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일본어: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賞)은 일본 프로 야구의 상이자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의 하나이다. 시즌 내내 각 포지션에서 탁월한 수비력을 지닌 선수에게 베스트 나인과 동일한 선출 방식에 의해서 주어지는 것으로 프로 야구를 취재하는 기자들에 의한 투표를 실시하여 가장 많은 득표 수를 얻은 사람이 수상자가 된다. 센트럴·퍼시픽 각 연맹의 공식 시상에 준하며 특별상으로서의 위치를 부여하고 있다.

개요

미쓰이 홍보 위원회가 제공하고 있으며 1972년에 다이아몬드 글러브상(ダイヤモンドグラブ賞)이라는 이름으로 제정된 이래 1986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자리잡았는데 정식 명칭은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賞)이다.[1]

자격 대상자
  • 투수: 규정 투구 이닝 이상의 투구 또는 팀 경기 수 1/3 이상으로 등판
  • 포수: 팀 경기 수 1/2 이상으로 출전
  • 내야수: 팀 경기 수 1/2 이상으로 하나의 포지션으로서 수비에 임해야 함
  • 외야수: 팀 경기 수 1/2 이상으로 출전
투표 요건
  • 일본 내 보도 기관(신문, 통신사, 방송국)의 프로 야구 기자로서 취재 경력이 5년 이상되는 사람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에서 포지션 마다 원칙적으로 각 1명씩, 총 9명을 선정한다(외야수인 경우에는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를 동일한 포지션으로 간주해서 3명을 선정한다). 동일 포지션을 가진 선수의 득표 수가 동률일 경우에는 공동 수상이 되므로 10명 이상이 선정되는 경우가 있다. 어느 포지션의 ‘수상자 없음’의 득표 수가 과반수에 달했을 경우 그 포지션에서 수상자의 선출은 보류된다. 다만 매우 드문 사례로 2010년 센트럴 리그 1루수에 대해 ‘수상자 없음’의 득표가 과반수에 달하면서 골든 글러브상이 제정된 이후 처음으로 ‘수상자 없음’이라는 결과가 나왔다(자세한 내용은 관련 항목 참조).

수상자에게는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금색의 글러브(포수는 캐처 미트)와 야구공이 대좌에 장식된 트로피가 수여된다. 이 글러브는 수상자가 사용하는 것을 모델로 해서 금색 가죽을 입힌 것이다.

베스트 나인이나 이전의 사와무라 에이지상과 마찬가지로 수상자에게는 실제 성적에 미치지 못한 선수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어 비판이 일어날 수 있다(관련 항목 참조).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인 우에하라 고지는 기자는 담당하고 있는 팀의 취재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다른 팀이 볼 일이 적다는 점을 지적하여 기자단 투표가 아닌 선수간 투표로 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발언한 바 있다.[2]

2010년대 이후에는 일본에서도 UZR세이버메트릭스에 의한 수비력 산출이 이루어지면서 기자단에 의한 투표를 비롯한 상의 선정 자체에 대해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3]

