
행렬식
det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det} \mathbf {A} }
또는
|
A
|
{\displaystyle |\mathbf {A} |}
는 행렬
A
{\displaystyle A}
의 행렬식을 의미한다.
det
(
a
b
c
d
)
=
|
a
b
c
d
|
=
a
d
− − -->
b
c
.
{\displaystyle \det {\begin{pmatrix}a&b\\c&d\end{pmatrix}}={\begin{vmatrix}a&b\\c&d\end{vmatrix}}=ad-bc.}
I
n
{\displaystyle I_{n}}
I
{\displaystyle I}
단위 행렬
I
n
{\displaystyle I_{n}}
은
n
× × -->
n
{\displaystyle n\times n}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
행렬의 크기가 중요하지 않거나 생략해도 되는 경우
I
{\displaystyle I}
로 쓰기도 한다.
I
3
=
(
1
0
0
0
1
0
0
0
1
)
{\displaystyle I_{3}={\begin{pmatrix}1&0&0\\0&1&0\\0&0&1\end{pmatrix}}}
diag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
대각 행렬
diag
-->
(
d
1
,
… … -->
,
d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d_{1},\dots ,d_{n})}
는
i
{\displaystyle i}
번째 대각 성분이
d
i
{\displaystyle d_{i}}
인 대각 행렬을 의미한다.
diag
-->
(
d
1
,
… … -->
,
d
n
)
=
(
d
1
d
2
⋱ ⋱ -->
d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d_{1},\dots ,d_{n})={\begin{pmatrix}d_{1}\\&d_{2}\\&&\ddots \\&&&d_{n}\end{pmatrix}}}
tr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
대각합
tr
-->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mathbf {A} )}
는 정사각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주대각선 성분들의 합을 의미한다.
A
=
(
1
0
3
11
5
2
6
12
− − -->
5
)
{\displaystyle \mathbf {A} ={\begin{pmatrix}1&0&3\\11&5&2\\6&12&-5\end{pmatrix}}}
에 대해
tr
-->
(
A
)
=
1
+
5
+
(
− − -->
5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mathbf {A} )=1+5+(-5)=1}
dim
{\displaystyle \dim }
차원
dim
-->
V
{\displaystyle \dim V}
,
dim
F
-->
V
{\displaystyle \dim _{F}V}
또는
[
V
:
F
]
{\displaystyle [V:F]}
는 체
F
{\displaystyle F}
위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기저 집합 의 크기 을 의미한다.
dim
-->
R
n
=
n
{\displaystyle \dim \mathbb {R} ^{n}=n}
rank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
rk
{\displaystyle \operatorname {rk} }
계수
rank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mathbf {A} }
또는
rk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rk} \mathbf {A} }
는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의 행공간 또는 열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
rank
-->
T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T}
또는
rk
-->
T
{\displaystyle \operatorname {rk} T}
는 선형 변환
T
{\displaystyle T}
의 상 의 차원을 의미한다.
A
=
(
1
0
0
0
)
{\displaystyle \mathbf {A} ={\begin{pmatrix}1&0\\0&0\end{pmatrix}}}
일 때
rank
-->
A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mathbf {A} =1}
T
:
(
x
,
y
)
↦ ↦ -->
(
x
,
0
)
{\displaystyle T:(x,y)\mapsto (x,0)}
으로 정의된 선형 변환
T
:
R
2
→ → -->
R
2
{\displaystyle T:\mathbb {R} ^{2}\to \mathbb {R} ^{2}}
에 대해
rank
-->
T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T=1}
ker
{\displaystyle \ker }
핵, 영공간
ker
-->
f
{\displaystyle \ker f}
는 선형 변환 또는 군 준동형사상 또는 환 준동형사상
f
{\displaystyle f}
에 대해 0으로 사상하는 정의역 의 원소들의 집합 을 의미한다.
