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도(助道)는 부좌자순(扶佐資順) 즉 도움 · 보좌(補佐) ·자량·계합의 뜻으로 6바라밀·10바라밀 등의 바라밀[度]과 같은 수행을 반복하여 실천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천이 보리(菩提)를 증득하는 자량[資]이 되고 보리에 계합[順]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불주도(不住道)는 이착(離著) 즉 집착을 떠남의 뜻으로, 교혜쌍유(巧慧雙遊) 즉 교혜쌍수(巧慧雙修) 즉 교(巧)와 혜(慧)를 함께 공부[遊]하여서 즉 방편(方便)과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서 그 결과 치우침[偏]이 없는 것을 말한다.
혜원에 따르면, 증도(證道) ·조도(助道) ·불주도(不住道)의 3도는 동일한 도(道) 즉 동일한 길의 3가지 측면으로, 모두 '법을 성취하는 것[法成]' 즉 '깨달음에 도달하는 길'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 혜원은 다시 간략히 요약하여 도(道) 즉 성도(聖道)는 "깨달음에 도달하기에 증도(證道)이고, 그것의 자량이 되기에 조도(助道)이고, 범부와 성인을 모두 뛰어넘기에 불주도(不住道)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3도에서 '도(道)'는 '다른 것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뜻으로 원인이 되어 결과를 낳는 것 즉 인과관계를 뜻한다. 3도는 유정이 생사윤회를 반복하게 되는 과정을 인과관계[道]의 관점에서 3단계로 나눈 것으로, 탐·진·치 등의 번뇌[惑]가 원인이 되어 신업·구업·의업의 업(業)이 일어나고 업(業)이 원인이 되어 고(苦) 즉 3계6도의 삶 즉 5취온이라는 이숙과(異熟果)가 생겨나는 것을 말한다.
지의의 설명에 따르면, 12연기 가운데 과거 생의 무명(無明)과 현재 생의 애(愛) ·취(取)의 3가지 지분이 혹도(惑道) 즉 번뇌도(煩惱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과거 생의 행(行)과 현재 생의 유(有)의 2가지 지분이 업도(業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현재 생의 식(識) ·명색(名色) ·6입(六入) ·촉(觸) ·수(受)와 미래 생의 생(生) ·노사(老死)의 7가지 지분이 고도(苦道)에 해당한다.
지의의 이 설명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저술한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에 나오는 설명과 정확히 일치한다. 《대승광오온론》은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685년에 한역하였다.[41]
안혜는 《대승광오온론》에서 인과(因果)를 부정하는 그릇된 견해인 사견(邪見)에 대해 설명하면서, 12연기의 12지분을 원인[因]과 결과[果]로 나누고, 다시 원인[因]을 번뇌와 업으로 나누고 있다. 달리 말하면, 번뇌와 번뇌의 작용과 동시에 형성되는 업과 업에 의해 생겨나는 결과로 나누고 있는데, 그 구분은 다음과 같다.[42][43]
한자어 도(塗)에는 '길[道]'의 뜻도 있지만 괴로움의 뜻도 있는데, 3도(三塗)는 악을 행한 유정이 윤회하여 태어나는 3가지 생존 상태에서 겪게 되는 괴로움을 강조하는 표현이다.[7][9] 불교에서 유정 또는 중생은 천인·인간·아수라·동물·아귀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594, T.1597). 《섭대승론석》.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94(17-76), T.1597(31-321).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49(14-493), T.1509(25-57).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중국어) 지의 설, 관정 록 (T.1783). 《금광명경현의(金光明經玄義)》. 대정신수대장경. T39, No. 1783, CBETA.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 가나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三道(삼도): [1] 견도(見道)ㆍ수도(修道)ㆍ무학도(無學道).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의 3계단. (1) 견도. 온갖 지적(智的)인 미혹(迷惑)에서 벗어나는 지위. (2) 수도. 온갖 정(情)ㆍ의(意)적 방면의 번뇌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수행을 하는 기간. (3) 무학도. 수행을 완료하여 배울 것이 없는 지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 가나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三道): ① 성문이나 보살의 세 가지 수행 단계. (1) 견도(見道).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2) 수도(修道). 견도에서 사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을 끊은 후, 다시 수행을 되풀이하여 수혹(修惑)을 끊는 단계. (3) 무학도(無學道). 모든 번뇌를 끊어 더 닦을 것이 없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곽철환2003 (help)
↑ 가나星雲,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三道: (一)又作三聚。指惑道、業道、苦道;此三者為生死流轉之因果。(一)惑道,又作煩惱道,迷惑惱亂諸法事理之妄心。(二)業道,由妄心所發,乃身口意三業所作。(三)苦道,以惑業為因,招感三界六道之果。道有能通之意,此三者乃由惑起業,由業感苦,於苦復更起惑,輾轉相通,生死不絕,故稱三道;或以輪轉之義,三者輪轉不絕,故亦作三道。金光明玄義卷上以十二因緣配當三道,而謂過去之無明、現在之愛、取等三支為煩惱道,過去之行、現在之有等二支為業道,現在之識、名色、六入、觸、受,及未來之生、老死等七支為苦道。又天台宗就分段、方便、實報等三報而各說三道之別,即以見思之惑為煩惱道,煩惱潤業名為業道,招感界內之生為苦道,此係分段三道;以塵沙惑為煩惱道,無漏之業名為業道,變易生死為苦道,此係方便三道;以無明惑為煩惱道,非漏非無漏之業為業道,彼土變易為苦道,此係實報三道。另據天台圓教之說,三道與法身、般若、解脫等三德,及真性、觀照、資成等三軌,彼此融通,圓妙自在,而共成三千三諦圓具之妙法。〔俱舍論卷九、雜阿毘曇心論卷八、瑜伽師地論卷九十三、華嚴經探玄記卷十三、法華玄義卷五下〕 (二)聲聞、菩薩道位之三階次第,即見道、修道、無學道。(一)見道(梵 darśana-mārga),又作見地。即初見諦理而斷除見惑之階位。(二)修道(梵 bhāvanā-mārga),又作修地、分別地。即數數修習而斷除修惑之階位。(三)無學道(梵 aśaiksa-mārga),又作無學地。即斷盡諸惑,解脫繫縛之階位。其中,前二道亦稱有學道,見道唯無漏,修道通有漏、無漏。若以此三者配當四向四果,則見道為預流向,修道為後三向及預流、一來、不還三果,無學道即阿羅漢果。若以之配唯識五位,則依序為通達位、修習位、究竟位。若以之配十地,則依序為初地、第二地至第九地、第十地及佛地。〔俱舍論卷二十一、卷二十五、彰所知論卷下、大乘義章卷十、華嚴五教章卷三〕(參閱「五位」1087、「四向四果」1683) (三)十地經論卷十所立之證道、助道、不住道。