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지리적 분포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아프리카의 뿔, 사헬, 몰타
계통적 분류주요 어족 중 하나로 다른 주요 어족과의 관계가 명확히 알려진 바 없음.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afro1255[1]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지리적 분포.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의 사용 지역(노란색)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또는 아프로아시아어족(영어: Afroasiatic languages)은 약 300개의 언어가 소속된 거대한 어족이다.[2] 추정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000년에서 18,000년 전에는 하나의 언어였을 것으로 학자들은 생각한다. 세계에서 가장 기록된 역사가 오래되고 잘 확립된 어족으로서, 이 어족에 포함되는 언어들은 서아시아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에서 우세하게 사용되며 사헬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1950년 조지프 그린버그에 의해 처음 정립된 분류로서, 옛날에는 셈족함족이라는 민족 분류에 따라 함셈어족(영어: Hamito-Semitic)[3] 혹은 셈함어족(영어: Semito-Hamitic)[4]이라고도 불렸다.

오늘날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은 5억 명 이상의 모어 화자를 가졌고, 인도유럽어족중국티베트어족, 니제르콩고어족에 이어) 모든 어족 중 4번째로 큰 어족이다.[5] 이 어족은 베르베르어파, 차드어파, 쿠시어파, 이집트어파, 오모어파, 셈어파라는 여섯 어파로 나뉜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혹은 방언연속체는 단연 아랍어이다. 아랍어는 셈어파에서 사실상 구분되는 언어 변이형들의 집합으로서, 약 3억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졌으며, 주로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다.[6]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는 현재 사용되는 언어 이외에도 여러 중요한 고대 언어가 속한다. 고대 이집트어셈어파에 속하는 아카드어, 성서 히브리어, 고대 아람어와 같은 언어들이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원향 및 최초의 공통 조상 언어(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사용된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역사언어학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원향으로 제안된 지역에는 북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뿔, 사하라 동부, 레반트 지역이 있다.

분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 사이의 계통관계 (Lipiński 2001)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분류에 대한 여러 학설의 비교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6개의 어파가 있다는 것에는 일반적으로 합의가 되어 있으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을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은 몇 가지 사항에서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오모어파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가장 논쟁적인 일원인데, 대부분의 언어학자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를 분류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시하는 문법 형태소가 "부재하거나 확연히 불안정"하기 때문이다(Hayward 1995). Greenberg(1963)와 다른 학자들은 오모어파를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일부로 간주하는 한편, 다른 학자들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포함되긴 하는지 의심하고 있다(예: Theil 2006)[7].
  • 옹고타어의 정체성과 위치도 널리 의문시된다. 옹고타어의 "혼합된" 모습과 연구 및 자료의 부족함 때문이다. 해럴드 플레밍(Harold C. Fleming, 2006)은 옹고타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독자적인 분류를 구성한다고 제안했다.[8] Bonny Sands(2009)는 Savà & Tosco(2003)의 제안이 가장 설득력 있다고 말한다. 즉, 옹고타어는 동쿠시어파이며 나일사하라어족 기층 언어와 혼합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옹고타인들은 한때 나일사하라 언어를 구사했으나 쿠시어파의 언어로 언어를 바꾸었고 그 때문에 이전에 사용하던 나일사하라 언어의 특징을 간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7]
  • 베자어파는 종종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독립된 어파로 제시되지만 더 일반적으로는 쿠시어파로 분류되며, 내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지닌다.
  • 쿠시어파의 다양한 분파가 실제로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는지 종종 의문시된다. 그러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포함된다는 것은 의심받지 않는다.
  • 오모어파를 제외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다섯 어파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도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은 드문 일이 아니며, 다른 잘 확립된 어족에서도 일어난다. 예를 들어 학자들은 인도유럽어족의 내적 분류에 대해서도 자주 다른 의견을 보인다.
  • 메로에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미분류된 언어로 제안되었다(Bruce Trigger, 1964,[9] 1977[10]). 어족의 다른 언어와 음소배열론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분류를 확증할 충분한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Fritz Hintze, 1974,[11] 1979[12]).

