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바라

카피바라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호저아목
과: 천축서과
아과: 카피바라아과
속: 카피바라속
종: 카피바라
(H. hydrochaeris)
학명
Hydrochoerus hydrochaeris
(Linnaeus, 1766)
카피바라의 분포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카피바라(Capybara, 학명Hydrochoerus hydrochaeris)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천축서과 설치류 종으로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동물이다.[2] 카피바라속에 속한 친척으로는 작은카피바라가 있으며 가까운 친척으로는 기니피그바위캐비가 있다. 아구티, 친칠라, 뉴트리아와는 먼 친척 관계에 속한다. 카피바라는 사바나와 울창한 숲의 수역 근처에 서식한다. 사회성이 매우 높은 종으로 최대 100마리 정도의 큰 무리를 구성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10~20마리의 무리를 짓는다.

카피바라는 고기와 가죽, 그리고 피부 안쪽의 지방층에서 나오는 기름을 얻기 위해 사냥당하지만,[3] 멸종위기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어원

‘카피바라’라는 이름은 투피어ka'apiûara’에서 왔다. 이는 kaá(잎) + píi(가는) + ú(먹다) + ara(행위자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를 합친 말로, 말 그대로는 ‘가는 잎(풀)을 먹는 이’란 뜻이다.[4] 학명의 hydrochaeris고대 그리스어로 물을 뜻하는 ‘휘도르’(ὕδωρ)와 돼지를 뜻하는 ‘코이로스’(χοῖρος)에서 파생되었다.[5][6]

분류 및 계통

카피바라와 작은카피바라바위캐비와 함께 카피바라아과에 속한다. 현존하는 카피바라와 그 멸종된 친척은 하이드로코에리다과(Hydrochoeridae)로 분류되었다.[7] 2002년 이후 분자계통발생학 연구에서는 카피바라속과와 바위천축서속 사이의 밀접한 관계가 확인되었으며,[8] 이는 이 두 속이 천축서과에 속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5]

고생물학 분류에서는 이전에 모든 카피바라에 대해 하이드로코에리다과(Hydrochoeridae)를, 현존하는 카피바라속의 2종과 Neochoerus와 같은 가장 가까운 화석 친척에 대해서는 카피바라아과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천축서과 및 카피바라아과 분류를 채택했습니다. 화석 하이드로코에린의 분류학 역시 유동적인 상태에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화석 하이드로코에린의 다양성은 상당히 감소했다. 이는 주로 카피바라의 어금니가 개인의 일생 동안 형태에 큰 변화를 보인다는 인식에 기인한다. 한 예로, 한때 어금니 모양의 차이를 기준으로 4속 7종을 언급했던 물질은 이제 단일 종인 Cardiatherium paranense의 서로 다른 연령의 개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화석 종 중에서 "카피바라"라는 이름은 Cardiomys와 같은 "cardiomyine" 설치류보다는 현대 Hydrochoerus와 더 밀접하게 관련된 카피바라아과의 많은 종을 가리킬 수 있다. 화석 속 Cardiatherium, Phugatherium, Hydrochoeropsis 및 Neochoerus는 모두 이 개념에 따른 카피바라다.

생태

카피바라는 몸길이 105cm~135cm, 체중 35~65kg까지 성장한다. 몸은 5cm 이상이나 되는 딱딱한 체모로 덮여 있다. 앞발의 발가락 4개와 뒷발에 있는 3개의 발가락에는 작은 물갈퀴가 있으며 능숙하게 헤엄칠 수 있다. 남아메리카 동부 아마존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온난한 물가에 서식한다. 또한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기 위해 수중에 5분 이상 있을 수 있다. 그런가하면 코끝만을 물 위에 내놓고 자기도 한다.

종의 절멸 위험이 낮아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대상(least concern)으로 분류된다.

번식

임신 기간은 150일이며, 설치류 가운데 예외적으로 둥지를 만들지 않고 물가의 풀숲에 새끼를 1~7 마리 낳는다. 카피바라는 평균 10마리 정도의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이들 작은 집단이 몇 개 모여 100마리가 넘는 큰 집단을 이루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수명은 5~10년 정도이며, 완전한 초식성으로 강변에서 수중의 풀이나 나뭇잎등을 먹으며 산다. 천적은 아나콘다, 카이만, 재규어, 퓨마, 오셀롯, 부채머리수리 등 주로 대형포식자들이다.

각주

  1. Reid, F. (2016). Hydrochoerus hydrochaer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10300A22190005. doi:10.2305/IUCN.UK.2016-2.RLTS.T10300A22190005.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2. Donnelly, Thomas M.; Bergin, Ingrid; Ihrig, Melanie (2015). 《Biology and Diseases of Other Rodents》. Elsevier. 285–349쪽. ISBN 978-0-12-409527-4. 
  3. “Hydrochoerus hydrochaeris (capybara)”. 2022년 1월 7일. 2023년 11월 12일에 확인함. 
  4. Meier, Harri (1987년 12월 31일). 《Antȏnio Geraldo da Cunha — Dicionário etimológico Nova Fronteira da lingua portuguesa》. De Gruyter. 317–319쪽. 
  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 Aufl판. Baltimore & Lond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ISBN 978-0-8018-8221-0. 
  6. Fitzroy, Robert; King, Philip Parker; Darwin, Charles (1839). 《Narrative of the surveying voyages of His Majesty's ships Adventure and Beagle, between the years 1826 and 1836, describing their examination of the southern shores of South America, and the Beagle's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London: H. Colburn. 
  7. Mones, Alvaro; Ojasti, Juhani (1986년 6월 16일). “Hydrochoerus hydrochaeris”. 《Mammalian Species》 (264): 1. doi:10.2307/3503784. 
  8. Rowe, Diane L.; Honeycutt, Rodney L. (2002년 3월 1일).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logical Correlates, and Molecular Evolution Within the Cavioidea (Mammalia, Rodentia)”.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19 (3): 263–277. doi:10.1093/oxfordjournals.molbev.a004080. ISSN 1537-1719.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