역대 수상자

투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다치 미쓰히로 한큐 브레이브스
1973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리타 후미오 롯데 오리온스
1974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다치 미쓰히로 한큐 브레이브스
1975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다치 미쓰히로 한큐 브레이브스
1976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다치 미쓰히로 한큐 브레이브스
1977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1978년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1980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다 이사무 닛폰햄 파이터스
1981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1982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1983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4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5년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6년 기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7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8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1989년 니시모토 다카시 주니치 드래건스 아와노 히데유키 긴테쓰 버펄로스
1990년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라이온스
1991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궈타이위안 세이부 라이온스
1992년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궈타이위안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드래건스 노다 고지 오릭스 블루웨이브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4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도 기미야스 세이부 라이온스
1995년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도 기미야스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6년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1997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라이온스
1998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라이온스
1999년 우에하라 고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0년 구도 기미야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1년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드래건스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2년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라이온스
2003년 우에하라 고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4년 가와카미 겐신 주니치 드래건스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5년 구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6년 가와카미 겐신 주니치 드래건스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스
2007년 가와카미 겐신 주니치 드래건스 다르빗슈 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8년 이시카와 마사노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다르빗슈 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9년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와쿠이 히데아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0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와쿠이 히데아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1년 아사오 다쿠야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마사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2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나카 마사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3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나카 마사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4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가네코 지히로 오릭스 버펄로스
2015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와쿠이 히데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16년 스가노 도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와쿠이 히데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17년 스가노 도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쿠치 유세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8년 스가노 도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시 다카유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9년 니시 유키 한신 타이거스 센가 고다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스가노 도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센가 고다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1년 야나기 유야 주니치 드래건스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버펄로스
2022년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버펄로스
2023년 아즈마 가쓰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버펄로스
2024년 스가노 도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리반 모이넬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포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아톰스 다네모 마사유키 한큐 브레이브스
1973년 다부치 고이치 한신 타이거스 노무라 가쓰야 난카이 호크스
1974년 다부치 고이치 한신 타이거스 무라카미 기미야스 롯데 오리온스
1975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스왈로스 아리타 슈조 긴테쓰 버펄로스
1976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스왈로스 아리타 슈조 긴테쓰 버펄로스
1977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스왈로스 가토 도시오 닛폰햄 파이터스
1978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자와 신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와카나 요시하루 한신 타이거스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 버펄로스
1980년 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 버펄로스
1981년 야마쿠라 가즈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 버펄로스
1982년 나카오 다카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오미야 다쓰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3년 야마쿠라 가즈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 버펄로스
1984년 다쓰카와 미쓰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브레이브스
1985년 기도 가쓰히코 한신 타이거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6년 다쓰카와 미쓰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7년 야마쿠라 가즈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8년 다쓰카와 미쓰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89년 나카오 다카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브레이브스
1990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1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2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다무라 후지오 닛폰햄 파이터스
1994년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5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6년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카다 마코토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7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8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이토 쓰토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9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0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1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2년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자이언츠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3년 야노 아키히로 한신 타이거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4년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5년 야노 아키히로 한신 타이거스 조지마 겐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드래건스 사토자키 도모야 지바 롯데 마린스
2007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드래건스 사토자키 도모야 지바 롯데 마린스
2008년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자이언츠 호소카와 도루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9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드래건스 쓰루오카 신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조지마 겐지 한신 타이거스 시마 모토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1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드래건스 호소카와 도루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드래건스 스미타니 긴지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3년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마 모토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4년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토 히카루 오릭스 버펄로스
2015년 나카무라 유헤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스미타니 긴지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6년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노 쇼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7년 고바야시 세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8년 우메노 류타로 한신 타이거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9년 우메노 류타로 한신 타이거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우메노 류타로 한신 타이거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1년 나카무라 유헤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2년 나카무라 유헤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3년 사카모토 세이시로 한신 타이거스 와카쓰키 겐야 오릭스 버펄로스
2024년 야마모토 유다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가이 다쿠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루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스기 가쓰오 도에이 플라이어스
1973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클래런스 존스 난카이 호크스
1974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웨스 파커 난카이 호크스
1975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토 히데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6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토 히데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7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토 히데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8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시와바라 준이치 닛폰햄 파이터스
1979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시와바라 준이치 닛폰햄 파이터스
1980년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가와 도루 긴테쓰 버펄로스
1981년 후지타 다이라 한신 타이거스 가시와바라 준이치 닛폰햄 파이터스
1982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시와바라 준이치 닛폰햄 파이터스
1983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타히라 신사쿠 세이부 라이온스
1984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모토 고지 롯데 오리온스
1985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모토 고지 롯데 오리온스
1986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부머 웰스 한큐 브레이브스
1987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부머 웰스 한큐 브레이브스
1988년 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1989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이코 다케시 롯데 오리온스
1990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1991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짐 트래버 긴테쓰 버펄로스
1992년 짐 파치오렉 한신 타이거스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1994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1995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훌리오 프랑코 지바 롯데 마린스
1996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가타오카 아쓰시 닛폰햄 파이터스
1997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다카기 다이세이 세이부 라이온스
1998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다카기 다이세이 세이부 라이온스
1999년 고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2000년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스왈로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2001년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스왈로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2002년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스왈로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2003년 조지 아리아스 한신 타이거스 후쿠우라 가즈야 지바 롯데 마린스
2004년 와타나베 히로유키 주니치 드래건스 마쓰나카 노부히코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5년 앤디 시츠 한신 타이거스 후쿠우라 가즈야 지바 롯데 마린스
2006년 앤디 시츠 한신 타이거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7년 앤디 시츠 한신 타이거스 후쿠우라 가즈야 지바 롯데 마린스
2008년 아라이 다카히로 한신 타이거스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버펄로스
구리하라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9년 구리하라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카하시 신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수상자 없음 고쿠보 히로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년 구리하라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고쿠보 히로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년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나바 아쓰노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3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사무라 히데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4년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드래건스 T-오카다 오릭스 버펄로스
2015년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타 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6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나카타 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7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긴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8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나카타 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9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드래건스 나카무라 아키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나카타 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1년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드래건스 나카무라 아키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2년 나카타 쇼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카무라 아키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3년 오야마 유스케 한신 타이거스 나카무라 아키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년 오카모토 가즈마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카와 호타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루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존 시핀 다이요 웨일스 오시타 쓰요시 도에이 플라이어스
1973년 존 시핀 다이요 웨일스 사쿠라이 데루히데 난카이 호크스
1974년 다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드래건스 사쿠라이 데루히데 난카이 호크스
1975년 오시타 쓰요시 히로시마 도요 카프 바비 마르카노 한큐 브레이브스
