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남도어족
지리적 분포대만, 동남아시아, 태평양, 마다가스카르
계통적 분류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aust1307[1]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분포 지역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語族) 혹은 남도어족(南島語族)은 동남아시아마다가스카르, 태평양 지역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언어들의 어족이다.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화자 수가 많은 어족으로 세계 인구의 약 4.9%인 3억 8600만 명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주요 언어로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 자와어, 타갈로그어 등이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는 약 1,257개의 언어가 속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언어를 포함하는 어족이다.

말레이 제도와 태평양의 언어들이 서로 비슷하다는 사실은 1706년에 네덜란드 학자 아드리안 렐란트가 처음 지적하였다. 19세기에는 빌헬름 폰 훔볼트, 헤르만 반데르튀크 등의 학자들이 이 언어들에 비교 재구의 방법을 적용하기 시작했고, 20세기에 들어 독일 학자 오토 뎀프볼프가 처음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역사에 대한 포괄적 연구를 내놓았다. 그는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의 조상 언어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어휘 목록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오스트로네시아어(독일어: Austronesisch)라는 이름은 오스트리아 학자 빌헬름 슈미트가 1899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붙인 이름인데, 남풍을 의미하는 라틴어 auster와 섬을 뜻하는 희랍어 nêsos의 합성어이다. 그 이름처럼 오스트로네시아어의 대부분은 섬에서 쓰이고, 말레이어참어처럼 대륙 본토에서 비롯한 언어는 수가 적다.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는 화자 수가 매우 적지만 주요 언어들은 화자 수가 수천만에 이르며, 말레이어의 경우는 2억 5천만 명에 달해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중 약 스무 개는 국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에 따라 셈이 조금씩 다르지만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니제르콩고어족은 세계에서 가장 큰 두 어족으로서 각각 세계 언어의 1/5에 이르는 언어를 포함한다. 유럽인의 식민지 건설로 인도유럽어족이 팽창하기 전까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다른 어떤 어족보다도 널리 분포하였으며 그 영역은 아프리카 남동해안의 마다가스카르로부터 동태평양의 이스터섬까지 미쳤다. 이 영역의 가장 바깥쪽에 분포하는 언어들로 마다가스카르의 말라가시어, 이스터섬의 라파누이어, 하와이 제도하와이어를 꼽을 수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여러 어파로 나뉘며 이 중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대만에서만 쓰인다. 이 나머지를 통틀어 대만 제어(영어: Formosan languages)라 부르며 이들의 분류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대만 제어는 많게는 아홉 개의 어파로 분류된다. 대만 바깥의 모든 언어와 대만 근해의 야미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는 문자 기록의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따라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 이르는 오래된 단계의 모습들을 재구한 일은 매우 놀라운 성취라 할 수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비록 인도유럽어족의 영향이 있지만) 늦어도 6세기 중반에 참어로 기록된 동옌쩌우 비문이다.

구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처럼 다양한 언어를 포함하는 어족을 일반화해서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거칠게 나누면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는 필리핀형, 인도네시아형, 탈인도네시아형 언어로 구분할 수 있다. (Ross 2002)

  • 필리핀형 언어에는 필리핀 언어 외에도 타이완, 사바, 북술라웨시, 마다가스카르의 언어들이 속한다. 필리핀형 언어의 특징은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이라 불리는 오스트로네시아 고유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3~4 종류의 태를 통해 ‘주어‘/’주제어’가 나타내는 의미역이 무엇인지 표시한다. 주어의 의미역은 행위자, 피행위자, 장소, 수혜자, 도구 따위가 될 수 있다. 이 현상은 흔히 ‘중심’(focus)이라고도 한다. 어떤 태를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논항의 한정성에도 영향을 받는다. 필리핀형 언어의 어순은 동사가 처음에 오는 VSO형 또는 VOS형인 경향이 크다.
  • 인도네시아형 언어는 보다 새로운 유형으로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서부에 잘 나타나며, 원래의 태 체계가 축소되어 ‘행위자태’와 ‘피행위자태’ 두 가지만을 구분한다. 사라진 태의 역할은 적용태가 대신한다. (적용태는 본디 두 가지가 있는데, 보다 직접적인 *-i와 보다 사격에 가까운 *-an/-[a]kən이다.) 적용태는 ‘피행위자’의 의미역을 바꾸어 준다. 인도네시아형 언어의 또다른 특징은 전접어 대명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필리핀형 언어와 달리 어순은 동사가 두 번째로 오는 경향이 크다. 바탁어군, 카위어, 발리어, 사삭어 등 몇몇 언어는 필리핀형 언어와 인도네시아형 언어의 중간 단계와 같은 성격을 띤다.
  • 탈인도네시아형 언어에서는 원래의 태 체계가 완전히 무너졌으며 태를 표시하던 접사들은 원래의 기능을 잃어버렸다.

