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C의 모든 지하철 환승역 중에서 이 역은 가장 환승 이용객이 저조한 역인데, 환승이 저조한 이유는 환승 통로가 길며 1호선에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승객들이 이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호선과 2호선 사이에 갈아타는 승객들은 인근에 있는 세인트조지역을 이용한다.
이 역은 영-유니버시티선과 블루어-댄포스선 사이의 환승보다는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 전차를 통해 차이나타운이나 켄싱턴 시장, 유니언역 등을 이용하려는 승객이 훨씬 많다.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 전차가 차이나타운을 경유하는 만큼 역사 내의 안내판 일부가 중국 북방어로 되어있다.
역사
블루어-댄포스선
스파다이나역을 처음 설계할 때 이 역은 스파다이나가 아닌 '월머'역으로 불렸다.[2] 이 이름은 스파다이나 로드에서 서쪽으로 한 블록 가면 있는 월머 로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스파다이나 애비뉴는 주요 상업 거리로 1948년까지만 해도 노면 전차 노선을 따라 승객이 많았지만 대부분의 승객과 상업 발전은 블루어 남쪽에서 이루어졌다.
스파다이나 애비뉴는 블루어에서 끝나고 이후 북쪽으로 블루어에서 대번포트까지 이어지는 스파다이나 로드는 주로 주거 지역이다. 이 역 이름은 이후 스파다이나로 바뀌었지만, 출입구는 두 개만 설치되었다. 77번 스파다이나 버스가 역을 지나갔지만 역 안에는 버스 루프가 존재하지 않았고 지하철에서 버스 간 환승에는 환승 표가 필요하였다.[2]
영-유니버시티선
스파다이나 역이 개통한 지 10년만에 찾아온 가장 큰 변화는 스파다이나 지하철의 개통이였다. 유니버시티 지하철에서 출발해 스파다이나 애비뉴를 따라 북서쪽으로 윌슨역까지 이어지는 스파다이나 지하철은 로우더 / 스파다이나에 별도의 역을 지을 계획이였으나 교통국 측에서 이 두 역을 환승 통로로 연결시켜 하나의 역으로 통일하기로 하였다.[2] 이는 유니버시티 지하철이 평일과 토요일 오후 9시 30분,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하루 종일 저조한 승객 수를 이유로 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파다이나 선이 영 지하철로부터 계통이 분리될 가능성도 있어서 스파다이나역 북쪽에 크로스오버 트랙과 블루어-댄포스선 승강장과 연결되는 200미터의 환승 통로를 설치하였다.[2]
스파다이나 지하철이 개통 이후 승객이 점점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영 지하철에서 계통이 분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200미터가 넘는 환승 통로에 무빙 워크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나 환승 통로가 길어지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졌고 1990년대 말에 들어서서 환승 통로에 있는 무빙 워크는 고장이 잦았고 예산 감축의 고배를 마시던 교통국 당국은 무빙 워크를 유지하거나 교체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어간다 판단해 2004년에 결국 철거하였다.[2]
스파다이나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원래 있었던 동쪽 출입구는 없어졌고 버스 루프와 터미널 건물이 대신 새로 세워져 오늘날의 정문 역할을 하게 되었다. 77번 스파다이나 버스는 이 터미널에서 출발하였고 103번 스파다이나 노스 버스가 생겨나 역 북쪽의 스파다이나 로드를 운행하기 시작하였다.[2]
새로운 버스 터미널은 기존 서쪽 출입구의 맞은 편에 위치해있으며 1966년과 1978년 사이에 달라진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다. 기존 출입구는 현대주의 양식의 금속과 유리 박스로 이루어져 있다면 1978년에 지어진 버스 터미널은 맨사드같은 지붕과 벽돌 아치에 짙은 색깔과 덜 명백한 간판으로 꾸며져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지하철 승강장에도 드러나는데 블루어-댄포스 선 승강장은 같은 노선의 다른 역과 같이 직선, 밝은 색에 단조로운 타일 패턴이라면 영-유니버시티 선 승강장은 독특한 타일 패턴과 더불어 역명판과 승강장이 더욱 짙다.[2]
