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에서 구성 가능 전체(構成可能全體, 영어: constructible universe)는 재귀적으로 1차 논리로 정의 가능한 집합들로 구성된 모임이다. 구성 가능 전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추이적 모형을 이루며, 그 속에는 선택 공리 · 일반화 연속체 가설 · 다이아몬드 원리와 같은 여러 명제들이 성립한다. 구성 가능성 공리(構成可能性公理, 영어: axiom of constructibility, 기호 )는 모든 집합이 구성 가능하다는 명제이다.
정의
모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1항 관계 가 추가된 언어 의 모형 를 생각하자. 이 모형에서 의 해석은 이며, 의 해석은 표준적이다 (즉, 추이적 모형이다).
그렇다면, 집합 의 -구성 가능 멱집합(-構成可能冪集合, 영어: -constructible power set) 는 유한 개의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언어의 1차 논리 술어로 정의할 수 있는 의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이다. 즉, 이항 관계 및 1항 관계 에 대한, 개의 자유 변수를 갖는 1차 논리 술어 및 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정의 가능 멱집합 연산 은 집합을 그 멱집합의 부분 집합으로 대응시키며, 따라서 누적 위계를 정의한다.
추이적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에 의하여 정의되는 누적 위계를 로 표기하며, 구성 가능 위계(영어: constructible hierarchy)라고 한다. 흔히 일 경우 로 표기하며, 일 경우 흔히 로 표기한다. (일부 문헌에서는 를 대신 로 정의한다. 물론, 만약 이라면 이는 차이가 없다.) 의 원소를 구성 가능 집합(構成可能集合, 영어: constructible set)이라고 한다.
과 의 차이에 대하여 가나모리 아키히로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
는 생성 집합으로 모형을 구성하는 대수학적 아이디어를 실현하며, 는 를 술어로 간주하여 모형을 구성하는 아이디어를 실현한다. While realizes the algebraic idea of building up a model starting from a basis of generators, realizes the idea of building up a model using construed as a predicate.
|
”
|
|
|
성질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을 가정하자.
일반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물론, 만약 라면
이다.
항상
이다. 특히, 만약 가 유한 집합이라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및 는 유한 합집합 · 유한 교집합 · 여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어, 의 부분 불 대수를 이룬다.
구성 가능 전체
항상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나 일 필요는 없으며, 이거나 일 필요는 없다.
각 순서수 에 대하여
이다. 또한, 만약 가 유한하다면 이다.
구성 가능성 공리는 모든 집합이 구성 가능하다는 명제이다. 즉, 이라는 명제이다 (는 폰 노이만 전체). 즉, 구성 가능성 공리에 따르면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인 순서수 가 존재한다. 만약 구성 가능성 공리가 성립하고, 또한 순서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예를 들어, 이는 가 도달 불가능한 기수일 경우 성립한다.)
모형 이론적 성질
은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표준 모형이며, 폰 노이만 전체 의 내부 모형이다. 특히, 에서 선택 공리가 성립하지 않아도, 은 선택 공리를 만족시킨다. 이는 은 정의 가능한 정렬 순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의 정렬 순서가 주어졌다면, 의 원소는 의 유한 개의 원소들 및 (사전식으로 정렬되는) 1차 논리 술어로서 명시되므로, 이로서 정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순서가 주어졌다면, 선택 공리에서 요구되는 선택 함수는 단순히 이 정렬 순서에 대한 최솟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에서는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따라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 구성 가능성 공리는 아래 명제들을 함의한다.)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가장 작은 표준 모형이다.
- 의 내부 모형이다.
- 모든 순서수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 구성 가능성 공리로부터, 선택 공리를 비롯한 위 명제들을 증명할 수 있다. 특히, 구성 가능성 공리가 큰 기수들의 존재와 모순되기 때문에, 플라톤주의적 수리철학 아래 보통 구성 가능성 공리는 집합론의 공리로 가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퍼넬러피 매디(영어: Penelope Maddy)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하여 가나모리 아키히로와 메나헴 마기도르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
따라서, 충분히 큰 기수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의 균등 생성에 대한 다양한 강한 내재적 구조적 묘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은 매우 얇은 내적 모형임을 알 수 있다 — 헐벗은 폐허의 성가대석(聖歌隊席)들이 달라붙은 가냘픈 생명선(生命線, 즉 순서수의 모임)에 불과하다.
