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인자
양자역학 과 양자장론 에서 전파 인자 (電波因子, propagator ) 또는 퍼뜨리개 는 입자 가 (위치 또는 운동량 기저 의)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시간 변화 를 겪을 확률 진폭 이다. 입자의 파동 방정식 의 그린 함수 다. 양자장론 에서는, 상호작용을 고려하면 매우 복잡하므로, 대개 라그랑지언 의 자유항만을 고려하여 계산한 것을 지칭한다. 상호작용은 자유 전파 인자를 포함하는 파인먼 도형 으로써 나타낸다.
정의
파동 방정식
O
^ ^ -->
ψ ψ -->
(
x
,
t
)
=
0
{\displaystyle {\hat {O}}\psi (x,t)=0}
을 따르는 장
ψ ψ -->
(
x
,
t
)
{\displaystyle \psi (x,t)}
를 생각하자. 여기서
O
^ ^ -->
{\displaystyle {\hat {O}}}
는
x
{\displaystyle x}
와
t
{\displaystyle t}
에 대한 미분 연산자 다. 이 때, 전파인자
K
(
x
,
t
;
x
′
,
t
′
)
{\displaystyle K(x,t;x',t')}
는 다음을 만족한다.
O
^ ^ -->
K
(
x
,
t
;
x
′
,
t
′
)
=
− − -->
δ δ -->
(
x
− − -->
x
′
)
δ δ -->
(
t
− − -->
t
′
)
{\displaystyle {\hat {O}}K(x,t;x',t')=-\delta (x-x')\delta (t-t')}
.
즉 파동 방정식 연산자의 그린 함수 다. 이는 간혹 유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적절한 경계 조건 을 가한다.
비상대론적 입자
비상대론적 입자는 슈뢰딩거 방정식 을 따른다. 따라서, 그 전파인자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그린 함수이다. 계 의 해밀토니안 을
H
{\displaystyle H}
로 쓰면, 입자가
x
′
,
t
′
{\displaystyle x',t'}
에서
x
,
t
{\displaystyle x,t}
로 이동할 확률진폭을 나타내는 전파인자
K
(
x
,
t
;
x
′
,
t
′
)
{\displaystyle K(x,t;x',t')}
는 다음을 만족한다.
(
− − -->
i
H
/
ℏ ℏ -->
− − -->
∂ ∂ -->
∂ ∂ -->
t
)
K
(
x
,
t
;
x
′
,
t
′
)
=
− − -->
i
ℏ ℏ -->
δ δ -->
(
x
− − -->
x
′
)
δ δ -->
(
t
− − -->
t
′
)
{\displaystyle \left(-iH/\hbar -{\frac {\partial }{\partial t}}\right)K(x,t;x',t')=-i\hbar \delta (x-x')\delta (t-t')}
.
따라서, 시간 변화 연산자
U
(
t
,
t
′
)
=
exp
-->
(
− − -->
i
/
ℏ ℏ -->
∫ ∫ -->
t
t
′
H
d
t
)
{\displaystyle U(t,t')=\exp \left(-i/\hbar \int _{t}^{t'}H\;dt\right)}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K
(
x
,
t
;
x
′
,
t
′
)
=
⟨ ⟨ -->
x
|
U
^ ^ -->
(
t
,
t
′
)
|
x
′
⟩ ⟩ -->
{\displaystyle K(x,t;x',t')=\langle x|{\hat {U}}(t,t')|x'\rangle }
즉, 전파인자는 시간 변화에 대한 확률 진폭 이다.
초기 상태가 주어지면, 그 시간 변화를 전파 인자로 나타낼 수 있다.
ψ ψ -->
(
x
,
t
)
=
∫ ∫ -->
− − -->
∞ ∞ -->
∞ ∞ -->
ψ ψ -->
(
x
′
,
t
′
)
K
(
x
,
t
;
x
′
,
t
′
)
d
x
′
{\displaystyle \psi (x,t)=\int _{-\infty }^{\infty }\psi (x',t')K(x,t;x',t')dx'}
전파 인자를 경로 적분 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계의 라그랑지언
L
{\displaystyle L}
이 주어지면,
K
(
x
,
t
;
x
′
,
t
′
)
=
∫ ∫ -->
exp
-->
[
i
ℏ ℏ -->
∫ ∫ -->
t
t
′
L
(
q
˙ ˙ -->
,
q
,
t
)
d
t
]
D
[
q
(
t
)
]
{\displaystyle K(x,t;x',t')=\int \exp \left[{\frac {i}{\hbar }}\int _{t}^{t'}L({\dot {q}},q,t)dt\right]D[q(t)]}
.
여기서 경계조건 은
q
(
t
)
=
x
,
q
(
t
′
)
=
x
′
{\displaystyle q(t)=x,q(t')=x'}
이다.
상대론적 스칼라 입자
상대론적 스칼라 (스핀 0) 입자의 파동 방정식은 클라인-고든 방정식 이다. 따라서, 전파 인자는 클라인-고든 방정식의 그린 함수이다. 위치 공간에서 전파 인자
G
(
x
,
y
)
{\displaystyle G(x,y)}
는 다음과 같다.