하와이어위키위키(wiki-wiki)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들은 다양한 용도로 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는 음절 구조가 단순하고 음소 개수가 적다.

어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일련의 동계어 집합에 비교 재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확립되었다. 여기서 동계어 집합이란, 소리와 의미가 비슷하며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동일한 단어에서 나왔음을 보일 수 있는 단어들의 모임을 말한다. 어떤 동계어 집합은 매우 안정적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최북단의 부눈어아미스어부터 최남단의 마오리어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서 ‘눈(目)’을 뜻하는 단어는 ‘mata’로 똑같다. 다른 단어들은 이보다 더 재구하기 어렵다. ‘둘(2)’을 뜻하는 단어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영역 전체에서 쓰인다는 점에서 안정적이지만, 부눈어에서 ‘dusa’, 아미스어에서 ‘tusa’, 마오리어에서 ‘rua’로 나타나는 등, 그 형태를 알아보려면 어느 정도 언어학적 훈련이 필요하다. 오스트로네시아 기초어휘 데이터베이스는 동계어 관계가 표시된 약 1000개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의 단어 목록을 제공한다.[2]

다음의 두 표는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서 1부터 10까지의 수사와 아홉 개 어휘의 모습을 비교한 것이다.

수사 비교
수사 1-10 1 2 3 4 5 6 7 8 9 10
오스트로네시아조어 *əsa
*isa
*duSa *təlu *Səpat *lima *ənəm *pitu *walu *Siwa *(sa-)puluq
대만 제어 1 2 3 4 5 6 7 8 9 10
아타얄어 qutux sazing cyugal payat magal mtzyu mpitu mspat mqeru mopuw
세에디크어 kingal daha teru sepac rima mmteru mpitu mmsepac mngari maxal
트루쿠어 kingal dha tru spat rima mataru empitu maspat mngari maxal
사오어 taha tusha turu shpat tarima katuru pitu kashpat tanathu makthin
파포라어 tanu nya tul pat lima minum pitu mehal mesi metsi
바부자어 nata naroa natura naspat nahop naitu naito natap maitu tsihet
타오카스어 tatanu rua tool'a lapat hasap tahap yuweto mahalpat tanaso tais'id
파제흐어 adang dusa tu'u supat xasep xasebuza xasebidusa xasebitu'u xasebisupat isit
사이시야트어 'aeihae' roSa' to:lo' Sopat haseb SayboSi: SayboSi: 'aeihae' maykaSpat hae'hae' lampez
초우어 coni yuso tuyu sʉptʉ eimo nomʉ pitu voyu sio maskʉ
부눈어 tasʔa dusa tau paat hima nuum pitu vau siva masʔan
루카이어 itha drusa tulru supate lrima eneme pitu valru bangate pulruku
파이완어 ita drusa tjelu sepatj lima enem pitju alu siva tapuluq
푸유마어 isa zuwa telu pat lima unem pitu walu iwa pulu'
크바란어 usiq uzusa utulu uspat ulima unem upitu uwalu usiwa rabtin
바사이어 tsa lusa tsu səpat tsjima anəm pitu wasu siwa labatan
아미스어 cecay tosa tolo spat lima enem pito falo siwa mo^tep
사키자야어 cacay tosa tolo sepat lima enem pito walo siwa cacay a bataan
시라야어 sasaat duha turu tapat tu-rima tu-num pitu pipa kuda keteng
타이보안어 tsaha' ruha toho paha' hima lom kito' kipa' matuha kaipien
마카타오어 na-saad ra-ruha ra-ruma ra-sipat ra-lima ra-hurum ra-pito ra-haru ra-siwa ra-kaitian
야미어 asa dora atlo apat lima anem pito wao siyam poo
카우카우트어 is zus dor sop rim ən pit ar siu tor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1 2 3 4 5 6 7 8 9 10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əsa
*isa
*duha *təlu *əpat *lima *ənəm *pitu *walu *siwa *puluq
아체어 sa duwa lhee peuet limong nam tujoh lapan sikureueng siploh
발리어 besik
siki
dua telu papat lime nenem pitu kutus sia dasa
반자르어 asa dua talu ampat lima anam pitu walu sanga sapuluh
토바바탁어 sada dua tolu opat lima onom pitu ualu sia sampulu
부기어 ceddi dua tellu empa lima enneng pitu arua asera seppulo
찌아찌아어 dise
ise
rua
ghua
tolu pa'a lima no'o picu walu
oalu
siua ompulu
참어 sa dua klau pak lima nam tujuh dalapan salapan sapluh
고대 자와어[3] sa
(sa' / sak)
