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스키타이(영어: Indo-Scythians, 페르시아어: پادشاهی هندوسکایی) 또는 인도-사카(영어: Indo-Sakas, 중국어: 印度-塞迦)는 스키타이 출신의 이란족 유목민들로, 2세기 중반부터 4세기 사이에 중앙아시아로부터 남쪽으로 이주해 오늘날 파키스탄과 북서인도에 자리잡게 되었다.
흔히 인도-스키타이 침공이라고도 불리는 중앙아시아 출신 스키타이 부족들의 인도아대륙 북부 지역 침공은 아대륙은 물론 인근 지역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실 인도-스키타이 전쟁은 서기 2세기 박트리아, 카불, 인도아대륙 등의 부족과의 갈등에서 중앙아시아인들의 유목민 이탈로 촉발된 사건들 중 하나의 장일 뿐이며, 이는 서쪽의 로마는 물론 서쪽으로 더 가까운 파르티아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리아노스[10]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를 포함한 고대 로마 역사학자들은 고대 사카족("Sakai")이 유목민이었다고 언급했지만,[11] 이탈로 론카는 프톨레마이오스를 연구하면서 "사카이의 땅은 유목민들의 것이고, 그들은 숲과 동굴에 사는 것 외에는 마을이 없다."는 것에 대해 거짓이라고 주장했다.[12]
신장에 일찍 등장하는 인도유럽어 화자 집단 중 하나는 사카(중국어:색)이다. 사카(Saka)는 특정 국가나 민족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사카족은 시베리아와 중앙 유라시아 스텝 지대를 가로지르는 초기 유목민들의 문화적 연속체의 일부였다. 헤로도토스가 그의 역사 4권에서 묘사한 스키타이인들처럼,(사카는 그리스어 "스키타이"에 해당하는 이란어 단어이며, 많은 학자들은 이들을 함께 사카-스키타이라고 부른다.) 사카는 이란어를 사용하는 말 유목민으로, 전차를 배치하고, 말을 제물로 바치고, 그들의 시체를 굴이나 언덕 무덤인 쿠르간에 묻었다.[13]
서인도의 사카족은 사카어를 사용했으며, 타림 분지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호탄어이기도 하다.[14]
아케메네스 왕조
아케메네스 군대는 페르시아인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었고, 아케메네스 군대는 박트리아인, 사카(스키타이인), 파르티아인, 소그드인 등 아케메네스 제국의 일부였던 많은 다른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원전 515년경 아케메네스 왕조가 인더스 계곡을 정복할 당시 사카도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헤로도토스는 사카와 이오니아인(그리스인), 심지어 에티오피아인까지 포함한 아케메네스 군대의 전체 민족 목록을 제공한다.[16] 벡위드는 이 민족들이 모두 아케메네스 제국이 인도를 침공할 때 참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5]마이클 비첼[17]과 크리스토퍼 벡위드[18]를 포함한 일부 학자들은 고타마 붓다의 씨족인 샤캬가 원래 중앙아시아에서 온 스키타이인이었다고 주장한다.[15] 이 학자들은 인도 내 불교에 대한 사카의 강한 지지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18]
한나라와 다른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월지가 흉노에게 패배한 후 서쪽으로 달아났고, 이 과정에서 월지가 사카를 비롯한 다른 중앙아시아 부족들을 밀어내면서 도미노 효과를 일으켰다.[23] 이 고대 사료들에 따르면 흉노의 묵돌선우는 기원전 175년경에 월지를 공격하여 치롄산맥과 둔황 사이에 있는 월지의 고향에서 쫓아냈다.[24] 월지인 대부분은 서쪽의 일리강 유역으로 이동했고, 이로 인해 사카는 남쪽의 소그디아나와 페르가나 지역으로 이동했다. 중국 한서에는 "서쪽의 새왕을 공격하다. 새왕은 남으로 멀리 이주하여 월씨가 그 땅에 거처하였다."(西擊塞王。塞王南走遠徙,月氏居其地)라고 기록되어 있다.[25][26]
정착
사카족은 남부 아프가니스탄, 서부 파키스탄, 그리고 남부 이란의 지역인 드랑기아나에 정착했고, 그 지역은 그들의 이름을 따서 사카스탄 또는 시스탄이라고 불렸다.[27] 아르사크 황제 미트리다테스 2세는 중앙아시아에서 공격적인 군사 정책을 추구했고 파르티아 제국에 많은 지역을 추가했다.[28] 여기에는 미트리다테스가 인도-스키타이인들로부터 빼앗은 서부 박트리아가 포함되었다.[29] 월지의 군사적 압력에 따라 인도-스키타이인들의 일부는 박트리아에서 하문호로 이주했고[30], 기원전 1세기 말에 "스카이시안 사카이의 사키스타나"[31]라고 불리게 된 드랑기아나(시갈)에 정착했다. 기원전 1세기에 카락스의 이시도르는 사카스탄에 사카족이 존재했다는 것을 《파르티아의 역》에서 언급했다.
