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케돈 기독교 는 451년에 열렸던 제4차 세계공의회 인 칼케돈 공의회 의 신학적 , 교회학적 결의를 수용하고 옹호하는 기독교 의 종파이다. 칼케돈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 의 한 위격 안의 두 본성 (신성과 인성)의 결합 에 따라서, 그가 완전한 하나님 이시자 완전한 인간 이라 인정하는 칼케돈의 기독론적 정의 를 수용한다. 칼케돈 기독교도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대한 칼케돈의 확인을 수용하여, 칼케돈주의가 니케아 기독교 에 헌신함을 인정했다.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에 대한 그들의 명확한 태도와 관하여 기독교 교파 (역사적과 현대적인 교파 모두)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칼케돈 –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를 받아들이는 교파.
준칼케돈 – 칼케돈 신학적 결의의 수용이 부분적 또는 조건부인 교파.
비칼케돈 –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를 거부하는 교파.
오늘날, 칼케돈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 , 동방 정교회 , 개신교 교파를 아우르는 반면, 비칼케돈 기독교 또는 합성론 기독교는 오리엔트 정교회 를 아우른다.
역사
칼케돈 공의회 에서 제정한 교회법 (451년)
칼케돈 공의회 동안 제기된 교조적 인 논쟁은 칼케돈 분열 로 이어졌고, 따라서 오리엔트 정교회 로 알려진 교회들의 비칼케돈 조직이 형성되었다. 칼케돈 교회들은 로마 의 성좌 , 콘스탄티노폴리스 (또는 새 로마 )의 세계 총대주교청 과 중동의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청(즉, 알렉산드리아 , 안티오키아 와 예루살렘 )과 결속하여 유지되었다. 이 다섯 명의 총대주교는 함께 정통 가톨릭 기독교 와 칼케돈 신앙고백의 기둥으로 여겨졌다. 6세기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의 치세 동안, 다섯 총대주교좌는 제국의 기독교 교회 의 공식적인 교회 권한을 가진 펜타르키 로 인정되었다.
오늘날, 기독교 교파의 대부분은 칼케돈 기독교에 찬성한 펜타르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크게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방 의 로마 가톨릭교회 ,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방 의 동방 정교회 , 종교 개혁 의 여파로 만들어진 개신교 로 나뉜다.
칼케돈의 기독론적 정의를 거부한 집단은 아르메니아 교회 의 다수, 콥트 교회 , 에티오피아 교회 였으며, 인도 교회 의 일부와 시리아 기독교회(이들 중 후자는 자코비테 인으로 확인됨)를 포함한다. 오늘날, 이러한 단체들은 일괄되어 비칼케돈 교회, 합성론파 , 또는 오리엔탈 정교회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동로마 제국 내부의 카파도키아 와 트레비존드 지역의 일부 아르메니아 기독교인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반대하는 논쟁 을 벌였다.[ 7]
572–591년 동로마-사산 전쟁 귀결 후, 동로마 제국의 직접 통치는 아르메니아 의 모든 서부 지역으로 확장되었고, 황제 마우리키우스 (582년–602년)는 곧 아르메니아 교회의 현지 친칼케돈파 를 지원함으로써 전체 지역에 대한 그의 정치적 지배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593년 서부 아르메니아 주교들의 지역 회의가 테오도시폴리스 에서 소집되었으며, 칼케돈의 정의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다.
회의는 또한 바가란 의 요한(요한네스 또는 호반네스)을 칼케돈 아르메니아 교회의 새로운 가톨리코스 로 선출하였다.
칼케돈 기독론
칼케돈 공의회에 참석한 이들은 삼위일체론 과 위격적 연합 의 개념을 받아들였고, 아리우스주의 , 양태론적 단일신론 , 에비온주의 를 이단으로 거부했다.(AD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에서도 거부되었다.) 공의회에 참석한 이들은 또한 네스토리우스주의 , 에우티케스주의 , 단성론 의 기독교 교리를 거부하였다. (이 교리는 431년 제1차 에페소스 공의회 에서도 거부되었다.)
각주
↑ Hacikyan, Agop Jack; Basmajian, Gabriel; Franchuk, Edward S,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Sixth to the Eighteenth Century》
자료
Athanasopoulos, Constantinos; Schneider, Christoph, 편집. (2013). 《Divine Essence and Divine Energies: Ecumenical Reflections on the Presence of God》 . Cambridge, UK: James Clarke & Co.
Kharlamov, Vladimir (2009). 《The Beauty of the Unity and the Harmony of the Whole: The Concept of Theosis in the Theology of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 Eugene: Wipf and Stock Publishers.
Chesnut, Roberta C. (1978). “The Two Prosopa in Nestorius' Bazaar of Heracleides” . 《The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29 : 392–409.
González, Justo L. (2005). 《Essential Theological Terms》 .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Florovsky, Georges (1987). 《The Eastern Fathers of the Fourth Century》 . Vaduz: Büchervertriebsanstalt.
Grillmeier, Aloys (1975) [1965]. 《Christ in Christian Tradition: From the Apostolic Age to Chalcedon (451)》 2 revis판.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Kelly, John N. D. (2006) [1972]. 《Early Christian Creeds》 3판. London-New York: Continuum.
Loon, Hans van (2009). 《The Dyophysite Christology of Cyril of Alexandria》 . Leiden-Boston: Brill.
Menze, Volker L. (2008). 《Justinian and the Making of the Syrian Orthodox Church》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eyendorff, John (1966). 《Orthodoxy and Catholicity》 . New York: Sheed & Ward.
Meyendorff, John (1989). 《Imperial Unity and Christian Divisions: The Church 450–680 A.D.》 . Crestwood, N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Nichols, Aidan (2010) [1992]. 《Rome and the Eastern Churches: A Study in Schism》 2 revis판. San Francisco: Ignatius Press.
Norris, Richard A., 편집. (1980). 《The Christological Controversy》 . Minneapolis: Fortess Press.
Ostrogorsky, George (1956).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 Oxford: Basil Blackwell.
Pásztori-Kupán, István (2006). 《Theodoret of Cyrus》 . London & New York: Routled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