ᅇ(표준어: 쌍이응)은 한글 낱자 ㅇ을 겹쳐 놓은 것이다. 특별한 소릿값은 없었고 단지 뜻을 구별하는 용도였으리라 추정되며, 만일 음가가 있었다면 다만 긴장된 y음을 나타냈던 것으로 추정된다.[1]
15세기 한국어에서 매우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쓰이다가 16세기에 없어졌는데, 현재 한국어의 '얽매이다'의 '이', '메우다'의 '우'에 해당하는 곳에 쓰였다. 실제로 15세기 문헌에도 ㅇ과 혼용하며 쓰이고 있다.
코드 값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한글 호환 자모
|
(없음)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ᅇᅠ
|
U+1147
|
ᅇ
|
끝소리
|
(없음)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U+F7E1
|

|
끝소리
|
|
U+F8DD
|

|
반각
|
(없음)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