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자라-프라티하라

프라티하라 제국

730년~1036년
프라티하라 왕조의 최대강역(800년경 ~ 950년경).
프라티하라 왕조의 최대강역(800년경 ~ 950년경).
수도카나우지
정치
정치체제전제군주제
마하라자디라자
730년 ~ 760년
836년 ~ 885년
1024년 ~ 1036년

나가바타 1세(초대)
미히라 보자
자사팔라(말대)
역사
 • 건국750년
 • 멸망1174년
지리
위치라자스탄
인문
공용어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민족인도아리아인
종교
종교힌두교
기타
현재 국가인도 인도

프라티하라 왕조는 8세기 중반부터 11세기까지 인도 북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고전후 시대 인도 아대륙의 왕조이다. 초기에는 우자인을 수도로 삼다가 나중에 카나우지로 천도하였다.[1]

구르자라-프라티하라는 인더스 강 동쪽으로 이동하는 아랍 군대를 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2] 나가바타 1세는 주나이드와 타민의 아랍 침공군을 격파하였으며, 나가바타 2세의 치하에서 프라티하라는 북인도에서 가장 강력한 왕조로 거듭났다. 그의 아들인 미히라 보자에게 왕위가 계승되기 전에 라마바드라가 왕위를 잠시 계승하여 통치하였다. 보자와 그의 후계자 마헨드라팔라 1세 치하에서 프라티하라 제국은 번영과 권력의 절정에 이르렀다. 마헨드라팔라 시대에는 서쪽으로 신드 국경에서 동쪽으로 벵골까지, 북쪽으로 히말라야산맥에서 남쪽으로 나르마다강까지 뻗어 있는 이 영토는 굽타 제국과 맞먹는 영토였다.[1][3] 확장은 인도 아대륙의 통제를 위해 라슈트라쿠타팔라 제국과의 삼자 투쟁을 촉발하였다. 이 기간 동안 프라티하라 제국은 아리아바르타마하라자디라자(인도의 왕중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구르자라-프라티하라는 조각품, 조각된 패널 및 개방형 파빌리온 양식의 사원으로 유명하다. 그들의 사원 건축 양식의 가장 큰 발전형인 카주라호는 오늘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4]

프라티하라의 힘은 왕조의 분쟁으로 약화되었으며, 916년경에 라슈트라쿠타의 통치자 인드라 3세가 이끄는 대규모 습격의 결과로 카나우지를 약탈당한 이후로 프라티하라의 힘은 더욱 줄어들었다. 다소 불분명한 통치자들의 계승 아래, 프라티하라는 이전의 영향력을 결코 회복하지 못했다. 그들의 봉신국들은 점점 더 강력해졌으며, 프라티하라의 마지막 중요한 왕인 라자팔라는 1018년 가즈니의 마흐무드에 의해 카나우지에서 쫓겨났다.[3]

어원과 기원

아모가바르샤의 닐군드 비문(866)은 그의 아버지 고빈다 3세가 치트라쿠타의 구르자라를 정복했다고 언급한다.

왕조의 기원과 이름에서 "구르자라"라는 용어의 의미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주제이다. 이 왕조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씨족에 대해 "프라티하라"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스스로를 구르자라라고 부르지 않았다.[5] 그들은 자신들이 전설적인 영웅 락슈마나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는데, 락슈마나는 그의 형제 라마찬드라의 프라티하라(문지기) 역할을 했다고 한다.[6][7] 일부 현대 학자들은 프라티하라의 조상이 라슈트라쿠타 궁정에서 "방위 장관"(또는 프라티하라)을 지냈으며, 이것이 왕조가 프라티하라로 알려지게 된 방법이라고 이론화한다.[8]

이웃 왕조의 여러 비문에는 프라티하라가 "구르자라"로 묘사되어 있다.[7] "구르자라-프라티하라"라는 용어는 자신을 "구르자라-프라티하라"라고 설명하는 마타나데바라는 봉건 통치자의 라조르 비문에서만 나타난다. 한 학파에 따르면 구르자라는 원래 프라티하라가 통치한 영토(구르자라데사 참조)의 이름이었다. 점차 이 용어는 이 영토의 사람들을 나타내게 되었다. 반대로 구르자라는 왕조가 속한 부족의 이름이고 프라티하라는 이 부족의 씨족이라는 이론도 존재한다.[9]