(一)證道,謂證悟實性之理。「證」有「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無有分別,契會平等,故稱為證。(二)助道,謂六度等資助之行。「助」有「扶佐資順」之義;扶助諸度等行,而資順菩提,故稱為助。(三)不住道,謂方便、智慧並立,不偏不倚。「不住」有「離著」之義;巧慧雙修,不凝滯於任何一處而遊行在,故稱不住。〔大乘義章卷十〕 p644"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 가나고려대장경연구소, "삼도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 三道: * ⓟ * ⓣ * ⓢ * ⓔthe three path [동]삼륜(三輪). 1]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3도.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가는 세 가지 양상. 즉 번뇌, 이 번뇌에 의해 일어나는 업, 이 업의 과보로서 나타나는 고통. 2]수행의 세 단계로서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3]불교를 성취하는 세 입장으로서 삼승(三乘). 연각승 또는 독각승, 보살승, 불승. 4]십업도(十業道) 중의 탐(貪), 진(瞋), 사견(邪見)."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고려대장경연구소 (help)
↑ 가나佛門網,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三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1) The three paths all have to tread; 輪廻三道, 三輪, i.e. (a) 煩惱道 ; 惑道 ; the path of misery, illusion, mortality; (b) 業道 the path of works, action, or doing, productive of karma; (c) 苦道 the resultant path of suffering. As ever recurring they are called the three wheels. (2) 聾, 緣, 菩 śrāvakas, pratyekabuddhas, bodhisattvas, cf. 三乘.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輪迴三道,或三輪,即煩惱道、業道、苦道。煩惱道又名惑道,即無明貪欲瞋恚等之煩惱妄惑;業道是依著煩惱而產生的種種善惡行為;苦道是因善惡行為而召感未來的生死苦果。道是能通的意思,上述三者能互相通連,由煩惱而通向於業,由業而通向於苦,再由苦而回轉到煩惱,因此叫做三道,因其輪轉去來,所以又名三輪。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道即能通之義。謂三道更互相通。從煩惱通至業,從業通至苦,從苦復通至煩惱,展轉相通,生死不絕,故名三道。 〔一、苦道〕,苦即生死之苦也。謂三界六道眾生,生而復死,死已還生,故名苦道,(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六道者,天道、人道、修羅道、餓鬼道、畜生道、地獄道也。) 〔二、煩惱道〕,昏煩之法,惱亂心神,即見、思等惑也。謂由此煩惱為因,致感生死之果,故名煩惱道。 〔三、業道〕,業即身口所作善、惡業行也。謂由此諸業為因,致感生死之果,故名業道。 頁數: 出金光明經玄義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又作輪迴三道,三輪。一、煩惱道,又名惑道,無明貪欲瞋恚等之煩惱妄惑也。二、業道,依煩惱而發之善惡所作也。三、苦道,以善惡之業為因而獲之生死苦果也。道者能通之義,此三者互相通,自煩惱通於業,自業通於苦,自苦更通於煩惱,故謂之三道。如此輪轉,謂之三輪。光明玄義上曰:「道名能通,此三更互相通,從煩惱通業,從業通苦,從苦復通煩惱,故名三道。」【又】聲緣菩三乘之道也。【參見: 三乘】"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 가나운허, "三途(삼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三途(삼도): 삼도(三塗)라고도 함. 화도(火塗)ㆍ도도(刀途)ㆍ혈도(血途)니, 지옥ㆍ아귀ㆍ축생을 말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 가나星雲, "三塗".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三塗: 又作三途。即火塗、刀塗、血塗,義同三惡道之地獄、餓鬼、畜生,乃因身口意諸惡業所引生之處。(一)火塗,即地獄道,或以於彼處受苦之眾生常為鑊湯爐炭之熱所苦,或以彼處火聚甚多,故稱火塗。(二)刀塗,即餓鬼道,以於彼處之眾生常受刀杖驅逼等之苦,故稱刀塗。(三)血塗,即畜生道,以於彼處受苦之眾生,強者伏弱,互相吞噉,飲血食肉,故稱血塗。至若「塗」之義有二:一為殘害,如塗炭;一為所趣,即梵本無量壽經之阿波耶伽底(apaya-gati,意譯惡趣、惡道)。〔大明三藏法數卷十一、翻譯名義集卷七、釋氏要覽卷中〕(參閱「三惡趣」625) p636"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 가나곽철환 2003, "삼도(三塗 , 三途)".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三塗 , 三途): 악한 일을 저지른 중생이 그 과보로 받는다고 하는 세 가지 미혹한 생존. (1) 화도(火塗). 지옥의 생존. (2) 도도(刀塗). 아귀의 생존. (3) 혈도(血塗). 축생의 생존."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곽철환2003 (help)
↑ 가나다고려대장경연구소, "삼도 三塗".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 三塗: * ⓟ * ⓣ * ⓢapāya-patha ; preta-triyag-naraka * ⓔthree paths ; three kinds of evil destination [동]삼악취(三惡趣). 1]지옥과 축생과 아귀의 세계에서 중생이 겪는 길. 맹화로 타오르고 있는 지옥의 화도(火塗), 서로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축생의 혈도(血塗), 칼에 의해 핍박당하고 있는 아귀의 도도(刀塗). 2]삼도(三途). 지옥과 축생과 아귀라는 3악도(惡道)."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고려대장경연구소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고려대장경연구소"[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4534 삼도 三塗]". 2013년 4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고려대장경연구소, "삼도처 三道處".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처 三道處: * ⓟ * ⓣ * ⓢ * ⓔplaces of three paths 1]지옥, 아귀, 축생 등의 3악도(惡道). ⇒ 삼악취(三惡趣)."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고려대장경연구소 (help)