T
:
(
x
,
y
)
↦ ↦ -->
x
{\displaystyle T:(x,y)\mapsto x}
로 정의된 선형 변환
T
:
R
2
→ → -->
R
{\displaystyle T:\mathbb {R} ^{2}\to \mathbb {R} }
에 대해
ker
-->
T
=
{
(
0
,
y
)
:
y
∈ ∈ -->
R
}
{\displaystyle \ker T=\{(0,y):y\in \mathbb {R} \}}
nullity
{\displaystyle \operatorname {nullity} }
퇴화차수
nullity
-->
T
{\displaystyle \operatorname {nullity} T}
는 선형 변환
T
{\displaystyle T}
의 핵 의 차원을 의미한다.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선형 변환
T
{\displaystyle T}
에 대해
rank
-->
T
+
nullity
-->
T
=
dim
-->
V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T+\operatorname {nullity} T=\dim V}
∼ ∼ -->
{\displaystyle \sim }
행렬의 닮음
A
∼ ∼ -->
B
{\displaystyle \mathbf {A} \sim \mathbf {B} }
는 행렬
A
{\displaystyle \mathbf {A} }
와
B
{\displaystyle \mathbf {B} }
가 닮음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cdot }
스칼라곱
u ⋅ v 은 벡터 u 과 v 의 스칼라곱을 의미한다.
(
1
,
2
,
5
)
⋅ ⋅ -->
(
3
,
4
,
− − -->
1
)
=
1
⋅ ⋅ -->
3
+
2
⋅ ⋅ -->
4
+
5
⋅ ⋅ -->
(
− − -->
1
)
=
6
{\displaystyle (1,2,5)\cdot (3,4,-1)=1\cdot 3+2\cdot 4+5\cdot (-1)=6}
× × -->
{\displaystyle \times }
벡터곱
u × v 는 벡터 u 과 v 의 벡터곱을 의미한다.
(
1
,
2
,
5
)
× × -->
(
3
,
4
,
− − -->
1
)
=
|
i
j
k
1
2
5
3
4
− − -->
1
|
=
(
− − -->
22
,
16
,
− − -->
2
)
{\displaystyle (1,2,5)\times (3,4,-1)={\begin{vmatrix}\mathbf {i} &\mathbf {j} &\mathbf {k} \\1&2&5\\3&4&-1\end{vmatrix}}=(-22,16,-2)}
⟨ ⟨ -->
◻ ◻ -->
,
◻ ◻ -->
⟩ ⟩ -->
{\displaystyle \langle \Box ,\Box \rangle }
내적
⟨ ⟨ -->
u
,
v
⟩ ⟩ -->
{\displaystyle \langle \mathbf {u} ,\mathbf {v} \rangle }
는 내적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원소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의 내적을 의미한다. 내적 공간 참조.
실수 에서 원소
x
,
y
∈ ∈ -->
R
{\displaystyle x,y\in \mathbb {R} }
의 내적은
⟨ ⟨ -->
x
,
y
⟩ ⟩ -->
:=
x
y
{\displaystyle \langle x,y\rangle :=xy}
⊥ ⊥ -->
{\displaystyle \perp }
직교
u
⊥ ⊥ -->
v
{\displaystyle \mathbf {u} \perp \mathbf {v} }
는 두 벡터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의 내적 이 0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otimes }
외적
u
⊗ ⊗ -->
v
{\displaystyle \mathbf {u} \otimes \mathbf {v} }
는 벡터
u
{\displaystyle \mathbf {u} }
와
v
{\displaystyle \mathbf {v} }
의 외적을 의미한다.
u
=
(
1
2
5
)
,
v
=
(
3
4
− − -->
1
)
{\displaystyle \mathbf {u} ={\begin{pmatrix}1\\2\\5\end{pmatrix}},\mathbf {v} ={\begin{pmatrix}3\\4\\-1\end{pmatrix}}}
에 대해
u
⊗ ⊗ -->
v
=
(
1
⋅ ⋅ -->
3
1
⋅ ⋅ -->
4
1
⋅ ⋅ -->
(
− − -->
1
)
2
⋅ ⋅ -->
3
2
⋅ ⋅ -->
4
2
⋅ ⋅ -->
(
− − -->
1
)
5
⋅ ⋅ -->
3
5
⋅ ⋅ -->
4
5
⋅ ⋅ -->
(
− − -->
1
)
)
=
(
3
4
− − -->
1
6
8
− − -->
2
15
20
− − -->
5
)
{\displaystyle \mathbf {u} \otimes \mathbf {v} ={\begin{pmatrix}1\cdot 3&1\cdot 4&1\cdot (-1)\\2\cdot 3&2\cdot 4&2\cdot (-1)\\5\cdot 3&5\cdot 4&5\cdot (-1)\end{pmatrix}}={\begin{pmatrix}3&4&-1\\6&8&-2\\15&20&-5\end{pmatrix}}}
텐서곱
V
⊗ ⊗ -->
W
{\displaystyle V\otimes W}
은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와
W
{\displaystyle W}
의 텐서곱을 의미한다.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displaystyle *}
이항 연산
임의의 이항 연산 을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 ∗ -->
{\displaystyle *}
를 사용한다.