구르자라라는 용어가 원래 부족의 명칭이었다고 믿는 사람들 중에는 그들이 원주민인지 외국인인지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7] 외국 기원론의 지지자들은 구르자라-프라티하라가 후나족북인도 침공 직후인 서기 6세기경에 갑자기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고 지적하고 있다.[7] 그들에 따르면, 구르자라-프라티하라는 알촌 훈족("백훈족")과 토착 인도인들이 융합되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정확한 기원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아마도 훈족 국가로 간주될 수 있다.[10][11] 외국 기원론의 비평가들은 그들의 외국 기원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인도 문화에 잘 동화되어 있었다. 더욱이 그들이 북서쪽을 통해 인도인을 침략했다면 왜 비옥한 인도 갠지스 평야가 아닌 오늘날 라자스탄의 반건조 지역에 정착하기로 선택하였는지 설명할 수 없다.[7]

프리티비라즈 라오의 후기 필사본에서 제공된 아그니밤사 전설에 따르면 프라티하라와 다른 3개의 라지푸트 왕조는 아부산의 희생적인 화덕(agnikunda)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식민지 시대의 역사가들은 이 신화를 이 왕조의 외국 기원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불 의례를 행한 후 힌두교 카스트 제도에 편입되었다.[12] 그러나 이 전설은 프리티비라즈 라오의 가장 초기 사본에서 찾을 수 없으며, 파라마라 전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6세기의 라지푸트 음유시인들은 무굴에 대항하는 라지푸트 단결을 강화하기 위해 영웅적인 씨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였다.[13]

역사

프라티하라의 원래 중심지가 무엇인지는 논쟁의 대상이다. R. C. 마줌다르는 783년에 하리밤샤-푸라나의 한 구절을 근거로, 그 해석에 어려움이 없다고 인정했는데, 그 해석은 밧사라자가 우자인에서 통치했다고 보았다.[14] 다사라타 샤르마는 빈말라 잘로르 지역의 원래 수도를 다르게 해석하였다.[15] MW 메이스터[16]와 션타 라니 샤르마[17]는 자이나교 서사시 쿠발라야말라의 작가가 하리밤사-푸라나를 집대성하기 5년 전인 서기 778년 바스타라자 시대 잘로르에서 작성되었다고 진술한 사실을 고려해 그의 결론에 동의하고 있다.

초기 통치자

아마도 나가바타 1세(739-760)는 원래 차브다 왕국의 봉신이었을 것이다. 그는 신드를 지배하는 아랍인들이 이끄는 침략군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차브다 왕국이 몰락한 후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나가바타 프라티하라 1세(730-756)는 나중에 만도르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그의 통제를 확장하여 괄리오르와 구자라트의 바루치 항구까지의 말와 지역을 정복하였다. 그는 말와의 아반티에 도읍을 정하고 신드에 정착한 아랍인들의 확장을 저지하였다. 서기 738년에 일어난 전투에서 나가바타는 프라티하라 연합을 이끌고 그때까지 서아시아이란을 거쳐 승승장구하던 이슬람 아랍인들을 물리쳤다. 미히라 보자의 비문은 나가바타가 "강력한 믈레차 통치자, 덕을 파괴하는 큰 군대를 분쇄하기 위한 억압받는 사람들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비슈누처럼 나타났다"고 설명한다.[18] 나가바타 1세의 뒤를 이어 두 명의 약한 후계자로 그의 조카 데바라자와 카쿠카가 뒤따랐고, 그 후 밧사라자(775-805)가 뒤를 이었다.

프라티하라 동전에 묘사된 바라하 (멧돼지 머리를 한 비슈누의 아바타라). 서기 850~900년. 대영 박물관 .

칼리파국에 대한 저항

괄리오르 비문에는 구르자라-프라티하라 황제 나가바타가 "강력한 믈레차 왕의 큰 군대를 분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대규모 군대는 기병, 보병, 공성 포병, 그리고 아마도 낙타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타민은 새로운 총독이 되었기 때문에 다마스쿠스에서 온 시리아 기병대, 현지 아랍 파견병, 신드의 개종한 힌두교도, 튀르크족과 같은 외국 용병을 거느리고 있었다. 침략군은 기병 10-15,000명, 보병 5000명, 낙타 2000명 정도를 보유하고 있었을 것이다.

