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호

수학 기호(數學記號, 영어: mathematical symbol)는 수학에서 쓰는 기호로서, , 계산,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기호로 사칙연산+ (더하기표), − (빼기표), × (곱하기표), ÷ (나누기표)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수학 기호의 이름은 유명한 수학자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차용하여 짓기도 한다.

아래는 수학 기호의 목록이다.

기초 연산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더하기 와 수 를 더한 값을 의미한다.
빼기 에서 수 를 뺀 값을 의미한다.
음의 부호 반수를 의미한다.
플러스마이너스 에 대해 를 모두 의미한다. 이다.
측정에서의 범위 에 대해 부터 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mmmmmm를 의미한다.


곱하기 또는 와 수 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기호를 생략해 로 쓰기도 한다.



나누기 또는 0이 아닌 수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분수 0이 아닌 수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소수 는 소수로 나타낸 실수를 의미한다.



순환소수 소수점 아래 반복되는 마디 위에 선을 긋거나 마디 양끝 위에 점을 찍어 순환소수를 표현한다.



제곱근 양수 제곱근을 의미한다.
거듭제곱근 제곱근을 의미한다.
^
거듭제곱 ^ 또는 거듭제곱을 의미한다. 인 경우 제곱을 의미한다.

^

절댓값 의 절댓값을 의미한다.
유한합 의 유한합을 의미한다.

집합론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공집합 원소가 없는 공집합을 의미한다.
한원소 집합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의미한다.
원소나열법으로 표현한 집합 중괄호 안에 원소를 나열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집합을 표현한다.


조건제시법으로 표현한 집합 또는 에 대한 술어 에 대하여, 이 되도록 하는 원소 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포함관계 또는 원소 집합 에 속함을 의미한다.


미포함관계 또는 원소 집합 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분집합 , , ,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진부분집합 , 집합 가 집합 의 진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저자에 따라 , 이 진부분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부분집합이 아님 , , ,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의미한다.


합집합 집합 에 속하거나 집합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

는 어떤 에 대해 집합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에 대해,



교집합 집합 와 집합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

는 모든 에 대해 집합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에 대해,









분리합집합 , , 집합 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

, 는 주어진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 에 대해


여집합 또는 전체집합 의 원소 중 가 아닌 것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로 쓰기도 한다.



차집합 또는 집합 의 원소 중 집합 에 있지 않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곱집합 집합 의 곱집합 을 의미한다.

는 주어진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함수 표기법 함수 집합 에서 집합 로 사상함을 의미한다. 정의역공역실수함수이다.
함수 표기법 또는 함수 정의역의 원소 공역의 원소 에 대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 대한 임을 의미한다.
함수의 합성 함수 의 합성 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함수 에 대해 의 원소 의 상을 의미한다.

또는 , , 함수 에 대해 부분집합 의 상 를 의미한다.

또는 함수 의 상 를 의미한다.

와 같은 의미이다.

로 정의된 함수 에 대해

함수의 제한 는 함수 정의역부분집합 로의 제한을 의미한다. 으로 정의된 복소 함수 에 대해, 으로 정의된 실함수 가 된다.
원상 또는 , , , 함수 에 대한 부분집합 의 원상 을 의미한다. 으로 정의된 함수 에 대해
역함수 함수 의 역함수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멱집합 또는 집합 부분집합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로도 쓴다.
함수 전체집합 집합 에서 집합 로 사상하는 함수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의 크기 또는 집합 의 크기를 의미한다. , 로도 쓴다.



전단사 함수 또는 집합 사이에 전단사 함수가 존재함을, 즉 크기가 같음을 의미한다.

논리 및 관계 기호

논리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동치 명제 이면 명제 도 참이고, 거짓이면 도 거짓임을 의미한다.








논리적 부정 명제 에 대해 , , , , 는 모두 부정을 의미한다.
논리합 명제 둘 중 하나 이상이 일 때 참, 둘 다 거짓일 때 거짓인 명제를 의미한다.
논리곱 명제 가 모두 일 때 참, 둘 중 하나 이상이 거짓일 때 거짓인 명제를 의미한다.






실질적 함의 , , , 는 술어 일 때 술어 도 참임을 의미한다. 즉 와 논리적으로 같다.
보편 양화사 는 술어 가 모든(임의의) 변수 에 대해 임을 의미한다.
존재 양화사 는 술어 이 되도록 하는 (어떤)변수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유일 한정자 는 술어 이 되도록 하는 (어떤)변수 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의미한다.
  • 관계대수
  • 항진, 언제나 참
  • 모순
  • 명제 논리
  • 명제 논리
  • 합, 불 논리
  • 곱, 불 논리

관계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등호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부등호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근삿값 의 근삿값임을 의미한다. ≃, ≅, ~, ≒로도 쓸 수 있다.