군
G
{\displaystyle G}
는 이항 연산
∗ ∗ -->
{\displaystyle *}
가 주어진 집합
(
G
,
∗ ∗ -->
)
{\displaystyle (G,*)}
이다.
Z
(
◻ ◻ -->
)
{\displaystyle Z(\Box )}
군의 중심
Z
(
G
)
{\displaystyle Z(G)}
는 군
G
{\displaystyle G}
의 중심
{
z
∈ ∈ -->
G
:
∀ ∀ -->
g
∈ ∈ -->
G
,
z
g
=
g
z
}
{\displaystyle \{z\in G:\forall g\in G,zg=gz\}}
을 의미한다.
아벨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해
Z
(
G
)
=
G
{\displaystyle Z(G)=G}
이다.
× × -->
{\displaystyle \times }
∏ ∏ -->
{\displaystyle \prod }
직접곱
X
× × -->
Y
{\displaystyle X\times Y}
는 군 , 가군 ,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X
,
Y
{\displaystyle X,Y}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 ∏ -->
i
∈ ∈ -->
I
X
i
{\displaystyle \prod _{i\in I}X_{i}}
은 군 , 가군 ,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들의 모임
{
X
i
}
i
∈ ∈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Z
2
× × -->
Z
3
≃ ≃ -->
Z
6
{\displaystyle Z_{2}\times Z_{3}\simeq Z_{6}}
⋉ ⋉ -->
{\displaystyle \ltimes }
⋊ ⋊ -->
{\displaystyle \rtimes }
반직접곱
N
⋊ ⋊ -->
H
{\displaystyle N\rtimes H}
또는
H
⋉ ⋉ -->
N
{\displaystyle H\ltimes N}
은 군
N
{\displaystyle N}
과
H
{\displaystyle H}
의 반직접곱을 의미한다.
D
2
n
≃ ≃ -->
Z
n
⋊ ⋊ -->
Z
2
=
Z
n
⋉ ⋉ -->
Z
2
{\displaystyle D_{2n}\simeq Z_{n}\rtimes Z_{2}=Z_{n}\ltimes Z_{2}}
⊕ ⊕ -->
{\displaystyle \oplus }
직합
V
⊕ ⊕ -->
W
{\displaystyle V\oplus W}
은 벡터 공간 , 아벨 군 , 가군 등의 대수 구조
V
{\displaystyle V}
와
W
{\displaystyle W}
의 직합을 의미한다.
⨁ ⨁ -->
i
∈ ∈ -->
I
V
i
{\displaystyle \bigoplus _{i\in I}V_{i}}
은 벡터 공간 , 아벨 군 , 가군 등의 대수 구조 들의 모임
{
V
i
}
i
∈ ∈ -->
I
{\displaystyle \{V_{i}\}_{i\in I}}
의 직합을 의미한다.
I
{\displaystyle I}
가 유한 집합 인 경우 직접곱 과 같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대각화 가능한 선형 변환
T
{\displaystyle T}
의 고윳값
λ λ -->
1
,
⋯ ⋯ -->
,
λ λ -->
n
{\displaystyle \lambda _{1},\cdots ,\lambda _{n}}
에 대해,
V
=
⨁ ⨁ -->
1
≤ ≤ -->
i
≤ ≤ -->
n
ker
-->
(
T
− − -->
λ λ -->
i
I
)
{\displaystyle V=\bigoplus _{1\leq i\leq n}\ker(T-\lambda _{i}I)}
이다.