아랍 연대기 술라이만(Sulaiman)은 서기 851년에 프라티하라의 군대를 묘사하고 있다. "그는 아랍인들에게 비우호적이지만 여전히 아랍의 왕이 가장 위대한 통치자임을 인정하였다. 인도의 군주들 중에서 그보다 더 큰 이슬람교의 적은 없다. 그는 재물을 얻었고 그의 낙타와 말도 많다."[19]

카나우지의 정복 및 추가 확장

미히라 보자 시기 구르자라-프라티하라의 주화

라자스탄의 대부분을 그의 통제하에 둔 밧사라자는 "두 바다 사이에 있는 모든 땅의 주인"이 되기 위한 작업을 착수하였다. 현대 지나세나의 하리밤사 푸라나에서는 그를 "서부 분기의 주인"으로 묘사하였다.[20]

라단푸르 플라테와 프리티비라즈 비자야에 따르면 밧사라자는 벵골의 다르마팔라 휘하의 팔라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고, 팔라는 때때로 프라티하라 제국과 충돌하였다. 위의 비문에 따르면 샤캄바리의 둘라바라지 1세 차우한 장군 휘하의 프라티하라 군대가 두 개의 흰색 왕실 우산을 빼앗긴 다르마팔라를 추격하였다. 프리티비라즈 비자야는 두르랄브라지 1세가 바도다라 비문 (AD 812)에서 "강 강가와 바다의 합류에 칼을 세척하고, 가우다의 땅을 음미"라고 언급한 내용이 나가바타가 다르마팔라를 격파한 것을 가리킨다고 보고 있다. 밧사라자는 활발한 원정을 통해 서쪽의 타르 사막에서 동쪽의 벵골 국경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북인도의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다.[21]

카나우지의 대도시는 하르샤가 후계자 없이 사망한 후 권력 공백을 겪었고, 이로 인해 하르샤 제국이 붕괴되었다. 이 공백은 결국 약 한 세기 후에 야소바르만에 의해 채워졌지만 그의 위치는 랄리타디티야 묵타피다와의 동맹에 달려 있었다. 묵타피다가 야소바르만을 무너뜨렸을 때, 그 당시 서쪽과 북쪽에 영토가 있었던 프라티하라, 동쪽 벵골팔라 및 남쪽의 데칸에 기반을 둔 라슈트라쿠타가 참여하여 도시의 통제를 위한 삼자 투쟁이 전개되었다.[22][23] 밧사라자는 카나우지의 통제를 위해 팔라의 다르마팔라와 라슈트라쿠타의 단티두르가에게 성공적으로 도전하고 패배시켰다.

786년경 라슈트라쿠타의 통치자 드루바(c. 780–793)는 나르마다강을 건너 말와로 들어가 그곳에서 카나우지를 점령하려고 하였으며, 밧사라자는 800년경 라슈트라쿠타 왕조의 드루바 다라바르샤에게 패배하였다. 그 후 나가바타 2세(805-833)가 밧사라자를 계승하였지만, 이때 처음으로 라슈트라쿠타 통치자 고빈다 3세(793-814)에게 패배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라슈트라쿠타로부터 말와를 탈환한 다음 카나우지를 정복하고 비하르에서 인도-갠지스 평원에 걸쳐 있던 팔라, 그리고 다시 서쪽의 무슬림들을 주시하였다. 그는 아랍의 습격으로 파괴된 신드의 거대한 시바 사원을 구자라트의 솜나트에 재건하였다. 카나우지는 836년부터 910년까지 프라티하라의 중심지가 되었다.

미히라 보자

미히라 보자는 먼저 라자스탄의 반역적인 봉건 세력을 진압하여 영토를 공고히 한 다음, 오랜 적수인 팔라와 라슈트라쿠타에 주의를 돌렸다.[24] 벵골의 팔라는 데바팔라 (c. 810-850)에게 통치받고 있었다.

웃칼라 인종을 근절시키고, 후나족의 자존심을 겸손하게 하며 드라비다와 프라티하라의 자만심을 산산조각내었다."

— 바달 비문.

