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럴 리그(영어: Central League, 일본어: セントラル・リーグ 센토라루 리구[*] 또는 약칭 セ・リーグ 세 리구[*])는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두 개의 프로 야구 상위 리그 가운데 하나이다. 1949년에 기존 단일 리그에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될 당시 8개 팀으로 창설되었고 센트럴 리그가 주관한 경기에서는 지명 타자 제도가 없기 때문에 선발투수도 타석에 들어서야 한다.
정식 명칭은 일본 프로 야구 조직 센트럴 리그 운영부(日本プロ野球組織 セントラル・リーグ運営部)이며 또는 약칭 세 리그(セ・リーグ)라고 불린다.
1949년 이전까지 단일 리그로 운영되던 일본의 프로 야구 리그는 1949년에 새로운 야구팀의 리그 가맹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이 일어났다. 이 결과 일본 야구 연맹은 분열을 하게 되었고 당시 가맹을 반대하던 요미우리 자이언츠(거인, 巨人 교진[*]), 쇼치쿠 로빈스(松竹ロビンス), 주니치 드래건스(1951년 ~ 1953년 사이에는 ‘나고야 드래건스’라는 이름을 사용)를 중심으로, 오사카 타이거스[주 1](大阪タイガース, 현: 한신 타이거스)에, 새로 참여한 구단으로 다이요 웨일스(大洋ホエールズ, 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히로시마 카프(현: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니시닛폰 파이레츠(西日本パイレーツ)가 합세하여 총 7개의 구단으로 센트럴 야구 연맹을 발족했다. 또한 발족 당시에는 오다큐 전철이 구단을 소유하고 센트럴 리그에 가입하여 8구단 체제로 할 계획이 있었지만[1] 이것은 끝내 무산되면서 실현되지 않았다.
이듬해 1950년 1월에 고쿠테쓰 스왈로스(国鉄スワローズ, 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가 가입하면서 8개 구단이 됐다. 그러나 1951년 시즌이 개막되기 직전에 니시닛폰 파이레츠가 퍼시픽 리그의 니시테쓰 클리퍼스(西鉄クリッパース, 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 합병돼 리그를 탈퇴하였으며 1952년 시즌이 끝난 후 다이요 웨일스가 쇼치쿠 로빈스를 흡수 합병하여 6개 구단이 됐다. 이후 모회사 및 팀의 명칭은 바뀌나 구단 수는 증감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가 1953년에 시모노세키에서 오사카로, 다시 1955년에 다이요 웨일스로 변경하여 가와사키로 이전한 후에는 각 구단 보호 지역의 변경도 없다. 1978년 요코하마 이전과 함께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로 이름을 바꿨으며 이후 연고지(구장) 변경도 없다.
2009년 1월 1일에 개정된 일본 프로패셔널 야구 협약 발효에 의해 연맹 사무국과 직하의 심판부·기록부는 커미셔너 사무국, 퍼시픽 리그 사무국과 통합돼 커미셔너 직속의 ‘센트럴 리그 운영부’, ‘심판부’ ‘기록부’가 되면서 리그 회장직은 폐지됐다.[2]
2013년부터 개막 앞두고 도쿄 빅 사이트에서 이벤트 행사인 ‘센트럴 리그 팬미팅’(セ・リーグファンミーティング)을 하고 있다.
2019년 11월 11일에 JERA와 타이틀 파트너(주관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020년부터 3년 간으로 리그전에서는 ‘JERA 센트럴 리그’(JERA セントラル・リーグ)의 명칭이 사용된다.[3]
1949년 12월 15일에 니시닛폰 신문사를 운영 모체로 한 니시닛폰 파이레츠(西日本パイレーツ)가 센트럴 리그에 가입하면서 헤이와다이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51년, 시즌 개막 전에 니시테쓰 클리퍼스와 합병하면서 퍼시픽 리그로 이동함에 따라 탈퇴하였고, 합병 이후의 팀 이름은 니시테쓰 라이온스(西鉄ライオンズ)가 됐음.
모회사의 기업명, 연고지의 팀 이름은 모두 당시의 것으로 의미함.
팀 이름의 변경 연도는 변경 후의 첫 해 시즌을 기점으로 표기.
경기 방식
총 배당 경기
1952년 프랜차이즈(홈 타운) 제도가 채택된 이후 홈경기 및 어웨이 경기 방식으로 반반씩 치르는 방식이 원칙이었음.
1950년 ~ 1952년 : 팀당 20회(1950년에만 140경기, 1951 ~ 52년까지는 120경기)
1953년 ~ 1962년 : 팀당 26회(130경기)
1963년 ~ 1965년 : 팀당 28회(140경기)
1966년 ~ 1996년 : 팀당 26회(130경기)
1997년 ~ 2000년 : 팀당 27회(135경기, 대전 수가 홀수인 관계로 한쪽이 홈 경기를 1회 더 가져 14회를 갖는 형태였음)
2001년 ~ 2004년 : 팀당 28회(140경기)
2005년 ~ 2006년 : 팀당 22회 + vs 퍼시픽 리그 6팀 6회(교류전) = (146경기)
2007년 ~ 2014년 : 팀당 24회 + vs 퍼시픽 리그 6팀 4회(교류전) = (144경기)
2015년 ~ 2019년, 2021년 : 팀당 25회 + vs 퍼시픽 리그 6팀 3회(교류전) = (143경기) ※1, ※2
2020년 : 팀당 24회(120경기)
※1: 1997년 ~ 2000년과 2015년 ~ 2019년(리그간 대전)은 전원이 홀수회가 되므로, 대전 카드 중 어느 한쪽이 홈 경기를 1회 더 치르는 형식(전자는 14경기, 후자는 13경기)이다. 또한 한 경기 증가 분의 홈 팀에 대해서는 2년 단위로 격년 교체이다.
