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론 에서 분해계 (分解系, 영어 : factorization system )는 어떤 범주 의 모든 사상을 특별한 모임 에 속하는 두 사상의 합성으로 (동형 사상 아래) 표준적으로 분해하는 구조이다.
정의
직교 사상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에서, 두 사상
e
{\displaystyle e}
,
m
{\displaystyle m}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화살표 범주 속의 임의의 사상 (가환 사각형)
(
f
,
g
)
: : -->
e
→ → -->
m
{\displaystyle (f,g)\colon e\to m}
에 대하여,
h
∘ ∘ -->
e
=
f
{\displaystyle h\circ e=f}
이며
m
∘ ∘ -->
h
=
g
{\displaystyle m\circ h=g}
인 유일한 사상
h
{\displaystyle h}
가 존재한다.
∙ ∙ -->
→ → -->
∙ ∙ -->
e
↓ ↓ -->
∃ ∃ -->
!
↗ ↗ -->
↓ ↓ -->
m
∙ ∙ -->
→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bullet &\to &\bullet \\{\scriptstyle e}\downarrow &{\scriptstyle \exists !}\nearrow &\downarrow \scriptstyle m\\\bullet &\to &\bullet \end{matrix}}}
그렇다면, 이를 다음과 같이 쓴다.
e
{\displaystyle e}
와
m
{\displaystyle m}
이 서로 직교 사상 (直交寫像, 영어 : orthogonal morphisms )이다.
e
{\displaystyle e}
가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왼쪽 유일 올림 성질 (-唯一-性質, 영어 : left unique lifting property )을 만족시킨다.
m
{\displaystyle m}
이
e
{\displaystyle e}
에 대하여 오른쪽 유일 올림 성질 (-唯一-性質, 영어 : right unique lifting property )을 만족시킨다.
이는 기호로
e
↓ ↓ -->
m
{\displaystyle e\downarrow m}
으로 쓴다. 직교 관계는 대칭 관계 가 아니다. 유일 올림 성질에 의하여 유일하게 존재하는 사상을 올림 이라고 한다.
사상의 모임
X
{\displaystyle {\mathfrak {X}}}
에 대하여, 사상 모임
X
↓ ↓ -->
{\displaystyle {\mathfrak {X}}^{\downarrow }}
및
↓ ↓ -->
X
{\displaystyle ^{\downarrow }{\mathfrak {X}}}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X
↓ ↓ -->
=
{
g
: : -->
∀ ∀ -->
f
∈ ∈ -->
X
: : -->
f
↓ ↓ -->
g
}
{\displaystyle {\mathfrak {X}}^{\downarrow }=\{g\colon \forall f\in {\mathfrak {X}}\colon f\downarrow g\}}
↓ ↓ -->
X
=
{
g
: : -->
∀ ∀ -->
f
∈ ∈ -->
X
: : -->
g
↓ ↓ -->
f
}
{\displaystyle ^{\downarrow }{\mathfrak {X}}=\{g\colon \forall f\in {\mathfrak {X}}\colon g\downarrow f\}}
(간혹
↓ ↓ -->
X
{\displaystyle ^{\downarrow }{\mathfrak {X}}}
를
X
↑ ↑ -->
{\displaystyle X^{\uparrow }}
로 표기하기도 한다.)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에서, 두 사상
e
{\displaystyle e}
,
m
{\displaystyle m}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화살표 범주 속의 임의의 사상 (가환 사각형)
(
f
,
g
)
: : -->
e
→ → -->
m
{\displaystyle (f,g)\colon e\to m}
에 대하여,
h
∘ ∘ -->
e
=
f
{\displaystyle h\circ e=f}
이며
m
∘ ∘ -->
h
=
g
{\displaystyle m\circ h=g}
인 사상
h
{\displaystyle h}
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사상은 유일할 필요가 없다.)