↑DDB, "聖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聖道: Pronunciations: [py] shèngdào [wg] sheng-tao [hg] 성도 [mc] seongdo [mr] sŏngdo [kk] ショウドウ [hb] shōdō [qn] thánh đạo Basic Meaning: holy path Senses: # Noble path (Skt. ārya-mārga; Tib. 'phags pa'i lam). The Correct Eightfold Path 八正道. (Skt. ārya-gotra-mārga, ārya-patha, nyāya, mārga, mārga-satya, mārgâṅga, lokôttara-mārga)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Stephen Hodge, Hirakawa] # In Abhidharma and Yogâcāra, a reference to the paths of seeing 見道, cultivation 修道 and no further training 無學道. [Charles Muller] # Enlightenment, awakening; the path of the sages. [Charles Muller] # Sagely knowledge; undefiled wisdom 無漏智.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560 Bulgyo sajeon 466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572d Iwanami bukkyō jiten 436 Bukkyōgo daijiten (Nakamura) 728b Fo Guang Dictionary 5585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957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2703c,4855c Bukkyō daijiten (Oda) 785-1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DDB (help)
↑권오민 2003, 223–274쪽.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권오민2003 (help)
↑ 가나다星雲, "見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見道: 梵語 darśana-mārga。又作見諦道、見諦。為修行之階位。與修道、無學道合稱為三道。即指以無漏智現觀四諦,見照其理之修行階位。見道以前者為凡夫,入見道以後則為聖者。其次,見道後更對具體之事相反覆加以修習之位,即是修道,與見道合稱有學道。相對於此,無學道又作無學位、無學果、無學地,意指既入究極之最高悟境,而達於已無所學之位。依小乘佛教,以修三賢、四善根等之準備修行(七方便)為始者,能生無漏智,而趨入見道。大乘則以初地為入見道,故稱菩薩之初地為見道,第二地以上為修道,至第十地與佛果方可稱無學道。密教以始生淨菩提心之位,稱為見道。以無漏智明白判斷道理者,稱為決擇(決斷簡擇),見道為決擇之一部分,故稱為決擇分。 又悟入涅槃之境界或欲達到涅槃之聖道皆是正性,故特稱見道為正性。又因所有之聖道皆令離煩惱,稱為離生,見道令離異生(凡夫)之生,故特稱見道為離生;是故見道又稱正性離生、正性決定(決定必趣涅槃之意)。見道所斷(又作見道斷、見所斷)之煩惱,略稱見惑;修道所斷(又作修道斷、修所斷)之煩惱,略稱修惑。 (一)在一切有部,現觀見道苦、集、滅、道四諦之無漏智有二種,即能斷見惑之無間道智與證斷四諦真理之解脫道智。以其所觀察之對象,復可分為八忍八智之十六心,即觀欲界苦諦所得之苦法智忍(無間道之智)、苦法智(解脫道之智),觀色界、無色界苦諦所得之苦類智忍、苦類智;觀欲界集諦所得之集法智忍、集法智,觀上二界集諦所得之集類智忍、集類智;觀欲界滅諦所得之滅法智忍、滅法智,觀上二界滅諦所得之滅類智忍、滅類智;觀欲界道諦所得之道法智忍、道法智,觀上二界道諦所得之道類智忍、道類智。以此十六心(剎那)現觀諦理,稱為聖諦現觀。其中以前十五心屬於見道,特稱見道十五心;道類智已一度觀遍四諦法,故屬於修道之範圍(如表)。對於三界九地之修惑,修道各分上上品、上中品,乃至下下品等九品,合為八十一品,乃指斷修惑之修道過程。對於次第證者而言,見道為預流向,故於第十六心(道類智)證初果(預流果);然對異生位(凡夫位)之超越證者而言,彼等以世俗智修有漏之六行觀,業已斷除修惑之一部分,故應其程度可於第十六心證得初果、第二果(一來果),或第三果(不還果)。修道,則指以上之果位乃至阿羅漢向之間之階段。 無學道,即證得阿羅漢果位,依其能力根機之高低,可分退法乃至不退法等七種阿羅漢,此外再加獨覺、佛,或慧解脫、俱解脫二者,稱為九無學。再者,無學之人可完成無學正見乃至無學正定等八聖道,以及無學解脫、無學正智等十種無漏法(十無學支)。又鈍根者於見道稱為隨信行,於修道稱為信解,於無學道稱為時解脫;利根者於見道、修道、無學道則分別稱為隨法行、見至、不時解脫。 (二)經量部或成實論,以八忍八智之十六心全屬見道,故主張十六心見道(又作十六心見諦)之說。而犢子部認為每一諦皆具有法智、法忍、類智三心,故主張十二心見道之說,至於第十三心,則指最後之道類智於前剎那再續起者,或於一剎那之際,再觀所有四諦之心,故第十三心以後為修道。此外,大眾部立頓現觀之說,即於一剎那間遍觀四諦,或立一時頓現觀說,先總括而觀,其次詳觀,故生二剎那之悟境;相對於此,有部說漸現觀。 (三)唯識宗分見道為真見道、相見道二種。真見道證唯識理,可引生根本無分別智,證悟真如之理,為斷煩惱障、所知障之分別隨眠煩惱之位。以上謂一心真見道說(又作頓證頓斷說),以此為正義。相見道證唯識相,為於真見道後生後得無分別智,再觀真如理之位,分為三心相見道與十六心相見道二種。三心相見道,即作三心,觀非安立諦(觀二空真如,非觀四諦差別)之境,即:(1)觀察自己之肉體,體證我空。(2)體證法空,證諸法皆無實體。(3)觀察自他之所有有情及一切物,而體悟我空與法空之理。十六心相見道,即作十六心,觀安立諦(觀四諦之別相)之境。三心相見道含攝於真見道,故稱三心真見道說(又作漸證漸斷說)。見道行人已斷見惑,得無分別智,然仍殘留餘障,故須於修道位再經數度修習無分別智,依序斷除十重障,以至於第十金剛無間道斷盡煩惱障與所知障之種子,而證得無學果。以上三道若配合五位,則見道當配於通達位,修道當配於修習位,無學道當配於究竟位。〔俱舍論卷二十三、大毘婆沙論卷三、卷五十四、卷七十五、成實論卷一、卷十五、雜阿毘曇心論卷五、阿毘達磨順正理論卷七十三、成唯識論卷六、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五、顯揚聖教論卷十七、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九、大乘法苑義林章卷二末〕(參閱「三道」644、「四向四果」1683、「有學 」2458、「見惑」2997、「阿羅漢」3692) p3001"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921DTITLEA8A3B9D 見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84-86 / 2698. 비치차라나삼반나(鞞侈遮羅那三般那) "또한 비치차라나삼반나(鞞侈遮羅那三般那)141)라고도 하나니, 중국[秦] 말로는 명행구족(明行具足)이라 한다. 어찌하여 명행구족이라 하는가? 숙명(宿命)142)과 천안(天眼)143)과 누진(漏盡)144)을 3명(明)이라 한다. [문] 신통(神通)과 명(明)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답] 과거 전생의 일만을 바로 아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과거의 인연과 행업까지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여기에 죽어서 저기에 태어나는 것만을 바로 아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행의 인연은 이어지고 만나서[際會] 어긋나지 않음을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번뇌[結使]가 다하지만 다시 생겨날지 아닐지 모르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번뇌가 다하여 다시는 생겨나지 않을 것을 똑똑히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이것이 3명이니, 이 3명은 큰 아라한이나 큰 벽지불들이 얻는 것이다. [문] 그렇다면 부처님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답] 그들은 비록 3명을 얻었으나 명이 만족하지 못하거니와 부처님은 모두가 만족하시니 이것이 다른 점이다. [문] 무엇을 만족하다 하고, 무엇을 만족하지 못하다 하는가? [답] 모든 아라한과 벽지불의 숙명지는 자기의 일과 다른 이의 일을 알지만 두루하지 못하다. 