인구

아랍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3억명이 넘는 모어 화자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 중 널리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원 시기

고대 아람어의 후손인 셈어파 신아람어의 음성 샘플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가장 오래된 기록 증거는 고대 이집트어 비문이며 기원전 3,400년(54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25]이집트 신성문자를 닮은 게르제(나카다 II) 토기의 상징은 대략 기원전 4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기원 시기는 적어도 이보다는 오래되어야 한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조어와 매우 다르며(Trombetti 1905: 1–2), 두 언어 사이에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했어야 한다. 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사용된 연대의 추정치는 학자마다 크게 다르다. 기원 시기의 추정치는 기원전 7,500년경 (9,500년 전)에서 기원전 16,000년경(18,000년 전) 사이에 해당한다. 이고르 디야코노프(Diakonoff, 1988: 33n)에 따르면, 아프리카아시아조어는 기원전 10,000년경에 사용됐다. Christipher Ehret(2002: 35–36)은 아프리카아시아조어가 늦어도 11,000년경, 어쩌면 가장 이르게는 기원전 16,000년경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연대는 다른 조어들에 부여된 기원 시기들보다 이르다.

기원지와 확산

과거에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기원지를 오리엔트에서 찾는 시각도 있었지만, 현재는 북동쪽 아프리카의 수단에티오피아 부근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확산과 관련하는 유전자로서 Y염색체 하플로 그룹 E1b1b 계통을 들 수 있다[26]. E1b1b는 북동 아프리카에서 발상되었으며, 이러한 언어 계통수, Y염색체 계통수 모두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아프리카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문법적 유사성

여러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의 동사 패러다임:
언어 → 아랍어 카빌어 소말리어 베자어 하우사어
동사 → katab afeg naw
의미 → 쓰다 날다 오다 실패하다 마시다
singular 1 ʼaktubu ttafgeɣ imaadaa anáw ina shan
2f taktubīna tettafgeḍ timaadaa tináwi kina shan
2m taktubu tináwa kana shan
3f tettafeg tináw tana shan
3m yaktubu yettafeg yimaadaa ináw yana shan
dual 2 taktubāni
3f
3m yaktubāni
plural 1 naktubu nettafeg nimaadnaa nínaw muna shan
2m taktubūna tettafgem timaadaan tínawna kuna shan
2f taktubna tettafgemt
3m yaktubūna ttafgen yimaadaan ínawna suna shan
3f yaktubna ttafgent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가 광범위하게 공유하는(그러나 모두가 공유하는 것은 아닌) 특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강조자음의 존재. 언어에 따라 성문음화된 자음이나 후두음화된 자음, 방출음 등으로 다양하게 실현된다.
  • VSO형 언어유형론을 기본으로 SVO형의 경향.
  • 단수형에서 두 을 갖는 체계. 여성은 /t/로 표시.
  • 모든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어파는 사동 접사 s의 증거를 가짐.
  • 셈어와 베르베르어, 쿠시어파(베자어 포함) 차드어파는 소유격 접사를 갖고 있음.
  • 니스바 파생이 -j (전기 이집트어) 또는 (셈어)로 실현됨[27]
  • 어근 내부의 변이(모음의 변화 및 자음 중복)와 접두사, 접미사를 모두 이용하여 단어가 굴절하는 형태론.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공유되는 특징 한 가지는 접미사를 이용하는 동사 활용으로(이 단락 첫부분의 표를 참고), /ʔ t n y/로 시작하는 접미사들의 독특한 패턴을 가지며, 특히 3인칭 단수 남성의 /y-/가 3인칭 단수 여성과 2인칭 단수의 /t-/와 대립하는 패턴을 가진다.

Ehret(1996)에 따르면, 오모어파와 차드어파 및 특정 쿠시어파에서 성조 언어들이 나타난다. 셈어파와 베르베르어파, 이집트어파에서는 일반적으로 성조를 음소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공유하는 어휘

실하어(베르베르어파)의 음성 샘플
소말리어(쿠시어파)의 음성 샘플
아랍어(셈어파)의 음성 샘플

다음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동계어의 몇 가지 예시로, 열 가지 대명사와 3 개의 명사, 3개의 동사를 포함한다.