저 너머에는 파라에타세나라고도 불리는 63번째 쇠니, 스키타이 사카에의 사카스타나가 있다. 도시 바르다와 민과 팔레센티와 시갈이 있다. 그 곳에는 사카에 왕궁이 있고, 근처에는 알렉산드리아(알렉산드리아 아라코시아)와 6개의 마을이 있다.[32]
왕국
예술
종교
문학에서의 인도-스키타이
발미키라마야나의 발라 칸다에는 사카, 야바나, 캄보자, 팔라바족 등 전쟁을 하는 밀레크차족에 대한 중요한 언급이 있다. H. C. 레이차드허리는 이 구절들에서 힌두교도들과 북서쪽에서 온 밀레크차 야만인들의 침략군 사이의 투쟁을 엿볼 수 있다고 보았다.[33]마하바라타의 바나파라바에는 "...사카, 야바나, 캄보자, 발리카스 등의 밀레크차 왕들이 칼리 유가에서 부당하게 땅을 통치할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다.[34]
중앙아시아와의 연관성
M. A. 슈타인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인들의 일부는 서왕(西王)의 지휘 하에 남쪽으로 가는 것을 택했으며, 파미르고원을 지나 스와트 지방의 칸다 계곡 위에 위치한 쉬안두를 건너 치핀이나 키핀으로 들어갔다고 한다.[35] 치핀은 펠리오, 바그치, 레이쇼드허리 등에 의해 카슈미르로 확인되었고,[36] 다른 학자들은 치핀을 카피샤(카피르스탄)와 동일시한다.[37] 서왕은 이 지역에 왕국을 건립했다. S. 코노프는 사이왕을 인도 문학의 챠카 무룬다로 해석하며, 무룬다는 왕, 주인, 영주와 동등한 의미를 가진다.[38] 그러나 '스키타이의 왕'이라는 뜻으로 '왕'이라는 말을 받아들인 바그치는 사이 사카족을 무룬다 사카족과 구별한다.[39] 일부 학자들은 모가/마우에스 왕이 서왕의 국가에서 치핀으로 이주한 스키타이인들의 집단에 속했을 수 있다고 본다.[40]
↑"A Catalogue of the Indian Coins in the British Museum. Andhras etc." Rapson, p ciii
↑"The titles "Kshatrap" and "Mahakshatrapa" certainly show that the Western Kshatrapas were originally feudatories" in Rapson, "Coins of the British Museum", p.cv
↑World history from early times to A D 2000 by B .V. Rao: p.97
↑A Brief History of India, by Alain Daniélou p.136
↑India in a Globalised World, by Sagarika Dutt p.24
↑
Mookerji, Radhakumud (1966).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영어). Motilal Banarsidass. 27쪽. ISBN9788120804050.; Mookerji, Radha Kumud (1957). 〈The Foundation of the Mauryan Empire〉. K. A. Nilakanta Sastri.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ume 2: Mauryas and Satavahanas》. Orient Longmans. 4쪽.: "The Mudrarakshasa further informs us that his Himalayan alliance gave Chandragupta a composite army ... Among these are mentioned the following : Sakas, Yavanas (probably Greeks), Kiratas, Kambojas, Parasikas and Bahlikas."
↑ 가나
Shashi, Shyam Singh (1999). 《Encyclopaedia Indica: Mauryas》 (영어). Anmol Publications. 134쪽. ISBN9788170418597.: "Among those who helped Chandragupta in his struggle against the Nandas, were the Sakas (Scythians), Yavanas (Greeks), and Parasikas (Persians)"
↑Bailey, H.W. (1996) [14 April 1983]. 〈Chapter 34: Khotanese Saka Literature〉. Ehsan Yarshater.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Part 2》 reprint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0–1231쪽. ISBN978-0521246934.
↑H. C. Raychaudhury, B. N. Mukerjee;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p 3, S. Chattopadhyava; India and Central Asia, p 126, P. C. Bagchi
↑Epigraphia Indiaca XIV, p 291 S Konow; Greeks in Bactria and India, p 473, fn, W. W. Tarn; Yuan Chwang I, pp 259–60, Watters;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 I, p 189, N. K. Sastri;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The Age of Imperial Unity, 122;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Classical Age, p 617, R. C. Majumdar, A. D. Pusalkar.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II. 1. XX f; cf: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pp 54, S Chattopadhyaya.
↑India and Central Asia, 1955, p 124, P. C. Bagchi; Geographical Data in Early Puranas, 1972, p 47, M. R. Singh.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p fn 13, B. N. Mukerjee; Chilas, Islamabad, 1983, no 72, 78, 85, pp 98, 102, A. H. D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