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 I 약제는 막 안정화 약제(membrane-stabilizing agents)라고 불리며, '안정화'란 약제에 의해 세포막의 흥분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프라놀롤과 같은 소수의 클래스 II 약제도 이런 막 안정화 효과를 보인다.
클래스 I 약제는 활동전위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세 개의 그룹(Ia, Ib, and Ic)으로 나뉜다.[9][10]
클래스 Ia는 활동전위를 길게 한다.(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클래스 Ib는 활동전위를 짧게 한다.(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클래스 Ic는 활동전위에 큰 영향이 없다.(곡선이 그대로 유지)
클래스 Ia
클래스 Ib
클래스 Ic
클래스 II 약제
클래스 II 약제는 베타 차단제이다. 이 약물 클래스는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카테콜아민의 효과를 차단해 심장의 교감신경계 활성을 감소시킨다. 교감신경계 활성이 감소하면 세포 내 cAMP의 농도가 줄어들며 결과적으로 칼슘 이온 유입도 감소하게 된다. 이 약제는 특히 심실상빈맥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방실결절을 통한 전도를 줄인다.
클래스 III 약제는 주로 칼륨 통로 차단제 역할을 하여 재분극 시간을 연장시킨다.[11] 이 약제들은 나트륨 통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전도 속도는 느려지지 않는다. 활동전위 시간과 불응기가 길어지는데 전도 속도는 유지되므로 재진입 부정맥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재진입 리듬은 불응기의 조직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비교적 적다. 클래스 III 약제는 reverse-use dependence(심박수가 낮으면 약물의 효력이 증가하고, 굴리듬을 유지하는 능력도 향상되는 현상)을 보이며 칼륨 통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재분극이 오래 걸리게 하며 심방과 심실의 심근 세포 재분극이 늦어지게 한다. 클래스 III 약제는 심전도의 QT 간격을 늘릴 수 있으며 다형성 심실빈맥 발생과 관련하여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클래스 IV 약제는 느린 비-다이하이드로피리딘 칼슘 통로 차단제이다. 이 약제는 방실결절을 통한 전도를 감소시키며 심장 활동전위의 고원기(2기)를 짧게 만든다. 따라서 심장의 수축력이 감소하게 되어 심부전 환자에게는 투여하기 부적절할 수 있다. 그러나 베타 차단제와는 다르게 클래스 IV 약제는 심박수와 심장 수축력에 대한 인체의 교감신경 조절은 유지된다.
활동전위 작용 시간을 을리는 약물 - 대표적인 예시는 아미오다론이며 수술적인 예시에는 갑상샘절제술이 있다. 본 윌리엄스 이전의 Charlier et al.의 리뷰에서는 특징으로서 정의되지 않았지만[17] 본 윌리엄스의 실험 데이터(1970)가 이 그룹을 정의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2] 이 발견을 그린 그림이 같은 해 싱과 본 윌리엄스에 의해 출판되었다.[18]
다이페닐하이단토인(DPH)과 비슷하게 작용하는 약물 - 작용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각에서는 이 약물들이 심장에 작용하는 게 뇌의 간접 작용 때문이라고 보았다.[19] DPH는 항간질제인 페니토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시실리안 갬빗 분류
'시실리안 갬빗'(Sicilian gambit)으로 알려진 또 다른 접근법은 기저 메커니즘에 더 중점을 두어 접근했다.[20][21][22]
이 분류법에서는 약을 두 축을 이용해 표로 분류한다. 표의 y축에는 싱-본 윌리엄스 분류로 각 약물이 정렬되어 있다. x축에는 통로, 수용체, 펌프 단백질과 약물의 임상적 효과가 쓰여져 있다.[23]
Lei, Huang, Wi, Terrar의 현대적인 옥스포드 분류
2018년의 발표에서는 완전히 현대화된 약물 분류법을 제시했다.[24] 이 분류법은 원래 본 윌리엄스 분류의 단순함도 지키면서 이후 발견된 근초, 근소포체, 세포질의 생체 분자들에 대한 발견도 반영했다. 분류법은 현재 승인된 항부정맥제와 잠재적인 항부정맥제를 망라하는 광범위하며 실용적인 분류이다. 분류의 시작은 약리학적인 표적을 고려하고 특수한 세포 전기생리학적인 효과를 추적하는 것이다. 현대 분류에서는 원래 본 윌리엄스 클래스 I ~ IV를 유지하면서도 확장한다. 클래스 I ~ IV의 표적은 각각 나트륨 전류, 자율신경계, 칼륨 통로, 칼슘 이온 항상성과 관련된 분자이다. 그 외의 추가적인 표적을 포함한 새로운 클래스 약물의 표적은 각각 다음과 같다.