rwa tĕlu pāt lima nĕm pitu walu sanga sapuluh
자와어(크라마) setunggal kalih tiga sekawan gangsal enem pitu wolu sanga sedasa
자와어(응오코)[4] siji
← sahiji
loro
← ka-rwa
(ka-ro)
telu papat lima enem pitu wolu sanga sepuluh
빠따니 말레이어 so duwo tigo pak limo ne tujoh lape smile spuloh
마두라어 settong dhuwa' tello' empa' lema' ennem petto' ballu' sanga' sapolo
마카사르어 se're rua tallu appa' lima annang tuju sangantuju salapang sampulo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
sa/se
satu
suatu
dua tiga[5] empat lima enam tujuh delapan
lapan[6]
sembilan sepuluh
미낭카바우어 ciek duo tigo ampek limo anam tujuah salapan sambilan sapuluah
모켄어 cha:? thuwa:? teloj
(təlɔy)
pa:t lema:? nam luɟuːk waloj
(walɔy)
chewaj
(cʰɛwaːy / sɛwaːy)
cepoh
르장어 do duai tlau pat lêmo num tujuak dêlapên sêmbilan sêpuluak
사삭어 sekek due telo empat lime enam pituk baluk siwak sepulu
순다어 hiji dua tilu opat lima genep tujuh dalapan salapan sapuluh
트렝가누 말레이어 se duwe tige pak lime nang tujoh lapang smilang spuloh
테툼어 ida rua tolu hat lima nen hitu ualu sia sanulu
차트어 sa˧
ta˩
tʰua˩ kiə˧ pa˨˦ ma˧ naːn˧˨ su˥ paːn˧˨ tʰu˩ paːn˧˨ piu˥
일로코어 maysa dua tallo uppat lima innem pito walo siam sangapulo
이바나그어 tadday duwa tallu appa' lima annam pitu walu siyam mafulu
팡가시난어 sakey duwa talo apat lima anem pito walo siyam samplo
팜팡가어 métung
isá
adwá atlú ápat limá ánam pitú walú siám apúlu
타갈로그어 isá dalawá tatló apat limá anim pitó waló siyám sampû
비콜어 sarô duwá tuló apat limá anom pitó waló siyám sampulû
아클라논어 isaea
sambilog
daywa tatlo ap-at lima an-om pito waeo siyam napueo
카라이아어 (i)sara darwa tatlo apat lima anəm pito walo siyam napulo
온한어 isya darwa tatlo upat lima an-om pito walo siyam sampulo
롬블로마논어 isa duha tuyo upat lima onum pito wayo siyam napuyo
마스바테어 isad
usad
duwa
duha
tulo upat lima unom pito walo siyam napulo
힐리가이논어 isa duha tatlo apat lima anom pito walo siyam napulo
세부어 usa duha tulo upat lima unom pito walo siyam napulo
pulo
와라이어 usa duha tulo upat lima unom pito walo siyam napulò
타우수그어 isa duwa upat lima unum pitu walu siyam hangpu'
마라나오어 isa dua telu pat lima nem pitu ualu siau sapulu'
라왕안어 eray duaq toluu opaat limaq jawatn turu walo sie sepuluh
룬바왕어 eceh dueh teluh epat limeh enem tudu' waluh liwa' pulu'
두순어 iso duo tolu apat limo onom turu walu siam hopod
말라가시어 isa
iray
roa telo efatra dimy enina fito valo sivy folo
상이르어 sembau darua tatelu epa lima eneng pitu walu sio mapulo
오세아니아어군 1 2 3 4 5 6 7 8 9 10
피지어 dua rua tolu vaa lima ono vitu walu ciwa tini
하와이어 'e-kahi 'e-lua 'e-kolu 'e-hā 'e-lima 'e-ono 'e-hiku 'e-walu 'e-iwa 'umi
키리바시어 teuana uoua tenua aua nimaua onoua itua wanua ruaiwa tebwina
마오리어 tahi rua toru whā rima ono whitu waru iwa tekau
ngahuru
마셜어[7] juon ruo jilu emān ļalem jiljino jimjuon ralitōk ratimjuon jon̄oul
모투어[8] ta rua toi hani ima tauratoi hitu taurahani taurahani-ta gwauta
니우에어 taha ua tolu lima ono fitu valu hiva hogofulu
라파누이어 tahi rua toru rima ono hitu va'u iva angahuru
라로통아어 ta'i rua toru rima ono 'itu varu iva nga'uru
로투마어 ta rua folu hake lima ono hifu vạlu siva saghulu
사모아어 tasi l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iva sefulu
사모아어(K형) kasi lua kolu fa lima ogo fiku valu iva sefulu
타히티어 hō'ē
tahi
piti toru maha pae ōno hitu va'u iva hō'ē 'ahuru
통가어 taha ua tolu fa nima ono fitu valu hiva hongofulu
taha noa
