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빈 김씨(愼嬪 金氏, 1406년 ~ 1464년 10월 13일(음력 9월 4일))는 조선의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다. 본관은 청주이다.
생애
본관은 청주이며, 아버지는 김원이고 어머니는 삭녕 고씨이다[1]. 원래 내자시의 여종이었으나, 1418년(세종 즉위년)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다.[2] 훗날 세종의 승은을 입고 후궁이 되었고, 1427년(세종 9년) 장남 계양군을 출산하였다. 그 후 정2품 소의를 거쳐 1439년(세종 21년) 종1품 귀인에 진봉되었다. 당시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김씨의 출신이 천하지만 13세부터 궁중에 들어와 행실이 바르기에 빈이나 귀인으로 삼고자 하는데 어떠하냐" 고 묻자 김돈이 신개 등과 의논해 귀인으로 승격시켰다.[2] 이후 정1품 신빈(愼嬪)에 책봉되었다.
그녀는 천성이 부드럽고 매사에 조심스러워 소헌왕후에게도 사랑을 받았으며, 소헌왕후는 그녀에게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2] 또한 그녀는 평소에 불교를 신봉했었는데, 세종이 죽고나서는 아예 여승이 되어 살았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사망한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조정에서 쌀 500석을 하사받았으며,[3] 1452년(단종 즉위년)에는 단종이 그녀의 아들 의창군의 청원에 의해 그녀에게 머리를 기르도록 명령하였지만 이를 거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
1464년(세조 10년) 음력 9월 4일 59세를 일기로 죽었으며, 세조는 쌀, 콩등 모두 70석(石)을 부의로 내렸다. 그녀의 묘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에 있다. 묘 주위에는 세조 11년(1465)에 세운 묘갈(墓碣:무덤 앞에 별다른 장식없이 세우는 작은 비석)과 묘비, 불을 밝히기 위한 장명등(長明燈), 문인석 1쌍, 제물을 올리고 제사를 올리기 위한 상석(床石)이 있으며 묘 주위는 돌담으로 둘러 싸여 있다. 1994년 경기도의 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 김원(金元)
- 어머니 : 삭녕 고씨
- 남편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년 ~ 1450년, 재위 1418년 ~ 1450년)
- 장남 : 계양군 증(桂陽君 璔, 1427년 ~ 1464년 8월 16일)
- 자부 : 정선군부인 청주 한씨(旌善郡夫人 淸州 韓氏[5], 1426년 4월 12일 ~ 1480년 7월 27일)
- 장손 : 영원군 예(寧原君 澧)
- 손자부 : 현부인 청송 심씨(縣夫人 靑松 沈氏) - 심선의 딸
- 양증손 : 도안부정(道安副正) - 셋째 손자인 부림군의 차남
- 차손 : 강양군 숙(江陽君 潚)[6]
- 손자 : 부림군 식(富林君 湜)
- 손자부 : 현부인 안동 김씨(縣夫人 安東 金氏)
- 증손 : 회안부정 식(淮安副正 軾)
- 증손 : 도안부정(道安副正)[7]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김맹손(金孟孫)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채윤권(蔡胤權)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신상(申鏛)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안계송(安繼宋)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정경조(鄭敬祖)와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한금(韓嶔)과 혼인
- 자부(첩) : 미상
- 서장손 : 방산수 란(方山守 瀾)
-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정종선(鄭從善)과 혼인
- 차남 : 의창군 공(義昌君 玒, 1428년 ~ 1460년 2월 27일)
- 자부 : 양원군부인 연안 김씨(梁源郡夫人 延安金氏, 1429년 ~ 1482년)
- 손자 : 사산군 호(蛇山君 灝)
- 자부 : 현부인 고성 이씨(縣夫人 固城 李氏)
- 증손 : 동성군 순(東城君 詢)
- 증손 : 화산군 해(花山君 諧)[8]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윤구손(尹龜孫)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수충(趙守忠)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원효(趙元孝)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심광정(沈光庭)와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신우정(申禹鼎)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신종호(申從濩)와 혼인
