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성은 일본군이 남해안 일대 혹은 그 외 지역을 점거하고 그들의 근거지를 확보하거나 일본군내 상호 연락 등을 위해 축조한 일본식 성곽으로, 일본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침략지인 조선에 축조된 매우 특수한 사례에 속하는 건축이었다. 왜성은 외견상으로나 축조수법, 혹은 시설에서 당시 일본의 성곽과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다만 침략지라고 하는 특수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방어기능 강화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거의 모두 항(港)의 확보를 위하여 총구(惣構) 시설 따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왜성은 거의 대부분 전시 상황에서 축조되었기 때문에 방어상 유리한 산성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입지상으로는 강과 바다에 인접한 독립된 구릉, 혹은 야산을 택하고 있다. 왜성은 일본군이 선박을 통한 침략이었기 때문에 보급이나 연락 관계는 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배가 아니고서는 보급·연락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더욱이 왜군 입장에서는 일본에 있는 후방기지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손쉽게 배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였을 것이다. 아울러 일본의 산성이 대체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듯이 왜성 역시 주곽부(主郭部)를 중심으로 지형을 이용하여 다중(多重)의 곽(郭)과 곡륜(曲輪) 배치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출입구는 하나같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적에게 집중적으로 타격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성 아래에 호즉·해자가 시공된 흔적이 남아 있다.
첫째는 연결성(連結城)[3]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지령에 의해 부산에서 서울까지, 나중에는 의주까지 히데요시 자신이 명나라로 들어갈 때의 거처(御座所)와 군수물자의 보급로 확보를 목적으로 쌓은 성곽이다. 이것은 일명 “쓰타이노시로”(つたいの城)라고도 하는데, 군대가 거의 하루에 행군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 쌓았으며, 주로 조선의 읍성을 고쳐서 사용하거나 적당한 읍성이 없는 곳에서는 새로이 간단하게 축성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그 유구의 위치가 확실하지 않으며, 함경도의 길주와 안변 사이 등에도 쌓여 있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당시 일본군이 지나간 길목마다 이 연결성을 쌓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는 통치성(統治城)[4]인데, 대한민국 남해안(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와 전남순천) 지역에 쌓은 성곽이다. 임진왜란기인 1592년부터 2년간에 걸쳐 일본으로부터의 수송로 확보와 일본군이 내륙에서 후퇴한 뒤 전세를 유리하게 전개하기 위해 쌓은 20여 개의 성곽과 정유재란 기에 신규로 축성한 10개 등 남해안 일대에서는 이미 조사된 것만으로도 32개소에 달한다.[5][6] 왜성은 남해안뿐만 아니라 내륙 지역에서도 축조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그 유구(遺構)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실상은 알 수 없다. 멸실된 성을 포함해서 40여 개의 왜성이 발견되었다.[7][8]
구조
남해안 일대 왜성은 30개소로 약간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일본의 성곽 축조양식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 이들 왜성은 16세기 일본에서 축조되기 시작하는 평성이 아니라 대부분 산성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정치적 지배 거점에 중점을 둔 평성보다는 전시 상황에 맞게 방어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진과 후퇴, 보급이 원활할 수 있는 강이나 바다에 인접한 곳에 축조하였다. 또, 성의 구조는 일본의 성에서 볼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루와의 배치와 해자, 이중문으로 된 마스가타와 우마다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일본의 성의 모습은 당시 중국 화가가 그린 『정왜기공도권(征倭紀功圖卷)』과 일본인 화가가 울산성 전투를 그린 병풍화에서도 잘 나타나있다. 이들 그림에서는 담에 난 총안인 사마를 통해 조명연합군에게 사격하는 일본병사와 겹겹으로 된 일본의 성곽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식 성곽은 대개 평야나 해안지대에 돌출한 산정(山頂)을 깎아 평평하게 하여 가장 높은 곳에 이중 삼중으로 된 본환(本丸)·이지환(二之丸)·삼지환(三之丸)을 설치하고 이 아성을 둘러싼 외곽선에 성곽을 높이 쌓되 성 전체를 몇 구획으로 나누어 각 구역이 독립하여 전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같은 축성방식은 우리나라의 재래식 산성과는 전혀 다른 일본식 축성방법이다.[9]
일본의 산성이 대체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듯이 왜성 역시 마찬가지로 주곽부를 중심으로 지형을 이용하여 다중의 구루와의 배치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루와의 배치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지만 구조적 원리를 간략화한다면 흔히 말하는 윤곽식(輪郭式)ㆍ제곽식(梯郭式)ㆍ와곽식(渦郭式)ㆍ연곽식(連郭式) 등으로 나눌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 변형인 경우가 많다.