∐ ∐ -->
{\displaystyle \coprod }
쌍대곱
∐ ∐ -->
i
∈ ∈ -->
I
X
i
{\displaystyle \coprod _{i\in I}X_{i}}
는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의 집합
{
X
i
}
i
∈ ∈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쌍대곱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wr }
화환곱
(
G
,
A
)
≀ ≀ -->
(
H
,
B
)
{\displaystyle (G,A)\wr (H,B)}
은 반군
G
,
H
{\displaystyle G,H}
가 각각 집합
A
,
B
{\displaystyle A,B}
의 오른쪽에서 작용 할 때
(
G
,
A
)
{\displaystyle (G,A)}
와
(
H
,
B
)
{\displaystyle (H,B)}
의 화환곱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leq }
≥ ≥ -->
{\displaystyle \geq }
부분군
H
≤ ≤ -->
G
{\displaystyle H\leq G}
는 군
H
{\displaystyle H}
가 군
G
{\displaystyle G}
의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5
Z
≤ ≤ -->
Z
{\displaystyle 5\mathrm {Z} \leq \mathrm {Z} }
A
3
≤ ≤ -->
S
3
{\displaystyle \mathrm {A} _{3}\leq \mathrm {S} _{3}}
<
{\displaystyle <}
>
{\displaystyle >}
진부분군
H
<
G
{\displaystyle H<G}
는 군
H
{\displaystyle H}
가 군
G
{\displaystyle G}
의 진부분군임을 의미한다.
5
Z
<
Z
{\displaystyle 5\mathrm {Z} <\mathrm {Z} }
A
3
<
S
3
{\displaystyle \mathrm {A} _{3}<\mathrm {S} _{3}}
◃ ◃ -->
{\displaystyle \triangleleft }
▹ ▹ -->
{\displaystyle \triangleright }
정규 부분군
N
◃ ◃ -->
G
{\displaystyle N\triangleleft G}
또는
G
▹ ▹ -->
N
{\displaystyle G\triangleright N}
는
N
{\displaystyle N}
이
G
{\displaystyle G}
의 정규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해
Z
(
G
)
◃ ◃ -->
G
{\displaystyle Z(G)\triangleleft G}
/
{\displaystyle /}
몫공간
몫집합 , 몫군 , 몫환 등 몫공간 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군
G
{\displaystyle G}
,
N
{\displaystyle N}
에 대해
G
/
N
{\displaystyle G/N}
은 몫군 을 의미한다.
X
/
∼ ∼ -->
{\displaystyle X/\sim }
Z
[
x
]
/
(
x
2
+
1
)
≃ ≃ -->
Z
[
i
]
{\displaystyle \mathbb {Z} [x]/(x^{2}+1)\simeq \mathbb {Z} [i]}
Im
-->
(
f
)
≅ ≅ -->
G
/
ker
-->
(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f)\cong G/\ker(f)}
체의 확대
E
/
F
{\displaystyle E/F}
는 체
E
{\displaystyle E}
가 체
F
{\displaystyle F}
의 확대 임을 의미한다.
C
/
R
{\displaystyle \mathbb {C} /\mathbb {R} }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체의 차수
[
E
:
F
]
{\displaystyle [E:F]}
는 체의 확대
E
/
F
{\displaystyle E/F}
가 이루는 벡터 공간 의 차원을 의미한다.
[
C
:
R
]
=
2
{\displaystyle [\mathbb {C} :\mathbb {R} ]=2}
Aut
{\displaystyle \operatorname {Aut} }
자기 동형 사상군
Aut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ut} (X)}
는 대상 (특히, 군 )
X
{\displaystyle X}
의 자기동형사상 이 이루는 군을 의미한다.