- 삼남 : 밀성군 침(密城君 琛, 1430년 ~ 1479년 1월 1일)
- 자부 :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豊德郡夫人 驪興閔氏)
- 손자 : 운산군 계(雲山君 誡)
- 손자부 : 현부인 현풍 곽씨(縣夫人 玄風 郭氏)
- 손자부 : 현부인 영일 정씨(縣夫人 迎日 鄭氏)
- 증손 : 철성군 갱(鐡城君 鏗)
- 증손 : 고성군 강(固城君 鋼)[9]
- 증손 : 광성부정 전(匡城副正 銓)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윤탕로(尹湯老)와 혼인
- 손자 : 춘성군 당(春城君 譡)[10]
- 손자 : 수안정 상(遂安正 言+賞)[11]
- 손자 : 석양정 남(石陽正 諵)
- 사남 : 익현군 연(翼峴君 璭, 1431년 ~ 1463년 5월 4일)
- 자부 : 김제군부인 평양 조씨(金堤郡夫人 平壤趙氏)
- 손자 : 괴산군 궤(槐山君 漬, ?~1467년 6월 10일)
- 손자부 : 현부인 한산 이씨(縣夫人 韓山 李氏)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여종경(呂宗敬)과 혼인
- 오남 : 영해군 당(寧海君 瑭, 1435년 ~ 1477년)
- 자부 :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林川郡夫人 平山 申氏)
- 손자 : 영춘군 인(永春君 仁)
- 손자부 : 현부인 진주 유씨(縣夫人 晉州 柳氏)
- 증손 : 완천군 희(完川君 禧)
- 증손 : 강녕부정 기(江寧副正 祺)
- 증손 : 순성부정 정(蓴城副正 禎)
- 증손 : 덕녕부정 위(德寧副正 褘)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윤회충(尹懷忠)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윤개(尹漑)와 혼인
- 손자 : 길안도정 의(吉安都正 義)
- 손자부 : 신부인 여산 송씨(慎夫人 礪山 宋氏)
- 증손 : 시산부정 정숙(詩山副正 正叔)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신준양(申遵羙)과 혼인
- 손자부 : 신부인 청주 한씨(慎夫人 淸州 韓氏, 한명회의 서녀)
- 증손 : 청화수 창숙(淸化守 昌叔)
- 증손 : 송계군 중숙(松溪君 仲叔)
- 증손 : 은계군 말숙(銀溪君 末叔)
- 증손 : 벽계도정 종숙(碧溪都正 終叔)
- 증손 : 옥계군 필숙(玉溪君 畢叔)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삼(李蔘)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효원(李孝元)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박승약(朴承爚)과 혼인
- 육남 : 담양군 거(潭陽君 璖) - 요절
- 정혼녀 : 의령 남씨(宜寧 南氏)[13]
- 양손자 : 강양군 숙(江陽君 潚)[14]
- 양손자부 : 현부인 양주 허씨(縣夫人 陽州 許氏)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영평정 보(鈴平正 輔)
- 서증손 : 희안군 집(喜安君 輯)
- 서증손 : 예안정 헌(禮安正 軒)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양평부수 홍(陽平副守 車+弘)
- 서증손 : 함창부수 함(咸昌副守 轞)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신귀정(辛貴貞)과 혼인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정소종(鄭紹宗)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김내문(金乃文)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박승준(朴承俊)과 혼인
신빈 김씨가 등장하는 작품
참고 자료
각주
- ↑ 황인규, 논문 《조선전기 후궁의 비구니 출가와 불교신행》, 2011, 2016-11-29 확인
- ↑ 가 나 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84권, 세종21(1439) 1월 27일 2번째 기사
- ↑ 《조선왕조실록》 문종 1권, 문종 즉위년(1450) 3월 16일 2번째 기사
- ↑ 《조선왕조실록》 단종 3권, 단종 즉위년(1452) 9월 12일 1번째 기사
- ↑ 한확의 차녀이자 인수대비의 언니
- ↑ 담양군 거(潭陽君 璖, 신빈 김씨의 6남)에게 출계
- ↑ 영원군 예(寧原君 澧)에게 출계
- ↑ 괴산군 궤(槐山君 潰, 익현군의 장남)에게 출계
- ↑ 춘성군 당(春城君 譡)에게 출계
- ↑ 의안대군 방석(宜安大君 芳碩)에게 출계
- ↑ 수춘군 현(壽春君 玹)에게 출계
- ↑ 사산군(의창군의 장남)의 아들
- ↑ 혼인 직전에 담양군이 죽어 혼인이 취소 되었음
- ↑ 장남 계양군의 차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