일본의 성에서 출입구를 통상 고구치(虎口)라고 칭하는데, 왜성 또한 그 모양은 다양하지만 기능은 하나같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적에게 집중적으로 타격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는 옹성(甕城)이나 적대(敵臺)에 의해 주로 출입구인 성문이 보호되는 것과 비교가 된다. 그리고 구루와에 여러 모양의 각도(角度)를 주어 성벽으로 오르는 적을 원근(遠近)ㆍ좌우(左右) 등 다양한 위치에서 궁시 등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요코야가카리(일본어: 橫矢 횡시[*])이다. 이런 직선(直線)과 각(角)으로 이루어진 구루와형태는 일본 성곽의 독특한 점 가운데 하나이며, 한국의 경우 성벽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일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고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요코야가카리처럼 구루와에 각도를 주는 방식보다는 성곽 외각으로 사각모양의 치성(雉城)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석벽과 성루(石垣, いしがき)
일본의 경우 축성에 석벽방식을 도입한 것은 중세이후로 볼 때는 전국 시대 후반기이다. 물론 고대에는 조선식산성과 같은 석축성이 있지만 중세이후로는 거의 석벽이 사용되지 않았다. 석재확보나 기술적인 문제 등도 있겠지만 성곽의 항구성이나 방어력 증강의 필요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왜성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 바이지만 일본성곽은 석축에 있어서 직선을 중시하는 경향이 현저하다. 따라서 구루와가 꺽이는 모서리 부분이 매끄럽게 처리되면서 전체적으로 상하석축선이 곡사선형태로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자연석을 난적(亂積)하고 그 틈을 잔돌로 메우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성루의 경우는 중세이래 산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설 가운데 하나이다. 구루와위에 시설하고 그위에 다시 목책이나 판벽을 설치하여 방어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왜성에는 일본의 근세성곽에서 보이지 않는 노보리이시가키(登り石垣)라는 장대한 장벽도 설치되었다. 이것은 왜성만의 특징적인 구조로, 산성부의 본성과 산기슭부의 지성이나 부속시설을 하나로 연결하여 방어선을 확고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측된다. 서생포왜성이나 웅천왜성 등에서는 이 노보리이시가키가 잘 보존되어 있다.[10]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성에서도 간혹 보이는 축성방법으로 마쓰야마성, 히코네성, 스모토성 등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왜란에 참전했다 귀국한 다이묘들의 성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중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와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등이 쌓은 성이 대표적이다.
해자
왜성은 일본의 성과 마찬가지로 성 아래에 해자가 시공되었고,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 당시 중국의 화가가 그린 『정왜기공도권(征倭紀功圖卷)』에 나타난 전투장면을 보면 왜성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왜성을 공격하는 장면을 보면 담에 뚫린 사마(?間)으로 공성군을 사격하는 모습이 있고, 넘어에는 목책이 이중으로 세워져 있다. 또한 성내에는 천수각이 보이고, 그외에 숙사(宿舍)가 그려져 있으며, 안쪽에는 군데 군데 방패구실을 하였을 것으로 보이는 판벽(板璧)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해전(海戰)을 그린 것에서는 바닷가에 목책이 세워져 있고 곳곳에 판벽으로 가설하여 이곳에 몸을 은폐하고 공격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목책과 판벽을 세운 곳이 구(構)의 일부로 추정한다.