(
◻ ◻ -->
x
2
+
m
2
)
G
(
x
,
y
)
=
− − -->
δ δ -->
(
x
− − -->
y
)
{\displaystyle (\square _{x}^{2}+m^{2})G(x,y)=-\delta (x-y)}
푸리에 변환으로, 이를 운동량공간으로 고쳐 쓸 수 있다.
G
(
x
,
y
)
=
1
(
2
π π -->
)
4
∫ ∫ -->
d
4
p
e
− − -->
i
p
(
x
− − -->
y
)
p
2
− − -->
m
2
{\displaystyle G(x,y)={\frac {1}{(2\pi )^{4}}}\int d^{4}p\,{\frac {e^{-ip(x-y)}}{p^{2}-m^{2}}}}
그러나 민코프스키 공간 에서는 이 적분이 극 (極)을 가지므로, 적분을 제대로 정의할 수 없다. 따라서 분모에 무한소의 작은 값을 더하여 적분 경로를 명확히 하는데, 이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뒤처진 전파 인자 (retarded propagator ):
G
r
e
t
(
x
,
y
)
=
lim
ϵ ϵ -->
→ → -->
0
1
(
2
π π -->
)
4
∫ ∫ -->
d
4
p
e
− − -->
i
p
(
x
− − -->
y
)
(
p
0
+
i
ϵ ϵ -->
)
2
− − -->
p
→ → -->
2
− − -->
m
2
=
{
1
2
π π -->
δ δ -->
(
τ τ -->
x
y
2
)
− − -->
m
J
1
(
m
τ τ -->
x
y
)
4
π π -->
τ τ -->
x
y
if
x
≺ ≺ -->
y
0
otherwise
{\displaystyle G_{ret}(x,y)=\lim _{\epsilon \to 0}{\frac {1}{(2\pi )^{4}}}\int d^{4}p\,{\frac {e^{-ip(x-y)}}{(p_{0}+i\epsilon )^{2}-{\vec {p}}^{2}-m^{2}}}=\left\{{\begin{matrix}{\frac {1}{2\pi }}\delta (\tau _{xy}^{2})-{\frac {mJ_{1}(m\tau _{xy})}{4\pi \tau _{xy}}}&{\textrm {if}}\,x\prec y\\0&{\textrm {otherwise}}\end{matrix}}\right.}
여기서
τ τ -->
x
y
:=
(
x
0
− − -->
y
0
)
2
− − -->
(
x
→ → -->
− − -->
y
→ → -->
)
2
{\displaystyle \tau _{xy}:={\sqrt {(x^{0}-y^{0})^{2}-({\vec {x}}-{\vec {y}})^{2}}}}
는
x
{\displaystyle x}
에서
y
{\displaystyle y}
간의 고유시간 이고,
J
1
{\displaystyle J_{1}}
는 제1종 베셀함수 이다.
앞선 전파 인자 (advanced propagator ):
G
a
d
v
(
x
,
y
)
=
lim
ϵ ϵ -->
→ → -->
0
1
(
2
π π -->
)
4
∫ ∫ -->
d
4
p
e
− − -->
i
p
(
x
− − -->
y
)
(
p
0
− − -->
i
ϵ ϵ -->
)
2
− − -->
p
→ → -->
2
− − -->
m
2
=
{
− − -->
1
2
π π -->
δ δ -->
(
τ τ -->
x
y
2
)
+
m
J
1
(
m
τ τ -->
x
y
)
4
π π -->
τ τ -->
x
y
if
y
≺ ≺ -->
x
0
otherwise
.
{\displaystyle G_{adv}(x,y)=\lim _{\epsilon \to 0}{\frac {1}{(2\pi )^{4}}}\int d^{4}p\,{\frac {e^{-ip(x-y)}}{(p_{0}-i\epsilon )^{2}-{\vec {p}}^{2}-m^{2}}}=\left\{{\begin{matrix}-{\frac {1}{2\pi }}\delta (\tau _{xy}^{2})+{\frac {mJ_{1}(m\tau _{xy})}{4\pi \tau _{xy}}}&{\textrm {if}}\,y\prec x\\0&{\textrm {otherwise}}.\end{matrix}}\right.}
파인먼 전파 인자 :
G
F
(
x
,
y
)
{\displaystyle \ G_{F}(x,y)}
=
lim
ϵ ϵ -->
→ → -->
0
1
(
2
π π -->
)
4
∫ ∫ -->
d
4
p
e
− − -->
i
p
(
x
− − -->
y
)
p
2
− − -->
m
2
+
i
ϵ ϵ -->
{\displaystyle \ =\lim _{\epsilon \to 0}{\frac {1}{(2\pi )^{4}}}\int d^{4}p\,{\frac {e^{-ip(x-y)}}{p^{2}-m^{2}+i\epsilon }}}
=
{
− − -->
1
4
π π -->
δ δ -->
(
s
)
+
m
8
π π -->
s
H
1
(
1
)
(
m
s
)
if
s
≥ ≥ -->
0
− − -->
i
m
4
π π -->
2
− − -->
s
K
1
(
m
− − -->
s
)
if
s
<
0.