출처: Christopher Ehret,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주의사항: Ehret는 그의 어원에서 베르베르어를 이용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1995: 12). "베르베르조어 어휘의 광범위한 재구는 대안적으로 가능한 어원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아직 이용 가능하지 않다." 이곳에 있는 베르베르어 동계어는 영어 위키백과 문서의 옛 버전에서 가져온 것이며, 추후 빈 자리를 채우고 출처를 달 필요가 있다.
기호 목록: Ehret(1995: 70)을 따라, 모음 위의 반대 곡절은 ˇ상승 성조를 나타내며, 모음 위의 곡절 ^는 하강 성조를 나타낸다. V는 알려지지 않은 속성의 모음을 나타내며. Ɂ는 성문파열음을 나타낸다. *는 관련 언어들 사이의 비교를 통해 재구된 형태를 나타낸다.
아프리카아시아조어 오모어파 쿠시어파 차드어파 이집트어파 셈어파 베르베르어파
*Ɂân- / *Ɂîn- 또는 *ân- / *în- ‘내가’ (독립 대명사) *in- ‘내가’ (Maji (북오모어군)) *Ɂâni ‘내가’ *nV ‘I’ ink, *ʲānak '내가' *Ɂn ‘내가’ nek / nec ‘내가, 나를’
*i 또는 *yi ‘나를, 나의’ (의존) i ‘내가, 나를 , 나의’ (아리어 (남오모어군)) *i 또는 *yi ‘나의’ *i ‘나를, 나의’ (의존) -i, *-aʲ (1인칭 단수 접미사) *-i ‘나를, 나의’ inu / nnu / iw ‘my’
*Ɂǎnn- / *Ɂǐnn- 또는 *ǎnn- / *ǐnn- ‘우리’ *nona / *nuna / *nina (북오모어군) *Ɂǎnn- / *Ɂǐnn- ‘우리’ inn, *ʲānan ‘우리’ *Ɂnn ‘우리’ nekni / necnin / neccin ‘우리’
*Ɂânt- / *Ɂînt- 또는 *ânt- / *înt- ‘너’ *int- ‘너’ *Ɂânt- ‘너’ nt-, *ʲānt- ‘너’ *Ɂnt ‘너’ netta "그" (keyy / cek "너"(남성) )
*ku, *ka ‘너’ (남성 단수, 의존) *ku ‘너의’ (남성 단수) (PSC) *ka, *ku (남성 단수) -k (2인칭 남성 단수) -ka (2인칭 남성 단수 접미사) (아랍어) inek / nnek / -k "너의" (남성 단수)
*ki ‘너’ (여성 단수, 의존) *ki ‘너의’ (여성 단수) *ki ‘너’ (여성 단수) -ṯ (여성 단수 접미사, < *ki) -ki (2인칭 단수 여성 접미사. ) (아랍어) -m / nnem / inem "너의" (여성 단수)
*kūna ‘너희’ (의존) *kuna ‘너희의’ (PSC) *kun ‘너희’ -ṯn, *-ṯin ‘너희’ *-kn ‘너희, 너희의’(여성 복수) -kent, kennint "너희" (여성 복수)
*si, *isi ‘그, 그녀, 그것’ *is- ‘그가’ *Ɂusu ‘그가’, *Ɂisi ‘그녀가’ *sV ‘그가’ sw, *suw ‘그가, 그를’, sy, *siʲ ‘그녀가, 그녀를’ *-šɁ ‘그가’, *-sɁ ‘그녀가’ (MSA) -s / nnes / ines "그의/그녀의/그것의"
*ma, *mi ‘무엇?’ *ma- ‘무엇?’ (NOm) *ma, *mi (의문사 어근) *mi, *ma ‘무엇?’ m ‘무엇?’, ‘누구?’ (아랍어, 히브리어) / mu? (아시리아어) ‘무엇?’ ma? / mayen? / min? "무엇?"
*wa, *wi ‘무엇?’ *w- ‘무엇?’ *wä / *wɨ ‘무엇?’ (아가우어) *wa ‘누구?’ wy ‘어떻게...!’ mamek? / mamec? / amek? "어떻게?
*dîm- / *dâm- ‘피’ *dam- ‘피’ (공가어) *dîm- / *dâm- ‘red’ *d-m- ‘피’ (서차드어군) i-dm-i ‘붉은 리넨’ *dm / dǝma (아시리아어) / dom (히브리어) ‘피’ idammen "피"
*îts ‘형제’ *itsim- ‘형제’ *itsan or *isan ‘형제’ *sin ‘형제’ sn, *san ‘형제’ aẖ (Hebrew) "형제" uma / gʷma "형제"
*sǔm / *sǐm- ‘이름’ *sum(ts)- ‘이름’ (북오모어군) *sǔm / *sǐm- ‘이름’ *ṣǝm ‘이름’ smi ‘보고하다 ,알리다’ *ism (아랍어) / shǝma (아시리아어) ‘이름’ isen / isem "이름"
*-lisʼ- ‘핥다’ litsʼ- ‘핥다’ (디메어 (남오모어군)) *alǝsi ‘혀’ ns, *nīs ‘혀’ *lsn ‘혀’ iles "혀"
*-maaw- ‘죽다’ *-umaaw- / *-am-w(t)- ‘죽다’ (소말리조어, 2단계) *mǝtǝ ‘죽다’ mwt ‘죽다’ *mwt / mawta (아시리아어) ‘죽다’ mmet "죽다"
*-bǐn- ‘짓다, 만들다; 집’ bin- ‘짓다, 만들다’ (디메어 (남오모어군)) *mǐn- / *mǎn- ‘집’; man- ‘만들다’ (베자어) *bn ‘짓다’; *bǝn- ‘집’ *bnn / bani (아시리아어) / bana (히브리어) ‘짓다’ *bn(?) (esk "짓다")