특징
왜성은 배를 접선하기 좋은 해안가와 강안에 위치하면서도, 여차하면 서로를 돕기 쉽게 서로를 조망하기 좋게 밀도있게 배치되었다. 또, 동래성 같은 경우는 기존의 조선성곽에 붙여서 왜성을 축조하기도 하였다.[11]
일본군 입장에서는 타지에서 조달한 자재를 썼지만 전국시대의 오랜 전란에서 얻은 축성기술과 건축기술을 동원해 빠르게 올렸다. 이러한 왜성들은 적을 지연시키고 고립시키기 위한 특유의 구조 등으로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주었고, 울산성 전투에서는 조명연합군의 대군을 막았다. 규모가 있는 왜성은 혼마루나 천수각(天守閣, 영어: keep, 문화어: 천수각지) 등도 있었으나 목건물은 현재는 모두 부서지고 없다.[12]
축성 당시에는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주었으나 현재는 대부분이 소실되었거나 터만 남아 있다. 임진왜란 뒤에는 조선군이 얻은 돌을 쌓아 만든 석축을 기초해 조선식 읍성으로 고쳐 쓰기도 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었고, 일본군의 석축은 조선식에 비해 빠르게 올릴 수는 있지만 내구력 자체는 약해 시간이 지나면서 비교적 빨리 허물어졌기 때문이다.[13][14]
이는 가택건축의 안정성과 유지력에서 분화된 다른나라의 축성술과 달리, 오로지 성을 쌓기 위해서만 방벽으로 발달한 일본식 축성술의 특징으로, 왜란 당시까진 석벽 틈새에 회반죽이나 흙을 집어넣지 않고 오로지 돌만으로 쌓아올리는 메쌓기(Dry stone/空積み,野面積み)가 주류였기 때문이다. 폭우가 내릴 시 따로 배수구를 개공할 필요없이 돌 사이로 물이 빠져나가며, 재해나 공세에 의해 무너져도 어차피 돌만으로 쌓은 벽이기에 흩어진 자재를 다시 쌓아올리면 되지만, 돌 틈새로 해충이나 쥐 등이 침범하기 쉽고, 식물들이 자라면서 이음새를 침범하거나 기반을 무너뜨리는 등 유지보수가 꾸준히 요구되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인스턴트 성벽이다.[15]
오로지 전투만을 목적으로 하다보니 기본적으로 높은 지대를 끼고있는 산성 혹은 평산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물자의 보급을 쉽게 하기 위해 상당수 왜성들은 해안가나 강가 인근에 자리하고 있으며 평지부터 시작하여 정상부로 올라가는 구간을 여러 단계로 나누고 통행로도 미로와 같이 설계한 다음 그 구간마다 성책과 성문을 설치한 다층 방어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성벽 방어선이 뚫리면 그대로 성의 함락으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한국식 산성이나 읍성보다 훨씬 더 강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각 왜성들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조선군과 명나라 군대에 의해 여러번의 포위전을 겪었지만 정작 20여개 왜성 중 직접적인 전투를 통해 함락당한 왜성은 하나도 없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왜란이 끝난 이후 일본군이 철수하면서 왜성은 전략적인 가치를 상실하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왜성이 버려진 상태로 남게되어 현존 왜성의 경우 보존상태가 좋은 경우가 드문 편이다. 그러나 일부 왜성의 경우 꽤 좋은 길목에 자리한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일부 구조물을 보수하여 군사 주둔지역으로 전용하여 사용한 경우가 있으나 그 사례 자체가 손에 꼽을 정도이다.[16]
연구
나동욱 부산박물관 문화재조사팀장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일본이 축조한 왜성(倭城)의 연구 결과를 정리했다.[17] 나 팀장은 1597년 왜군 1만6천 명이 40여 일간 만든 울산 왜성이 뛰어난 방어력을 갖춘 성이었다는 사실을 소개하면서 국내에 있는 왜성 30여 곳이 개발과 환경 변화로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7] 그는 “왜성은 400여 년 전 치열했던 동아시아 전쟁을 재구성하고 역사를 재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문화자산”이라고 강조했다.[17]
국립중앙박물관회가 공동 주관하고 KEB하나은행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학술심포지엄은 22일까지 이어지는 《정유재란》 특별전과 연계해 기획됐다. 강화교섭과 정유재란 발발, 노량해전에 대한 이해의 방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순천성 전투 등에 관한 발표도 진행되었다.[17] 국립진주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정유재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며 “전쟁의 실상은 물론 한국, 중국, 일본 민중의 삶과 생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17]
의의
성곽 편년에 있어서 그 축성 연대가 확실하고 후대에 개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축성 당시 일본의 축성법을 명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이는 같은 시기 일본 국내에서 축조되었던 성곽이 후대에 계속 사용됨으로써 거듭 개·보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성곽 축성 시기의 축성법을 명확히 가려내기 어렵다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의미가 있다.