1976년 데이비 존슨 요미우리 자이언츠 바비 마르카노 한큐 브레이브스
1977년 다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드래건스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오리온스
1978년 도이 쇼조 요미우리 자이언츠 바비 마르카노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다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드래건스 바비 마르카노 한큐 브레이브스
1980년 모토이 미쓰오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야마자키 히로유키 세이부 라이온스
1981년 시노즈카 도시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자키 히로유키 세이부 라이온스
1982년 시노즈카 도시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이시 다이지로 긴테쓰 버펄로스
1983년 다카기 유타카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오이시 다이지로 긴테쓰 버펄로스
1984년 시노즈카 도시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이시 다이지로 긴테쓰 버펄로스
1985년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타이거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오리온스
1986년 시노즈카 도시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87년 쇼다 고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라이 가즈유키 닛폰햄 파이터스
1988년 쇼다 고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89년 쇼다 고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0년 쇼다 고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1년 쇼다 고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2년 와다 유타카 한신 타이거스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와다 유타카 한신 타이거스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4년 와다 유타카 한신 타이거스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라이온스
1995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고쿠보 히로키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6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오시마 고이치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7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오시마 고이치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8년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가네코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1999년 니시 도시히사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네코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2000년 니시 도시히사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시마 고이치 오릭스 블루웨이브
2001년 니시 도시히사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구치 다다히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2년 니시 도시히사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카기 히로유키 세이부 라이온스
2003년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타이거스 이구치 다다히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4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이구치 다다히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5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니시오카 쓰요시 지바 롯데 마린스
2006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겐스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7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겐스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8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겐스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9년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겐스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히라노 게이이치 한신 타이거스 다나카 겐스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1년 히라노 게이이치 한신 타이거스 혼다 유이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년 다나카 히로야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혼다 유이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3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지타 가즈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4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지타 가즈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5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루이스 크루스 지바 롯데 마린스
2016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지타 가즈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7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즈키 다이치 지바 롯데 마린스
2018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나카무라 쇼고 지바 롯데 마린스
2019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사무라 히데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0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도노사키 슈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1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나카무라 쇼고 지바 롯데 마린스
2022년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도노사키 슈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3년 나카노 다쿠무 한신 타이거스 나카무라 쇼고 지바 롯데 마린스
2024년 요시카와 나오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부카타 히로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3루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리토 미치요 롯데 오리온스
1973년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리토 미치요 롯데 오리온스
클리트 보이어 다이요 웨일스
1974년 클리트 보이어 다이요 웨일스 아리토 미치요 롯데 오리온스
1975년 시마타니 긴지 주니치 드래건스 아리토 미치요 롯데 오리온스
1976년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지와라 미쓰루 난카이 호크스
1977년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마타니 긴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8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시마타니 긴지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시마타니 긴지 한큐 브레이브스
1980년 기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하다 고이치 긴테쓰 버펄로스
1981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후지와라 미쓰루 난카이 호크스
1982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3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4년 기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나가 히로미 한큐 브레이브스
1985년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 타이거스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6년 기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루야 히데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7년 하라 다쓰노리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8년 하라 다쓰노리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9년 웨이드 로던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나가 히로미 오릭스 브레이브스
1990년 오카자키 가오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나가 히로미 오릭스 브레이브스
1991년 스미 후지오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92년 토머스 오말리 한신 타이거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이시이 다쿠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94년 이시이 다쿠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마쓰나가 히로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5년 이시이 다쿠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바바 도시후미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6년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도요 카프 바바 도시후미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7년 신도 다쓰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가타오카 아쓰시 닛폰햄 파이터스
1998년 신도 다쓰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가타오카 아쓰시 닛폰햄 파이터스
1999년 신도 다쓰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0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1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2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3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2004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5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마에 도시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06년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마에 도시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07년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이마에 도시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08년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드래건스 이마에 도시아키 지바 롯데 마린스
2009년 미야모토 신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야노 에이이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미야모토 신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야노 에이이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1년 미야모토 신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년 미야모토 신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야노 에이이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3년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4년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5년 가와바타 신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6년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7년 도리타니 다카시 한신 타이거스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8년 미야자키 도시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9년 다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마쓰다 노부히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다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스즈키 다이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1년 오카모토 가즈마 요미우리 자이언츠 무네 유마 오릭스 버펄로스
2022년 오카모토 가즈마 요미우리 자이언츠 무네 유마 오릭스 버펄로스
2023년 미야자키 도시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무네 유마 오릭스 버펄로스
2024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리하라 료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유격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바트 셜리 주니치 드래건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3년 후지타 다이라 한신 타이거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4년 고노 가즈마사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5년 후지타 다이라 한신 타이거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6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다이요 웨일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7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다이요 웨일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8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오하시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다카시로 노부히로 닛폰햄 파이터스
1980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미즈카미 요시오 롯데 오리온스
1981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2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3년 야마시타 다이스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4년 히라타 가쓰오 한신 타이거스 유미오카 게이지로 한큐 브레이브스
1985년 히라타 가쓰오 한신 타이거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6년 히라타 가쓰오 한신 타이거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라이온스
1987년 히라타 가쓰오 한신 타이거스 유미오카 게이지로 한큐 브레이브스
1988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드래건스 다나카 유키오 닛폰햄 파이터스
1989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나베 노리오 세이부 라이온스
1990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나카 유키오 닛폰햄 파이터스
1991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나카 유키오 닛폰햄 파이터스
1992년 이케야마 다카히로 야쿠르트 스왈로스 다나베 노리오 세이부 라이온스
1993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세 데쓰로 닛폰햄 파이터스
1994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세 데쓰로 닛폰햄 파이터스
1995년 노무라 겐지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나카 유키오 닛폰햄 파이터스
1996년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나카 유키오 닛폰햄 파이터스
1997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마쓰이 가즈오 세이부 라이온스
1998년 이시이 다쿠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마쓰이 가즈오 세이부 라이온스
1999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사카 마코토 지바 롯데 마린스
2000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사카 마코토 지바 롯데 마린스
2001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고사카 마코토 지바 롯데 마린스
2002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마쓰이 가즈오 세이부 라이온스
2003년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마쓰이 가즈오 세이부 라이온스
2004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가와사키 무네노리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5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고사카 마코토 지바 롯데 마린스
2006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가와사키 무네노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7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TSUYOSHI 지바 롯데 마린스
2008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나카지마 히로유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9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가네코 마코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니시오카 쓰요시 지바 롯데 마린스
2011년 도리타니 다카시 한신 타이거스 나카지마 히로유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2년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드래건스 나카지마 히로유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3년 도리타니 다카시 한신 타이거스 이마미야 겐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4년 도리타니 다카시 한신 타이거스 이마미야 겐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5년 도리타니 다카시 한신 타이거스 이마미야 겐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6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마미야 겐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7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마미야 겐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8년 다나카 고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9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0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1년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2년 나가오카 히데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3년 기나미 세이야 한신 타이거스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4년 야노 마사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외야수