체의 확대
E
/
F
{\displaystyle E/F}
가
|
Aut
-->
(
E
/
F
)
|
=
[
E
: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Aut} (E/F)|=[E:F]}
를 만족하면 이를 갈루아 확대 라 한다.
ob
(
◻ ◻ -->
)
{\displaystyle {\text{ob}}(\Box )}
대상의 모임
ob
(
C
)
{\displaystyle {\text{ob}}({\mathcal {C}})}
는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hom
(
◻ ◻ -->
)
{\displaystyle {\text{hom}}(\Box )}
hom
◻ ◻ -->
(
◻ ◻ -->
)
{\displaystyle {\text{hom}}_{\Box }(\Box )}
mor
(
◻ ◻ -->
)
{\displaystyle {\text{mor}}(\Box )}
사상 들의 모임
hom
(
C
)
{\displaystyle {\text{hom}}({\mathcal {C}})}
는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사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hom
(
X
,
Y
)
{\displaystyle {\text{hom}}(X,Y)}
또는
hom
C
(
X
,
Y
)
{\displaystyle {\text{hom}}_{\mathcal {C}}(X,Y)}
,
mor
(
X
,
Y
)
{\displaystyle {\text{mor}}(X,Y)}
,
C
(
X
,
Y
)
{\displaystyle {\mathcal {C}}(X,Y)}
는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
X
{\displaystyle X}
에서
Y
{\displaystyle Y}
로 가는 사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 ◻ -->
op
{\displaystyle \Box ^{\text{op}}}
반대 범주
C
op
{\displaystyle {\mathcal {C}}^{\text{op}}}
는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모든 사상의 방향을 반대로 뒤집은 반대 범주를 의미한다.
가환 그림
범주론 에서, 시작과 끝이 같은 모든 경로가 모두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는 그림을 가환 그림이라 한다.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displaystyle ()}
연산 순서
(
)
{\displaystyle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순서쌍 , 2차원 좌표
(
a
,
b
)
{\displaystyle (a,b)}
는 두 대상
a
,
b
{\displaystyle a,b}
의 순서쌍을 의미한다. 2차원 좌표계의 점을 순서쌍으로 나타낸다.
(
◻ ◻ -->
,
⋯ ⋯ -->
,
◻ ◻ -->
)
{\displaystyle (\Box ,\cdots ,\Box )}
튜플 , 좌표
(
a
1
,
⋯ ⋯ -->
,
a
n
)
{\displaystyle (a_{1},\cdots ,a_{n})}
은 대상
a
1
,
⋯ ⋯ -->
,
a
n
{\displaystyle a_{1},\cdots ,a_{n}}
의
n
{\displaystyle n}
-튜플을 의미한다. n차원 좌표계 의 점을 튜플로 나타낸다.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
◻ ◻ -->
,
◻ ◻ -->
)
{\displaystyle [\Box ,\Box )}
구간
(
a
,
b
)
{\displaystyle (a,b)}
는
a
{\displaystyle a}
보다 크고
b
{\displaystyle b}
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열린구간이다.
[
a
,
b
]
{\displaystyle [a,b]}
는
a
{\displaystyle a}
보다 크거나 같고
b
{\displaystyle b}
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닫힌구간이다.
[
a
,
b
)
{\displaystyle [a,b)}
는
a
{\displaystyle a}
보다 크거나 같고
b
{\displaystyle b}
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
a
,
b
]
{\displaystyle (a,b]}
는
a
{\displaystyle a}
보다 크고
b
{\displaystyle b}
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
|
◻ ◻ -->
|
|
{\displaystyle ||\Box ||}
노름
|
|
x
|
|
{\displaystyle ||x||}
는 노름 공간 의 원소
x
{\displaystyle x}
의 노름을 의미한다.
⌊ ⌊ -->
⋅ ⋅ -->
⌋ ⌋ -->
{\displaystyle \lfloor \cdot \rfloor }
[
⋅ ⋅ -->
]
{\displaystyle [\cdot ]}
바닥함수
⌊ ⌊ -->
x
⌋ ⌋ -->
{\displaystyle \lfloor x\rfloor }
또는
[
x
]
{\displaystyle [x]}
는 실수
x
{\displaystyle x}
보다 같거나 작은 가장 큰 정수 를 의미한다.
⌊ ⌊ -->
1.7
⌋ ⌋ -->
=
1
{\displaystyle \lfloor 1.7\rfloor =1}
⌈ ⌈ -->
⋅ ⋅ -->
⌉ ⌉ -->
{\displaystyle \lceil \cdot \rceil }
천장함수
⌈ ⌈ -->
x
⌉ ⌉ -->
{\displaystyle \lceil x\rceil }
는 실수
x
{\displaystyle x}
보다 같거나 큰 가장 작은 정수 를 의미한다.