추크어 eet érúúw één fáán niim woon fúús waan ttiw engoon
투발루어 tahi
tasi
l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iva sefulu
아홉 개 어휘 비교
한국어 사람 새롭다 우리(대명사) 무엇
오스트로네시아조어 *Cau *balay, *Rumaq *asu *zalan *qaləjaw, *waRi *baqəRu *kita, *kami *anu, *apa *Sapuy
테툼어 ema uma asu dalan loron foun ita saida ahi
아미스어 tamdaw luma wacu lalan cidal faroh kita uman namal
푸유마어 taw rumah soan dalan wari vekar mi amanai apue,
asi
타갈로그어 tao bahay aso daan araw bago tayo / kami ano apoy
중부 비콜어 táwo harong áyam dálan aldaw bâgo kitá anó kalayó
링코나다 비콜어 tawō baləy ayam raran aldəw bāgo kitā onō kalayō
와라이어 tawo balay ayam,
ido
dalan adlaw bag-o kita anu kalayo
세부어 tawo balay iro dalan adlaw bag-o kita unsa kalayo
힐리가이논어 tawo balay ido dalan adlaw bag-o kita ano kalayo
아클라논어 tawo baeay ayam daean adlaw bag-o kita ano kaeayo
카라이아어 tawo balay ayam dalan adlaw bag-o kita ano kalayo
타우수그어 tau bay iru' dan adlaw ba-gu kitaniyu unu kayu
마라나오어 taw walay aso lalan gawi'e bago tano tonaa apoy
팜팡가어 táu balé ásu dálan aldó báyu íkatamu nánu apî
팡가시난어 too abong aso dalan ageo balo sikatayo anto pool
일로코어 tao balay aso dalan aldaw baro datayo ania apoy
이바탄어 tao vahay chito rarahan araw va-yo yaten ango apoy
이바나그어 tolay balay kitu dalan aggaw bagu sittam anni afi
요가드어 tolay binalay atu daddaman agaw bagu sikitam gani afuy
갓당어 tolay balay atu dallan aw bawu ikkanetam sanenay afuy
트볼리어 tau gunu ohu lan kdaw lomi tekuy tedu ofih
룬바왕어 lemulun/lun ruma' uko' dalan eco beruh teu enun apui
말레이어 orang rumah,
balai
anjing jalan hari baru kita apa,
anu
api
고대 자와어 wwang umah asu dalan dina hañar, añar[9] kami[10] apa,
aparan
apuy,
agni
자와어[11] uwong,
tiyang,
priyantun
omah,
griya,
dalem
asu,
sĕgawon
dalan,
gili
dina,
dinten
anyar,
énggal
awaké dhéwé,
kula panjenengan
apa,
punapa
gĕni,
latu,
brama
순다어 urang imah anjing jalan poe anyar,
enggal
arurang naon seuneu
아체어 ureuëng rumoh,
balè,
seuëng
asèë röt uroë barô (geu)tanyoë peuë apui
미낭카바우어 urang rumah anjiang labuah,
jalan
hari baru awak apo api
르장어 tun umêak kuyuk dalên bilai blau itê jano,
gen,
inê
opoi
람풍어 jelema lamban kaci ranlaya khani baru kham api apui
부기어 tau bola asu laleng esso baru idi' aga api
트무안어 uwang,
eang
gumah,
umah
anying,
koyok
jalan aik,
haik
bahauk kitak apak apik
토바바탁어 halak jabu biang dalan ari baru hita aha api
빠따니 말레이어 oghe ghumoh,
dumoh
anjing jale aghi baghu kito gapo api
차모로어 taotao/tautau guma' ga'lågu[12] chålan ha'åni nuebu[13] hita håfa guåfi
모투어 tau ruma sisia dala dina matamata ita,
ai
dahaka lahi
마오리어 tangata whare kurī ara hou tāua, tātou/tātau
māua, mātou/mātau
aha ahi
투발루어 toko fale kuli ala,
tuu
aso fou tāua a afi
하와이어 kanaka hale 'īlio ala ao hou kākou aha ahi
반자르어 urang rūmah hadupan heko hǎri hanyar kami apa api
말라가시어 olona trano alika lalana andro vaovao isika inona afo
두순어 tulun walai,
lamin
tasu ralan tadau wagu tokou onu/nu tapui
해안 카다잔어 tuhun hamin tasu lahan tadau vagu tokou onu,
nunu
tapui
룽우스어 tulun,
tulzun
valai,
valzai
tasu dalan tadau vagu tokou nunu tapui,
apui
탐바누오어 lobuw waloi asu ralan runat wagu toko onu apui
이반어 orang,
urang
rumah ukui,
uduk
jalai hari baru kitai nama api
사라왁 말레이어 orang rumah asuk jalan ari baru kita apa api
트렝가누 말레이어 oghang ghumoh,
dumoh
anjing jalang aghi baghu kite mende, ape,
gape, nape
api
카나이튼어 urakng rumah asu' jalatn ari baru kami',
diri'
ahe api