아프리카아시아조어 형태 의미 베르베르어파 차드어파 쿠시어파 이집트어파 오모어파 셈어파
1 *ʔab 아버지
2 (ʔa-)bVr
3 (ʔa-)dVm 붉다, 피
4 *(ʔa-)dVm 땅, 들, 흙
5 ʔa-pay-
6 ʔigar/ *ḳʷar- 집, 울타리
7 *ʔil-
8 (ʔi-)sim- 이름
9 *ʕayn-
10 *baʔ- 가다
11 *bar- 아들
12 *gamm- 갈기, 턱수염
13 *gVn 볼, 턱
14 *gʷarʕ- 목구멍
15 *gʷinaʕ-
16 *kVn- 남편의 다른 아내
17 *kʷaly 콩팥
18 *ḳa(wa)l-/ *qʷar- 말하다, 부르다
19 *ḳas-
20 *libb 심장
21 *lis-
22 *maʔ-
23 *mawVt- 죽다
24 *sin- 이, 이빨
25 *siwan- 알다
26 *inn- 나, 우리
27 *-k-
28 *zwr 씨앗
29 *ŝVr 뿌리
30 *šun 자다, 꿈꾸다

어원 서적

주요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원 사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Cohen, Marcel. 1947. Essai comparatif sur le vocabulaire et la phonétique du chamito-sémitique. Paris: Champion.
  • Diakonoff, Igor M. et al. 1993–1997. "Historical-comparative vocabulary of Afrasian", St. Petersburg Journal of African Studies 2–6.
  • Ehret, Christopher. 1995.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Proto-Afrasian): Vowels, Tone, Consonants, and Vocabulary (=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126).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Orel, Vladimir E. and Olga V. Stolbova. 1995. Hamito-Semitic Etymological Dictionary: Materials for a Reconstruction. Leiden: Brill. ISBN 90-04-10051-2.

