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손 분류 체계는 목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녹나무과(Lauraceae), 데게네리아과(Degeneriaceae), 락토리스과(Lactoridaceae), 모니미아과(Monimiaceae), 목련과(Magnoliaceae), 받침꽃과(Calycanthaceae), 붓순나무과(Illiciaceae), 뽀뽀나무과(Annonaceae), 삼백초과(Saururaceae),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Austrobaileyaceae), 암보렐라과(Amborellaceae), 에우포마티아과(Eupomatiaceae), 오미자과(Schisandraceae), 윈테라과(Winteraceae), 육두구과(Myristicaceae),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카넬라과(Canellaceae), 케울레나무과(Gomortegaceae), 트리메니아과(Trimeniaceae), 헤르난디아과(Hernandiaceae),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후추과(Piperaceae), 히만탄드라과(Himantandraceae)를 두었다.[6]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목련목을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데게네리아과(Degeneriaceae), 락토리스과(Lactoridaceae), 목련과(Magnoliaceae), 뽀뽀나무과(Annonaceae),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Austrobaileyaceae), 에우포마티아과(Eupomatiaceae), 윈테라과(Winteraceae), 육두구과(Myristicaceae), 카넬라과(Canellaceae), 히만탄드라과(Himantandraceae)를 두었다.[7]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목련목을 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녹나무과(Lauraceae), 데게네리아과(Degeneriaceae), 모니미아과(Monimiaceae), 목련과(Magnoliaceae), 받침꽃과(Calycanthaceae), 붓순나무과(Illiciaceae), 뽀뽀나무과(Annonaceae), 수레나무과(Trochodendraceae),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Austrobaileyaceae), 암보렐라과(Amborellaceae), 에우포마티아과(Eupomatiaceae), 에웁텔레아과(Eupteleaceae), 오미자과(Schisandraceae), 윈테라과(Winteraceae), 육두구과(Myristicaceae), 카넬라과(Canellaceae), 케울레나무과(Gomortegaceae), 테트라켄트론과(Tetracentraceae), 트리메니아과(Trimeniaceae), 헤르난디아과(Hernandiaceae), 히만탄드라과(Himantandraceae)를 두었다.[8]
1935년 베트슈타인 분류 체계는 목련목을 인정하지 않으나,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s) 이판화아강(Choripetalae) 양판화군(Monochlamydeae) 아래에 비슷한 식물을 포함하는 다심피목(Polycarpicae)을 두었다.[9]
각주
↑Jussieu, Antoine Laurent de. ex: Berchtold, Bedřich Všemír von & Presl, Jan Svatopluk. O Prirozenosti Rostlin 223. 1820.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