아라한은 한 세상 · 두 세상 · 세 세상, 혹은 십 · 백 · 천 · 만 겁 내지 8만 겁을 알지만 이를 지나면 더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천안명에 만족하지 못한다.145) 미래 세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부처님은 한 생각 동안에 나고 머무르고 멸하는 때와 모든 번뇌의 부분[分]이 생겨날 때와 모든 결사가 이처럼 나고 머물고 멸할 때를 아시니, 이와 같은 고법인(苦法忍)146)· 고법지(苦法智)147)에서 끊어야 할 번뇌를 모두 분명히 아신다. 이와 같이 해서 번뇌에서 해탈할 때에 거기에 맞는 유위법의 해탈을 얻으며, 거기에 맞는 무위법의 해탈 내지 도비인(道比忍)148)을 얻는다. 이는 견제도(見諦道)149)의 15심(心)150) 가운데 있는 성문이나 벽지불들은 깨달아 알지 못하는 바이니, 시간이 짧고 빠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과거 중생의 인연과 번뇌가 다하였음을 알며, 미래와 현재에 대해서도 역시 그와 같다. 그러므로 부처님을 명행구족이라 한다. 행(行)은 신업(身業)과 구업(口業)을 뜻하는 말이나 오직 부처님만이 신구업을 구족하시고 나머지는 모두가 잃게 되기에 명행구족이라 한다. 139) 범어 arhat를 부정접두어 a-와 rahat의 합성어로 보는 경우이다. 140) 범어로는 Samyaksaṁbuddha. 141) 범어로는 Vidyācaraṇasaṁpanna. 142) 범어로는 pūrva-nivāsābhijñā. 생사를 아는 능력을 말한다. 143) 범어로는 dvyacakṣu. 144) 범어로는 āsrava-kṣayābhijñā. 모든 번뇌의 소멸을 아는 능력을 말한다. 145) 그러므로 천안명이 완전하지 못하다. 146) 범어로는 duḥkhe`nvaya-jñāna-kṣāntiḥ. 고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인 고법지의 직전에 얻는 마음을 말한다. 고류지인(苦類智忍)이라고도 한다. 147) 범어로는 duḥkhe`nvaya-jñāna. 색계 · 무색계의 고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를 말한다. 고류지(苦類智)라고도 한다. 148) 도류지인(道類智忍)이라고도 한다. 이는 색계 · 무색계의 도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인 도비지(道比智, mārga-anvaya- jñāna)를 얻기 직전에 나타나는 마음으로, 욕계의 도제(道諦)를 관찰한 뒤 다시 위의 두 세계(색계 · 무색계)의 도제를 관찰해 명확히 인정하고 알아채는 마음을 말한다. 149) 범어로는 darśana-mārga. 4제(諦)를 관찰하는 단계를 말한다. 번뇌가 끊어진 성자의 경지를 처음으로 발견하는 단계로 견도(見道)라고도 한다. 150) 견도(見道)의 지위에 들어서 일으키는 무루의 법인과 법지인 8인(忍) · 8지(智) 가운데 도비지(道比智, mārga-anvaya- jñāna) 이전의 15심을 가리킨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용수_지음,_구마라습_한역,_김성구_번역K.549,_T.1509 (help)
↑곽철환 2003, "견도(見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견도(見道):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이 이상의 단계에 이른 사람을 성자라고 함. 초기 불교에서는 예류향(預流向), 유식설에서는 통달위(通達位), 보살의 수행 단계에서는 십지(十地) 가운데 초지(初地)에 해당함. 동의어: 견제, 견제도(見諦道), 정성, 정성결정, 정성이생"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곽철환2003 (help)
↑운허, "見道(견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見道(견도): ↔수도(修道). 견제도(見諦道)라고도 함. 온갖 지식으로 잘못 아는 소견을 여읜 자리. 소승에서는 3현(賢)ㆍ4선근(善根)의 수행을 마치고, 세제일위(世第一位)의 직후 무루(無漏)의 지혜를 일으켜 16심(心)으로써 욕계와 색계ㆍ무색계의 4제(諦)의 이치를 관찰하고, 지식으로 잘못된 소견을 여의어 처음으로 성자(聖者)라 칭하는 위(位). 16심 가운데 앞에 15심은 견도(見道), 제16심은 수도(修道)라 한다. 대승 유식종(唯識宗)에서는 5위 중 통달위(通達位)에 해당, 가행위(加行位)의 맨 나중인 세제일위의 직후 무루의 지혜를 일으켜 유식(唯識)의 성품인 진여의 이치를 체득하여 후천적으로 일어나는 번뇌장(煩惱障)ㆍ소지장(所知障)의 종자를 끊고, 선천적으로 갖춘 번뇌장의 활동을 아주 눌러버리는 자리. 10지(地)의 처음인 환희지에 해당. 이 종(宗)은 16심 전체를 견도라 함. ⇒진견도(眞見道)"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大乘四果(대승사과)".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大乘四果(대승사과): 통교(通敎)의 보살이 10지(地)의 수행을 닦아 나아가는 증과(證果)에 얕고 깊음이 같지 아니한 것을, 소승의 4과에 의지하여 나타낸 것. (1) 보살이 초지에서 번뇌를 끊고 진리를 증하는 것은 여래의 집에 나는 것이므로 이것은 소승 수다원과(須陀洹果). (2) 제8지에 들어가 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는 것은 소승의 사다함과(斯陀含果). (3) 제10지에 들어가 여래의 직책을 받는 것은 별교ㆍ원교의 등각 자리와 같으므로 이것은 소승의 아나함과(阿那含果). (4) 견혹(見惑)ㆍ사혹(思惑)의 습기를 모두 끊고 성불하는 것은 소승의 아라한과(阿羅漢果)에 각각 해당한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佛門網, "見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見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way or stage of beholding the truth (of no reincarnation), i. e. that of the śrāvaka and the first stage of the Bodhisattva. The second stage is 修道 cultivating the truth; the third 無學道 completely comprehending the truth without further study.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小乘以八忍八智之十六心為見道,因十六心是初生無漏智照見真諦理之位。大乘的菩薩,則於初僧祇之終,終四善根之加行,而頓斷分別起之煩惱所知二障,叫做見道。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rśana-mārga; mārga-darśana; śrya-mārga, darśana, darśanākhya, dṛk-patha, dṛṅ-mārga, niyāma, mārgābhisamaya. 