∙ ∙ -->
→ → -->
∙ ∙ -->
e
↓ ↓ -->
∃ ∃ -->
↗ ↗ -->
↓ ↓ -->
m
∙ ∙ -->
→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bullet &\to &\bullet \\{\scriptstyle e}\downarrow &{\scriptstyle \exists }\nearrow &\downarrow \scriptstyle m\\\bullet &\to &\bullet \end{matrix}}}
그렇다면, 이를 다음과 같이 쓴다.
e
{\displaystyle e}
가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왼쪽 올림 성질 (-性質, 영어 : left lifting property )을 만족시킨다.
m
{\displaystyle m}
이
e
{\displaystyle e}
에 대하여 오른쪽 올림 성질 (-性質, 영어 : right lifting property )을 만족시킨다.
이는 기호로
e
⋔ ⋔ -->
m
{\displaystyle e\pitchfork m}
으로 쓴다. 이 역시 대칭 관계 가 아니다. 올림 성질에 의하여 존재하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는) 사상을 올림 이라고 한다. 즉, 올림 성질은 유일 올림 성질에서 올림의 유일함을 생략한 것이다.
사상의 모임
X
{\displaystyle {\mathfrak {X}}}
에 대하여, 사상 모임
X
⋔ ⋔ -->
{\displaystyle {\mathfrak {X}}^{\pitchfork }}
및
⋔ ⋔ -->
X
{\displaystyle ^{\pitchfork }{\mathfrak {X}}}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X
⋔ ⋔ -->
=
{
g
: : -->
∀ ∀ -->
f
∈ ∈ -->
X
: : -->
f
⋔ ⋔ -->
g
}
{\displaystyle {\mathfrak {X}}^{\pitchfork }=\{g\colon \forall f\in {\mathfrak {X}}\colon f\pitchfork g\}}
⋔ ⋔ -->
X
=
{
g
: : -->
∀ ∀ -->
f
∈ ∈ -->
X
: : -->
g
⋔ ⋔ -->
f
}
{\displaystyle ^{\pitchfork }{\mathfrak {X}}=\{g\colon \forall f\in {\mathfrak {X}}\colon g\pitchfork f\}}
(간혹
X
⋔ ⋔ -->
{\displaystyle X^{\pitchfork }}
를
RLP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RLP} ({\mathfrak {X}})}
또는
rlp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rlp} ({\mathfrak {X}})}
로,
⋔ ⋔ -->
X
{\displaystyle ^{\pitchfork }{\mathfrak {X}}}
를
LLP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LLP} ({\mathfrak {X}})}
또는
llp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llp} ({\mathfrak {X}})}
로 표기하기도 한다.)
분해계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에 다음과 같은 데이터
(
E
,
M
)
{\displaystyle ({\mathfrak {E}},{\mathfrak {M}})}
이 주어졌다고 하자.
모든 동형 사상 을 포함하는 사상 모임
E
⊆ ⊆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E}}\subseteq \operatorname {Mor} ({\mathcal {C}})}
모든 동형 사상 을 포함하며,
M
∘ ∘ -->
E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M}}\circ {\mathfrak {E}}=\operatorname {Mor} ({\mathcal {C}})}
를 만족시키는 사상 모임
M
⊆ ⊆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M}}\subseteq \operatorname {Mor} ({\mathcal {C}})}
이 데이터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데이터를 분해계 라고 한다.
E
=
↓ ↓ -->
M
{\displaystyle {\mathfrak {E}}={}^{\downarrow }{\mathfrak {M}}}
이며
M
=
E
↓ ↓ -->
{\displaystyle {\mathfrak {M}}={\mathfrak {E}}^{\downarrow }}
이다.
E
⊆ ⊆ -->
↓ ↓ -->
M
{\displaystyle {\mathfrak {E}}\subseteq {}^{\downarrow }{\mathfrak {M}}}
이며
M
⊆ ⊆ -->
E
↓ ↓ -->
{\displaystyle {\mathfrak {M}}\subseteq {\mathfrak {E}}^{\downarrow }}
이다.