{\displaystyle \ =\left\{{\begin{matrix}-{\frac {1}{4\pi }}\delta (s)+{\frac {m}{8\pi {\sqrt {s}}}}H_{1}^{(1)}(m{\sqrt {s}})&{\textrm {if}}\,s\geq 0\\-{\frac {im}{4\pi ^{2}{\sqrt {-s}}}}K_{1}(m{\sqrt {-s}})&{\textrm {if}}\,s<0.\end{matrix}}\right.}
이를 운동량 공간으로 푸리에 변환 하면 훨씬 더 간단하다.
G
~ ~ -->
r
e
t
(
p
)
=
1
(
p
0
+
i
ϵ ϵ -->
)
2
− − -->
p
→ → -->
2
− − -->
m
2
{\displaystyle {\tilde {G}}_{ret}(p)={\frac {1}{(p_{0}+i\epsilon )^{2}-{\vec {p}}^{2}-m^{2}}}}
G
~ ~ -->
a
d
v
(
p
)
=
1
(
p
0
− − -->
i
ϵ ϵ -->
)
2
− − -->
p
→ → -->
2
− − -->
m
2
{\displaystyle {\tilde {G}}_{adv}(p)={\frac {1}{(p_{0}-i\epsilon )^{2}-{\vec {p}}^{2}-m^{2}}}}
G
~ ~ -->
F
(
p
)
=
1
p
2
− − -->
m
2
+
i
ϵ ϵ -->
.
{\displaystyle {\tilde {G}}_{F}(p)={\frac {1}{p^{2}-m^{2}+i\epsilon }}.}
디랙 입자
디랙 방정식 을 따르는 입자의 전파 인자는 다음과 같다.
S
~ ~ -->
F
(
p
)
=
1
γ γ -->
μ μ -->
p
μ μ -->
− − -->
m
+
i
ϵ ϵ -->
=
1
p
/
− − -->
m
+
i
ϵ ϵ -->
{\displaystyle {\tilde {S}}_{F}(p)={1 \over \gamma ^{\mu }p_{\mu }-m+i\epsilon }={1 \over p\!\!\!/-m+i\epsilon }}
위치 공간에서는 다음과 같다.
S
F
(
x
− − -->
y
)
=
∫ ∫ -->
d
4
p
(
2
π π -->
)
4
e
− − -->
i
p
⋅ ⋅ -->
(
x
− − -->
y
)
(
γ γ -->
μ μ -->
p
μ μ -->
+
m
)
p
2
− − -->
m
2
+
i
ϵ ϵ -->
=
(
γ γ -->
μ μ -->
(
x
− − -->
y
)
μ μ -->
|
x
− − -->
y
|
5
+
m
|
x
− − -->
y
|
3
)
J
1
(
m
|
x
− − -->
y
|
)
.
{\displaystyle S_{F}(x-y)=\int {{d^{4}p \over (2\pi )^{4}}\,e^{-ip\cdot (x-y)}}\,{(\gamma ^{\mu }p_{\mu }+m) \over p^{2}-m^{2}+i\epsilon }=\left({\gamma ^{\mu }(x-y)_{\mu } \over |x-y|^{5}}+{m \over |x-y|^{3}}\right)J_{1}(m|x-y|).}
벡터 입자
광자 의 전파 인자는 다음과 같다. (파인먼 게이지)
− − -->
i
g
μ μ -->
ν ν -->
p
2
+
i
ϵ ϵ -->
{\displaystyle {-ig^{\mu \nu } \over p^{2}+i\epsilon }}
같이 보기
참고 문헌
Bjorken, J.D. , Drell, S.D. , Relativistic Quantum Fields (Appendix C.), New York: McGraw-Hill 1965, ISBN 0-07-005494-0 .
N. N. Bogoliubov , Dmitry V. Shirkov,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quantized fields , Wiley-Interscience, ISBN 0-470-08613-0 (Especially pp. 136–156 and Appendix A)
Edited by DeWitt, Cécile and DeWitt, Bryce , Relativity, Groups and Topology , (Blackie and Son Ltd, Glasgow), Especially p615-624, ISBN 0-444-86858-5
Griffiths, David J. (1987). 《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 New York: John Wiley & Sons. ISBN 0-471-60386-4 .
Halliwell, J.J.; Orwitz, M. “Sum-over-histories origin of the composition laws of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and quantum cosmology”. arXiv :gr-qc/9211004 .
Huang, Kerson (1998). 《Quantum Field Theory: From Operators to Path Integrals》 . New York: John Wiley & Sons. ISBN 0-471-14120-8 .
Itzykson, Claude, Zuber, Jean-Bernard Quantum Field Theory , New York: McGraw-Hill, 1980. ISBN 0-07-032071-3
Pokorski, Stefan (1987ISBN=0-521-36846-4). 《Gauge Field Theorie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hulman, Larry S., Techniques & Applications of Path Integration , Jonh Wiley & Sons (New York-1981) ISBN 0-471-7645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