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기생충제(antiparasitics)는 기생충[1], 아메바[2], 체외 기생충, 기생성 진균(작은포자균)[3], 원생동물[1]과 같은 생물들에 의한 기생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종류이다. 항기생충제는 감염원인 기생충을 파괴하거나 기생충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기생충을 표적으로 삼는다.[4] 일반적으로 각 약물은 특정 분류 내의 제한된 수의 기생충에 대해 효과적이다. 항기생충제는 세균을 표적으로 하는 항생제와 진균을 목적으로 하는 항진균제 등과 함께 항균제의 한 종류이다. 경구, 정맥, 국소 투여할 수 있다.[4]
다수 세균에 효과가 있는 광범위 항생제와 유사한 광범위 항기생충제(broad-spectrum antiparasitics)는 다양한 종류의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는 광범위한 기생충 감염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항기생충제이다.
항기생충제는 약물 종류에 따라 경구, 국소, 정맥 주사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4]
항기생충제에 대한 약제 내성은 특히 수의학 분야에서 점점 더 걱정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계란 부화 분석(egg hatch assay)은 감염을 유발하는 기생충이 표준 약물 치료에 내성을 갖게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9]
약물 개발의 역사
초기 항기생충제는 제대로 된 효과가 없었고 환자에게 독성이 자주 나타났으며 숙주와 기생충을 구별하기 어려워 투여가 어려웠다.[4]
1975년에서 1999년 사이에 개발된 1,300개의 신약 중 단 13개만이 항기생충제였다. 기생충병은 저소득 국가에 특히 많이 발생하므로, 기생충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을 추진할 인센티브가 충분하지 않다는 우려가 생겨났다. 이는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투자를 포함하여 새로운 공공 부문 및 민관협력사업(public-private partnership, PPP)으로 이어졌다. 2000년에서 2005년 사이에 20개의 새로운 구충제가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이었다.[10] 금속 함유 화합물은 항기생충제 개발에 대한 또 다른 접근 방식 중 하나이다.[11]
↑ 가나다라“ANTIPARASITICS”. 《Purdue University Cytology Laboratories》. Purdue Research Foundation. 2015년 8월 30일에 확인함.
↑“Research perspective: potential role of nitazoxanide in ovarian cancer treatment. Old drug, new purpose?”. 《Cancers (Basel)》 5 (3): 1163–1176. 2013. doi:10.3390/cancers5031163. PMC3795384. PMID24202339. Nitazoxanide [NTZ: 2-acetyloxy-N-(5-nitro-2-thiazolyl)benzamide] is a thiazolide antiparasitic agent with excellent activity against a wide variety of protozoa and helminths. ... Nitazoxanide (NTZ) is a main compound of a class of broad-spectrum anti-parasitic compounds named thiazolides. It is composed of a nitrothiazole-ring and a salicylic acid moiety which are linked together by an amide bond ... NTZ is generally well tolerated, an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have been noted in human trials [13]. ... In vitro, NTZ and tizoxanide function against a wide range of organisms, including the protozoal species Blastocystis hominis, C. parvum, Entamoeba histolytica, G. lamblia and Trichomonas vaginalis [13]
↑“Nitazoxanide, a broad-spectrum thiazolide anti-infec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Expert Opin Pharmacother》 7 (7): 953–64. 2006. doi:10.1517/14656566.7.7.953. PMID16634717.
↑Anderson, V. R.; Curran, M. P. (2007). “Nitazoxanide: A review of its use in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Drugs》 67 (13): 1947–1967. doi:10.2165/00003495-200767130-00015. PMID17722965.
↑Pink, Richard; Hudson, Alan; Mouries, Marie-Annick; Bendig, Mary (September 2005).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Antiparasitic Drug Discovery”. 《Nature》 4 (9): 727–740. doi:10.1038/nrd1824. PMID16138106.
↑Gambino, Dinorah; Otero, Lucia (2019). 〈Chapter 13. Metal Compounds in the Development of Antiparasitic Agents: Rational Design from Basic Chemistry to the Clinic〉. Sigel, Astrid; Freisinger, Eva; Sigel, Roland K. O.; Carver, Peggy L. (Guest editor). 《Essential Metals in Medicine:Therapeutic Use and Toxicity of Metal Ions in the Clinic》 19. Berlin: de Gruyter GmbH. 331–357쪽. doi:10.1515/9783110527872-019. ISBN978-3-11-052691-2. PMID3085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