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공화국
국가 코소보 공화국 국가 수도 프리슈티나 북위 42° 40′ 00″ 동경 21° 10′ 00″ / 북위 42.666667° 동경 21.166667° / 42.666667; 21.166667 정치체제 공화제 , 단일국가 , 의원내각제 대통령 비오사 오스마니 총리 알빈 쿠르티 설립 세르비아 로부터 분리 • 독립 선언1 2008년 2월 17일 면적 10,908 km2 시간대 CET (UTC +1)DST CEST 공용어 알바니아어 , 세르비아어 2020년 어림1,810,463명 (151위) 인구 밀도 159명/km2 GDP (PPP )2020년 어림값 • 전체 $235억 • 일인당 $13,017 GDP (명목)2020년 어림값 통화 유로 (EUR )종교 이슬람교 95.6%기독교 3.7% 기타 0.3%도메인 .xk (제안)1 코소보는 2018년 2월 17일 기준으로 107개 유엔 회원국 , 중화민국 , 쿡 제도 , 니우에 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고, 일부 국가는 코소보를 인정할 의향이 있다고 입장을 표명하였다.
코소보 [ 1] (알바니아어 : Kosova 코소바 , 세르비아어 : Косово / Kosovo 코소보 , 문화어 : 꼬쏘보)는 동남유럽 에 위치한 영토 분쟁 지역이자[ 2] [ 3] 부분적 승인 국가 이다.[ 4] [ 5] 2008년 코소보 독립선언 이후 세르비아 에서 독립해 코소보 공화국 (알바니아어 : Republika e Kosovës 레푸블리카 에 코소버스 , 세르비아어 : Република Косово / Republika Kosovo 레푸블리카 코소보 )이라는 국명을 채택했다.
코소보는 발칸반도 의 내륙국 이다. 발칸반도 내에서 전략적 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은 아드리아해 , 흑해 와 중앙 및 남부 유럽을 연결하는 요충지 역할을 했다. 코소보의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는 프리슈티나 로 다른 주요 지역에는 프리즈렌 , 페야 (페치), 자코바 (자코비차) 등이 있다. 코소보는 남서쪽으로 알바니아 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남동쪽으로는 북마케도니아 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국경 서쪽에는 몬테네그로 가 있으며 북쪽과 동쪽에는 세르비아 의 자치 지역 및 행정 지역이 있다. 러시아는 코소보의 정부가 다스리는 영토 내 행정 지역은 인정하고 있지만[ 6] 세르비아는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라는 명칭 하에 코소보를 자기 영토라 주장하고 있다.
역사
코소보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 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빈차 문화 , 스트라체보 문화 , 바덴 문화 로 대표된다. 고전 고대 에서는 일리리아인 , 다르다니안 , 켈트인 이 이 지역에서 거주했다. 기원전 168년 이 지역은 로마 제국 에 병합되었다.[ 7] 중세 시대 에는 불가리아 제1제국 , 비잔티움 제국 , 오스만 제국 이 이 지역을 다스렸다. 1389년 코소보 전투 는 세르비아 중세 시기의 중요한 시기로 보기도 한다. 세르비아인들에게 코소보는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에 맞서 항전한 성지로 여겨졌다. 국가는 세르비아 중세 국가들의 핵심 지역이었고 14세기에는 세르비아 정교회 가 자리잡기도 했다.[ 8] [ 9]
코소보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오스만 제국 의 영토였다. 19세기 말 코소보는 알바니아 민족자각운동 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1차 발칸 전쟁 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이후 1913년 런던 조약 에서 오스만 제국은 코소보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할양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두 국가 모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 에 참여했고, 유고슬라비아 통일주의 하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의 헌법 하에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가 탄생했다.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공동체 간의 갈등은 20세기에 심화되고 있었다. 코소보는 원래 1971년 부터 알바니아인들에게 자치가 허용된 지역이었다. 1992년 에는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로 민족주의 가 대두되어 각지에서 독립을 외치자 세르비아 정부가 자치권을 박탈하였다. 1990년대에 코소보에 거주하고 있던 소수의 세르비아인들은 코소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알바니아인들을 문화 탄압, 일자리 박탈, 인종 정화라는 이름의 학살 로 탄압했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일어난 코소보 전쟁 에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 개입하면서 코소보는 유엔 의 통치를 받는 자치 지역이 되었다. 2008년 2월 17일 코소보는 세르비아 로부터 독립선언을 했고, 2019년 11월 22일 기준으로 93개의 유엔 회원국 과 중화민국 , 쿡 제도 , 니우에 로부터 독립을 승인받았다.[ 10] 러시아는 코소보를 국가로 승인하진 않았지만,[ 11] 2013년 브뤼셀 협정에서 입법 기구의 적법성만 승인했다.[ 12]
지형
이 지역은 2개의 큰 산간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의 코소보 분지에는 시트니차강이 흐르며, 서쪽의 메토히야 분지에는 알바니아와 경계를 이루는 벨리드림강이 흐른다.
인구와 주민
2011년 조사[ 13] 에 따르면, 주민의 민족 구성은 코소보인 (알바니아인)이 92.9%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밖의 주요 민족은 아래의 언어 사용자 구성 비율과 거의 같다.