미히라 보자가 치세를 시작했을 때 그의 아버지 라마바드라가 겪은 역전과 패배는 프라티하라 왕가의 명성을 상당히 떨어뜨렸다. 그는 벵골팔라 제국을 침공하였으나 데바팔라에게 패배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제국 남쪽의 영토를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말와, 데칸, 구자라트를 정복하면서 원정은 성공하였다. 그는 구자라트에서 구자라트 라슈트라쿠타 왕조와 드루바 2세와 그의 동생 보자 사이에 발생한 구자라트의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였으며, 비록 드루바 2세에 의해 격퇴되었지만 보자는 구자라트와 말와 일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25]

프라티하라는 우자인의 대전투에서 구자라트의 라슈트라쿠타에 의해 패배했지만 프라티하라 측의 보복이 뒤따랐다. 그의 통치가 끝날 때까지 보자는 구자라트 라슈트라쿠타 왕조를 성공적으로 파괴하였다.[26] :20–21

보자의 봉신인 구힐라 족장인 차추의 하르샤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강력한 코끼리 군대의 도움으로 북부 통치자들을 무찌르고" 그리고 "충성의 증표로 보자에게 모래 바다를 쉽게 건널 수 있는 특별한 '슈리밤사' 품종의 말을 바칩니다."

[27]

그는 라지푸타나, 구자라트 및 마디아프라데시의 영토를 정복하여 점차 제국을 재건하였다.[28] 보자는 정복자였을 뿐만 아니라 훌륭한 외교관이었다. 그에게 정복되고 종주권을 인정한 왕국에는 트라바니, 발라, 마다, 아리아, 구자라트라, 랄타 파르바르타 및 분델레칸드의 찬델라가 포함된다. 보자의 다울라푸라 - 다우사 비문(서기 843년)은 그가 다우사 지역을 통치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 다른 비문에서는 "보자의 영토는 수틀레지 강의 동쪽으로 확장되었다."라고 나와 있다.

칼라나의 라자타랑기니는 보자의 영토가 북쪽의 카슈미르까지 확장되었고 보자는 타키야카 왕조를 물리쳐 펀자브를 정복하였다고 말한다.[29][30]

보자는 데바팔라가 죽은 후 팔라 황제로 즉위한 나라야나팔라를 물리치고 동쪽으로 고라크푸르 근처까지 정복하며 영토를 확장하였다.

10세기 페르시아의 지리학 문서인 후두드-울-알람에서는 대부분의 인도 왕들이 강력한 '킨나우지의 라이'(킨나우지는 프라티하라의 수도이다)의 패권을 인정했으며, 그의 강력한 군대는 150,000명의 강력한 기병과 800명의 전쟁 코끼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명시하였다.[31]

그의 아들 마헨드레팔 1세(890-910)는 동쪽으로 마가다, 벵골 및 아삼까지 더욱 확장하였다.

쇠퇴

보자 2세(910~912)는 마히팔라 1세(912~944)에 의해 무너졌다. 말와의 파라마라, 분델레칸드의 찬델라, 마하코샬의 칼라추리, 하리아나의 토마라와 같은 제국의 여러 봉신들은 구르자라-프라티하라의 임시 약화를 이용해 독립하였다. 라슈트라쿠타 왕조의 남인도 황제 인드라 3세 (c. 914-928)는 916년에 카나우지를 잠시 점령하였으며, 프라티하라는 이를 다시 수복하였지만 10세기에 그들의 위치는 부분적으로 동시에 약화되었으며, 서쪽에서는 투르크족, 남쪽에서 라슈트라쿠타, 동쪽에서는 팔라가 공격해 왔다. 프라티하라는 봉신들에게 라자스탄의 통제권을 빼앗겼으며, 찬델라는 950년경 인도 중부의 전략적 요새인 괄리오르를 점령하였다. 10세기 말까지 프라티하라 영역은 카나우지를 중심으로 한 소국 정도의 영역으로 감소하였다.

1018년 가즈니의 마흐무드는 카나우지를 함락시켰고, 프라티하라의 통치자 라자팔라는 달아났다. 그는 이후 찬델라 통치자 비디야다라에게 붙잡히며 사망하였다.[32][33] 찬델라 통치자는 라자팔라의 아들 트릴로찬팔라를 대리인으로 왕위에 앉혔다. 카나우지의 마지막 프라티하라 통치자인 자사팔라는 1036년에 사망하였다.

프라티하라 미술

조각품과 조각 패널을 포함하여 프라티하라 시대의 주목할만한 건축물들의 사례가 있다.[35] 사원들은 개방형 파빌리온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가장 주목할만한 프라티하라 양식의 건축물 중 하나는 분델레칸드의 찬델라 가신이 지은 카주라호가 있다.[36]

마루-구르자라 건축

마루-구르자라 건축은 프라티하라 시기에 개발되었다.