분류

Blust (1999)에 따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분포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내적 계통 관계는 복잡하다. 방언연속체나 서로 유사하고 가까운 언어들이 아주 많아서, 분기군 간의 경계를 긋기가 힘들다. 그렇지만 계통적 다양성이 대만 제어 사이에서 가장 크고, 태평양 섬의 언어들 사이에서 가장 작은 것은 분명하므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대만이나 중국 지역에서 퍼져나갔다고 볼 수 있다. 이 사실을 반영한 최초의 포괄적인 분류는 Dyen (1965)이다.

대만 제어의 분류, 나아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기본 어파 분류에 기간이 되는 저술은 Blust (1999)이다. 세부사항에 대해 저명한 대만어 전공자들 간에 이견이 있기도 하지만, 이 분류는 현재의 언어학적 분석에 있어서 전거의 역할을 하며, 그 내용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t, *C와 *n, *N가 각각 /t/와 /n/으로 합류한 점, *S가 /h/로 변화한 점, 다른 타이완 제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lima '다섯' 등의 어휘를 보유한 점을 들어 블러스트의 동타이완어파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빠르게 광대한 영역으로 퍼져나감으로써 계통 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여러 어군들이 지역마다 생겨난 큰 이주 사건이 두 번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멜라네시아에 분포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이주이다.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의 유사성은 계통적으로 가까워서가 아니라 비오스트로네시아계 기층 언어들의 강한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두 번째는 폴리네시아와 미크로네시아로 퍼져나간 오세아니아어군의 이주이다.(Greenhill, Blust & Gray 2008).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말고도 13개의 대만 어파들이 널리 인정된다. 논란은 주로 이 어파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 문서에서 제시된 분류 체계 가운데, Blust (1999)에서는 두 어파를 서부평원어파로, 다른 두 어파를 북서대만어파로, 세 어파를 동대만어파로 묶으며, 이에 더해 Li (2008)에서는 다른 다섯 어파를 북타이완어파로 묶는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기초 어휘 데이터베이스 (2008)에서는 북대만어파는 수용하나 동대만어파는 기각하며, (서로 매우 다른 언어들인) 초우어파루카이어를 하나로 묶고,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파이완어와 함께 파이완어파로 묶는다. Ross (2009)에서는 초우어파를 폐기하고, 초우어, 루카이어, 푸유마어를 현재 재구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영역 밖에 배치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파이완어파, 푸유마어, 부눈어, 아미스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하나로 묶을 만한 음운론적 근거를 제시했으나, 어휘 대응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동대만 민족인 바사이인, 크바란인, 아미스인은 "시나사이" 또는 "사나사이"라고 하는 섬에서 이주했다는 고향 모티프를 공유한다. (Li 2004). 특히 아미스인들은 그들이 동쪽에서 왔고, 정착한 지역에 원래 살던 푸유마인들이 자신들을 복속시켰다고 주장한다.[14]