언어
공용어 는 알바니아어 와 세르비아어 이다. 이 중 알바니아어 를 모어 (母語)로 사용하는 주민이 전체 인구의 94.5%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다. 그 밖에 보스니아어 사용자가 1.7%, 세르비아어 사용자가 1.6%, 튀르키예어 사용자가 1.1%, 롬어 (집시어) 사용자가 0.9%를 점한다. 공용어 는 알바니아어 와 세르비아어 이다.[ 13]
세르비아인 다수 거주지
붉은 색 : 코소보의
세르비아인 다수 거주 지역
하늘색 : 코소보의
세르비아인 다수 거주 지역 (북부: 4개 지자체, 남부: 6개 지자체)
행정구역
종교
코소보에는 이슬람교 신자가 95.6%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으며, 로마 가톨릭 신자가 2.2%, 동방 정교회 신자가 1.5% 있다.[ 13]
도시
동쪽의 주요 도시는 수도인 프리슈티나 와 미트로비차 (코소브시카미트로비차)가 있다. 서쪽의 주요 도시로는 페야 (페치)와 프리즈렌 이 있다.
산업
광물자원으로 갈탄 ·석유 ·마그네사이트 등이 있다. 이 지역은 구 유고슬라비아 소속이었던 국가들 중에서 가장 개발이 안 된 곳이지만 발칸반도 에서 토지가 비옥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곡물(밀·콩·옥수수)을 비롯해 채소·담배·대마·사과·포도 재배 등이 활발하다.
외교
*짙은 녹색 : 수교국 *옅은 녹색 : 국가승인 을 하였으나 미수교국
코소보는 2019년 11월 22일 기준으로 93개 유엔 회원국 으로부터 독립 국가로 승인 받았으나, 세르비아 는 코소보의 독립 을 승인하지 않고 있으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 상임이사국인 러시아 , 중국 등도 유사한 입장이어서 유엔 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14]
구 유고슬라비아 소속이었던 국가들 중에서는 세르비아 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를 제외한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 북마케도니아 , 몬테네그로 로부터 국가로 승인받고 있다.
국제 스포츠
코소보는 2014년 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에 가입하여 올림픽 참가 자격을 취득했으며,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 에서 코소보의 국기를 달고 처음으로 참가해 여자 유도에서 금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15] 일본 도쿄 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에서도 여자 유도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며 유도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2008년 에 독립 선언을 하였지만,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에는 참가 자격이 없어서 일부 선수들이 알바니아 국적으로 참가하였다.[ 15]
코소보가 독립한 이후 코소보 선수단은 대한민국 평창 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에서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 에 참가하였으나, 메달은 획득하지 못했다.
문화
음식
코소보 요리는 주변 국가의 요리와 비슷하며, 터키 요리와 알바니아 요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일반적인 음식에는 뵈레크 , 파이, 플리아 , 케밥 , 수주크 및 기타 소시지, 박제 피망 , 양고기, 콩, 사르마 , 부리얀, 피타 및 쌀이 포함된다. 빵과 유제품은 코소보 요리에서 중요한 주식이다.
각주
↑ “Kosovo – definition of Kosovo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 The Free Dictionary. 2013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Michael Rossi (2014년 10월 30일). “Five more inconvenient truths about Kosovo” . 《TransConflict》.
↑ Engjellushe Morina (April 2014). “Brussels "First Agreement" – A year after” (PDF) . kas.de.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it has been a highly disputed territory
↑ Coppieters, Bruno; Fotion, Nick (2008). 《Moral Constraints on War: Principles and Cases》 seco판. Lexington Books. 245쪽. ISBN 978-0-7391-2129-0 .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Dr. Krylov, Aleksandr. “Is Kosovo Legally Recognised As A State International Law Essay” . 《Analyticon》. 2016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Gvosdev, Nikolas K. (2013년 4월 24일). “Kosovo and Serbia Make a Deal” . Foreign Affairs.
↑ Papazoglu, Fanula (1978). 《The Central Balkan Tribe in Pre-Roman Times: Triballi, Autariatae, Dardanians, Scordisci and Moesians》 . ISBN 978-90-256-0793-7 .
↑ Sharpe, M.E. 《Ethnic Groups and Population Changes in Twentieth-Century Central-Eastern Europe》 . 364쪽.
↑ 《RFE/RL Research Report: Weekly Analyses from the RFE/RL Research Institute, Том 3》.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 “보관된 사본” . 2020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3일에 확인함 .
↑ “7 Years of Kosovo » Howard Smith of Geelong” . 2016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Kosovo Home” .
↑ 가 나 다 CIA The World Factbook Archived 2018년 12월 24일 - 웨이백 머신 CIA, 2017년 5월 14일 확인. 다만, 이 조사는 북코소보 가 제외되었고, 남부의 세르비아인 주민 상당수도 조사를 거부하였다.
↑ https://1tv.ge/en/news/nauru-revoked-its-decision-to-recognise-kosovo-as-an-independent-state/
↑ 가 나 코소보 첫 金 "작고 가난한 나라도 할 수 있다" CBS노컷뉴스, 2016.8.8.
외부 링크
회원국 참관국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