같이 보기

각주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Afro-Asiatic〉.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Browse by Language Family”. 《ethnologue.com》. 2018년 4월 14일에 확인함. 
  3. Katzner, Kenneth (2002). 《The Languages of the World》. Routledge. 27쪽. ISBN 978-1134532889. 2017년 12월 20일에 확인함. 
  4. Robert Hetzron, "Afroasiatic Languages" in Bernard Comrie, The World's Major Languages, 2009, ISBN 113426156X, p. 545
  5. “Summary by language family”. 《ethnologue.com》. Ethnologue. 2018년 4월 14일에 확인함. 
  6. “Arabic”. 《ethnologue.com》. Ethnologue. 2018년 4월 14일에 확인함. 
  7. Sands, Bonny (2009). “Africa's Linguistic Diversity”.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3 (2): 559–580. doi:10.1111/j.1749-818x.2008.00124.x. 
  8. “Harrassowitz Verlag - The Harrassowitz Publishing House”. 《harrassowitz-verlag.de》. 29 June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 April 2018에 확인함. 
  9. Trigger, Bruce G., ‘Meroitic and Eastern Sudanic: A Linguistic Relationship?’, Kush 12, 1964, 188-194.
  10. Trigger, Bruce, G.,‘The Classification of Meroitic: Geographical Considerations’, Schriften zur Geschichte und Kultur des Alten Orients 13, 1977, 421-435.
  11. Hintze, Fritz, ‘Some Problems of Meroitic Philology’, Abdel Gadir Mahmoud Abdalla (ed.), Studies of the Ancient Languages of the Sudan, Sudanese Studies 3, Khartoum University Press, Khartoum, 1974, 73-78.
  12. Hintze, Fritz ‘Beiträge zur meroitische Grammatik.’ Meroitica 3, Berlin, 1979, 1-214.
  13. “Hausa”. 《ethnologue.com》. 2018년 4월 14일에 확인함. 
  14. “Amharic”.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15. “Somali”.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16. “Afar”.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17. “Tachelhit”.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18. “Tigrigna”.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19. “Kabyle”.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20. Dekel, Nurit (2014). 《Colloquial Israeli Hebrew: A Corpus-based Survey》. De Gruyter. ISBN 978-3-11-037725-5. 
  21. “Tamazight, Central Atlas”. Ethnologue.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22. “Tarifit”. 《Ethnologue》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23. “one Gurage language”. 《Ethnologue》 (영어). 2018년 9월 28일에 확인함. 
  24. “Assyrian Neo-Aramaic”. 《Ethnologue》 (영어). 2019년 6월 19일에 확인함. 
  25. “Earliest Egyptian Glyphs - Archaeology Magazine Archive”. 《www.archaeology.org》. 2018년 4월 14일에 확인함. 
  26. Ehret, Christopher; Shomarka Keita (2004). “The Origins of Afroasiatic”. 《Science》 306 (5702): 1680; author reply 1680. doi:10.1126/science.306.5702.1680c. PMID 15576591. 
  27. Carsten Peust, "On the subgrouping of Afroasiatic" Archived 2016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 LingAeg 20 (2012), 221-251 (p. 243).

외부 링크

Read other articles:

Artikel atau sebagian dari artikel ini mungkin diterjemahkan dari Kawin Thammasatchanan di en.wikipedia.org. Isinya masih belum akurat, karena bagian yang diterjemahkan masih perlu diperhalus dan disempurnakan. Jika Anda menguasai bahasa aslinya, harap pertimbangkan untuk menelusuri referensinya dan menyempurnakan terjemahan ini. Anda juga dapat ikut bergotong royong pada ProyekWiki Perbaikan Terjemahan. (Pesan ini dapat dihapus jika terjemahan dirasa sudah cukup tepat. Lihat pula: panduan pe...

 

Duta Besar Ceko untuk IndonesiaPetahanaJaroslav Dolečeksejak 2021Dibentuk1993Pejabat pertamaJaroslav OlšaSitus webmzv.cz/jakarta Berikut adalah daftar duta besar Republik Ceko untuk Republik Indonesia. Nama Penunjukan Kredensial Selesai tugas Ref. Jaroslav Olša 1993 23 Oktober 1993 1998 [1][2] Milan Šarapatka 1998 2002 [3] Jaroslav Veselý 16 Agustus 2002 10 Oktober 2002 [4] Pavel Řezáč 18 Oktober 2006 30 Januari 2007 2011 [5][6] Tom...

 

This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Find sources: International Crime 1938 film – news · newspapers · books · scholar · JSTOR (June 2019)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1938 American filmInternational CrimeDirected byCharles LamontWritten byTheodore A. Tinsley (story: Foxhound)Jack N...

Cari artikel bahasa  Cari berdasarkan kode ISO 639 (Uji coba)  Kolom pencarian ini hanya didukung oleh beberapa antarmuka Halaman bahasa acak Bahasa JavindoBPS: 0087 1Dituturkan diIndonesiaWilayahJawaPenutur10-99[1] (2007) Rumpun bahasa Austronesia Melayu-Polinesia Jawanik[ib 1] Jawa Bahasa Javindo Status resmiDiakui sebagaibahasa minoritas diIndonesiaKode bahasaISO 639-2crpISO 639-3jvdGlottologjavi1237[2]BPS (2010)0087 1QIDQ2719893 Status...

 

Gunung IjenKaldera Gunung IjenTitik tertinggiKetinggian2.779 m (9.117 ft)Koordinat8°03′29″S 114°14′31″E / 8.058°S 114.242°E / -8.058; 114.242Koordinat: 8°03′29″S 114°14′31″E / 8.058°S 114.242°E / -8.058; 114.242 GeografiG. IjenJawa Timur, IndonesiaTampilkan peta BanyuwangiG. IjenG. Ijen (Provinsi Jawa Timur)Tampilkan peta Provinsi Jawa TimurG. IjenG. Ijen (Jawa)Tampilkan peta JawaG. IjenG. Ijen (Indonesia...