頁數: P.3414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聲聞因斷三界見惑,見真諦理,故名見道。即初果,須陀洹也。(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見惑者,意根對法塵起諸分別,曰見惑。梵語須陀洹,華言預流。謂預入聖道法流也。)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見道===瑜伽二十九卷十三頁云:率爾智生,名為見道。暫時智起,卽能永斷諸煩惱故。 二解 如現觀智諦現觀中說。 三解 成唯識論九卷八頁云:加行無間,此智生時,體會真如,名通達位。初照理故;亦名見道。此有二種。一、真見道,二、相見道。如彼廣釋。又云:菩薩得此二見道時,生如來家,住極喜地,善達法界,得諸平等,常生諸佛大集會中,於多百門,已得自在,自知不久證大菩提,能盡未來利樂一切。 四解 雜集論九卷一頁云:云何見道?若總說,謂世第一法無間,無所得三摩地缽羅若,及彼相應等法。由無分別奢摩他毗缽舍那等,為體相故。又所緣能緣,平等平等智,為其相。由此通達所取能取無性真如故。又遣各別有情假,法假,遍遣二假,所緣法智為相。云何遣各別有情假所緣法智為相。由此智,於自相續中,不分別我相故。不分別者,是除遣義。云何遣各別法假所緣法智為相?由此智,於自相續中,不分別色等法相故。云何遍遣二假所緣法智為相?由此智,於一切處,無有差別,不分別我,及法相故。"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佛門網, "現觀智諦現觀".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現觀智諦現觀: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現觀智諦現觀 [py] xiànguānzhì dìxiànguān [wg] hsien-kuan-chih ti-hsien-kuan [ko] 현관지체현관 hyŏngwanji ch'ehyŏngwan [ja] ゲンカンチタイゲンカン genkanchi taigenkan ||| One of the six kinds of observations of reality 六現觀. The no-outflow wisdom that observes the essence of suchness. 〔瑜伽論 T 1579.30.606a5〕 頁數: [Dictionary References] Naka336a [Credit] cmuller(entry)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abhisamaya-jñāna-satyābhisamaya. 頁數: P.2312-P.2314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五十五卷十六頁云:云何名為第四現觀?謂於加行道中,先集資糧,極圓滿故;又善方便磨瑩心故;從世間順抉擇分邊際善根無間,有初內遣有情假法緣心生;能除軟品見道所斷煩惱麤重。從此無間,第二內遣諸法假法緣心生;能除中品見道所斷煩惱麤重。從此無間,第三遍遣一切有情諸法假法緣心生;能除一切見道所斷煩惱麤重。又此現觀,即是見道。亦名雙運道。此中雖有毗缽舍那品三心、及奢摩他品三心;然由雙運、合立三心。以於一剎那中止觀俱可得故。當知此諸心、唯緣非安立諦境。又前二心、法智相應。第三心、類智相應。又即由此心勢力故;於苦等安立諦中,有第二現觀位清淨無礙苦等智生。當知依此智故,苦集滅道、智得成立。即前三心、并止觀品、能證見斷煩惱寂滅,能得永滅一切煩惱、及所依事,出世間道。是名現觀智諦現觀。 二解瑜伽七十一卷三頁云:問:現觀智諦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現觀智諦現觀者;終不復能依諸妄見而有所作;於自所證而有疑惑;於諸生處而有貪染;現行世相,計為清淨;誹謗聲聞、獨覺、大乘,作惡趣業;何況能造害父母等諸無間業。乃至不能生第八有。問:現觀智諦現觀、何自性?答緣非安立諦境慧為自性。或此俱行菩提分法為自性。問:現觀邊智諦現觀、當言作何業?答:現觀智諦現觀、能得一切沙門果為業;能引發一切功德清淨為業;能引所餘現觀為業;能於善趣助感光淨果及異熟業。又云:現觀智諦現觀、亦無量種。謂念住、正斷、神足、根、力、覺支、道支等,菩提分法、無量差別。如現觀智諦現觀,當知現觀邊智諦現觀、究竟現觀、亦爾。 三解顯揚十七卷三頁云:問:現觀智諦現觀以何為體,答:以緣非安立諦聖慧為體。或此俱行菩提分法為體。問:現觀智諦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現觀智諦現觀者;終不依止異見,起所作業;及於自所證,起疑起惑;及染著一切生處,計行吉相、而得清淨;誹謗三乘,造惡趣業;況復能起害父母等諸無間業。乃至終不生第八有。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成唯識論九卷十一頁云:四、現觀智諦現觀。謂一切種緣非安立根本後得無分別智。"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운허, "修道(수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修道(수도): 【범】 Bhāvanā-mārga 【팔】 Bhāvahā-magga 3도(道)의 하나. 견도위(見道位)에서 온갖 지적(智的)인 미(迷)를 벗어나고, 다음에 정(情)ㆍ의(意)로부터 일어나는 온갖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려는 수양을 쌓는 기간. 소승에서는 4향(向) 4과(果) 중에서 일래향(一來向)ㆍ일래과(一來果)ㆍ불환향(不還向)ㆍ불환과ㆍ아라한향(阿羅漢向)의 기간. 대승에서는 초지에서 제10지까지의 기간."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佛門網, "修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修道: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1.修行正道。2.菩薩於見道之後,再進一步,登入初地,漸進至十地,此時稱為修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cultivate the way of religion; be religious; the way of self-cultivation. In the Hīnayāna the stage from anāgāmin to arhat; in Mahāyāna one of the bodhisattva stages.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聲聞得初果已,復緣真諦之理,斷欲界九品思惑,名為修道。即二果斯陀含、三果阿那含也。(思惑者,五根對五塵,起貪染心口思。九品者,於上中下三品,每一品中又分三品,名為九品。梵語斯陀含,華言一來;謂來欲界一番受生也。梵語阿那含,華言不來,謂不來欲界受生也。)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二十九卷十三頁云:長時相續,名為修道。多時串習,斷煩惱故。 二解 雜集論九卷五頁云:云何修道?謂見道上所有世間道、出世間道、軟道、中道、上道、方便道、無間道、解脫道、勝進道等,皆名修道。所以者何?諸佛聖弟子、已得諦現觀;從此已上,為斷餘結,方便數習世間道等;是名修道。"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운허, "修習位(수습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修習位(수습위): 유식종(唯識宗)에서 일체 만법은 유식(唯識)의 변현(變現)이라고 하는 이치를 관수(觀修)하는데 5위(位)를 세운 중에 제4 계위(階位). 앞의 통달위(通達位)에서 공무아(空無我)의 진리를 관한 뒤에, 다시 수습하여 온갖 장애를 끊는 지위. 3학(見道ㆍ修道ㆍ無學) 중의 수도에 해당. 자세히 말하면 초지(初地)의 주심(住心)에서 제10지의 출심(出心)까지. 이 기간에 10바라밀의 수행을 하면서 10중(重)의 장애를 끊고, 10종의 진여를 증득하는 지위."