블러스트 (1999)

Blust (1999)에 따른 중국인의 대만 진출 이전 대만 제어의 분포

리 (2008)

Li (2008)에 따른 중국인의 대만 진출 이전 대만 제어의 분포. 녹색으로 표시된 언어들(부눈어, 푸유마어, 파이완어)은 남대만어파를 이룰 가능성이 있으나 확실치 않음.

이 분류는 블러스트의 동대만어파를 유지하고, 북부 지방의 나머지 언어들을 하나로 묶었다. 리 런구이는 Starosta (1995)의 모형을 따라 대만조어(F0)를 설정하고 오스트로네시아조어(PAN)와 동일시했다.[15][16] 루카이어의 위치가 논란거리이기는 하나,[17] 루카이어와 초우어파는 서로 크게 다르다고 본다.

로스 (2009)

2009년 맬컴 로스는 다양한 타이완 제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새로운 분류를 제시했다.[18] 로스는 현재의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재구가 사실은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이 단계를 "핵심 오스트로네시아 조어"라고 이름붙였다. 로스는 또한 초우어파 언어들이 단일 분기군을 이루지 않는다고 보고, 남초우어군으로 분류되었던 카나카나부어와 사아로아어를 다른 어파로 재분류했다. 이는 Chang (2006)에서 초우어파가 유효한 분류군이 아니라는 주장과 결을 같이한다.[19]

다른 어족과의 관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대만원향(原鄕)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분기되어 대만 내의 제어(諸語)와 그 바깥 지역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로 구분된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오스트로어족이라는 하나의 대어족으로 묶으려는 시도가 있다. 대부분은 유형론적 증거를 기반으로 한 주장이지만, 전자의 보수적인 분기군인 니코바르어파와 필리핀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 간에 형태론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도 있다.

이에 맞서 태국어가 속한 크라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있는데 이를 오스트로타이 가설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비교 방법론에 입각한 오스트로타이 가설은 폴 베네딕트가 처음 제안했으며, 위라 오사타피랏, 로저 블렌치, 로랑 사가르 등의 지지를 받고 있다. Ostapirat (2005)에서는 두 어족을 연결시키는 규칙적인 대응 관계들을 제시하며, 원향인 중국에 남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크라다이조어 화자로 갈라져 나왔다고 주장한다. Blench (2004)에서는 "만약" 이 연결이 타당하다면, 두 어족이 동등하게 하나의 조어에서 갈라져 나왔을 가능성은 적다고 보았다. 크라다이조어 화자들은 필리핀 북부에서 하이난섬으로 이주했다가 대륙부 아시아로 돌아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고, 크라다이어족만의 특징은 몽몐어족중국어파 언어들과의 접촉을 통해 급격하게 재구조화된 결과라는 것이다. 베네딕트는 오스트로타이 가설을 확장해 일본어족을 추가했다.[20] 프랑스의 언어학자이자 중국학자 로랑 사가르는 이에 더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중국티베트어족과도 친연 관계가 있다고 본다.[21] 사가르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순환적인 방식으로 분류하여, 크라다이어족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자매 분기군으로 설정했다. 동료 학자들은 사가르가 사용한 방법론이 겉보기에만 그럴 듯하다고 여긴다.