동형 또는 는 두 대수 구조 동형임을 의미한다.
합동 또는 는 두 도형 이 서로 합동임을 의미한다.
항등식 등식변수의 값과 상관없이 항상 성립함을 의미한다.
동치관계 집합원소 가 동치 관계임을 의미한다.
닮음 는 두 도형 이 서로 닮음임을 의미한다.

비례 또는 에 비례함을 의미한다. 일 때 라 쓴다.



정의 기호 는 대상 수식 로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순서론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부등호 , , , 는 주어진 부분 순서(특히, 실수)에서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등호 , , , 는 주어진 부분 순서(특히, 실수)에서 보다 작거나 같음을, 즉 보다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등호 또는 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훨씬'이라는 말은 명확하게 정의된 것이 아니라 서술하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이다.


원순서 또는 는 주어진 원순서에서 보다 작거나 같음을 의미한다.


최대 원소 부분 순서 집합부분집합 의 모든 원소보다 큰 원소를 의미한다.

부분 순서 집합 전체에서의 최대 원소를 또는 1로 표기한다.

실수의 부분집합 에 대해,


최소 원소 부분 순서 집합부분집합 의 모든 원소보다 작은 원소를 의미한다.

부분 순서 집합 전체에서의 최소 원소를 또는 0으로 표기한다.

실수의 부분집합 에 대해,


상한 또는 원순서 집합부분집합 에 대해 의 상한을 의미한다. 실수의 부분집합 에 대해,


하한 또는 원순서 집합부분집합 에 대해 의 하한을 의미한다. 실수의 부분집합 에 대해,

기호

집합 기호

기호 의미 정의
자연수 집합 . 경우에 따라 0을 포함하기도 한다.
정수 집합
p진 정수환 (p소수) p진수 참고

에 대한 몫환 모듈러 산술 참고
n으로 하는 정수곱셈군
유리수 집합
p진체 p진수 참고
실수 집합 실수의 구성 참고
복소수 집합 . 허수 단위이다.
사원수 집합 . 기저이다.
팔원수 집합 팔원수 참고

GF(q)
유한체 (q소수거듭제곱) 원소의 개수가 개인 (p소수) 유한체
기호 의미 설명
자연수 1
곱셈 항등원 일반적으로 의 곱셈의 항등원을 1로 표기한다.
정수 0
덧셈 항등원 일반적으로 의 덧셈의 항등원을 0으로 표기한다.
원주율 는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이다. 해석적으로는 사인 함수가 0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양수로 정의된다.
자연로그의 밑 로 정의되는 초월수이다.
허수 단위 제곱해서 -1이 되는 복소수이다. 로 쓰기도 한다.

기타

기호 의미 설명 예시

자연수 집합 또는 순서수로서의 자연수 집합, 즉 가장 작은 무한 순서수이다.
알레프 수 알레프 수는 무한 기수를 나타내는 표기법이다.
알레프 제로 자연수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수이다.

실수크기 또는 는 실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수이다.
베트 수 베트 수는 가산 무한 집합의 거듭된 멱집합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법이다.
최대공약수 은 적어도 하나가 0이 아닌 두 정수(일반적으로, 가환환의 원소) 을 동시에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가장 큰 수를 의미한다.
최소공배수 은 두 정수(일반적으로, 가환환의 원소) 으로 동시에 나누어 떨어지는 가장 작은 양수를 의미한다.

켤레복소수 또는 복소수 의 켤레복소수를 의미한다.
실수부 복소수 의 실수부를 의미한다.
허수부 복소수 의 허수부를 의미한다.


편각 복소수 의 편각을 의미하며 여러 개의 값을 가진다.

복소수 의 편각 중 사이의 값을 갖는 주편각을 의미한다.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대입 에 대한 함수 를 대입한 값 를 의미한다. 를 의미한다. 에 대해 .

극한 함수의 극한 또는 수열의 극한 참고


미분라그랑주 표기법 함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은 각각 함수 의 이계 도함수와 삼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미분뉴턴의 표기법 는 일반적으로 시간 에 의존하는 변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가 물체의 위치를 의미하는 변수이면 는 물체의 속도를 의미한다.
미분라이프니츠의 표기법 변수 에 의존하는 변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는 단일 변수 에 의존하는 함수 의 도함수를 의미하고, 에서의 도함수의 값을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편미분 , , , 변수 에 의존하는 함수 에 대한 편미분을 의미한다. 에 대해
경계 위상 공간부분 공간 의 경계를 의미한다.
부정적분 도함수인 함수를 의미한다.
정적분 구간 위에서 정의된 함수 의 정적분을 의미한다.
선적분 곡선 위의 함수 의 선적분을 의미한다.
폐곡선의 선적분, 경로적분 또는 폐곡선 위의 함수 의 선적분을 의미한다. 복소평면 위의 단위원 에 대해
이중적분, 면적분 는 곡면 위의 함수 의 면적분을 의미한다.
\oiint 폐곡면의 면적분 \oiint 는 폐곡면 위의 함수 의 면적분을 의미한다.
델 연산자 스칼라 함수기울기, 또는 벡터 함수발산, 회전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벡터 연산자이다. 벡터 미적분학 참고. 함수 에 대해
증분 독립 변수 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유한차분 또는 함수 의 차분 를 의미한다.
라플라시안 함수 의 라플라시안을 의미한다. -평면에서의 함수 에 대해,
합성곱 함수 의 합성곱 을 의미한다.
거리 거리 공간의 원소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에 대해
지름 거리 공간부분집합 에 속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상한이다.