연도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성명 소속 성명 소속
1972년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케베 이와오 롯데 오리온스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크스
1973년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노 이쿠오 난카이 호크스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리온스
1974년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노 이쿠오 난카이 호크스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리온스
1975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리온스
다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론 우즈 주니치 드래건스 시마노 이쿠오 난카이 호크스
1976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리온스
이케베 이와오 한신 타이거스 버니 윌리엄스 한큐 브레이브스
1977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리온스
와카마쓰 쓰토무 야쿠르트 스왈로스 오쿠마 다다요시 한큐 브레이브스
1978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와카마쓰 쓰토무 야쿠르트 스왈로스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짐 라이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버니 윌리엄스 한큐 브레이브스
1979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존 스콧 야쿠르트 스왈로스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짐 라이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라노 미쓰야스 긴테쓰 버펄로스
1980년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짐 라이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라노 미쓰야스 긴테쓰 버펄로스
존 스콧 야쿠르트 스왈로스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1981년 짐 라이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마쓰모토 다다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1982년 히라노 겐 주니치 드래건스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마쓰모토 다다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타이거스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1983년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타이거스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나가시마 기요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마쓰모토 다다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브레이브스
1984년 야시키 가나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나가시마 기요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오리온스
1985년 야시키 가나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미노다 고지 한큐 브레이브스
히라노 겐 주니치 드래건스 가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라이온스
1986년 히라노 겐 주니치 드래건스 야마모토 가즈노리 난카이 호크스
야시키 가나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니시오카 요시히로 세이부 라이온스
나가시마 기요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야마모리 마사후미 한큐 브레이브스
1987년 야시키 가나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오리온스
나가시마 기요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파이터스
아라이 히로마사 긴테쓰 버펄로스
1988년 야시키 가나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히코노 도시카쓰 주니치 드래건스 다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오리온스
1989년 히코노 도시카쓰 주니치 드래건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야마자키 겐이치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구리야마 히데키 야쿠르트 스왈로스 모토니시 아쓰히로 오릭스 브레이브스
1990년 히코노 도시카쓰 주니치 드래건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야마자키 겐이치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야나다 고이치 야쿠르트 스왈로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오리온스
1991년 R. J. 레이놀즈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사사키 마코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2년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가메야마 쓰토무 한신 타이거스 사사키 마코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3년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라이온스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사사키 마코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히라노 겐 세이부 라이온스
1994년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고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라이온스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5년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가타 고이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고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토 시게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구치 소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6년 오가타 고이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다구치 소 오릭스 블루웨이브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아키야마 고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7년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가타 고이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구치 소 오릭스 블루웨이브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이데 다쓰야 닛폰햄 파이터스
1998년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가타 고이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무라 나오유키 긴테쓰 버펄로스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오토모 스스무 세이부 라이온스
1999년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가타 고이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고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오토모 스스무 세이부 라이온스
2000년 신조 쓰요시 한신 타이거스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구치 소 오릭스 블루웨이브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바하라 히로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1년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구치 소 오릭스 블루웨이브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바하라 히로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다니 요시토모 오릭스 블루웨이브
2002년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제키 다쓰야 세이부 라이온스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니 요시토모 오릭스 블루웨이브
후쿠도메 고스케 주니치 드래건스 이데 다쓰야 닛폰햄 파이터스
2003년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무라마쓰 아리히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후쿠도메 고스케 주니치 드래건스 다니 요시토모 오릭스 블루웨이브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바하라 히로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무라 나오유키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4년 알렉스 오초아 주니치 드래건스 SHINJO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데노리 주니치 드래건스 무라마쓰 아리히토 오릭스 블루웨이브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다니 요시토모 오릭스 블루웨이브
2005년 후쿠도메 고스케 주니치 드래건스 SHINJO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사부로 지바 롯데 마린스
긴조 다쓰히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오무라 나오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년 후쿠도메 고스케 주니치 드래건스 모리모토 히초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SHINJO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이나바 아쓰노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7년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모리모토 히초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다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나바 아쓰노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긴조 다쓰히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사부로 지바 롯데 마린스
2008년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나바 아쓰노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모리모토 히초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스즈키 다카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카구치 도모타카 오릭스 버펄로스
2009년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이 요시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마쓰모토 데쓰야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카구치 도모타카 오릭스 버펄로스
가메이 요시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나바 아쓰노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0년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토이 요시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세 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사카구치 도모타카 오릭스 버펄로스
아카마쓰 마사토 히로시마 도요 카프 구리야마 다쿠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1년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오카다 요시후미 지바 롯데 마린스
조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토이 요시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사카구치 도모타카 오릭스 버펄로스
2012년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요 다이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조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토이 요시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라나미 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오카다 요시후미 지바 롯데 마린스
2013년 조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요 다이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버펄로스
아라나미 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4년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 다이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버펄로스
야마토 한신 타이거스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5년 후쿠도메 고스케 한신 타이거스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기요타 이쿠히로 지바 롯데 마린스
2016년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요 다이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버펄로스
2017년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구와하라 마사유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니시카와 하루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8년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드래건스 니시카와 하루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9년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아키야마 쇼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기노 다카시 지바 롯데 마린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니시카와 하루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0년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오타 다이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아오키 노리치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니시카와 하루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1년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기노 다카시 지바 롯데 마린스
지카모토 고지 한신 타이거스 다쓰미 료스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드래건스 야나기타 유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2년 시오미 야스타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다카베 아키토 지바 롯데 마린스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드래건스 다쓰미 료스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지카모토 고지 한신 타이거스 후쿠다 슈헤이 오릭스 버펄로스
2023년 지카모토 고지 한신 타이거스 다쓰미 료스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드래건스 만나미 추세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구와하라 마사유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곤도 겐스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년 아키야마 쇼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쓰미 료스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드래건스 슈토 우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지카모토 고지 한신 타이거스 만나미 추세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골든 글러브상에 관한 주요 기록