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星雲, "修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修道: 梵語 bhāvanā-mārga。數數修習道之意。又作有學道。三道之一。(一)於小乘中,修道乃於見道位時,起無漏智,初證四諦之真理,於此真理中更加修習,乃至斷除三界八十一品之修惑。道,即遊履、通入之義;既遊履於無漏智與四諦真理之中,並漸而通入涅槃,故稱為修道;相當於四向四果中之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阿羅漢向等六者。 (二)於大乘唯識之中,初地之住心以後,至第十地最後修金剛無間道,稱為修道。於其中間,廣為斷除見道之時所斷滅者以外之餘障,亦即斷除一切俱生的所知障之種子,為證得二轉依之妙果,而屢屢修習無分別智;相當於資糧位等五位中之第四位(修習位);亦相當於三僧祇之修行中,第二與第三僧祇之大半。又如十地之中,修行斷證之順序乃在於:先修十波羅蜜,次斷十重障,再證十真如;此亦為一般修道之次第。上記之外,凡於宗教生活中,循其教義教理而反覆實踐修行者,皆稱修道。〔大毘婆沙論卷五十一、俱舍論卷二十一、卷二十二、卷二十三、梁譯攝大乘論卷七、成唯識論述記卷十本、大乘義章卷六〕 p4048"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佛門網, "現觀邊智諦現觀".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現觀邊智諦現觀: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abhisamayāntika-jñāna-satyābhisamaya. 頁數: P.2312-P.2314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五十五卷十七頁云:云何名為現觀邊智諦現觀?謂此現觀後所得智、名現觀邊智。當知此智,第三心無間,從見道起,方現在前。緣先世智曾所觀察下上二地、及二增上安立諦境;似法類智世俗智攝;通世出世;是出世間智後所得。如其次第,於一一諦,二種智生。謂忍可欲樂智、及現觀決定智。如是依前現觀起已;於下上諸諦中,二二智生;是名現觀邊智諦現觀。此中前智、遣假法緣故;是無分別。後智、隨逐假法緣故;是有分別。又前智、於依止中,能斷見斷煩惱隨眠。後智、思惟所緣故;令彼所斷、更不復起。又前智、能進趣修道中出世斷道。第二智、能進趣世出世斷道。無有純世間道、能永害隨眠。由世間道、是曾習故;相執所引故。如相執所引,如是亦不能泯伏諸相。如不能泯伏諸相,如是亦不能永害麤重。是故彼道無有永害諸隨眠義。 二解瑜伽七十一卷三頁云:問:現觀邊智諦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現觀邊智諦現觀者;終不於彼他所詰問而生怖畏。問:現觀邊智諦現觀、何自性?答:緣安立諦境慧為自性。或此俱行菩提分法為自性。問:現觀邊智諦現觀、當言作何業?答:現觀邊智諦現觀,能於一切安立諦中,問答善巧為業;速疾通慧為業;能引此後現觀為業。此現觀亦無量種。與現觀智諦現觀同。 三解顯揚十七卷三頁云:問:現觀邊智諦現觀、以何為體?答:以緣安立諦聖慧為體。或此俱行菩提分法為體。問:現觀邊智諦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現觀邊智諦現觀者:於自所證,若他問難;終不怯怖。 四解成唯識論九卷十一頁云:五、現觀邊智諦現觀。謂現觀智諦現觀後、諸緣安立世出世智。"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佛門網, "安立真如".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安立真如: ānlì zhēnrú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安立,即建立之義。謂如來所說一切眾生色身業行有為之法,迷真逐妄,受生死苦,皆依真如之體建立,是名安立真如。論云:我所說諸苦聖諦。是也。(苦聖諦者,聖,正也。諦,即審實不虛之義。謂諦了生死實是苦也。)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安立真如===瑜伽七十七卷八頁云:四者,安立真如。謂我所說諸苦聖諦。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參見: 真如】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體非偽妄曰真,性無改異曰如;即一實相之體也。謂真如之體,能生世間、出世間一切諸法,而得安住,故名安立真如。"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운허, "無學道(무학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無學道(무학도): 3도(道)의 하나. 모든 번뇌를 끊고 진리를 증득하여 다시 더 배울 것이 없는 원만하고 샘이 없는 지혜."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佛門網, "無學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無學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way of the arhat, especially his attainment to complete truth and freedom from all illusion, with nothing more to learn.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聲聞斷三界見、思惑盡,真諦之理究竟,無法可學,故名無學。即第四果阿羅漢也。(梵語阿羅漢,華言無學。)"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운허, "究竟位(구경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究竟位(구경위): 5위(位)의 하나. 모든 번뇌를 끊어 없애고 진리를 증득하여 최종의 불과(佛果)에 도달한 지위. 청정하고 위없고 지극한 자리."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星雲, "無學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無學道: 梵語 aśaiksa-mārga。又作無學位、無學地。為佛教修行階位之一。與見道、修道合稱為三道。係盡證真諦之理,解脫一切煩惱,學道圓滿,而不更修學勝果之道。即指阿羅漢果。大小乘規定無學道之內容有所不同,小乘以阿羅漢果位為無學道,以其餘四向三果為有學道。大乘則以菩薩修行階位之第十地最後所得之佛果為無學道。又無學之阿羅漢有利、鈍之別,鈍根者必須待時而解脫,故稱時愛心解脫、時解脫;利根者不須待時即得解脫,故稱為不動心解脫、不時解脫。〔大毘婆沙論卷五十一、卷六十六、卷六十八、卷九十四、卷一○一、俱舍論卷二十四、卷二十五、成唯識論卷六、大乘義章卷十七〕(參閱「九無學」 147、「阿羅漢」3692、「解脫」5602) p5138"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운허, "妙覺(묘각)".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妙覺(묘각): 불과(佛果)를 말한다.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인 52위(位)나 41위의 마지막 지위.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다시 1품의 무명을 끊고 이 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佛門網, "究竟現觀".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究竟現觀: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顯揚十七卷三頁云:問:究竟現觀,以何為體?答:以盡智無生智等為體。或此俱行菩提分法為體。問:究竟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究竟現觀者;終不墮於五種犯處;終不故害眾生之命,及不與取,習近婬佚非梵行法,故說妄語,貯積財物,受用諸欲。