오시안의 마하비라 자이나교 사원,

오시안의 마하비라 자이나교 사원은 서기 783년에 건설되었으며,[37] 서인도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자이나교 사원이다.[38]

바테슈와르 힌두교 사원 단지

마디아프라데시에 있는 바테슈와르 힌두교 사원 단지는 8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의 프라티하라 시대에 건설되었다.[39]

바롤리 사원 단지

바롤리 사원 단지는 프라티하라가 지은 8개의 사원으로 벽으로 둘러싸인 울타리 안에 있다.

유산

엘핀스톤 시대부터 인도의 역사학자들은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의 이슬람 침략자들의 빠른 진보에 비해 인도에서 이슬람 침략자들의 느린 진보에 대해 궁금해했다. 아랍인들은 아마도 칼리파와는 독립적으로 작은 침략만 주둔했을 것이다. 이 독특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종종 의심스러운 타당성의 주장들이 제기되어 왔다. 현재 거의 300년 동안 그들의 첫 번째 정복이었던 신드의 경계 너머로 무슬림들의 진보를 효과적으로 막았던 것은 구르자라-프라티하라 군대의 힘이었다고 믿어진다. 이후의 사건들에 비추어 이것은 "인도 역사에 대한 구르자라-프라티하라 군대의 주요한 공헌"으로 여겨질 수 있다.[40]

역대 황제

  • 나가바타 1세 (730–760)
  • 카쿠슈타 및 데바라자 (760-780)
  • 바차라자 (780–800)
  • 나가바타 2세 (800-833)
  • 라마바드라 (833–836)
  • 미히라 보자 또는 보자 1세 (836–885)
  • 마헨드라팔라 1세 (885–910)
  • 보자 2세 (910–913)
  • 마히팔라 1세 (913–944)
  • 마헨드라팔라 2세 (944–948)
  • 데바팔라(948–954)
  • 비나야카팔라(954–955)
  • 마히팔라 2세 (955–956)
  • 비자야팔라 2세 (956–960)
  • 라자팔라(960–1018)
  • 트릴로차나팔라 (1018–1027)
  • 야사팔라 (1024–1036)