(함자성) 임의의
e
,
e
′
∈ ∈ -->
E
{\displaystyle e,e'\in {\mathfrak {E}}}
및
m
,
m
′
∈ ∈ -->
M
{\displaystyle m,m'\in {\mathfrak {M}}}
에 대하여, 화살표 범주
C
→ → -->
{\displaystyle {\mathcal {C}}^{\to }}
에서의 사상
(
f
′
,
f
)
: : -->
(
m
∘ ∘ -->
e
)
→ → -->
(
m
′
∘ ∘ -->
e
′
)
{\displaystyle (f',f)\colon (m\circ e)\to (m'\circ e')}
이 존재한다면,
(
g
,
f
)
∘ ∘ -->
(
f
′
,
g
)
=
(
f
,
f
′
)
{\displaystyle (g,f)\circ (f',g)=(f,f')}
인
(
g
,
f
)
: : -->
m
→ → -->
m
′
{\displaystyle (g,f)\colon m\to m'}
및
(
f
′
,
g
)
: : -->
e
→ → -->
e
′
{\displaystyle (f',g)\colon e\to e'}
이 존재한다. 즉, 임의의 사상
f
,
f
′
{\displaystyle f,f'}
및
m
,
m
′
∈ ∈ -->
M
{\displaystyle m,m'\in {\mathfrak {M}}}
및
e
,
e
∈ ∈ -->
E
{\displaystyle e,e\in {\mathfrak {E}}}
에 대하여
v
∘ ∘ -->
m
∘ ∘ -->
e
=
m
′
∘ ∘ -->
e
′
∘ ∘ -->
f
′
{\displaystyle v\circ m\circ e=m'\circ e'\circ f'}
라면,
m
′
∘ ∘ -->
g
=
f
∘ ∘ -->
m
{\displaystyle m'\circ g=f\circ m}
이자
g
∘ ∘ -->
e
=
e
′
∘ ∘ -->
f
′
{\displaystyle g\circ e=e'\circ f'}
인 사상
g
{\displaystyle g}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즉, 다음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bullet &\twoheadrightarrow &\bullet &\hookrightarrow &\bullet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exists !&&\downarrow \\\bullet &\twoheadrightarrow &\bullet &\hookrightarrow &\bullet \end{matrix}}}
위 그림에서
E
{\displaystyle {\mathfrak {E}}}
의 원소는
↠ ↠ -->
{\displaystyle \twoheadrightarrow }
로,
M
{\displaystyle {\mathfrak {M}}}
의 원소는
↪ ↪ -->
{\displaystyle \hookrightarrow }
로 표기하였다.
분해계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사상의 분해는 동형 사상 을 무시하면 유일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약분해계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에 다음과 같은 데이터
(
E
,
M
)
{\displaystyle ({\mathfrak {E}},{\mathfrak {M}})}
이 주어졌다고 하자.
모든 동형 사상 을 포함하는 사상 모임
E
⊆ ⊆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E}}\subseteq \operatorname {Mor} ({\mathcal {C}})}
모든 동형 사상 을 포함하며,
M
∘ ∘ -->
E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M}}\circ {\mathfrak {E}}=\operatorname {Mor} ({\mathcal {C}})}
를 만족시키는 사상 모임
M
⊆ ⊆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M}}\subseteq \operatorname {Mor} ({\mathcal {C}})}
이 데이터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약분해계 (弱分解系, 영어 : weak factorization system )라고 한다.
E
=
⋔ ⋔ -->
M
{\displaystyle {\mathfrak {E}}={}^{\pitchfork }{\mathfrak {M}}}
이며
M
=
E
⋔ ⋔ -->
{\displaystyle {\mathfrak {M}}={\mathfrak {E}}^{\pitchfork }}
이다.
이에 따라, 모든 분해계는 약분해계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약분해계에서 주어진 사상의 분해는 유일하지 않다.
