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오다론

아미오다론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4-[(2-butyl-1-benzofuran-3-yl)carbonyl]-2,6-diiodophenoxy}ethyl)diethylami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1951-25-3
ATC 코드 C01BD01
PubChem 2157
드러그뱅크 DB01118
ChemSpider 2072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5H29I2NO3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20–55%
단백질 결합 96%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생물학적 반감기 58 d (범위는 15~142 d)
배출 주로 간과 쓸개즙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정맥 주사, 골내 주사

아미오다론(amiodarone)은 여러 가지 종류의 부정맥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쓰이는 항부정맥제의 일종이다.[4] 아미오다론이 사용되는 부정맥에는 심실빈맥(VT), 심실세동(VF), 넓은 QRS 빈맥, 심방세동,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등이 있다.[4] 그러나 심정지에서의 사용 근거는 빈약하다.[5] 경구, 정맥, 골내로 투여할 수 있다.[4]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수 주가 걸릴 수 있다.[4]

흔한 부작용에는 피로감, 진전, 구역질, 변비가 있다.[4] 아미오다론은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하므로 주로 심각한 심실부정맥에만 사용을 권고한다.[4] 심각한 부작용에는 간질성 폐렴폐독성, 간독성, 부정맥, 시각 손상, 갑상샘 질환, 사망이 있다.[4] 임신이나 수유 중 복용할 경우 태아나 신생아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4] 클래스 III 항부정맥제에 속한다.[4] 심장 세포가 다시 수축하기 전의 시간을 늘리는 방식으로 일부 작용한다.[4]

아미오다론은 1961년 처음 만들어져 1962년에 심장 관련 흉통(협심증)에 최초로 사용되었다.[6] 부작용으로 인해 1967년에는 시장에서 퇴출당했다.[7] 1974년 부정맥에 유용하단 것이 밝혀지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7] 현재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8]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4] 2020년 기준 미국에서는 198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조사되었으며, 200만 건 이상 처방되었다.[9][10]

각주

  1. “Pacerone- amiodarone hydrochloride tablet”. 《DailyMed》. 2021년 9월 8일에 확인함. 
  2. “Cordarone (amiodarone) tablets, for oral use Initial U.S. Approval: 1985”. 《DailyMed》. 2018년 10월 30일. 2021년 9월 8일에 확인함. 
  3. “Nexterone- Amiodarone HCl injection, solution”. 《DailyMed》. 2021년 9월 8일에 확인함. 
  4. “Amiodarone Hydrochlor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2일에 확인함. 
  5. Ali MU, Fitzpatrick-Lewis D, Kenny M, Raina P, Atkins DL, Soar J, 외. (November 2018).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 drugs for shockable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PDF). 《Resuscitation》 132: 63–72. doi:10.1016/j.resuscitation.2018.08.025. PMID 30179691. S2CID 52154562. 
  6. 《Analytical Profiles of Drug Substances and Excipients》 (영어). Academic Press. 1992. 4쪽. ISBN 9780080861159.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Fischer J, Ganellin CR (2005).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12쪽. ISBN 9783527607495.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9. “The Top 300 of 2020”.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10. “Amiodaro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