ㄳ(표준어: 기역시옷, 문화어: 기윽시읏)은 한글 낱자의 ㄱ과 ㅅ을 겹쳐 놓은 것이다. 첫소리로는 쓰이지 않고 끝소리로만 쓰인다.
‘삯’처럼 혼자 발음할 때에는 ㄱ 소리만 나지만 ㅇ이 뒤에 올 때에는 ㅆ 소리가 나는 어근의 받침으로 쓰인다.
- 삯이 → [삭씨]
- 삯을 → [삭쓸]
- 몫이 → [목씨]
- 몫을 → [목쓸]
코드 값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한글 호환 자모
|
ㄳ
|
U+3133 |
ㄳ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없음)
|
끝소리
|
ᅟᅠᆪ
|
U+11AA
|
ᆪ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없음)
|
끝소리
|
|
U+F870
|

|
반각
|
ᆪ
|
U+FFA3
|
ᆪ
|
정보
자명
|
기역시옷(남) 기윽시읏(북)
|
발음
|
어중 : [ k ̚ˀs ], 어말 : [ k ̚ ], 어중 구개음화 : [ k ̚ˀɕ ](남) 어중 : [ k ̚ˀs ], 어말 : [ k ̚ ], 어중 구개음화 : [ k ̚ˀɕ ](북)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
기타
통신체에서 주로 '감사'의 뜻을 초성으로 나타낼 때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