성질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쌍대 완비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사상들의 모임
M
{\displaystyle {\mathfrak {M}}}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임의의 사상
f
∈ ∈ -->
M
{\displaystyle f\in {\mathfrak {M}}}
,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에 대하여,
f
{\displaystyle f}
의 정의역
X
{\displaystyle X}
가
κ κ -->
{\displaystyle \kappa }
-콤팩트 대상 (영어 : compact object )이 되는 정칙 기수
κ κ -->
∈ ∈ -->
Card
{\displaystyle \kappa \in \operatorname {Card} }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
⋔ ⋔ -->
(
M
⋔ ⋔ -->
)
,
M
⋔ ⋔ -->
)
{\displaystyle (^{\pitchfork }({\mathfrak {M}}^{\pitchfork }),{\mathfrak {M}}^{\pitchfork })}
는 분해계를 이룬다. 이를 작은 대상 논법 (영어 : small object argument )이라고 한다.
증명:
정의에 따라,
M
⋔ ⋔ -->
∘ ∘ -->
⋔ ⋔ -->
(
M
⋔ ⋔ -->
)
=
Mor
-->
(
C
)
{\displaystyle {\mathfrak {M}}^{\pitchfork }\circ {}^{\pitchfork }({\mathfrak {M}}^{\pitchfork })=\operatorname {Mor} ({\mathcal {C}})}
임을 보이면 족하다. 임의의 사상
f
: : -->
A
→ → -->
B
{\displaystyle f\colon A\to B}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f
∈ ∈ -->
M
{\displaystyle f\in {\mathfrak {M}}}
이 되는 가환 네모들의 집합
S
{\displaystyle {\mathcal {S}}}
를 생각하자.
A
→ → -->
g
B
↓ ↓ -->
↓ ↓ -->
X
→ → -->
f
Y
{\displaystyle {\begin{matrix}A&{\overset {g}{\to }}&B\\\downarrow &&\downarrow \\X&{\underset {f}{\to }}&Y\end{matrix}}}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직합을 취할 수 있다.
∐ ∐ -->
i
∈ ∈ -->
S
A
i
→ → -->
∐ ∐ -->
i
∈ ∈ -->
S
g
i
∐ ∐ -->
i
∈ ∈ -->
S
B
i
↓ ↓ -->
↓ ↓ -->
X
→ → -->
f
Y
{\displaystyle {\begin{matrix}\coprod _{i\in {\mathcal {S}}}A_{i}&{\overset {\coprod _{i\in {\mathcal {S}}}g_{i}}{\to }}&\coprod _{i\in {\mathcal {S}}}B_{i}\\\downarrow &&\downarrow \\X&{\underset {f}{\to }}&Y\end{matrix}}}
이제, 밂
k
X
=
X
⊔ ⊔ -->
∐ ∐ -->
i
A
i
∐ ∐ -->
i
B
i
{\displaystyle kX=X\sqcup _{\coprod _{i}A_{i}}\textstyle \coprod _{i}B_{i}}
을 정의하여,
∐ ∐ -->
i
∈ ∈ -->
S
A
i
→ → -->
∐ ∐ -->
i
∈ ∈ -->
S
g
i
∐ ∐ -->
i
∈ ∈ -->
S
B
i
↓ ↓ -->
↓ ↓ -->
X
→ → -->
k
f
k
X
‖ ‖ -->
↓ ↓ -->
X
→ → -->
f
Y
{\displaystyle {\begin{matrix}\coprod _{i\in {\mathcal {S}}}A_{i}&{\overset {\coprod _{i\in {\mathcal {S}}}g_{i}}{\to }}&\coprod _{i\in {\mathcal {S}}}B_{i}\\\downarrow &&\downarrow \\X&{\underset {kf}{\to }}&kX\\\|&&\downarrow \\X&{\underset {f}{\to }}&Y\end{matrix}}}
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그림