는 주어진 거리 공간 의 원소 실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을 의미한다.

유수 유리형 함수 고립 특이점 에서의 유수를 의미한다.

함수

기호 의미 설명 예시





삼각함수 삼각함수 참조.






역삼각함수 역삼각함수 참조.






쌍곡선 함수 쌍곡선 함수 참조.





역쌍곡함수 쌍곡선 함수 참조.


로그 거듭제곱가 되도록 하는 수를 의미한다. 또는 자연로그를 의미한다. 가 10인 상용로그로 쓰이기도 한다. 로그의 엄밀한 정의는 로그 참고.

대수학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행렬 번째 행 번째 열의 성분이 행렬을

또는 로 표기한다. 또는 로 표기하기도 한다.

역행렬 행렬 의 역행렬을 의미한다. 에 대해








전치 행렬 , , , , 행렬 의 전치 행렬을 의미한다.






켤레 전치 , ,, 복소 행렬 의 켤레 전치를 의미한다. 에 대해
쌍대 공간 벡터 공간 의 쌍대 공간을 의미한다.


가역원으로 이루어진 곱셈군 에 대해 또는 가역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인 경우 이다.



고전적 수반 행렬 행렬 여인자 행렬전치 행렬이다.


행렬식 또는 행렬 의 행렬식을 의미한다.


단위 행렬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

행렬의 크기가 중요하지 않거나 생략해도 되는 경우 로 쓰기도 한다.

대각 행렬 번째 대각 성분이 인 대각 행렬을 의미한다.
대각합 정사각 행렬 주대각선 성분들의 합을 의미한다. 에 대해
차원 , 또는 위의 벡터 공간 기저 집합크기을 의미한다.


계수 또는 행렬 의 행공간 또는 열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

또는 선형 변환 의 차원을 의미한다.

일 때

으로 정의된 선형 변환 에 대해

핵, 영공간 선형 변환 또는 군 준동형사상 또는 환 준동형사상 에 대해 0으로 사상하는 정의역의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로 정의된 선형 변환 에 대해
퇴화차수 선형 변환 의 차원을 의미한다. 벡터 공간 위의 선형 변환 에 대해
행렬의 닮음 행렬 가 닮음임을 의미한다.
스칼라곱 uv벡터 uv의 스칼라곱을 의미한다.
벡터곱 u × v벡터 uv의 벡터곱을 의미한다.
내적 내적 공간 의 원소 의 내적을 의미한다. 내적 공간 참조. 실수에서 원소 의 내적은
직교 는 두 벡터 내적이 0임을 의미한다.
외적 벡터 의 외적을 의미한다. 에 대해

텐서곱 벡터 공간 의 텐서곱을 의미한다.
기호 의미 설명 예시
이항 연산 임의의 이항 연산을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를 사용한다. 는 이항 연산 가 주어진 집합 이다.
군의 중심 의 중심 을 의미한다. 아벨 군 에 대해 이다.


직접곱 ,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반직접곱 또는 의 반직접곱을 의미한다.
직합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 의 직합을 의미한다.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의 직합을 의미한다. 유한 집합인 경우 직접곱과 같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위의 대각화 가능한 선형 변환 고윳값 에 대해, 이다.
쌍대곱 범주 의 대상의 집합 의 쌍대곱을 의미한다.
화환곱 반군 가 각각 집합 의 오른쪽에서 작용할 때 의 화환곱을 의미한다.


부분군 가 군 의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진부분군 가 군 의 진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정규 부분군 또는 의 정규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에 대해
몫공간 몫집합, 몫군, 몫환몫공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 에 대해 몫군을 의미한다.


체의 확대 가 체 확대임을 의미한다.
체의 차수 는 체의 확대 가 이루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
자기 동형 사상군 대상(특히, ) 자기동형사상이 이루는 군을 의미한다. 체의 확대 를 만족하면 이를 갈루아 확대라 한다.
대상의 모임 범주 의 대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사상들의 모임 범주 의 사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또는 , , 범주 의 대상 에서 로 가는 사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반대 범주 는 범주 의 모든 사상의 방향을 반대로 뒤집은 반대 범주를 의미한다.
가환 그림 범주론에서, 시작과 끝이 같은 모든 경로가 모두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는 그림을 가환 그림이라 한다.

