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이다. 파란색 집합 Y 는 함수 f 의 공역이다. Y 의 노란색 부분집합은 정의역의 상 또는 f 의 치역 이다.
수학 에서 어떤 함수의 공역 (共域, 영어 : codomain, target set ) 또는 공변역 (共變域)은 이 함수의 값들이 속하는 집합이다.
정의
수학 에서, 함수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모든 원소를 각각 집합
Y
{\displaystyle Y}
의 한 원소에 대응시키는 수학적 구조다. 이 경우,
Y
{\displaystyle Y}
를
f
{\displaystyle f}
의 공역 이라고 한다. 반면,
X
{\displaystyle X}
는
f
{\displaystyle f}
의 정의역 이다.
모든
y
∈ ∈ -->
Y
{\displaystyle y\in Y}
에 대하여,
f
(
x
)
=
y
{\displaystyle f(x)=y}
인
x
∈ ∈ -->
X
{\displaystyle x\in X}
가 존재할 필요는 없다. 즉, 공역의 모든 원소가 정의역 의 상 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정의역의 상 , 즉
f
(
x
)
=
y
{\displaystyle f(x)=y}
인
x
∈ ∈ -->
X
{\displaystyle x\in X}
가 존재하는
y
{\displaystyle y}
들의 집합을
f
{\displaystyle f}
의 치역 이라고 한다. 치역은 항상 공역의 부분집합이지만, 치역이 공역과 같을 필요는 없다.
현대적 관점에서, 함수는 정의역과 공역 및 이들 사이의 관계(그래프)로 구성된다. 즉, 그래프가 같더라도 공역이 다르다면 두 함수를 다른 함수로 간주한다.
예
함수
f
{\displaystyle f}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고 하자.
f
: : -->
R
→ → -->
R
{\displaystyle f\colon \mathbb {R} \to \mathbb {R} }
f
: : -->
x
↦ ↦ -->
x
2
{\displaystyle f\colon x\mapsto x^{2}}
이 경우,
f
{\displaystyle f}
의 공역은
R
{\displaystyle \mathbb {R} }
이지만,
f
{\displaystyle f}
의 치역은
[
0
,
∞ ∞ -->
)
⊂ ⊂ -->
R
{\displaystyle [0,\infty )\subset \mathbb {R} }
이다.
함수
g
{\displaystyle g}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고 하자.
g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g\colon \mathbb {R} \to [0,\infty )}
g
: : -->
x
↦ ↦ -->
x
2
{\displaystyle g\colon x\mapsto x^{2}}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는 같은 그래프를 가지지만, 현대적 관점에서는 두 함수는 같지 않다. 그 이유는 두 함수의 공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함수를 하나 더 정의해 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다.
h
: : -->
x
↦ ↦ -->
x
{\displaystyle h\colon x\mapsto {\sqrt {x}}}
정의역은 반드시
[
0
,
∞ ∞ -->
)
{\displaystyle [0,\infty )}
로 정의되어야 한다.
h
: : -->
[
0
,
∞ ∞ -->
)
→ → -->
R
{\displaystyle h\colon [0,\infty )\to \mathbb {R} }
이제 함수를 합성 해 보자.
h
∘ ∘ -->
f
{\displaystyle h\circ f}
h
∘ ∘ -->
g
{\displaystyle h\circ g}
이 둘 중에서 어떤 합성 함수가 올바른 것인가?
밝혀진 대로, 첫 번째 것은 올바른 합성 함수가 아니다.
f
{\displaystyle f}
의 치역을 알지 못한다고 가정하면(확실히 알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이렇게 가정해야 한다), 단지 치역이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일부가 된다는 것밖에 알지 못한다. 그러면 제곱근이 음수에 대하여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제 모순점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분명치 못하며, 이런 것은 피해야 한다. 함수의 합성은 따라서 오른쪽 함수의 공역과 왼쪽 함수의 정의역이 같아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역은 함수를 합성하는 시점에서는 결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역은 전사 함수 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도 영향을 줄 수 있다.
g
{\displaystyle g}
는 전사 함수인데,
f
{\displaystyle f}
는 그렇지 않다. 공역은 함수가 단사 함수 인지 아닌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