기타
왜성은 성곽 편년에 있어서 그 축성 연대가 확실하고 후대에 개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축성 당시 일본의 축성법을 명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이는 같은 시기 일본 국내에서 축조되었던 성곽이 후대에 계속 사용됨으로써 거듭 개·보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성곽 축성 시기의 축성법을 명확히 가려내기 어렵다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의미가 있다.
2019년에 《조선일본도설》(朝鮮日本圖說)이라는 왜성 현황 지도가 발견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8]
임진왜란 때 다시 개축되었던 다대포성은 부산진성이나 자성(子城)처럼 왜성(倭城)이 되지 않았으며 다대포성은 왜성에서 제외되었다.[18]
거제 지세포진성은 임진왜란을 통해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이끄는 일본군은 전투에서 패배하였으나 함락된 지세포성은 일본식으로 개축되었다고 하나 이후 지세포왜성 이라 명명을 했으나 왜성에서 제외되었다고 한다.
진주 망진왜성(晋州 望晉倭城)은 정유재란 때 축조되었으며 현재 박문구왜성과 멸실된 왜성이고 봉수대 주변에 목책(木柵)은 없고 꼭대기에 있던 성벽 추정지는 제5경 망진산 봉수대[19]가 있고 한국방송공사 방송탑과 망진체육공원이 있다.
진주 망진왜성은 현 경남 진주시 주약동 망진산에 있었다. 한편 꼭대기에서 240m 떨어진 곳에 있는 제5경 망진산 봉수대는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군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1598년 9월 21일 남강의 망진왜성이 불타서 없어졌다.
반면 기록에는 없는 영춘왜성(永春倭城)과 곤양왜성(昆陽倭城)은 사천성 전투에서 시마즈 요시히로의 군대에서 중로군이 망진왜성을 점령한 이후 영춘왜성을 점령하고, 다음날 1598년 9월 22일에 곤양왜성이 불타서 없어졌다.
이렇게 멸실된 왜성은 7개소(중앙동, 동삼동 (부산), 호포 (양산), 견내량 (거제), 망진, 영춘 (진주), 곤양 (사천))으로 확인되었으며 농소, 마사 (김해), 동래 (부산) 왜성은 국가나 정부 기관이나 관공서, 주민센터 관할로 관리가 지속적으로 되지 않는다면 머지않아 멸실될 것이며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관리가 되어야하고 왜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전망이다.
1592년 4월 임진왜란 개전 직후 부산에 상륙한 일본군은 바로 보급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왜성을 축조하였다. 같은 해 11월 평양을 점령한 고니시군이 평양에 왜성을 축성하였고 우키다는 한성 남쪽인 남산에 왜성을 축성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1월 조명연합군의 반격에 쫓기기 시작한 일본군은 1593년 5월부터 지금의 경상남도 해안 일대에 20곳의 왜성을 축조하였다.