⌈ ⌈ -->
1.7
⌉ ⌉ -->
=
2
{\displaystyle \lceil 1.7\rceil =2}
{
⋅ ⋅ -->
}
{\displaystyle \{\cdot \}}
부분 분수 함수
{
x
}
{\displaystyle \{x\}}
는 실수
x
{\displaystyle x}
에 대해
{
x
}
=
x
− − -->
⌊ ⌊ -->
x
⌋ ⌋ -->
{\displaystyle \{x\}=x-\lfloor x\rfloor }
을 의미한다.
{
1.7
}
=
0.7
{\displaystyle \{1.7\}=0.7}
⟨ ⟨ -->
|
{\displaystyle \langle \ |}
브라 벡터
⟨φ |는 벡터 |φ ⟩의 쌍대를 의미한다.
|
⟩ ⟩ -->
{\displaystyle |\ \rangle }
켓 벡터
|φ ⟩는 φ 표시와 함께 표기되는 벡터를 의미한다. 힐베르트 공간 안에 있다.
[
n
]
q
{\displaystyle [n]_{q}}
큐-아날로그 (큐-브라켓)
(
a
;
q
)
n
{\displaystyle (a;{\color {red}{q}})_{n}}
큐-포흐하머 기호 (q-Pochhammer symbol) 또는 큐-쉬프티드 팩토리얼(q-shifted factorial)
미분류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 -->
{\displaystyle \infty }
무한
∞ ∞ -->
{\displaystyle \infty }
는 어떤 값의 상한 또는 하한 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어떤 자연수 또는 실수 보다도 큰 상태를 의미하거나, 연산이 끝없이 수행함을 의미하거나, 집합의 크기 를 나타내거나, 무한원점 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이다.
lim
x
→ → -->
0
1
x
=
∞ ∞ -->
{\displaystyle \lim _{x\to 0}{\frac {1}{x}}=\infty }
∫ ∫ -->
0
∞ ∞ -->
e
− − -->
x
2
d
x
=
π π -->
2
{\displaystyle \int _{0}^{\infty }e^{-x^{2}}dx={\frac {\sqrt {\pi }}{2}}}
리만 구
C
∞ ∞ -->
{\displaystyle \mathbb {C} _{\infty }}
는 복소수
C
{\displaystyle \mathbb {C} }
에
∞ ∞ -->
{\displaystyle \infty }
를 추가하여 구조를 부여한 복소다양체 이다.
∣ ∣ -->
{\displaystyle \mid }
약수
m
∣ ∣ -->
n
{\displaystyle m\mid n}
은 정수
m
{\displaystyle m}
이 정수
n
{\displaystyle n}
의 약수임을 의미한다.
7
∣ ∣ -->
42
{\displaystyle 7\mid 42}
∤ ∤ -->
{\displaystyle \nmid }
약수 가 아님
m
∤ ∤ -->
n
{\displaystyle m\nmid n}
은 정수
m
{\displaystyle m}
이 정수
n
{\displaystyle n}
의 약수가 아님을 의미한다.
5
∤ ∤ -->
42
{\displaystyle 5\nmid 42}
∥ ∥ -->
{\displaystyle \parallel }
평행
l
1
∥ ∥ -->
l
2
{\displaystyle l_{1}\parallel l_{2}}
는 두 선분 혹은 직선
l
1
,
l
2
{\displaystyle l_{1},l_{2}}
가 서로 평행함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perp }
수직
l
1
⊥ ⊥ -->
l
2
{\displaystyle l_{1}\perp l_{2}}
는 두 선분 혹은 직선
l
1
,
l
2
{\displaystyle l_{1},l_{2}}
가 서로 수직임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circ }
도
∘ ∘ -->
{\displaystyle \circ }
는 1회전을 360등분한 평면 각도 의 단위 를 의미한다.
90
∘ ∘ -->
{\displaystyle 90^{\circ }}
′
{\displaystyle '}
분
1
′
{\displaystyle 1'}
은
1
∘ ∘ -->
{\displaystyle 1^{\circ }}
를 60등분한 평면 각도 의 단위 를 의미한다.