※2: 2015년 이후의 센트럴·퍼시픽 교류전은 3회 전원이 되기 때문에, 대전 카드 마다 격년으로 홈 팀을 바꿔 넣는다.
무승부에 관한 취급
무승부재경기 제도를 실시한 연도 : 1962년, 1966년 ~ 1968년, 1990년 ~ 2000년
무승부를 0.5승으로 두어 승률을 계산한 시즌 : 1956년 ~ 1960년
상기 규정상의 대전 횟수이지만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정규 경기가 일부 중단된 연도가 있다.
1951년 : 히로시마 카프가 존속 문제로 인해 9일간(3월 29일 ~ 4월 6일) 참가를 보류하여 이 기간의 히로시마전의 경기를 중단했고 같은해 10월 20일부터 예정되어 있던 미·일 야구 대회 일정 관계를 위해 같은 달 9일에 페넌트레이스를 중단하였음.
195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미국 원정 관계로 13일 동안(3월 28일 ~ 4월 9일) 참가하지 않아서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기 때문에 같은 해 10월 17일부터 개최된 미국 메이저 리그 원정 팀과의 교류 경기가 개최되면서 일부 경기를 남기고 페넌트레이스를 중단하였음.
2004년 : 프로 야구 파업 사태가 일어난 관계로 2경기를 남겨둔 채 페넌트레이스를 종료하였음.
2020년 : 코로나19 감염 확산의 영향으로 개막이 약 3개월 연기되면서 시즌 일정을 다시 조정했는데 교류전이 취소되는 등 일부 일정이 변경되면서 당초 143경기에서 120경기로 축소됨.
횟수·시간 제한
연도
내용
1950년 ~ 1951년
싱글의 경우에는 횟수·시간 제한 없음(주간 경기인 경우에는 일몰 때까지).
더블헤더 1차전의 연장전은 원칙적으로 12회, 단 야간 경기(황혼녘에 개최되는 경기 포함)는 9회까지.
1952년 ~ 1954년 5월 24일까지
싱글, 더블헤더 모두 원칙적으로 승패가 결정될 때까지 시간·횟수 무제한.
야간 경기는 심야 24시를 넘기게 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음.
1954년 5월 25일 ~ 같은 해 폐막까지
주간 경기로 열리는 싱글인 경우에는 시간·횟수 제한 없음(일몰 때까지, 이후 1973년까지 동일함).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횟수 제한은 1962년까지 동일함), 야간 경기는 22시 30분까지.
1955년 ~ 1958년
야간 경기는 22시 15분까지.
1959년 ~ 1962년
야간 경기는 22시 30분까지(시간 제한은 1963년에도 동일함).
1963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3회까지.
1964년 ~ 1965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
야간 경기는 22시 15분까지(시간 제한은 1967년까지 동일함).
1966년 ~ 1967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1회까지.
1968년 ~ 1970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
야간 경기는 22시 20분까지.
1971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
야간 경기는 원칙적으로 경기 개시로부터 3시간 20분이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이하와 같은 규정이 있다(시간 제한은 1973년까지 동일함).
(1) 19시 이후에 경기가 개시되는 경우에는 경과 시간에 무관하게 22시 20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렸을 경우라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72년 ~ 1973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1회까지.
1974년 ~ 1982년
더블헤더 1차전에 대해서는 9회까지(횟수 제한은 1987년까지 동일함).
그 외의 경기(더블헤더 2차전을 포함)는 경기 개시로부터 3시간이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이하의 규정이 있다.
(1) 19:00 이후에는 경과 시간에 관계없이 22시를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않고 시간 제한에 걸렸을 경우라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83년 ~ 1987년
더블헤더 1차전 이외에는 개시 시각에 관계없이 경기 개시로부터 3시간 20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9회를 채우지 않고 시간 제한에 걸렸을 경우라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88년 ~ 1989년
연장 12회까지 시간 제한 없음.
단, 더블헤더 1차전에 대해서는 9회까지로 하고 중단.
1990년 ~ 2000년
연장 15회까지 시간 제한 없음. 무승부일 경우에는 재경기(강우 콜드 게임도 포함).
2001년 ~ 2010년
연장 12회까지 시간 제한 없음.
2011년 ~ 2012년
연장 12회까지.[주 2] 단,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절전 대책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규정이 있다.
(1) 경기 개시로부터 3시간 30분(우천 등에 따른 중단 시간도 포함)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렸을 경우라도 9회까지는 경기를 치른다.
↑1959년 시즌에 한신과 주니치는 공동 2위였는데, 그 해에는 무승부(0.5승+0.5패)를 승률로 포함하고 있었다(무승부를 승률로 포함시키지 않았을 경우 2위는 한신, 3위는 주니치였다).
↑2001년에 3위는 요코하마, 4위는 히로시마였는데 그 해에는 승률이 아닌 승수로 순위를 결정하고 있었다(승률에 관해서 히로시마는 3위, 요코하마는 4위였다).
↑2007년부터는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도입되어 2007년에 시즌 2위였던 주니치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리그 우승 팀인 요미우리를 누르고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고, 닛폰햄과 상대한 일본 시리즈에서도 우승해 센트럴 리그에서는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하지 않고 일본 시리즈를 우승한 구단이 되었다.
↑2007년부터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도입한 이후에는 2009년에 리그 우승한 요미우리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주니치를, 일본 시리즈에서도 닛폰햄을 누르고 센트럴 리그 우승과 포스트 시즌(클라이맥스 시리즈 → 일본 시리즈를 모두 우승)을 연거푸 제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