여러 차례 수상자(야수)

  • 굵은 글씨: 현역 선수

선수
연도
후쿠모토 유타카 12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이토 쓰토무 11 1985,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1994, 1995, 1997, 1998
아키야마 고지 11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9
야마모토 고지 10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이시게 히로미치 10 1981, 1982, 1983, 1985, 1986, 1987, 1988, 1991, 1992, 1993
고마다 노리히로 10 1989, 1990, 1991,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후루타 아쓰야 10 1990, 1991, 1992, 1993, 1995, 1997, 1999, 2000, 2001, 2004
신조 쓰요시(SHINJO) 10 1993, 1994, 1996, 1997, 1998, 1999, 2000, 2004, 2005, 2006
미야모토 신야 10 199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9, 2010, 2011, 2012
기쿠치 료스케 1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오 사다하루 9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히라노 겐 9 1982, 1985, 1986,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오시마 요헤이 9 2011, 2012, 2014, 2015, 2016, 2018, 2019, 2020, 2021
야마시타 다이스케 8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미노다 고지 8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쓰지 하쓰히코 8 1986,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조지마 겐지 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10
마쓰다 노부히로 8 2011,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여러 차례 수상자(투수)

  • 굵은 글씨: 현역 선수

선수
연도
니시모토 다카시 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9
구와타 마스미 8[4] 1987, 1988, 1991, 1993, 1994, 1997, 1998, 2002
호리우치 쓰네오 7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마쓰자카 다이스케 7 1999, 2000, 2001, 2003, 2004, 2005, 2006
야마다 히사시 5 1977, 1978, 1979, 1981, 1982
히가시오 오사무 5 1983, 1984, 1985, 1986, 1987
마에다 겐타 5 2010, 2012, 2013, 2014, 2015
스가노 도모유키 5 2016, 2017, 2018, 2020, 2024
아다치 미쓰히로 4 1972, 1973, 1974, 1976
사이토 마사키 4 1990, 1992, 1995, 1996
와쿠이 히데아키 4 2009, 2010, 2015, 2016
구도 기미야스 3 1994, 1995, 2000
니시구치 후미야 3 1997, 1998, 2002
가와카미 겐신 3 2004, 2006, 2007
다나카 마사히로 3 2011, 2012, 2013
야마모토 요시노부 3 2021, 2022, 2023