又終不怖畏不可記論事。終不計執自作苦樂,他作苦樂,自他作苦樂,非自非他作無因生苦樂。 二解 瑜伽五十五卷十八頁云:云何名為究竟現觀?謂由永斷修所斷故;所有盡智無生智生。或一向出世,或通世出世。於現法中,一切煩惱永斷決定故;於當來世,一切依事永滅決定故;名究竟現觀。 三解 瑜伽七十一卷三頁云:問:究竟現觀、有何相?答:若有成就究竟現觀者;終不復能犯於五處。亦不復能乃至故斷諸傍生命;不與而取;行非梵行,習婬欲法;知而妄語;蓄積財寶,諸妙欲具,而受用之。亦不怖畏不可記事。亦不妄計所有苦樂,自作,他作,自他俱作,非自非他為因而生。如是等類,當知是名諸現觀相。問:究竟現觀、何自性?答:盡無生智等為自性。或此俱行菩提分法為自性。問:究竟現觀,當言作何業?答:究竟現觀、能引第一現法樂住為業;解脫一切生死大苦為業;住持最後身為業。此現觀亦無量種。與現觀智諦現觀同。 四解 成唯識論九卷十一頁云:究竟現觀:謂盡智等、究竟位智。 五解 雜集論十三卷十四頁云:究竟現觀者:如道諦中究竟道說。謂已息一切麤重,已得一切離繫得;如是等。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niṣṭhābhisamaya 頁數: p. 2671 – 2677"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佛門網 (help)
↑星雲, "三道".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증도(證道)·조도(助道)·불주도(不住道) "三道: (三)十地經論卷十所立之證道、助道、不住道。(一)證道,謂證悟實性之理。「證」有「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無有分別,契會平等,故稱為證。(二)助道,謂六度等資助之行。「助」有「扶佐資順」之義;扶助諸度等行,而資順菩提,故稱為助。(三)不住道,謂方便、智慧並立,不偏不倚。「不住」有「離著」之義;巧慧雙修,不凝滯於任何一處而遊行在,故稱不住。〔大乘義章卷十〕 p644"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혜원 찬 & T.1851, 제10권. p. T44n1851_p0672a02 - T44n1851_p0672a21. 증도(證道)·조도(助道)·불주도(不住道) "同相三道義兩門分別(釋名一 辨體二)第一釋名。同相三道出地經論。名字是何。一是證道。二是助道。三不住道。言證道者。證是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亡於分別契會平等。名之為證。言助道者。助是扶佐資順之義。諸度等行迭相扶佐資順菩提。故名助。言不住者。是離著之義。巧慧雙遊行無偏在。故曰不住。此三通論皆依法成。俱應名證。同能資果。並應名助。超凡異聖。齊名不住。為別三門。隱顯異名等別三門。隨顯受目。證據心體。心淨照明得法義顯。故偏名證。所證如中無果可資。故不名助。染淨相泯不住義隱。故不名不住。助是行修資順義強。故偏名助。見果可求證如義隱。故不名證。背有求出不。不住義微。故不名不住。不住巧慧離著義顯。故偏名不住。染淨俱遊證如義隱。故不名證。染淨雙隨不偏求出。非專向果。故不名助。此之三種諸地通有。名之為同。同行體狀目之為相。蓋是體相非標相也。同行虛通目之為通。"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혜원_찬T.1851 (help)
↑阿含辭典, "正".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您所查詢的「正」: 正: 1.正確的(sammā),如「正見」、「正觀察」。2.徹底的;完全地(sammā),如「正覺」、「正心解脫」。3.不偏不倚的,如「日正中食」、「正無間等」。4.即使,如「正使放逸」。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阿含辭典 (help)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三道(삼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삼도(三道):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곽철환2003 (help)
↑星雲,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三道: (一)又作三聚。指惑道、業道、苦道;此三者為生死流轉之因果。(一)惑道,又作煩惱道,迷惑惱亂諸法事理之妄心。(二)業道,由妄心所發,乃身口意三業所作。(三)苦道,以惑業為因,招感三界六道之果。道有能通之意,此三者乃由惑起業,由業感苦,於苦復更起惑,輾轉相通,生死不絕,故稱三道;或以輪轉之義,三者輪轉不絕,故亦作三道。金光明玄義卷上以十二因緣配當三道,而謂過去之無明、現在之愛、取等三支為煩惱道,過去之行、現在之有等二支為業道,現在之識、名色、六入、觸、受,及未來之生、老死等七支為苦道。又天台宗就分段、方便、實報等三報而各說三道之別,即以見思之惑為煩惱道,煩惱潤業名為業道,招感界內之生為苦道,此係分段三道;以塵沙惑為煩惱道,無漏之業名為業道,變易生死為苦道,此係方便三道;以無明惑為煩惱道,非漏非無漏之業為業道,彼土變易為苦道,此係實報三道。另據天台圓教之說,三道與法身、般若、解脫等三德,及真性、觀照、資成等三軌,彼此融通,圓妙自在,而共成三千三諦圓具之妙法。〔俱舍論卷九、雜阿毘曇心論卷八、瑜伽師地論卷九十三、華嚴經探玄記卷十三、法華玄義卷五下〕p644"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지의 설, 관정 록 & T.1783, p. T39n1783_p0004a21 - T39n1783_p0004b04. 3도(三道) "云何三道。過去無明現在。愛取三支是煩惱道。過去行現在有。二支是業道。現在識名色六入觸受。未來生老死。七支是苦道。道名能通。此三更互相通。從煩惱通業。從業通苦。從苦復通煩惱。故名三道。苦道者。謂識名色六入觸受。大經云。無明與愛是二中間名為佛性。中間即是苦道。名為佛性者。名生死身為法身。如指冰為水爾。煩惱道者。謂無明愛取名此為般若者。如指薪為火爾。業道者。謂行有乃至五無間。皆解脫相者。如指縛為脫爾。當知三道體之即真常樂我淨。與三德無二無別。既以金光明譬三德。還以金光明譬三道也。"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지의_설,_관정_록T.1783 (help)
↑운허, "大乘廣五蘊論(대승광오온론)".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大乘廣五蘊論(대승광오온론): 【범】 Pañcaskandhaprakaraavaibhāya. 1권. K-619, T-1613. 당(唐)나라 때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685년 7월에 서경(西京)의 서태원사(西太原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광오온론』ㆍ『대승오온론』이라고 한다. 세친이 지은 『대승오온론』을 안혜(安慧)가 주석한 것이다. 처음에 5온의 명칭을 설명하고 다음에 색온(色蘊)을 설하여 4대종(大種) 소조(所造)의 뜻을 밝히고 이어서 수ㆍ상ㆍ행ㆍ식 등의 온을 해설하면서 5온과 5위100법의 관계를 자세히 해설한다.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3a06 - T31n1613_p0853a18. 사견(邪見) "云何邪見。謂謗因果。或謗作用。或壞善事。染慧為性。謗因者。因謂業煩惱性。合有五支。煩惱有三種。謂無明愛取。業有二種謂行及有。有者。謂依阿賴耶識諸業種子此亦名業。如世尊說。阿難。若業能與未來果彼亦名有。如是等。此謗名為謗因。謗果者。果有七支。謂識名色六處觸受生老死。此謗為謗果。或復謗無善行惡行。名為謗因。謗無善行惡行果報。名為謗果。謗無此世他世。無父無母。無化生眾生。此謗為謗作用。謂從此世往他世作用。種子任持作用。結生相續作用等。謗無世間阿羅漢等。為壞善事。斷善根為業。不善根堅固所依為業。又生不善。不生善為業。"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안혜_조,_지바하라_한역T.1613 (help)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p. 11-12 / 24. 