X
→ → -->
k
f
k
X
→ → -->
k
2
f
k
2
X
→ → -->
⋯ ⋯ -->
f
↓ ↓ -->
g
↓ ↓ -->
↓ ↓ -->
Y
=
Y
=
Y
=
⋯ ⋯ -->
{\displaystyle {\begin{matrix}X&{\overset {kf}{\to }}&kX&{\overset {k^{2}f}{\to }}&k^{2}X&\to &\cdots \\{\scriptstyle f}\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g}&&\downarrow &&\downarrow \\Y&=&Y&=&Y&=&\cdots \end{matrix}}}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초한 귀납법 을 사용하며, 극한 순서수 에 도달하였을 때 초한 합성을 취하자. 그렇다면,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렴하지 않지만, 충분히 큰 순서수
α α -->
{\displaystyle \alpha }
에 대하여
k
α α -->
X
→ → -->
Y
{\displaystyle k^{\alpha }X\to Y}
가
M
⋔ ⋔ -->
{\displaystyle {\mathfrak {M}}^{\pitchfork }}
에 속하며,
X
→ → -->
k
α α -->
X
{\displaystyle X\to k^{\alpha }X}
가
⋔ ⋔ -->
(
M
⋔ ⋔ -->
)
{\displaystyle ^{\pitchfork }({\mathfrak {M}}^{\pitchfork })}
에 속하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대략, 각
k
i
f
{\displaystyle k^{i}f}
는
X
{\displaystyle X}
에 (
M
{\displaystyle {\mathfrak {M}}}
의 원소를 통한) “세포”를 붙여 세포 복합체 를 구성하는 것으로 여길 수 있다.
예
자명한 분해계
임의의 범주에서, 모든 사상의 모임을 왼쪽 모임으로, 동형 사상 의 모임을 오른쪽 모임으로 잡는다면 이는 분해계를 이룬다. 임의의 범주에서, 동형 사상 의 모임을 왼쪽 모임으로, 모든 사상의 모임을 오른쪽 모임으로 잡는다면 이 역시 분해계를 이룬다.
(전사, 단사) 분해계
모든 토포스 에서, 전사 사상 의 모임을 왼쪽 모임으로, 단사 사상 의 모임을 오른쪽 모임으로 잡는다면 이는 분해계를 이룬다. 예를 들어, 집합 의 토포스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에서 모든 함수 는 그 치역 으로의 전사 함수 (=전사 사상 )와 치역 에서 공역 으로 가는 단사 함수 (=단사 사상 )의 합성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작은 범주의 범주
작은 범주 의 범주
Cat
{\displaystyle \operatorname {Cat} }
에서, 왼쪽 모임은 대상에 대하여 전단사 인 함자 의 모임, 오른쪽 모임은 충실충만한 함자 의 모임으로 구성된 분해계가 존재한다.
모형 범주
모든 모형 범주
(
C
,
W
,
F
,
C
)
{\displaystyle ({\mathcal {C}},{\mathfrak {W}},{\mathfrak {F}},{\mathfrak {C}})}
위에는 다음과 같은 두 약분해계가 존재한다.
왼쪽:
C
∩ ∩ -->
W
{\displaystyle {\mathfrak {C}}\cap {\mathfrak {W}}}
, 오른쪽:
F
{\displaystyle {\mathfrak {F}}}
왼쪽:
C
{\displaystyle {\mathfrak {C}}}
, 오른쪽:
F
∩ ∩ -->
W
{\displaystyle {\mathfrak {F}}\cap {\mathfrak {W}}}
집합의 범주 위의 약분해계
집합의 범주 위에서는 (선택 공리 를 가정한다면) 정확히 총 6개의 약분해계가 존재한다.[ 1] 그 가운데 4개는 분해계이지만, 2개는 분해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사, 전사) 약분해계에서 함수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의 분해는 다음과 같다.
X
↪ ↪ -->
X
⊔ ⊔ -->
Y
↠ ↠ -->
f
⊔ ⊔ -->
id
Y
{\displaystyle X\hookrightarrow X\sqcup Y{\overset {f\sqcup \operatorname {id} }{\twoheadrightarrow }}Y}
올뭉치
이 부분의 본문은
올뭉치 입니다.