베네딕트 (1990), 마쓰모토 (1975), 밀러 (1967) 등을 위시한 언어학자들은 일본어족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다른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오스트로네시아계 기층 언어인접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더 그럴 듯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설을 제시하는 학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남쪽뿐 아니라 북쪽의 섬들에도 퍼져나갔었다고 여긴다. 2017년 마르티너 로베이츠[22] 일본어가 "트랜스유라시아어족"(대알타이어족)에 속하지만,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가상의 자매 언어인 "유사오스트로네시아어"로부터 어휘 방면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2009년 언어학자 앤 쿠마르는 일부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아마도 자와섬 출신의 지배계층이 일본으로 이주해 일본 사회의 위계 구조를 만들었다고 주장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일본어 간에 82가지 동근어 후보를 제시했다.[23] 2011년 이타바시 요시조는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계통상 관련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찾았다고 주장했다. 이타바시는 음운론뿐 아니라 형태론, 통사론, 어휘까지 유사하며, 또한 이러한 증거를 통해 두 어족 간에 강한 계통적 관련성이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4]

최근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옹게조어가 공통 조상 언어의 후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Blevins 2007).[25]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 2014년 로버트 블러스트는 블레빈스의 가설이 설득력 없으며, 우연적인 유사성과 방법론적으로 잘못된 비교에 기반해 있다며 이 가설을 기각했다.[26]

각주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Austronesi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Greenhill, Blust & Gray 2003–2019.
  3. Zoetmulder, P.J., Kamus Jawa Kuno-Indonesia. Vol. I-II. Terjemahan Darusuprapto-Sumarti Suprayitno. Jakarta: PT. Gramedia Pustaka Utama, 1995.
  4. “Javanese alphabet (Carakan)”. 《Omniglot》. 
  5. 크두칸 부킷 비문에는 tlu가 3이라는 뜻으로 쓰였다.말레이어에서는 telu도 3을 뜻하지만 드물게 쓰인다.
  6. lapan은 delapan의 축약형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네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
  7. Cook, Richard (1992). Peace Corps Marshall Islands: Marshallese Language Training Manual (PDF), pg. 22. Accessed August 27, 2007.
  8. Percy Chatterton, (1975). Say It In Motu: An instant introduction to the common language of Papua. Pacific Publications. ISBN 978-0-85807-025-7
  9. s.v. hañar,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P.J. Zoetmulder and Stuart Robson, 1982
  10. s.v. kami, this could mean both first person singular and plural,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P.J. Zoetmulder and Stuart Robson, 1982
  11. Javanese English Dictionary, Stuart Robson and Singgih Wibisono, 2002
  12. 스페인어 galgo로부터.
  13. 스페인어 nuevo로부터.
  14. Taylor, G. (1888). “A ramble through southern Formosa”. 《The China Review》 16: 137–161. The Tipuns... are certainly descended from emigrants, and I have not the least doubt but that the Amias are of similar origin; only of later date, and most probably from the Mejaco Simas [that is, Miyako-jima], a group of islands lying 110 miles to the North-east.... By all accounts the old Pilam savages, who merged into the Tipuns, were the first settlers on the plain; then came the Tipuns, and a long time afterwards the Amias. The Tipuns, for some time, acknowledged the Pilam Chief as supreme, but soon absorbed both the chieftainship and the people, in fact the only trace left of them now, is a few words peculiar to the Pilam village, one of which, makan (to eat), is pure Malay. The Amias submitted themselves to the jurisdiction of the Tipuns. 
  15. Li, Paul Jen-kuei. 2008. "Time perspective of Formosan Aborigines." In Sanchez-Mazas, Alicia ed.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Taylor & Francis US.
  16. Starosta, S. 1995. "A grammatical subgrouping of Formosan languages." In P. Li, Cheng-hwa Tsang, Ying-kuei Huang, Dah-an Ho, and Chiu-yu Tseng eds. Austronesian Studies Relating to Taiwan, pp. 683–726, Taipei: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17. "The position of Rukai is the most controversial: Tsuchida... treats it as more closely related to Tsouic languages, based on lexicostatistic evidence, while Ho... believes it to be one of the Paiwanic languages, i.e. part of my Southern group, as based on a comparison of fourteen grammatical features. In fact, Japanese anthropologist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Rukai, Paiwan and Puyuma in the early stage of their studies" (Li 2008: 216).
  18. Ross, Malcolm. 2009.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In Alexander Adelaar and Andrew Pawley (eds.). Austronesian historical linguistics and culture history: a festschrift for Robert Blust.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19. Chang, Henry Yungli. 2006. "Rethinking the Tsouic Subgroup Hypothesis: A Morphosyntactic Perspective." In Chang, H., Huang, L. M., Ho, D. (eds.). Streams converging into an ocean: Festschrift in honor of Professor Paul Jen-Kuei Li on his 70th birthday. Taipei: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 Solnit, David B. (March 1992). “Japanese/Austro-Tai By Paul K. Benedict (review)”. 《Languag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687 (1): 188–196. doi:10.1353/lan.1992.0061. 
  21. van Driem, George. 2005. Sino-Austronesian vs. Sino-Caucasian, Sino-Bodic vs. Sino-Tibetan, and Tibeto-Burman as default theory. Contemporary Issues in Nepalese Linguistics, pp. 285–338. “新网阻断页” (PDF). 2011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9일에 확인함.  (304쪽 참조)
  22. Robbeets, Martine (2017).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Language Dynamics and Change》 7 (2). 2019년 4월 2일에 확인함. 
  23. Kumar, Ann (2009). 《Globalizing the Prehistory of Japan: Language, Genes and Civilization.》. Oxford: Routledge. 
  24. "An examination of 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tone distinction of the word-initial mora of Old-Japanese words and the voicing distinction of the word-initial consonant of the putative matching Austronesian words" - Yoshizo Itabashi -University of Kyushi 2011 http://www.izumi-syuppan.co.jp/web_LLO/pdf/11Itabashi.pdf Archived 2019년 4월 23일 - 웨이백 머신
  25. Blevins, Juliette (2007),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PDF), 《Oceanic Linguistics》 46 (1): 154–198, doi:10.1353/ol.2007.0015, 2011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6. Robert Blust (2014) "Some Recent Proposal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Oceanic Linguistics 53:2:300–391.