사견(邪見) "무엇을 사견이라고 하는가? 인과를 비방하고, 혹은 작용(作用)을 비방하고, 흑은 선한 일을 파괴하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인(因)을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인온 업의 번뇌성을 말한다. 합해서 다섯 가지가 있다. 번뇌에는 무명 · 애(愛) · 취(取)의 세 가지가 있다. 업에는 행(行) 및 유(有)의 두 가지가 있다. 유란 아뢰야식(阿賴耶識)에 의지하는 모든 업의 종자를 말한다. 이는 또한 업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 “아난아, 만약 업이 능히 미래의 과보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또한 유라고도 말한다.……” 이를 비방하는 것을 인을 비방한다고 안다. 과보를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과보는 식(識) · 명색(名色) · 6처(處) · 촉(觸) · 수(受) · 생(生) · 노사(老死)의 일곱 가지가 있다. 이를 비방함이 과보를 비방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이 없다고 하는 것은 인을 비방함이고, 선행과 악행의 과보가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과보를 비방함이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이 없고,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고, 화생(化生)으로 태어나는 중생도 없다고 비방한다. 이러한 비방은 작용을 비방하는 것이다. 이 세상으로부터 저 세상으로 왕생하는 작용, 종자를 지니고 있는 작용, 생을 맺어 상속하는 작용 등을 말한다. 세간과 아라한 등이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선한 일을 파괴함이다. 선근을 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하고, 불선근(不善根)이 견고해지는 것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또한 불선을 낳고, 선을 낳지 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한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안혜_지음,_지바하라_한역,_조환기_번역K.619,_T.1613 (help)
↑운허, "地獄道(지옥도)".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地獄道(지옥도): 6도의 하나. 죄악을 지은 중생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 도는 인(因)을 말함이니, 선악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괴롭거나 혹은 즐거운 곳에 가게 하는 뜻으로 도(道)라 하며 이 도로 나아갈 곳이란 뜻으로 지옥도라 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地獄(지옥)".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地獄(지옥): 【범】 Naraka;Niraya 나락가(那落迦)ㆍ니리(泥犁)라 음역. 불락(不樂)ㆍ가염(可厭)ㆍ무유(無有)ㆍ무행처(無幸處)라 번역. 지옥은 뜻 번역. 3도(途)의 하나. 3악도(惡道)의 하나. 6취(趣)의 하나. 중생들이 자기가 지은 죄업으로 말미암아 가서 나게되는 지하의 감옥. 남섬부주의 아래로 2만 유순을 지나서 무간(無間)지옥이 있다. 길이ㆍ넓이 깊이가 각 2만 유순, 위로 1만 9천 유순 가운데에 층층으로 대초열지옥ㆍ초열지옥ㆍ대규환지옥ㆍ규환지옥ㆍ중합지옥ㆍ흑승지옥ㆍ등활지옥 등이 있고, 이것을 무간지옥과 합하여 8열(熱)지옥이라 함. 이 8열 지옥의 각 지옥마다 4방에 네 문이 있고, 문 밖마다 4소지옥(小地獄)이 있어 이것을 합하여 16유증(遊增)지옥이라 한다. 8열지옥까지를 모두 합하면 136개의 지옥이 있다고 함. 또 8열지옥의 주위에 알부타(頞部陀)ㆍ니랄부타(尼剌部陀)ㆍ알절타(頞哳吒)ㆍ확확파(臛臛婆)ㆍ호호파(虎虎婆)ㆍ올발라(嗢鉢羅)ㆍ발특마(鉢特摩)ㆍ마하발특마(摩訶鉢特摩)의 8한(寒)지옥이 있고, 이 지옥들은 염라대왕이 다스리면서 그곳에 떨어진 중생들에게 여러 가지 고통을 준다고 한다. 또 이러한 지옥과는 달리 현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산이나 넓은 들에도 지옥이 있다는데, 이것을 고독(孤獨)지옥이라 한다 함. ⇒아비지옥(阿鼻地獄)"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餓鬼道(아귀도)".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餓鬼道(아귀도): 5도(道)의 하나, 6도의 하나. 도는 길의 뜻. 아귀 될 업인(業因)을 지은 이가 갈 길, 곧 아귀세계. 그 위치는 남섬부주의 밑 5백 유순에 있으며, 길이와 너비는 모두 3만 6천 유순이라 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餓鬼(아귀)".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餓鬼(아귀): 범어 폐례다(preta, 薜荔多)를 뜻으로 번역한 것. 폐려다(閉戾多ㆍ閉黎多)ㆍ비례다(鞞禮多ㆍ俾禮多)ㆍ비리다(卑利多)ㆍ피례다(辟荔多)ㆍ미례다(彌荔多)ㆍ폐례(薜荔)라 음역. 파리어로 폐다(閉多, peta). 티베트어로 이다구(yidwage). 폐례다는 죽은 이란 뜻인데, 귀(鬼)라 번역한 것은 중국에서 죽은 이의 영을 귀신이라 한 까닭. 또 비제리(卑帝梨)라 함은 아버지ㆍ할아버지라는 뜻인데, 인도에서는 선조의 영혼을 봉사하지 않으면 그 영혼은 귀계(鬼界)에 떨어져 고통을 받는다고 믿는 데서 기인한 것. 인간에서 맨 처음 죽은 이로 겁초(劫初)에 명부(冥府)의 길을 연 이는 폐타(吠陀) 시대의 신화에 나오는 염마왕이니, 그 세계를 염마왕계라 하여 아귀가 있는 세계라 하고 염마를 그 임금이라 함. 여러 경ㆍ논에 이 아귀에 나는 원인으로 흔히 간탐(慳貪)ㆍ질투(嫉妬)를 말함. ⇒염구(燄口)ㆍ폐례다(薛荔多)"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畜生道(축생도)".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畜生道(축생도): [1] 축생취와 같음. [2] 도는 업인(業因)이란 뜻. 죽은 뒤에 축생으로 태어날 원인이 될 행위."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
↑운허, "畜生(축생)". 2013년 4월 28일에 확인 "畜生(축생): 【범】 Tiryagyoni 저율차(底栗車)라 음역. 방생(傍生)ㆍ횡생(橫生)이라고도 번역. 남이 길러주는 생류(生類)라는 뜻. 고통이 많고 즐거움이 적고 성질이 무지하여 식욕과 음욕만이 강하고, 부자 형제의 차별이 없이 서로 잡아먹고 싸우는 새ㆍ짐승ㆍ벌레ㆍ고기 따위. 그 종류는 매우 많아서 『십이유경(十二遊經)』에는 6400의 물고기와 4500종의 새, 2400종의 짐승이 있다고 함. 사는 곳도 물ㆍ하늘ㆍ뭍에 걸쳐 있음. 중생으로서 악업을 짓고 매우 어리석은 이는 죽어서 축생도에 태어난다 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