같이 보기

각주

  1. Avari 2007.
  2. Wink, André (2002). 《Al-Hind: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Leiden: BRILL. 284쪽. ISBN 978-0-391-04173-8. 
  3. Sircar 1971.
  4. Partha Mitter, India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p.66
  5. Sanjay Sharma 2006.
  6. Tripathi 1959.
  7. Puri 1957.
  8. Agnihotri, V. K. (2010). 《Indian History》 26. B8쪽. Modern historians believed that the name was derived from one of the kings of the line holding the office of Pratihara in the Rashtrakuta court 
  9. Majumdar 1981.
  10. Kim, Hyun Jin (2015년 11월 19일). 《The Huns》 (영어). Routledge. 62–64쪽. ISBN 978-1-317-34091-1. Although it is not certain, it also seems likely that the formidable Gurjara Pratihara regime (ruled from the seventh-eleventh centuries AD) of northern India,may had a powerful White Hunnic element. The Gurjara Pratiharas who were likely created from a fusion of White Hunnic and native Indian elements, ruled a vast Empire in northern India, and they also halted Arab Muslim expansion in India through Sind for centuries... 
  11. Wink, André (1991).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영어). BRILL. 279쪽. ISBN 978-90-04-09249-5. 
  12. Yadava 1982.
  13. Singh 1964.
  14. Majumdar, R.C. (1955). 《The Age of Imperial Kanauj》 Fir판. Bombay: Bharatiya Vidya Bhavan. 21–22쪽. 
  15. Sharma, Dasharatha (1966). 《Rajasthan through the Ages》. Bikaner: Rajasthan State Archives. 124–30쪽. 
  16. Meister, M.W (1991). 《Encyclopaedia of Indian Temple Architecture, Vol. 2, pt.2, North India: Period of Early Maturity, c. AD 700-900》 fir판. Delhi: American Institute of Indian Studies. 153쪽. ISBN 0195629213. 
  17. Sharma, Shanta Rani (2017). 《Origin and Rise of the Imperial Pratihāras of Rajasthan: Transitions, Trajectories and Historical Chang》 Fir판. Jaipur: University of Rajasthan. 77–78쪽. ISBN 978-93-85593-18-5. 
  18. A New History of Rajasthan, Rima Hooja pg - 270-274 University of Rajasthan
  19. Chaurasia, Radhey Shyam (2002). 《History of Ancient India: Earliest Times to 1000 A. D.》.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7쪽. ISBN 978-81-269-0027-5. 
  20.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4–278쪽. ISBN 8129108909. 
  21.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4–278쪽. ISBN 8129108909. 
  22. Chopra, Pran Nath (2003).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Sterling Publishers. 194–195쪽. ISBN 978-81-207-2503-4. 
  23. Kulke, Hermann; Rothermund, Dietmar (2004) [1986]. 《A History of India》 4판. Routledge. 114쪽. ISBN 978-0-415-32920-0. 
  24.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7–280쪽. ISBN 8129108909. 
  25.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7–280쪽. ISBN 8129108909. 
  26. Sen, S.N., 2013,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Delhi: Primus Books, ISBN 9789380607344
  27.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7–280쪽. ISBN 8129108909. 
  28. Radhey Shyam Chaurasia (2002). 《History of Ancient India: Earliest Times to 1000 A. D.》.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7쪽. ISBN 978-81-269-0027-5. He was undoubtedly one of the outstanding political figures of India in ninth century and ranks with Dhruva and Dharmapala as a great general and empire builder. 
  29.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7–280쪽. ISBN 8129108909. 
  30. Dasharatha Sharma, Rajasthan Through the Ages "a comprehensive and authentic history of Rajasthan" Bikaner, Rajasthan State Archives 1966, pp.144-54
  31. Hooja, Rima (2006). 《A History of Rajasthan》. Rajasthan: Rupa & Company. 277–280쪽. ISBN 8129108909. 
  32. Dikshit, R. K. (1976). 《The Candellas of Jejākabhukti》. Abhinav. 72쪽. ISBN 9788170170464. 
  33. Mitra, Sisirkumar (1977). 《The Early Rulers of Khajurāho》. Motilal Banarsidass. 72–73쪽. ISBN 9788120819979. 
  34. K. D. Bajpai (2006). 《History of Gopāchala》. Bharatiya Jnanpith. 31쪽. ISBN 978-81-263-1155-2. 
  35. Kala, Jayantika (1988). 《Epic scenes in Indian plastic art》. Abhinav Publications. 5쪽. ISBN 978-81-7017-228-4. 
  36. Partha Mitter, India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p.66
  37. Kalia 1982.
  38. Cort 1998.
  39. “ASI to resume restoration of Bateshwar temple complex in Chambal”. 《Hindustan Times》. 2018년 5월 21일. 
  40. Chaurasia, Radhey Shyam (2002). 《History of Ancient India: Earliest Times to 1000 A. D.》.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7쪽. ISBN 978-81-269-0027-5. 

참고 문헌

외부 링크

Read other articles:

Untuk kegunaan lain, lihat Rwanda (disambiguasi). Republik RwandaRepubulika y'u Rwanda (Kinyarwanda) République du Rwanda (Prancis) Bendera Lambang Semboyan: Ubumwe, Umurimo, Gukunda Igihugu (Kinyarwanda: Persatuan, Kerja, Patriotisme)Lagu kebangsaan:  Rwanda nziza (Indonesia: Rwanda yang indah) Perlihatkan BumiPerlihatkan peta AfrikaPerlihatkan peta BenderaLokasi  Rwanda  (hijau tua)– di Afrika  (biru muda & kelabu tua)– di Uni Afrik...

 

Artikel ini sebatang kara, artinya tidak ada artikel lain yang memiliki pranala balik ke halaman ini.Bantulah menambah pranala ke artikel ini dari artikel yang berhubungan atau coba peralatan pencari pranala.Tag ini diberikan pada November 2022. Georgi SakhvadzeInformasi pribadiNama lengkap Georgi Robertovich SakhvadzeTanggal lahir 20 Agustus 1985 (umur 38)Tinggi 1,83 m (6 ft 0 in)Posisi bermain BekInformasi klubKlub saat ini FC Spartak KostromaKarier senior*Tahun Tim Tamp...

 

1969 single by Frida Boccara This article includes a list of references, related reading, or external links, but its sources remain unclear because it lacks inline citations. Please help to improve this article by introducing more precise citations. (June 2014)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Un jour, un enfantEurovision Song Contest 1969 entryCountryFranceArtist(s)Frida BoccaraLanguageFrenchComposer(s)Emil SternLyricist(s)Eddy MarnayConductorFranck PourcelFinals performa...