주요 기록

  • 개인 최다 수상 횟수
12회: 후쿠모토 유타카(1972년~1983년,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 개인 최다 연속 수상 횟수
12회: 후쿠모토 유타카(1972년~1983년,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 개인 최다 수상 포지션 횟수
3개 부문: 다쓰나미 가즈요시(2루수 부문: 3회, 3루수 부문: 1회, 유격수 부문: 1회)
  • 최고령 수상자
미야모토 신야(41세 11개월, 2012년, 3루수 부문)
  • 프로 데뷔 이래 가장 늦은 첫 수상
우치카와 세이이치(19년째, 2019년, 1루수 부문)
  • 최장 기간의 수상 공백
고쿠보 히로키(15년 만에 수상자로 선정됨, 1995년에는 2루수 부문, 2010년에는 1루수 부문)
  • 입단 1년차부터의 최다 연속 수상 횟수
6회: 다카하시 요시노부(1998년~2003년,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10대로서 시즌 개막을 맞이한 시즌에 수상한 선수
성명 구단 수비 위치 리그 연도 개막 당시 연령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투수 센트럴 1987년 19세
다쓰나미 가즈요시 주니치 유격수 센트럴 1988년 18세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외야수 센트럴 1991년 19세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투수 퍼시픽 1999년 18세
2000년 19세
내야·외야 양쪽 모두에서 골든 글러브상을 차지한 선수
성명 내야수로서의 수상 외야수로서의 수상 연도
연도 수비 위치
다카다 시게루 1976년 ~ 1977년 3루수 1972년~1975년
니시무라 노리후미 1985년 2루수 1990년
이나바 아쓰노리 2012년 1루수 2006년~2009년
중간 계투·마무리 투수의 수상 선수
수상자 없음
  • 센트럴 리그 1루수 부문(2010년)
팀 최다 수상 포지션 횟수
  • 센트럴 리그: 6개 포지션 - 주니치 드래건스(2004년)
  • 퍼시픽 리그: 8개 포지션 - 한큐 브레이브스(1978년), 세이부 라이온스(1992년)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던 정규 시즌 최고 승률 구단과 일본 시리즈 출전 구단
  • 센트럴 리그: 주니치 드래건스(1999년, 2010년) ※모두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음
  • 퍼시픽 리그: 롯데 오리온스(1981년 전기 리그에서 우승했지만 후기 리그에서는 우승을 놓쳤고, 플레이오프에서도 패하여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음)
내야 독점
  • 센트럴 리그: 요코하마 베이스타스(1998년)
  • 퍼시픽 리그: 세이부 라이온스(1992년), 지바 롯데 마린스(2005년)
외야 독점
  • 센트럴 리그: (없음)
  • 퍼시픽 리그: 한큐 브레이브스(1978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2006년)

그 밖에 특기할 만한 수상 사례

동일 팀 소속의 여러 선수가 특정 부문을 장기간 독점적으로 수상한 사례
  •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2003년까지 32년 동안 전체 33명의 수상자 가운데 그 중 30명(90.9%)이 수상 시점에서는 요미우리에 소속, 혹은 예전에 소속돼 있던 선수이다. 이전에 요미우리에서 소속된 경험이 없는 투수가 수상한 것은 1986년의 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1993년의 이마나카 신지(요미우리 소속이던 구와타 마스미와의 동시 수상), 2001년의 노구치 시게키(모두 주니치) 뿐이며 더욱이 노구치는 2005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에 이적했다. 2004년 이후 요미우리에 소속, 혹은 예전에 소속해 있던 선수의 수상은 디키 곤잘레스, 스가노 도모유키뿐이다.
  • 센트럴 리그 1루수 부문: 1999년까지 28년 동안 26명(92.9%)이 수상 시점에서 요미우리에 소속, 혹은 예전에 소속돼 있던 선수이다. 내역은 오 사다하루(9회), 나카하타 기요시(7회), 고마다 노리히로(10회) 등 3명이서 독점적으로 수상했다. 2000년 이후 요미우리에 소속, 혹은 예전에 소속해 있던 선수의 수상은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나카타 쇼뿐이다.
수상자의 득표가 ‘수상자 없음’을 밑돈 사례
수상자 구단 리그 연도 수비 위치 총 투표수 유효 투표수 득표수 ‘수상자 없음’의
투표수
와타나베 히로유키 주니치 센트럴 2004년 1루수 171표 42표 50표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야쿠르트 센트럴 2012년 1루수 245표 64표 102표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퍼시픽 2008년 1루수 143표 40표 53표
팀 성적의 약진에 의해 다수 선수가 수상한 사례
  • 센트럴 리그
  1. 1992년에 최하위로부터 2위로 약진한 한신은 작년에 단 한 명의 수상자가 없었지만 이듬해 4명으로 늘어났고, 이 중 짐 파치오렉, 토머스 오말리, 가메야마 쓰토무는 통산에서도 그 해에만 수상, 다음해 1993년에는 2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2. 1998년에 정규 시즌 최고 승률 기록한 요코하마(2012년부터 DeNA)는 작년에 2명이었지만 같은 해 5명으로 늘어났는데 투수를 제외한 내야의 모든 포지션을 독점했다. 이듬해 1999년에는 2명의 수상자가 나왔고 2000년 이후에는 긴조 다쓰히코(2005년, 2007년), 아라나미 쇼(2012년, 2013년), 호세 셀레스티노 로페스(2016년~2019년), 구와하라 마사유키(2017년, 2023년) 등 4명에 의한 9차례이다.
  3. 2003년에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을 기록한 한신은 작년에 단 한 명의 수상자가 없었지만 같은 해 4명으로 늘어났다. 이듬해 2004년에는 1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4. 2015년에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을 기록한 야쿠르트는 작년에 단 한 명의 수상자가 없었지만 같은 해 3명으로 늘어났다.
  5. 2023년에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을 기록한 한신은 작년에 1명이었지만 같은 해 5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나카노 다쿠무는 연속 수상하고 있던 기쿠치 료스케를 3표 차로 누르고 첫 수상했다.
  • 퍼시픽 리그
  1. 2005년에는 10년 만에 정규 시즌 승률 3위 이내(2위)를 기록한 지바 롯데는 작년에 단 한 명의 수상자가 없었지만 같은 해 5명으로 늘어났다. 이듬해 2006년에는 2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2. 2006년에는 25년 만에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을 기록한 닛폰햄은 작년에 1명의 수상자가 나왔지만 같은 해 5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외야의 3개 포지션을 모두 독점했다.