Thus, in the presence of a suitably large cardinal in the universe, many strong results about the uniform generation of L now follow from this intrinsic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L takes on the character of a very thin inner model indeed, bare ruined choirs appended to the slender life-giving spine which is the class of ordinals.
|
”
|
|
|
역사
1935년 가을에 쿠르트 괴델이 구성 가능 전체 을 도입하였으며,[4]:270, §4.9:280, §4.10 이를 통하여 이 선택 공리 및 일반화 연속체 가설이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과 모순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이 결과는 1938년에 출판되었다.[5][1]:234
는 1956년에 허이널 언드라스(헝가리어: Hajnal András, 1931~)가 도입하였으며,[6][7][1]:234 는 1957년에 아즈리엘 레비가 도입하였다.[8][9][1]:235
이후 1972년에 로널드 비언 젠슨(영어: Ronald Björn Jensen)이 구성 가능 전체의 미세 구조(영어: fine structure)의 이론을 젠슨 위계(영어: Jensen hierarchy)를 통해 정립하였다.[10]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다 라 Kanamori, Akihiro (2006). “Levy and set theory” (PDF). 《Annals of Pure and Applied Logic》 (영어) 140: 233–252. doi:10.1016/j.apal.2005.09.009. Zbl 1089.03004. 2016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Maddy, Penelope (1988년 6월). “Believing the axioms I” (PDF). 《Journal of Symbolic Logic》 (영어) 53 (2): 481–511. doi:10.2307/2274520. JSTOR 2274520.
- ↑ Kanamori, Akihiro; Magidor, Menachem (1978). 〈The evolution of large cardinal axioms in set theory〉 (PDF). Müller, Gert H.; Scott, Dana S. 《Higher set theory: proceedings, Oberwolfach, Germany, April 13–23, 1977》.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669. Springer-Verlag. 99–275쪽. doi:10.1007/BFb0103104. ISBN 978-3-540-08926-1. ISSN 0075-8434.
- ↑ Moore, Gregory H. (1982). 《Zermelo’s axiom of choice: its origins, development, and influence》. Studie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hysical Sciences (영어) 8.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3-9478-5. ISBN 978-0-486-48841-7. ISSN 0172-570X.
- ↑ Gödel, Kurt (1938). “The consistency of the axiom of choice and of the generalized continuum-hypothes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영어). doi:10.1073/pnas.24.12.556. JFM 64.0035.01. JSTOR 87239. PMC 1077160. PMID 16577857. Zbl 0020.29701.
- ↑ Hajnal, András (1956). “On a consistency theorem connected with the generalized continuum problem”. 《Zeitschrift für Mathematische Logik und Grundlagen der Mathematik》 (영어) 2 (8–9): 131–136. doi:10.1002/malq.19560020804.
- ↑ Hajnal, András (1961). “On a consistency theorem connected with the generalized continuum problem”. 《Acta Mathematic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영어) 12 (3): 321–376. doi:10.1007/BF02023921. ISSN 0001-5954.
- ↑ Lévy, Azriel (1957). “Indépendance conditionnelle de V=L et d’axiomes qui se rattachent au système de M. Gödel”.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45: 1582–1583.
- ↑ Lévy, Azriel (1960). “A generalization of Gödel’s notion of constructibility”. 《The Journal of Symbolic Logic》 (영어) 25: 147–155.
- ↑ Jensen, Ronald Björn (1972년 8월). “The fine structure of the constructible hierarchy”. 《Annals of Mathematical Logic》 (영어) 4 (3): 229–308. doi:10.1016/0003-4843(72)90001-0.
- Devlin, Keith J. (1984). 《Constructibility》. Perspectives in Mathematical Logic (영어) 6. Springer-Verlag. ISBN 3-540-13258-9. MR 0750828. Zbl 0542.03029.
- Devlin, Keith J. (1977). 《The axiom of constructibility: a guide for the mathematician》.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617.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70208. ISBN 978-3-540-08520-1. ISSN 0075-8434.
- Devlin, Keith J. (1973). 《Aspects of constructibility》.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354.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59290. ISBN 978-3-540-06522-7. ISSN 0075-8434.
- Devlin, Keith J. (1974). 〈An introduction to the fine structure of the constructible hierarchy〉. Fenstad, J. E.; Hinman, P. G. 《Generalized recursion theory: proceedings of the 1972 Oslo symposium》. Studies in Logic and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영어) 79. Elsevier. 123–163쪽. doi:10.1016/S0049-237X(08)70585-8. ISBN 978-0-444-10545-5.
- Stanley, Lee (1983). 〈A short course on gap-one morasses with a review of the fine structure of L〉. A. R. D. Mathias. 《Surveys in Set Theory》.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영어) 87. 197–244쪽. doi:10.1017/CBO9780511758867.008. ISBN 978-0-52127733-4. MR 0823781. Zbl 0538.03041.
- Hamkins, Joel David (2014년 1월). 〈A multiverse perspective on the axiom of constructibility〉. Chong, Chitat; Feng, Qi; Slaman, Theodore A.; Woodin, W. Hugh. 《Infinity and truth》. Lecture Notes Series,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영어) 25. World Scientific. 25–45쪽. arXiv:1210.6541. Bibcode:2012arXiv1210.6541H. doi:10.1142/9789814571043_0002. ISBN 978-981-4571-03-6. MR 320507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