Artikel ini bukan mengenai Xiangyang, Xingyang, atau Xinyang. Xianyang (Hanzi: 咸阳; Pinyin: Xiányáng) adalah sebuah kota tingkat prefektur di tengah provinsi Shaanxi, yang terletak di Sungai Wei yang berjarak beberapa kilometer dari ibukota provinsi Xi'an. Sempat menjadi ibukota dinasti Qin, kota tersebut sekarang terintegrasi ke kawasan metropolitan Xi'an. Referensi Bacaan tambahan Cotterell, Arthur (2007). The Imperial Capitals of China - An Inside View of the Celestial Empire....

 

Process of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in humans This scientific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to secondary or tertiary sources such as review articles, monographs, or textbooks. Please also establish the relevance for any primary research articles cited. Unsourced or poorly 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March 2023)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The human Y chromosome showing the SRY gene which codes for a protein regulating sexual differenti...

 

Perlintasan Kereta api sebidang berpintu di Kebumen, Jawa Tengah Perlintasan sebidang adalah perpotongan sebidang antara jalur kereta api dengan jalan. Isu yang menonjol pada perlintasan sebidang adalah tingginya angka kecelakaan lalu-lintas antara kendaraan dengan kereta api, terutama pada perlintasan yang tidak dijaga. Perlintasan sebidang berpintu di Madiun ditutup saat lokomotif CC206 13 49 akan langsir Bentuk perlintasan sebidang Perlintasan sebidang berpintu di dekat Stasiun Tugu, Yogya...

American reality TV series about the Braxton family Braxton Family ValuesGenreReality televisionStarring Toni Braxton Traci Braxton Towanda Braxton Trina Braxton Tamar Braxton Evelyn Braxton Country of originUnited StatesNo. of seasons7No. of episodes148 (list of episodes)ProductionExecutive producersToni BraxtonTamar BraxtonTrina BraxtonTowanda BraxtonDan CutforthJane LipsitzJulio KollerbohmMichelle KongkasuwanLauren GellertAnnabelle McDonaldSitarah PendeltonRunning time40–43 minutesProduc...

 

Species of conifer Callitris sulcata Conservation status Endangered  (IUCN 3.1)[1] Scientific classification Kingdom: Plantae Clade: Tracheophytes Clade: Gymnospermae Division: Pinophyta Class: Pinopsida Order: Cupressales Family: Cupressaceae Genus: Callitris Species: C. sulcata Binomial name Callitris sulcataParl. Schltr. Callitris sulcata is a species of conifer in the cypress family, Cupressaceae. Its common name is Sapin de Comboui. It is endemic to New Caledonia, where...

 

Французские Южные и Антарктические территории фр.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Флаг ФЮАТ) (Герб ФЮАТ)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Администраци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ый центр Сен-Пьер или Порт-о-Франсэ (неофиц.) Префект Паскаль Болот(фр. Pascal Bolot) Округа 5 Статистика Площадь1 439 672без Земли Аде...

French physicist (1950–2022) You can help expand this article with text translated from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French. (May 2022) Click [show] for important translation instructions. Machine translation, like DeepL or Google Translate, i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translations, but translators must revise errors as necessary and confirm that the translation is accurate, rather than simply copy-pasting machine-translated text into the English Wikipedia. Consider adding a topic t...

 

Сельское поселение России (МО 2-го уровня)Новотитаровское сельское поселение Флаг[d] Герб 45°14′09″ с. ш. 38°58′16″ в. д.HGЯO Страна  Россия Субъект РФ Краснодарский край Район Динской Включает 4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а Адм. центр Новотитаровская Глава сельского пос�...

 

Class overview NameKatsonis class Builders Chantiers de la Gironde shipyard Chantiers de la Loire shipyard[1] Operators Hellenic Navy Preceded byDelfin class Succeeded byProtefs class Built1925–1927[2][3] In commission1927–1945[1] Completed2[1] Lost1[1][2] Retired1[1][3] General characteristics TypeSubmarine Displacement surfaced: 576 tons; submerged: 775 tons[2][3] Length62.5 m (205...