위상 공간의 범주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에서, 모든 CW 복합체
X
{\displaystyle X}
에 대한 포함 사상
X
→
× × -->
0
X
× × -->
[
0
,
1
]
{\displaystyle X{\xrightarrow {\times 0}}X\times [0,1]}
들의 모임을
I
CW
{\displaystyle {\mathfrak {I}}_{\operatorname {CW} }}
라고 하자. 그렇다면, 세르 올뭉치 는
I
CW
{\displaystyle {\mathfrak {I}}_{\operatorname {CW} }}
에 대하여 오른쪽 올림 성질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이다.
F
Serre
=
I
CW
⋔ ⋔ -->
{\displaystyle {\mathfrak {F}}_{\text{Serre}}={\mathfrak {I}}_{\operatorname {CW} }^{\pitchfork }}
마찬가지로, 모든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한 포함 사상
X
→
× × -->
0
X
× × -->
[
0
,
1
]
{\displaystyle X{\xrightarrow {\times 0}}X\times [0,1]}
들의 모임을
I
Top
{\displaystyle {\mathfrak {I}}_{\operatorname {Top} }}
라고 하자. 그렇다면, 후레비치 올뭉치 는
I
Top
{\displaystyle {\mathfrak {I}}_{\operatorname {Top} }}
에 대하여 오른쪽 올림 성질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이다.
F
Hur
=
I
Top
⋔ ⋔ -->
{\displaystyle {\mathfrak {F}}_{\text{Hur}}={\mathfrak {I}}_{\operatorname {Top} }^{\pitchfork }}
이 경우, 가환 그림은 다음과 같다.
X
↪ ↪ -->
X
× × -->
[
0
,
1
]
↓ ↓ -->
∃ ∃ -->
↙ ↙ -->
↓ ↓ -->
E
↠ ↠ -->
B
{\displaystyle {\begin{matrix}X&\hookrightarrow &X\times [0,1]\\\downarrow &{\scriptstyle \exists }\swarrow &\downarrow \\E&\twoheadrightarrow &B\end{matrix}}}
여기서
E
↠ ↠ -->
B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B}
는 (세르/후레비치) 올뭉치이다. 올림 성질에 의하여 존재하는 대각 사상
X
× × -->
[
0
,
1
]
→ → -->
E
{\displaystyle X\times [0,1]\to E}
는
X
{\displaystyle X}
에서
E
{\displaystyle E}
로 가는 두 연속 함수 사이의 호모토피 를 이룬다. 대각 사상은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지만 (즉, 직교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만약 올뭉치가 피복 공간 일 경우 (즉, 올이 이산 공간 일 경우) 올림은 유일하다 (즉, 직교 관계가 성립한다).
스킴 사상
대수기하학 에서, 스킴의 매끄러운 사상 은 멱영 아이디얼
n
{\displaystyle {\mathfrak {n}}}
에 대한 몫
Spec
-->
(
R
/
n
)
→ → -->
Spec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mathfrak {n}})\to \operatorname {Spec} R}
에 대하여 오른쪽 올림 성질을 만족시키는 국소 유한 표시 사상 이다. 오른쪽 올림 성질을 오른쪽 유일 올림 성질로 강화하면 에탈 사상 의 개념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공역 이 국소 뇌터 스킴 인 유한형 사상 에 대하여, 모든 값매김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분수체 에 대한 사상
Spec
-->
Frac
-->
R
→ → -->
Spec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operatorname {Frac} R\to \operatorname {Spec} R}
에 대하여 오른쪽 올림 성질을 만족시키는 것은 분리 사상 임과 동치이며, 오른쪽 유일 올림 성질을 만족시키는 것은 고유 사상 임과 동치이다. 이러한 조건을 값매김 조건 (영어 : valuative criterion )이라고 한다.
역사
분해계 개념의 시초는 손더스 매클레인 의 1950년 논문[ 2] 이다. 이 논문에서 매클레인이 정의한 ‘bicategory 바이캐터고리[* ] ’라는 개념은 분해계를 갖춘 범주 의 개념과 흡사하다. 이후 존 롤프 이스벨(영어 : John Rolfe Isbell )이 이 개념을 1950년대에 연구하였다.[ 3]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