↑Rang, Humphrey P.; Ritter, James M.; Flower, Rod J.; Henderson, Graeme (2012). 《Rang and Dale's pharmacology》 7판. Elsevier. 255쪽. ISBN9780702034718.
↑ 가나다Vaughan Williams, EM (1970) Classification of antiarrhythmic drugs. In Symposium on Cardiac Arrhythmias (Eds. Sandoe E, Flensted- Jensen E, Olsen KH). Astra, Elsinore. Denmark (1970)
↑Kloner RA (2009). “A Salute to Our Founding Editor-in-Chief Bramah N. Singh, MD, DPhil, DSc, FRCP”. 《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4 (3): 154–56. doi:10.1177/1074248409343182. PMID19721129. S2CID44733401.
↑Milne JR, Hellestrand KJ, Bexton RS, Burnett PJ, Debbas NM, Camm AJ (February 1984). “Class 1 antiarrhythmic drugs – characteristic electrocardiographic differences when assessed by atrial and ventricular pacing”. 《Eur. Heart J.》 5 (2): 99–107. doi:10.1093/oxfordjournals.eurheartj.a061633. PMID6723689.
↑Trevor, Anthony J.; Katzung, Bertram G. (2003). 《Pharmacology》. New York: Lange Medical Books/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43쪽. ISBN978-0-07-139930-2.
↑Conti JB, Belardinelli L, Utterback DB, Curtis AB (March 1995). “Endogenous adenosine is an antiarrhythmic agent”. 《Circulation》 91 (6): 1761–67. doi:10.1161/01.cir.91.6.1761. PMID7882485.
↑Brugada P (July 2000). “Magnesium: an antiarrhythmic drug, but only against very specific arrhythmias”. 《Eur. Heart J.》 21 (14): 1116. doi:10.1053/euhj.2000.2142. PMID10924290.
↑Hoshino K, Ogawa K, Hishitani T, Isobe T, Eto Y (October 2004). “Optimal administration dosage of magnesium sulfate for torsades de pointes in children with long QT syndrome”. 《J Am Coll Nutr》 23 (5): 497S–500S. doi:10.1080/07315724.2004.10719388. PMID15466950. S2CID30146333.
↑Hoshino K, Ogawa K, Hishitani T, Isobe T, Etoh Y (April 2006). “Successful uses of magnesium sulfate for torsades de pointes in children with long QT syndrome”. 《Pediatr Int》 48 (2): 112–17. doi:10.1111/j.1442-200X.2006.02177.x. PMID16635167. S2CID24904388.
↑Lindberg JS, Zobitz MM, Poindexter JR, Pak CY (1990). “Magnesium bioavailability from magnesium citrate and magnesium oxid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9 (1): 48–55. doi:10.1080/07315724.1990.10720349. PMID2407766.
↑Charlier, R; Deltour, G; Baudine, A; Chaillet, F (November 1968). “Pharmacology of amiodarone, and anti-anginal drug with a new biological profile.”. 《Arzneimittel-Forschung》 18 (11): 1408–17. PMID5755904.
↑Damato, Anthony N. (1969년 7월 1일). “Diphenylhydantoin: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use”.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12 (1): 1–15. doi:10.1016/0033-0620(69)90032-2. PMID5807584.
↑“The 'Sicilian Gambit'. A new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of antiarrhythmic drugs based on their actions on arrhythmogenic mechanisms. The Task Force of the Working Group on Arrhythmia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ur. Heart J.》 12 (10): 1112–31. October 1991. PMID1723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