Torneo NSFL Tackle Élite 2016NSFL Tackle Élite Competizione NSFL Tackle Élite Sport Football americano Edizione 12ª Organizzatore NSFL Date dal 4 settembre 2016al 6 novembre 2016 Luogo  Svizzera Partecipanti 6 Formula girone + playoff Sede finale Plan-les-Ouates Sito web NSFL 2016 Risultati Vincitore  Lausanne LUCAF Owls(2º titolo) Secondo  Morges Bandits Terzo  Monthey Rhinos Quarto  Geneva Whoppers Statistiche Incontri disputati 19 Punti segnati 6...

 

British racing driver Ben BarnicoatBarnicoat at Spa-FrancorchampsNationality BritishBorn (1996-12-20) 20 December 1996 (age 27)Chesterfield, Derbyshire, England2022 FIA World Endurance Championship careerDebut season2022Current teamTeam Project 1Racing licence FIA PlatinumCar number56Starts6Wins0Podiums2Poles0Fastest laps0Best finish9th in 2022Previous series202020152014–152014–15201420142013FIA Formula 3 ChampionshipBRDC Formula 4 Autumn TrophyEurocup Formula Renault 2.0Formula Rena...

 

هذه المقالة يتيمة إذ تصل إليها مقالات أخرى قليلة جدًا. فضلًا، ساعد بإضافة وصلة إليها في مقالات متعلقة بها. (أبريل 2019) جاكلين بيركنز معلومات شخصية الميلاد 29 أغسطس 1965 (59 سنة)  مواطنة أستراليا  الطول 165 سنتيمتر[1]  الوزن 53 كيلوغرام[1]  الحياة العملية المهنة منافس...

Sam's Point PreservePine barrensMap of New YorkLocationUlster County, New YorkNearest cityEllenvilleCoordinates41°40′09″N 74°21′19″W / 41.66926°N 74.35521°W / 41.66926; -74.35521Area4,600 acres (19 km2) Sam's Point Preserve, or Sam's Point Dwarf Pine Ridge Preserve, is a 4,600-acre (19 km2) preserve in Ulster County on the highest point (2,289 feet [698 m]) of the Shawangunk Ridge in New York, on the Wawarsing, New York-Shawangunk town l...

 

Voce principale: Brinzio. Brinzio Panorama sulla valle di Brinzio dal Campo dei Fiori di Varese. Paese  Italia Regione Lombardia Provincia Varese Popolo fondatore Insubri[1] Anno fondazione Prima attestazione nel 979 d.C. Di seguito sono trattate le informazioni e le notizie storiche sul comune italiano di Brinzio, dalla preistoria fino al terzo millennio. Indice 1 Dalle origini al Medioevo 2 Dal Medioevo all'Unità d'Italia 3 Dall'Unità d'Italia alla seconda guerra mondiale 4 ...

 

Pour les articles homonymes, voir Le Soir (homonymie). Le Soir Pays Belgique Langue Français Périodicité Quotidienne Format Berlinois Genre Généraliste Prix au numéro 2,70 € la semaine ; 3,9 € le samedi. Diffusion 61 516 ex. (2017) Fondateur Émile Rossel Date de fondation 1887 Ville d’édition Bruxelles Propriétaire Groupe Rossel Directeur de la rédaction Olivier De Raeymaeker[1] Site web www.lesoir.be modifier  Le Soir est un quotidien généraliste belge de la...

Questa voce o sezione sull'argomento chimici tedeschi non cita le fonti necessarie o quelle presenti sono insufficienti. Puoi migliorare questa voce aggiungendo citazioni da fonti attendibili secondo le linee guida sull'uso delle fonti. Robert Wilhelm Eberhard Bunsen Robert Wilhelm Eberhard Bunsen (Gottinga, 31 marzo 1811 – Heidelberg, 16 agosto 1899) è stato un chimico e fisico tedesco. Indice 1 Biografia 2 Onorificenze 3 Note 4 Voci correlate 5 Altri progetti 6 Collegamenti esterni...

 

Church furniture holding water for baptism A Romanesque baptismal font from Grötlingbo Church, Sweden, carved by Sigraf, a master stone sculptor who specialised in baptismal fonts. A modern baptismal font in the Co-Cathedral of the Sacred Heart in Houston, constructed in 2008 A baptismal font is an ecclesiastical architectural element, which serves as a receptacle for baptismal water used for baptism, as a part of Christian initiation for both rites of infant and adult baptism.[1]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