참고 문헌

  • Blust, Robert (1985). “The Austronesian Homeland: A Linguistic Perspective”. 《Asian Perspectives》 26: 46–67. 
  • Blust, Robert (1999). 〈Subgrouping, circularity and extinction: some issues in Austronesian comparative〉. Zeitoun, E.; Li, P.J.K. 《Selected papers fro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Taipei: Academia Sinica. 31–94쪽. 
  • Dyen, Isidore (1965). “A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Memoir 19). 
  • Greenhill, S.J.; Blust, R.; Gray, R.D. (2008). “The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From Bioinformatics to Lexomics”. 《Evolutionary Bioinformatics》 (Sage Publications) 4: 271–283. doi:10.4137/EBO.S893. PMC 2614200. PMID 19204825. 
  • Li, Paul Jen-kuei (2004). “Origins of the East Formosans:Basay, Kavalan, Amis, and Siraya” (PDF). 《Language and Linguistics》 5 (2): 363–376. 2019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5일에 확인함. 
  • Li, Paul Jen-kuei (2008). 〈Time perspective of Formosan Aborigines〉. Sanchez-Mazas, Alicia; Blench, Roger; Ross, Malcolm D.; Peiros, Ilia; Lin, Marie.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211–218쪽. 
  • Ostapirat, Weera (2005). 〈Kra–Dai and Austronesian: Notes on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and vocabulary distribution〉. Laurent, Sagart; Blench, Roger; Sanchez-Mazas, Alicia.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Curzon. 107–131쪽. 
  • Ross, John (2002). 〈Final words: research themes in the history and typology of western Austronesian languages〉. Wouk, Fay; Malcolm, Ross. 《The history and typology of Western Austronesian voice system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451–474쪽. 
  • Ross, Malcolm (2009).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Adelaar, K. Alexander; Pawley, Andrew. 《Austronesian Historical Linguistics and Culture History: A Festschrift for Robert Blust》.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295–326쪽.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