″
{\displaystyle ''}
초
1
″
{\displaystyle 1''}
는
1
′
{\displaystyle 1'}
을 60등분한 평면 각도 의 단위 를 의미한다.
rad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
라디안
rad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
는 단위원 중심각에 해당하는 호 의 길이 와 값이 같도록 하는 평면 각도 의 단위 를 의미한다.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라디안 단위를 생략한다.
π π -->
rad
=
180
∘ ∘ -->
{\displaystyle \pi \operatorname {rad} =180^{\circ }}
sr
{\displaystyle \operatorname {sr} }
스테라디안
sr
{\displaystyle \operatorname {sr} }
는 단위구 중심각에 해당하는 곡면 의 넓이 와 값이 같도록 하는 입체각 의 단위 를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uparrow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 -->
{\displaystyle \uparrow }
는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에서 쓰이는 연산자이다.
!
{\displaystyle !}
계승
자연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해
n
!
{\displaystyle n!}
는
1
× × -->
2
× × -->
⋯ ⋯ -->
× × -->
n
{\displaystyle 1\times 2\times \cdots \times n}
을 의미한다.
4
!
=
1
× × -->
2
× × -->
3
× × -->
4
=
24
{\displaystyle 4!=1\times 2\times 3\times 4=24}
준계승
자연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해
!
n
{\displaystyle !n}
는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에 대한 완전순열 의 수를 의미한다.
!
n
=
Γ Γ -->
(
n
+
1
,
− − -->
1
)
e
=
[
n
!
e
]
{\displaystyle !n={\frac {\Gamma (n+1,-1)}{e}}=\left[{\frac {n!}{e}}\right]}
◻ ◻ -->
P
◻ ◻ -->
{\displaystyle {}_{\Box }P_{\Box }}
k -순열
n
P
k
{\displaystyle {}_{n}P_{k}}
는 서로 다른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에서 중복 없이
k
{\displaystyle k}
개를 골라 순서 있게 나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 를 의미한다.
n
k
_ _ -->
,
P
n
,
k
,
P
(
n
,
k
)
{\displaystyle n^{\underline {k}},P_{n,k},P(n,k)}
로도 쓴다.
5
P
2
=
5
⋅ ⋅ -->
4
=
20
{\displaystyle {}_{5}P_{2}=5\cdot 4=20}
(
◻ ◻ -->
◻ ◻ -->
)
{\displaystyle {\binom {\Box }{\Box }}}
◻ ◻ -->
C
◻ ◻ -->
{\displaystyle {}_{\Box }C_{\Box }}
이항 계수
(
n
k
)
{\displaystyle {\binom {n}{k}}}
또는
n
C
k
{\displaystyle {}_{n}C_{k}}
는 이항식 을 이항 정리 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 를 의미한다.
n
!
k
!
(
n
− − -->
k
)
!
{\displaystyle {\frac {n!}{k!(n-k)!}}}
와 같은 값이며,
C
(
n
,
k
)
{\displaystyle C(n,k)}
로도 쓴다.
(
5
2
)
=
5
!
2
!
(
5
− − -->
2
)
!
=
10
{\displaystyle {\binom {5}{2}}={\frac {5!}{2!(5-2)!}}=10}
P
(
◻ ◻ -->
/
◻ ◻ -->
)
{\displaystyle P(\Box /\Box )}
P
(
◻ ◻ -->
∣ ∣ -->
◻ ◻ -->
)
{\displaystyle P(\Box \mid \Box )}
조건부 확률
P
(
A
/
B
)
{\displaystyle P(A/B)}
또는
P
(
A
∣ ∣ -->
B
)
{\displaystyle P(A\mid B)}
는 사건
B
{\displaystyle B}
가 일어났을 때 사건
A
{\displaystyle A}
가 일어날 조건부 확률 을 의미한다.