 

Halaman pertama Codex Mendoza. Codex Mendoza adalah codex Aztek, dibuat sekitar dua puluh tahun setelah penaklukan Meksiko oleh Spanyol dengan maksud agar dilihat oleh Charles V, kaisar Romawi Suci dan Raja Spanyol. Di dalam codex ini terdapat sejarah pemimpin Aztek dan penaklukan mereka, daftar upeti yang dibayar oleh yang ditaklukan, dan deskripsi kehidupan Aztek sehari-hari dalam piktogram Aztek tradisional dalam penjelasan dan komentar bahasa Spanyol. Sejarah Naskah seharusnya tertanggal ...

Gempa bumi Taiwan 20242024年4月花莲地震Bangunan sembilan lantai roboh di Kota HualienWaktu UTC2024-04-02 23:58:11ISC637103828USGS-ANSSComCatTanggal setempat3 April 2024Waktu setempat07:58:11 NSTKekuatan7.4 MwKedalaman34,8 km (22 mi)Episentrum23°49′08″N 121°33′43″E / 23.819°N 121.562°E / 23.819; 121.562dekat Kota Hualien, Hualien, TaiwanJenisSesar NaikWilayah bencanaTaiwanIntensitas maks.VIII (Parah)CWB 6+ TsunamiYa (45 cm di I...

 

Association football club in Denmark Football clubBK SkjoldFull nameBoldklubben SkjoldNickname(s)SkjoldFounded1915; 109 years ago (1915)StadiumFælledparkenCapacity7,000ChairmanJan SørensenLeagueDenmark Series (V)2021–22Copenhagen Series – Group 1, 1st of 13 (promoted)WebsiteClub website Home colours Away colours Boldklubben Skjold af 1915 is a Danish football club based in Østerbro, Copenhagen- Founded in 1915, the club has over 1,400 members making it one of Denmark'...

 

Prof. Dr. Muhammad bin Ali bin Farraj al-UqlaProf. Dr. al-Uqla bersama dengan Pangeran Mahkota Saudi Arabia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Rektor Universitas Islam Madinah]] 5PendahuluDr. Shalih al-`AbudPenggantiAbdurrahman bin Abdullah as-Sanad Informasi pribadiLahir1959Mekkah,Arab SaudiKebangsaan Arab SaudiAlma materBachelor Ekonomi dan Manajemen Universitas Raja Abdul AzizMagister Ekonomi Islam Fak. Syariah Universitas Ummul Qura, Mekkah Doktoral Ekonomi Islam Fak. Syariah Univer...

Orbital atom adalah sebuah fungsi matematika yang menggambarkan perilaku sebuah elektron ataupun sepasang elektron bak-gelombang dalam sebuah atom.[1] Fungsi ini dapat digunakan untuk menghitung probabilitas penemuan elektron dalam sebuah atom pada daerah spesifik mana pun di sekeliling inti atom. Dari fungsi inilah kita dapat menggambarkan sebuah grafik tiga dimensi yang menunjukkan kebermungkinan lokasi elektron. Oleh karena itu, istilah orbital atom dapat pula secara langsung meruj...

 

Halaman ini berisi artikel tentang kesultanan historis di pulau Bacan. Untuk lainnya, lihat Bacan. Kesultanan Bacanكسلطانن باچن Dehe Ma-Kolano1322? Kiri: Bendera kesultananKanan: Bendera Sultan setelah menjadi protektorat Belanda Pulau Bacan dan ibukota (sekitar tahun 1616)Bahasa yang umum digunakanBacanPemerintahanMonarkiSultan, Dehe Ma-Kolano Sejarah • Pendirian 1322?• Mulai menganut Islam 1400-an• Penaklukkan Belanda 1609• Pemerintahan ...