괄호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연산 순서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순서쌍, 2차원 좌표 는 두 대상 의 순서쌍을 의미한다. 2차원 좌표계의 점을 순서쌍으로 나타낸다.
튜플, 좌표 은 대상 -튜플을 의미한다. n차원 좌표계의 점을 튜플로 나타낸다.






구간 보다 크고 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열린구간이다.
보다 크거나 같고 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닫힌구간이다.
보다 크거나 같고 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보다 크고 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노름 노름 공간원소 의 노름을 의미한다.


바닥함수 또는 실수 보다 같거나 작은 가장 큰 정수를 의미한다.
천장함수 실수 보다 같거나 큰 가장 작은 정수를 의미한다.
부분 분수 함수 실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브라 벡터 φ|는 벡터 |φ⟩의 쌍대를 의미한다.
켓 벡터 |φ⟩는 φ 표시와 함께 표기되는 벡터를 의미한다. 힐베르트 공간 안에 있다.
  • 큐-아날로그(큐-브라켓)
  • 큐-포흐하머 기호(q-Pochhammer symbol) 또는 큐-쉬프티드 팩토리얼(q-shifted factorial)

미분류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무한 는 어떤 값의 상한 또는 하한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어떤 자연수 또는 실수보다도 큰 상태를 의미하거나, 연산이 끝없이 수행함을 의미하거나,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거나, 무한원점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이다.

리만 구 복소수 를 추가하여 구조를 부여한 복소다양체이다.

약수 정수 이 정수 의 약수임을 의미한다.
약수가 아님 정수 이 정수 의 약수가 아님을 의미한다.
평행 는 두 선분 혹은 직선 가 서로 평행함을 의미한다.
수직 는 두 선분 혹은 직선 가 서로 수직임을 의미한다.
는 1회전을 360등분한 평면 각도단위를 의미한다.
를 60등분한 평면 각도단위를 의미한다.
을 60등분한 평면 각도단위를 의미한다.
라디안 단위원 중심각에 해당하는 길이와 값이 같도록 하는 평면 각도단위를 의미한다.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라디안 단위를 생략한다.
스테라디안 단위구 중심각에 해당하는 곡면넓이와 값이 같도록 하는 입체각단위를 의미한다.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는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에서 쓰이는 연산자이다.
계승 자연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준계승 자연수 에 대해 개의 원소에 대한 완전순열의 수를 의미한다.
k-순열 는 서로 다른 개의 원소에서 중복 없이 개를 골라 순서 있게 나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로도 쓴다.


이항 계수 또는 이항식이항 정리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를 의미한다. 와 같은 값이며, 로도 쓴다.


조건부 확률 또는 는 사건 가 일어났을 때 사건 가 일어날 조건부 확률을 의미한다.
확률 분포 확률 변수가 특정 확률 분포를 따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확률 변수 표준 정규 분포를 따를 때, 라 쓴다.


아그 맥스아그 민 집합 부분집합 전순서 집합 에 대해 주어진 함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집합 부분집합 전순서 집합 에 대해 주어진 함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수식이 아닌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그러한 (such that);
...하기 위해서(so that)
:는 "그러한 (such that)" 또는 "...하기 위해서(so that)"를 의미하며, 증명이나 조건제시법에서 쓰인다. n ∈ ℕ: n는 홀수이다.
그러므로;
따라서
증명에서 논리적 귀결 앞에 쓰인다. 인간은 도덕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이다. (단, 이것은 항상은 아니다. 예 : 사람은 동물이다. 사자는 동물이다. ∴사람은 사자이다. 이것은 모순이다.)
왜냐하면 증명에서 근거 앞에 사용된다. 11은 소수이다. ∵ 그 자신과 1 이외에 다른 약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Q.E.D. 증명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중략) 따라서 증명이 완료된다. ■

약자

기호 의미 설명

예를 들면(for example)
such that 앞의 문장이 후술하는 조건을 충족시킴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that is 또는 [áiìː])
if and only if 양쪽 문장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임을 의미한다.
즉(namely)
정의(definition)
정리(theorem)
증명(proof)
풀이(solution)
일반성을 잃지 않고(without loss of generality)
the following are equivalent 다음에 서술하는 조건들이 동치임을 의미한다.
want to show 다음에 서술하는 것을 증명하려 함을 의미한다.
독립 동일 분포(independently and identically distributed) 주어진 확률 분포가 독립항등분포임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

각주

  1. Goldrei, Derek (1996), 《Classic Set Theory》, London: Chapman and Hall, 4쪽, ISBN 0-412-606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