∼ ∼ -->
{\displaystyle \sim }
확률 분포
확률 변수 가 특정 확률 분포를 따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확률 변수
X
{\displaystyle X}
가 표준 정규 분포 를 따를 때,
X
∼ ∼ -->
N
(
0
,
1
)
{\displaystyle X\sim N(0,1)}
라 쓴다.
argmax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max} }
argmin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min} }
아그 맥스 와 아그 민
argmax
S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max} _{S}f}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와 전순서 집합
Y
{\displaystyle Y}
에 대해 주어진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에 대해
{
x
∈ ∈ -->
S
:
f
(
s
)
≤ ≤ -->
f
(
x
)
∀ ∀ -->
s
∈ ∈ -->
S
}
{\displaystyle \{x\in S~:~f(s)\leq f(x)\ \forall s\in S\}}
을 의미한다.
argmin
S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argmin} _{S}f}
은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부분집합
S
{\displaystyle S}
와 전순서 집합
Y
{\displaystyle Y}
에 대해 주어진 함수
f
:
X
→ → -->
Y
{\displaystyle f:X\to Y}
에 대해
{
x
∈ ∈ -->
S
:
f
(
s
)
≥ ≥ -->
f
(
x
)
∀ ∀ -->
s
∈ ∈ -->
S
}
{\displaystyle \{x\in S~:~f(s)\geq f(x)\ \forall s\in S\}}
을 의미한다.
σ σ -->
{\displaystyle \sigma \!\,}
약수 함수
∗ ∗ -->
{\displaystyle *}
클레이니 스타 또는 복소켤레
x
n
¯ ¯ -->
,
(
x
)
n
,
x
(
x
)
,
x
n
_ _ -->
{\displaystyle x^{\overline {n}},\;\;(x)^{n},\;\;x_{(x)},\;\;x^{\underline {n}}}
포흐하머 기호 (상승 팩토리얼, 하강 팩토리얼)
† † -->
{\displaystyle {}^{\dagger }\!\,}
소멸자 및 생성자
수식이 아닌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
{\displaystyle :}
그러한 (such that); ...하기 위해서(so that)
:는 "그러한 (such that)" 또는 "...하기 위해서(so that)"를 의미하며, 증명이나 조건제시법 에서 쓰인다.
∃ n ∈ ℕ: n 는 홀수이다.
∴ ∴ -->
{\displaystyle \therefore }
그러므로; 따라서
증명에서 논리적 귀결 앞에 쓰인다.
인간은 도덕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이다. (단, 이것은 항상은 아니다. 예 : 사람은 동물이다. 사자는 동물이다. ∴사람은 사자이다. 이것은 모순 이다.)
∵ ∵ -->
{\displaystyle \because }
왜냐하면
증명에서 근거 앞에 사용된다.
11은 소수 이다. ∵ 그 자신과 1 이외에 다른 약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 -->
{\displaystyle \blacksquare }
◻ ◻ -->
{\displaystyle \Box }
▸ ▸ -->
{\displaystyle \blacktriangleright }
Q.E.D.
증명 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중략) 따라서 증명이 완료된다. ■
약자
기호
의미
설명
e
.
g
.
{\displaystyle e.g.}
e
x
{\displaystyle ex}
예를 들면(for example)
s
.
t
.
{\displaystyle s.t.}
such that
앞의 문장이 후술하는 조건을 충족시킴을 의미한다.
i
.
e
.
{\displaystyle i.e.}
바꾸어 말하면(that is 또는 [áiìː])
iff
{\displaystyle {\textrm {iff}}}
if and only if
양쪽 문장이 서로 필요충분조건 임을 의미한다.
viz
{\displaystyle {\textrm {viz}}}
즉(namely)
def
{\displaystyle {\textrm {def}}}
정의(definition)
thm
{\displaystyle {\textrm {thm}}}
정리 (theorem)
pf
{\displaystyle {\textrm {pf}}}
증명 (proof)
sol
{\displaystyle {\textrm {sol}}}
풀이(solution)
W
L
O
G
{\displaystyle WLOG}
일반성을 잃지 않고(without loss of generality)
T
F
A
E
{\displaystyle TFAE}
the following are equivalent
다음에 서술하는 조건들이 동치 임을 의미한다.
W
T
S
{\displaystyle WTS}
want to show
다음에 서술하는 것을 증명 하려 함을 의미한다.
iid
{\displaystyle {\textrm {iid}}}
독립 동일 분포(independently and identically distributed)
주어진 확률 분포 가 독립항등분포임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