미쓰이 골든 글러브 레전드

2021년에 골든 글러브상이 제정된 지 50주년을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역대 최강의 수비진을 결정하는 ‘미쓰이 골든 글러브 레전드’(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 レジェンズ) 캠페인이 실시됐다.[5] 3회 이상을 수상한 역대 선수들을 대상으로 12월 7일부터 20일까지 실시된 팬 투표로 결정했다.[6] 수상자는 2022년 1월 27일에 발표됐다.[6]

수상 선수

포지션 선수 구단 득표수 수상
횟수
투수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6,899표 8회
포수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12,221표 10회
1루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6,341표 9회
2루수 기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9,913표 9회
3루수 나카무라 노리히로 긴테쓰, 주니치 5,808표 7회
유격수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4,636표 7회
외야수 이치로 오릭스 16,398표 7회
신조 쓰요시 한신, 닛폰햄 11,478표 10회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다이에 7,110표 11회
  • 구단은 골든 글러브상 수상 당시의 소속된 구단
  • 수상 횟수는 골든 글러브 레전드 수상 당시
  • 유효 득표수는 25,950표

수상자 선정에 대한 논란과 비판

수비 평가의 어려움

선수에 대한 수비력 평가를 위한 요소는 수비 범위의 넓이, 어깨의 강함, 포구의 정확성, 타구의 예측 능력 등 다양한데 통계 지표 등의 수치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계 지표에 수비율이 있지만 계산에 사용되는 수비 기회의 수는 선수 개인의 수비 범위의 넓이나 팀의 수비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하고 실책의 횟수는 기록원의 판단에 의한다. 또한 산출에 있어서 상대 타자의 타구 상태는 고려되지 않는다. 그리고 진루 방지 효과, 상황에 따른 플레이의 판단력, 포수의 두뇌 플레이, 중간 계투 플레이 등을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 모든 타구 처리를 비디오로 해석하고 있는 미국 야구계에서 고안된 새로운 수비지표(수비 방어점, 플러스 마이너스 시스템, UZR 등)가 계속 정착하곤 있지만 어느 지표도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골든 글러브상은 수비에 가장 뛰어난 선수가 수상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종종 제기되면서 논의 또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선정에 있어서 수치화된 수비 지표보다는 투표하는 기자의 주관이나 선입견이 중시돼 팀 성적, 타격 성적, 지명도, 인기, 과거의 인상 등 순수한 수비력 이외의 요소가 반영되고 있진 않을까라는 우려를 갖고 있다.

선정 결과에 의문이 제기된 사례

  • 1979년 센트럴 리그 포수 부문
    • 와카나 요시하루(한신)가 포일에서 센트럴 리그 연간 최다 타이 기록(17개)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한 것을 놓고 비판이 일었다.[8]
  • 1981년 ~ 1983년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 마쓰모토 다다시(요미우리)가 3년 연속 수상했지만 마쓰모토는 어깨가 약한 것으로 유명하다는 비판이 있다.[8]
  • 1984년 센트럴 리그 유격수 부문
    • 1985년 우승 당시 주전 유격수였던 히라타 가쓰오(한신)가 첫 수상(이후 1987년까지 4년 연속 수상)을 했다. 그러나 유격수로서의 수비율 일본 기록(0.991)을 수립한 미즈타니 신타로(야쿠르트)가 선정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있다.[8]
  • 1987년 센트럴 리그 2루수 부문
    • 쇼다 고조(히로시마)가 첫 수상(이후 1991년까지 5년 연속 수상)했는데 2루수 수비율 일본 신기록(0.9971 : 현재도 일본 최고 기록)을 수립한 다카기 유타카(다이요)는 선정되지 못했다.
    • 이 해에는 같은 2루수인 쇼다와 시노즈카 도시오(요미우리)가 동률(0.333)로 수위 타자가 됐는데 당시 리그 우승 팀이던 요미우리의 시노즈카가 베스트 나인에 선정됐다. 한편 수위 타자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지 못한 것에 대한 동정표도 몰리면서 쇼다가 처음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골든 글러브상을 받지 못한 다카기 유타카는 “올해는 수비율에서 일본 신기록을 세웠으니 골든 글러브상은 틀림없이 자신의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는데 이런 대기록조차 야구 기자들은 모르고 있었다”라는 취지의 발언으로 투표에 참여했던 프로 야구 기자들을 비판하면서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냈다. 다카기의 이 같은 발언이 스포츠 신문에 보도되면서 야구팬들의 주목이 쏠리자 골든 글러브상의 선정 기준을 의문시하는 관련 기사 등도 나왔기 때문에 골든 글러브상의 발표(같은 해 11월 16일)로부터 2주일 이상이 지난 12월에 들어서 센트럴 리그는 다카기를 특별 수상하기로 결정했다.[9] 이러한 일련의 소동은 골든 글러브상 수상자가 발표된 다음날부터 다카기가 특별 수상을 받은 이후까지 한동안 스포츠 기사에서 간헐적으로 보도되면서 팬들이 인지하게 됐고 골든 글러브상의 선정에 대해 야구 팬들이 의문을 갖기 시작한 대표적인 계기 중의 하나였다.[10]
    • 다카기가 수비율 일본 기록을 달성하면서도 선정되지 못했다는 선정 결과에 대해 스포츠 라이터로부터의 비판도 있다.[8]
  • 2005년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 부상의 영향으로 106경기 출전에 그친 신조 쓰요시(닛폰햄)가 외야수 부문에 선출됐는데 신조는 “올해의 나의 골든 글러브상 수상 자체가 이상하다. 1년 동안 이 골든 글러브상을 마음 속에 목표로 담았던 선수에게 미안하다. 내년부터는 선수 개인의 인상이 아닌 숫자로 선택했으면 좋겠다. 그렇지 않으면 이 훌륭한 상의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라고 말했다.[11]
  • 2006년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에이스로 활약했던 사이토 가즈미는 원래 수비를 좋아하고 수비를 고집하고 있었는데 “당시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수년 간 연속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받았다. 그런 선수가 있을 때 잡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그 당시 다이스케가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는 것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그 해까지 잡아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다이스케가 있을 때 잡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했다”라고 발언하여 2006년에 골든 글러브상 수상을 노렸다. 이 시즌에 선언대로 투수 부문 5관왕과 사와무라상을 차지한 사이토였지만 골든 글러브상에는 마쓰자카가 수상했다. 사이토는 “이번 해에도 다이스케였기 때문에 이 해에 골든 글러브 노리는 것을 포기했다”라고 말했다. 결국 사이토는 현역 시절에 골든 글러브상을 차지하지 못했다.[12][13]

