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GL ES
OpenGL ES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OpenGL)는 크로노스 그룹이 정의한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API인 OpenGL의 서브셋으로,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API이다. 이용OpenGL ES 1.0 은 심비안 OSs60v5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공식 3D 그래픽 API로 채택되었다. OpenGL ES 1.0 그리고 2.0의 일부 기능과 Cg는 플레이스테이션 3의 공식 그래픽 API 중 하나로 지원된다. OpenGL ES 1.1 은 아이폰 SDK의 3D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OpenGL ES 1.0 과 1.1 은 블랙베리 5.0 운영체제에서 지원된다. 현재 BlackBerry Storm 2와 BlackBerry Curve 8530만이 OpenGL ES 1.x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한다. OpenGL ES 2.0은 WebGL (OpenGL for browser)에서 사용된다. 2007년 3월에 공개되었다.[2] OpenGL ES 2.0은 OpenGL ES 1.1과 하위 호환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노키아 심비안OS^3 과 마에모 기반의 노키아N900에도 지원된다. 미고os의 공식 API로 채택되었다. 블랙베리 OS7, 블랙베리10 및 블랙베리 플레이북 아이폰 SDK(아이폰 3GS와 아이팟 터치 3세대 및 그 이후 모델을 지원한다)의 3D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판도라 콘솔의 3D 라이브러리로 사용되고 있다. iOS 7.0부터 OpenGL ES 3.0를 지원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경우 1.0 버전부터 OpenGL ES 1.0 와 1.1를 지원하며, 2.2 버전(froyo)부터 OpenGL ES 2.0를 지원하고, 4.3 버전(jellybean mr2)부터 OpenGL ES 3.0를 지원한다. [출처 필요] 파이어폭스에 사용되는 게코 (레이아웃 엔진) 1.9.3a1부터 WebGL을 통해서 지원되고 있다.[3] 버전OpenGL ES 1.0
OpenGL ES 1.1
OpenGL ES 2.0
OpenGL ES 3.0
OpenGL ES 3.1
OpenGL ES 3.2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