임진왜란 강화교섭이 결렬되면서 재침공해온 일본군은 기존에 축성하였던 왜성을 재차 점거하고 일본 수군은 웅천왜성을 점거하여 근거지로 삼았다. 이 당시 일본군은 점령지를 확실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일본 본토와의 연결을 위해 기존 축성한 해안가 일대의 왜성을 보수하고 동편으로는 울산, 서쪽으로는 순천까지 전선이 확대되면서 이 일대에도 왜성이 새로 축성되었다.
↑方*鎭 2015年.11/28土 [24]Archived 2019년 7월 8일 - 웨이백 머신, 팬저의 국방여행 : 부산지역의 성곽(읍성,진성,왜성,산성) [25]Archived 2019년 7월 8일 - 웨이백 머신, 경향신문 문화 - 정유재란 때 전체 왜성 그린 지도 발견 [26], 팬저의 국방여행 마산왜성_03 [27]Archived 2019년 7월 10일 - 웨이백 머신, 김해박물관교재_7회차.indd 김해왜성의 축성과 그 의의 (나동욱),‘나성’은 알아도 ‘왜성’은?…잊어선 안 될 400년 전 ‘치욕의 성’[28]
↑迫門口는 일본식 지명으로 협수로의 어귀라는 뜻을 가진다. 현재 도시 개발과 항만시설, 바다의 매립 등으로 인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전형적인 왜성의 형태인 독립된 나지막한 야산의 구릉으로 한눈에 부산 앞바다를 관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용두산공원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옛 부산시청사 주변 롯데백화점 광복점으로 추측된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다음해인 1593년 7월 27일 분로쿠 2년에 모리 데루모토가 동삼동왜성과 박문구왜성을 축조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뿐이다.
↑『大東地志』 城池 仇法谷城 狐浦城 二處倭所築. (구법곡성, 호포성 두 곳을 왜인이
쌓았다.) 『增補文獻備考』 仇法谷狐浦 備局謄錄 並有倭城. (구법곡성과 호포성은 비국등록
에서 모두 왜성이라 기록하였다.) 호포왜성지는 현재 철저하게 훼손된 상태다. 체성(體城) 구조의 일부가 잔존한 부분은 호포마을 당산나무 북편에 남은 약 30m 정도였는데 공사로 인해 파괴되었다.
↑축성시기는 정유재란 때인 선조 30년(1597년)과 선조 31년(1598년) 깃카와 히로이에 등에 의해 축성되었다. 고성읍성의 남방의 설상으로 돌출한 소고지에 축성한 성으로 고성읍성과 접해 있다. 축성법은 일본식 축성으로 가장 높은 곳에 본환이 있고 서쪽에 본환보다 낮으나 규모가 조금 더 큰 2환이 확인되었으며 본환의 동부로부터 남부에 꺾어 둘러서 대곽이 있는데 이것이 3환이다. 현재도 본환과 2환, 3환 모두 확인되고 있고 성의 상당 부분이 잔존하고 있다 남은 체성은 경사도 70도 정도로 왜성의 축성 방식을 보여주며 석재는 자연석을 이용했고 틈새는 작은 쐐기들을 끼워넣었다.
↑『增補文獻備考』21) 釜山浦城 甑山城 備局謄錄 並有倭人. (부산포성, 증산성은 비국등록에는 모두 왜인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倭城址硏究會, 1979, 『倭城』Ⅰ.高田徹·堀口健貳, 2000, 「釜山倭城の繩張りについて」 『倭城の硏究』4, 城郭談話會. 21) 1770년에 홍봉한(1713~78 조선후기 문신)이 왕명을 받아 최초로 편찬한 「동국문헌비고」가 사실과 어긋나고 누락된 점이 많아 2차 편찬, 3차 보편을 거쳐 1908년 고종의 칙명으로 간행된 掌故(장고:典禮와 故事,나라의 일과관례)로 이루어져 편찬되었다. 편찬 목적은 영조 때 김치인(1716~1790, 조선후기 문신)이 진언하였듯이 치세와 실용적인 면을 위한 것으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백과사전으로 제도와 문물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16考 250卷.(고:분류)으로 이루어져 있다.