스파다이나 지하철 북쪽 끝에 있는 출입구에는 흥미로운 보존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1899년에 변호사인 노먼 B. 개시를 위해 로버트 오질비가 스파다이나 로드 85번지에 지은 건물은 1974년에 토론토 시 당국이 스파다이나역을 새로 지으려고 할 때 문화유산 건물로 지정하였다. 이 건물은 스파다이나 고속도로가 개통하면 철거될 계획이였으나 1971년에 스파다이나 고속도로가 취소되고 통합시 정부와 토론토 교통국이 기존 건물을 부수고 새로운 역 출입구를 만들기 위해 부지를 매입하였다. 지역 주민들은 이에 대해 항의하였고 교통국 측은 이후 이 건물을 지하철 출입구로 살리게 되었다.[2]
영-유니버시티 선 승강장은 토론토 교통국이 더욱 다양한 미술 작품을 수용하던 시점에 지어졌다. 루이 드 니베르빌의 에나멜 작품인 '아침 영광' (Morning Glory) 은 개시의 오래된 주택이였던 역 북쪽 출입구에 설치되었고 두 번째 작품은 조이스 위랜드의 '황량한 땅 순록' (Barren Ground Caribou)으로 대합실 층에 위치해있다.[2]
한편 블루어-댄포스 선 승강장에도 버스와 지하철 픽토그램이 스파다이나 역명판 바로 옆에 설치되었다. 1978년에 설치된 이 픽토그램은 역에 새로 개장한 버스 터미널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이 노선에서 이런 종류의 장식이 있는 역은 더퍼린과 페이프역이 리모델링 되기 전까지 스파다이나역이 유일하였다.[2]
스파다이나 노면 전차
1978년 1월 28일에 스파다이나 지하철이 개통할 당시, 토론토 교통국은 스파다이나 애비뉴에 노면 전차의 운행을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TTC는 이와 동시에 노면 전차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지하 터널에 "노면 전차로" (TO STREETCARS) 라는 간판을 설치하였으나 이는 너무 이른 시기에 설치되었다. 1980년대, 노면 전차 계획은 중단되었고 1990년 초반에 다다라서야 착공에 들어갔다. 이후 몇 년간의 공사 끝에 1997년 7월 27일,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 전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2]
새로운 노면 전차 노선은 스파다이나역에 주요한 변화를 불러왔다. 스파다이나 애비뉴와 서섹스 애비뉴 북쪽에 지하 회차점이 생기면서 버스 터미널과 블루어-댄포스 선 승강장 사이에 있는 대합실 남쪽 끝에 노면 전차 승강장이 생겼고 이곳에는 새로운 양식의 역 간판과 타일이 설치되었다.[2] 그뿐만 아니라 세인트조지역과 블루어-영역에 밀려 환승역으로서 고전하던 스파다이나역은 노면 전차가 생기면서 승객들이 점점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스파다이나역은 애닉스 지역 뿐만 아니라 토론토 대학교, 차이나타운 등을 잇는 새로운 교통 요지로 거듭나게 되었다.
한편, 노면 전차가 개통하게 되면서 토론토 교통국은 블루어-댄포스 선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였으나 영-유니버시티 선 승강장에는 구조상 문제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았다. 로우더 애비뉴 출입구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았다.[2]
마지막으로, 블루어-댄포스 선 승강장 서쪽 끝에 세 번째 출입구가 생김에 따라 오늘날의 화재 안전법 기준에 맞게 지어졌다. 승강장 서쪽 끝에 있는 계단은 월머 로드 동쪽 끝에 있는 유리 및 금속의 자동 출입구 건물로 이어져 있다. 1998년에 시작한 이 공사는 인근 주민들의 공사 소음 항의로 지연되어 18개월 뒤인 2000년 3월 말에 개통되었다.[2]
근처 명소
이 역은 토론토의 애닉스(the Annex) 지역에 위치해있고, 근처 명소로는 마일즈 나달 유대인 센터와, 블루어 스트리트 감리 교회, 트리니티-세인트 폴 감리 교회, 토론토 스쿨스 대학교와 토론토 대학교가 있다.
대중교통 연결편
아래는 스파다이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와 노면 전차 노선이다. 127번 대번포트 버스는 역 안에 있는 스파다이나 로드 버스 승강장에서 갈아탈 수 있으며,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 전차는 블루어-댄포스 선 대합실 층의 노면 전차 승강장에서 갈아탈 수 있다. 310번 스파다이나 심야 노면 전차 또한 역 안의 노면 전차 승강장에서 승차가 가능하나 심야 시간대에 지하철 승강장이 폐쇄되어 있는 관계로 24시간 열려있는 스파다이나 로드 출입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3] 300번 블루어-댄포스 심야 버스는 역 밖에 있는 블루어 스트리트 정류장에서 승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