 

Bagian dari seri tentangKekristenan YesusKristus Yesus menurut Kristen Lahir Kiprah Wafat Kebangkitan Kenaikan AlkitabDasar Perjanjian Lama Perjanjian Baru Injil Kanon Gereja Syahadat Perjanjian Baru dalam Kitab Yeremia Teologi Allah Tritunggal Bapa Anak/Putra Roh Kudus Apologetika Baptisan Kristologi Sejarah teologi Misi Keselamatan SejarahTradisi Maria Rasul Petrus Paulus Bapa Gereja Kristen Perdana Konstantinus Konsili Agustinus Skisma Timur–Barat Perang Salib Aquinas Luther Reformasi De...

Cette chronologie est une ébauche concernant la science. Vous pouvez partager vos connaissances en l’améliorant (comment ?) selon les recommandations des projets correspondants. Chronologies Données clés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Décennies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Siècles :XIXe XXe  XXIe  XXIIe XXIIIeMillénaires :Ier IIe  IIIe  Chronologies géographiques Afrique Afrique du Sud, Algérie, Angola, Béni...

 

Ethnic group Not to be confused with Scotch-Irish Americans or Irish Scottish people. Ethnic group Ulster-ScotsScots-Irish, Ulstèr-ScotchRegions with significant populationsUnited States3,007,722,[1][2] estimatedScotch‑IrishNorthern Ireland345,101,[3][4] self‑identifiedNorthern Irish PresbyteriansRepublic of Ireland24,200,[5] self‑identifiedIrish PresbyteriansLanguagesUlster English, Ulster Irish, Ulster Scots,Scots Gaelic (small n...

 

International cricket tour     South Africa women Australia womenDates 19 March – 4 April 2020Captains Dane van Niekerk One Day International seriesTwenty20 International series The Australia women's cricket team were scheduled to play the South Africa women's cricket team in March and April 2020.[1] The tour was scheduled to consist of three Women's One Day Internationals (WODIs), which formed part of the 2017–20 ICC Women's Championship, and three Women's Twenty20...

Il MusichiereTotò ospite del Musichiere intervistato da Mario RivaPaeseItalia Anno1957 - 1960 Generegame show, musicale Puntate90 Lingua originaleitaliano RealizzazioneConduttoreMario Riva IdeatoreGarinei e Giovannini RegiaAntonello Falqui AutoriGarinei e Giovannini ScenografiaMario Chiari Casa di produzioneRai Rete televisivaProgramma Nazionale Modifica dati su Wikidata · Manuale Il Musichiere era un celebre programma televisivo italiano diretto da Antonello Falqui, andato in...

 

يفتقر محتوى هذه المقالة إلى الاستشهاد بمصادر. فضلاً، ساهم في تطوير هذه المقالة من خلال إضافة مصادر موثوق بها. أي معلومات غير موثقة يمكن التشكيك بها وإزالتها. (أكتوبر 2023) هذه المقالة يتيمة إذ تصل إليها مقالات أخرى قليلة جدًا. فضلًا، ساعد بإضافة وصلة إليها في مقالات متعلقة بها...

 

Railway station in New Zealand Ōwhango railway stationŌwhango railway station about 1910General informationLocationNew ZealandCoordinates39°00′24″S 175°22′35″E / 39.006577°S 175.376367°E / -39.006577; 175.376367Elevation457 m (1,499 ft)Line(s)North Island Main TrunkDistanceWellington 371.89 km (231.08 mi)HistoryOpened1905Closed2 June 1985ElectrifiedJune 1988Services Preceding station   Historical railways   Following station ...

Mombello Monferrato komune di Italia Tempat Negara berdaulatItaliaDaerah di ItaliaPiemonteProvinsi di ItaliaProvinsi Alessandria Ibu kota dariQ27991005 NegaraItalia Ibu kotaMombello Monferrato PendudukTotal911  (2023 )GeografiLuas wilayah19,69 km² [convert: unit tak dikenal]Ketinggian273 m Berbatasan denganCastelletto Merli Cerrina Monferrato Gabiano Serralunga di Crea Camino Ponzano Monferrato Solonghello SejarahHari liburpatronal festival (en) Santo pelindungRochus Informasi tamb...

 

Port in North China Aerial view of Port of Qinhuangdao Port of Qinhuangdao is a seaport on the Bohai Sea, located in the Haigang District of urban Qinhuangdao, Hebei, People's Republic of China. Together with the Port of Huanghua, Qinhuangdao Port is a major port for coal transportation.[1] Qinhuangdao is the nation's coal shipping center which is also seen as a barometer of the economy. The daily transport capacity was at least 50 vessels per day in the past.[2] Notes ^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