선정 결과에 따라 감독이나 선수로부터 제기된 사례

  • 2022년 센트럴 리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이 해에 DeNA는 실책수 64개로 리그에서 가장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상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대해 미우라 다이스케 감독은 “내년 시즌에는 반드시 선출될 수 있도록 수비 코치에게 말해 두겠다”라고 쓴웃음을 지으며 서운함을 드러냈다.[14] 네프탈리 소토UZR이 양대 리그에서 1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2루수의 이미지나 외야에서의 수비가 거칠어지는 모습을 드러내면서 표가 모이지 않았고 골든 글러브상을 놓친 것에 대한 심경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서 토로했다. 더욱이 소토는 UZR 7.3, 수상한 나카타 쇼는 UZR 1.1이었다.[15]

각주

출전

  1.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賞とは - 미쓰이 홍보 위원회 홈페이지
  2. https://www.youtube.com/watch?v=BOobOpMMP_w
  3. なぜ京田や金子が選外?ゴールデン・グラブ賞の無記名投票は見直すべきでは? - Slugger, 2019년 11월 6일
  4. ゴールデン・グラブ賞の歴代記録あれこれ 最多受賞は“世界の盗塁王”! - BASEBALL KING, 2014년 12월 3일
  5. “ファンの投票で最強の守備陣が決まる!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 レジェンズ」”. 《슈칸 베이스볼 online》. 2021년 12월 14일. 2022년 1월 27일에 확인함. 
  6. “歴代最強の“守備の達人”が決定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 レジェンズ』の投票結果発表”. 《베이스볼 킹》. 2022년 1월 27일. 2022년 1월 27일에 확인함. 
  7. 《일본 프로 야구 역대 명선수 명감》(고분샤, 1976년, p.399) 보이어의 항목 중에서
  8. 다마키 마사유키 《프로 야구 대사전》, 신초샤〈신초 출판사 문고〉(1990년, p.334),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의 항목 중에서
  9. 도쿄 요미우리 신문, 1987년 12월 4일자 조간, p.17
  10. (일본어) 다카기 유타카⑤ 최고 수비율을 달성하면서도 골든 글러브상에 선정되지 못했다 - 전설의 플레이어 중에서
  11. 신조의 수상에 ‘왜 나를 선택했는가’ - 골든 글러브상 - 홋카이도 닛칸 스포츠, 2005년 11월 9일
  12. https://www.sponichi.co.jp/baseball/news/2020/05/01/kiji/20200501s00001173387000c.htm
  13. https://www.youtube.com/watch?v=BOobOpMMP_w
  14. “DeNA、『ゴールデングラブ賞』3年連続選出なし セ最少失策も…三浦監督「素晴らしいプレーあったのは間違いない」”. 산케이 스포츠. 2022년 11월 15일. 2023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5. “ゴールデングラブ賞、「守備の名手」は本当に名手か”. 니혼케이자이 신문. 2022년 11월 20일. 2023년 11월 10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 《The Official Baseball Encyclopedia'94》(사단법인 일본 야구 기구, 1994년)
  • 《베이스볼 레코드북》(베이스볼 매거진사, 1997년 ~ 2008년)
  • 사카모토 구니오 《프로 야구 데이터 사전》(PHP 연구소, 2001년)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