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수용체 길항제(H2 receptor antagonist, H2RAs,[1]) 또는 H2 차단제(H2 blockers)는 위의 벽세포에 있는 히스타민 H2 수용체에 히스타민이 작용하는 것을 막는 약물이다. 이로 인해 위산의 생산이 감소한다. 소화성 궤양, 소화불량, 위 식도 역류병(GERD) 등의 치료에 쓰일 수 있다. 현재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가 H2 수용체 길항제보다 보통 우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일종인 오메프라졸은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와 증상 완화, 두 측면 모두에서 H2 수용체 길항제인 라니티딘과 시메티딘보다 효과가 좋다.[2]
최초의 H2 길항제인 시메티딘은 1960년대 중후반 제임스 화이트 블랙이 스미스, 클라인 & 프렌치(현재 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개발하였다.[4] 이후 시메티딘은 1976년에 상품명 '타가메트'(Tagamet)로 처음 시장에 출시되며 최초로 1년에 10억 달러 매출을 올린 약물이 되었다. 구조-활성의 정량적 관계(QSAR) 모델이 쓰이면서 라니티딘부터 시작하여 여러 다른 약제가 개발되었다. 라니티딘과 같은 다른 약물들은 시메티딘에 비해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이 적고 효능은 더 크다.
H2 길항제는 모두 그 이름이 '-티딘'(-tidine)으로 끝나며,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H1 수용체 길항제와는 효과가 구분된다.[5]
H2 길항제는 위의 벽세포에 존재하는 H2 수용체에서 히스타민에 대한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장크롬친화성유사세포(ECL 세포)가 방출한 히스타민이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H2 수용체에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다른 물질인 가스트린과 아세틸콜린은 그 효과가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으나 H2 수용체가 차단되면 효과가 감소한다. 이러한 두 가지 기전으로 인해 벽세포가 평상시와 식후에 위산을 분비하는 것이 억제된다.
임상적 사용
H2 길항제는 위산과 관련된 여러 위장관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있다.[14]
수술 도중 흡인성 폐렴의 예방. 경구 H2 길항제는 위의 산성과 부피를 줄여 흡인성 폐렴의 빈도를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IV H2 길항제에 대해서는 흡인성 폐렴에 대한 효과를 밝히지 못했다.[15]
부작용
H2 길항제는 시메티딘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이 복용할 수 있다. 흔하지 않은 약물 부작용에는 저혈압이 있다. 드문 부작용에는 두통, 피로감, 어지럼증, 혼란, 설사, 변비, 발진이 있다. 시메티딘은 앞선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14] 또한 위산 과다분비 상태가 아닌 남성의 0.1~0.5%, 병적인 과다분비 상태인 남성의 2% 가량에서 시메티딘으로 1개월 이상 치료할 시 여성형유방증이 발생하였다. 이보다 더 드물게 시메티딘은 남성에서 성욕 상실과 발기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데, 모두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정상으로 돌아온다.[16]
31개의 연구를 문헌 고찰한 논문에서는 H2 길항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폐렴의 전반적인 위험이 그렇지 않은 환자의 1.22배 정도로 증가했다고 밝혔다.[17]
시메티딘 이후에 개발된 H2 수용체 길항제는 CYP 대사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더 적다. 라니티딘은 시메티딘처럼 강력한 CYP 억제제는 아니지만 여전히 시메티딘과 비슷하게 여러 약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라니티딘과 상호작용하는 약물로는 와파린, 테오필린, 페니토인, 메토프롤롤, 미다졸람 등이 있다.[20]파모티딘은 CYP 대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중요한 상호작용은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9]
↑Eriksson S, Långström G, Rikner L, Carlsson R, Naesdal J (1995). “Omeprazole and H2-receptor antagonists in the acute treatment of duodenal ulcer, gastric ulcer and reflux oesophagitis: a meta-analysi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7 (5): 467–75. PMID7614110.. A correction was published in Europ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996;8:192.
↑Gasbarrini, G; Gentiloni, N; Febbraro, S; Gasbarrini, A; Di Campli, C; Cesana, M; Miglio, F; Miglioli, M; Ghinelli, F; d'Ambrosi, A; Amoroso, P; Pacini, F; Salvadori, G (1997). “Acute liver injury related to the use of niperotidine”. 《Journal of Hepatology》 27 (3): 583–6. doi:10.1016/s0168-8278(97)80365-0. PMID9314138.
↑Miller, Ronal D; Eriksson, Lars; Fleisher, Lee A; Wiener-Kronish, Jeanine P (2014년 11월 25일). 《Miller's Anesthesia Airway management in the Adult》 8판. Elsevier. 1647–168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