↑『大東地志』 城池 江馬山城 倭人所築. (강마산성을 왜인이 쌓았다.) 『增補文獻備考』 舊江馬山城 備局謄錄 並有倭城. (구 강마산성(용마산성, 또는 마산왜성)은 비국등록에 왜성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지정사항 : 고적 81호(1936년 5월), 사적 50호(1963년 1월 21일 지정~1997년 1월 1일 해지), 『大東地志』 鎭堡 三千浦堡 南20里 自晉州移于通陽浦 成宗十九年築城 置權管後又移于固城縣 宣祖丁酉倭石曼子據於此 與蔚山之島山順天之倭橋稱爲三窟 堡城今稱倭甑城.(남쪽으로 20리에 있고, 진주에서 통양포(사천)로 옮긴다. 성종 19년(1488)에 쌓았다. 권관17)을 두고 있다 후에 고성현으로 옮긴다. 선조 정유년(1597) 석만자(島津義弘, 시마즈 요시히로)는 울산의 도산성, 순천의 왜교성과 더불어 삼굴18)이라 칭하였다. 보성은 지금 왜증성이라 부른다. 『增補文獻備考』 舊三千鎭倭甑城 在南二十里 備局謄錄 並有廢城.(구 삼천진왜증성(사천왜성)은 남쪽으로 20리에 있고, 비국등록에는 폐성으로 기록하였다.)
↑지정사항 : 고적(1938년), 사적 49호(1963년 1월 21일 지정~1997년 1월 1일 해지), 순천대학교 박물관, 1997, 『순천 검단산성과 왜성』. 高田徹, 1998, 「順天城の繩張りについて」 『倭城の硏究』2, 城郭談話會. 順天대학교 박물관, 2001, 『順天倭城의 外城遺蹟』. 전남대학교 박물관·순천시, 2006, 『순천왜성』. 순천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순천시, 2007, 『순천시의 성곽과 봉수』.
↑우물 없던 ‘철통 요새’…독 안에 든 왜장 가토 끝내 놓쳐 가토가 설계하고 부장 오타 가즈요시(太田一吉)가 감독을 맡았으며 1만6000여명을 동원해 1597년 12월 울산왜성 전투가 벌어지기 직전 40일만에 공사를 끝낸 것으로 기록됐다.
↑『大東地志』 城池 島山城 東五里 一云神鶴城 一云戒邊城 一云甑城 宣祖 三十年 倭人古止修築與 順天倭橋南海露梁爲三窟 明史以倭橋曳橋露梁爲老營. (동쪽으로 5리에 있고, 신학성, 또는 계변성, 또는 증성이라고도 부른다. 선조 30년(1597) 왜인이 옛것을 수리하여 쌓았고, 순천 왜교성(순천왜성), 남해 노량성(남해 선소왜성)과 더불어 삼굴이라 한다. 명나라 기록에는 왜교를 예교로, 노량을 노영이라 하였다.) 『增補文獻備考』 甑城 在東五里 一名島山 倭賊築城 於此其形如甑故名.(증성은 동쪽으로 5리에 있고 일명 도산이라고 한다. 왜적이 축성하였고 그 형상이 마치 시루같다고 하여 붙여진 옛 이름이다.) 『增補文獻備考』 伴鷗亭城 備局謄錄 並有倭城.(반구정성은 비국등록에 왜성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Sampul Ahead of Their Time adalah album Frank Zappa and the Mothers of Invention, direkam di Royal Festival Hall, London, Inggris pada 28 Oktober 1968, dan diterbitkan pada 1993 oleh Barking Pumpkin. Daftar lagu Prologue – 3:07 Progress? – 4:44 Like It or Not – 2:21 The Jimmy Carl Black Philosophy Lesson – 2:01 Holiday in the Group Back – 2:00 Holiday in Berlin – 0:56 The Rejected Mexican Pope Leaves the Stage – 2:55 Undaunted, the Band Plays On – 4:34 Agency Man – 3:17 Epil...
Motorized passenger road vehicle For the country, see Central African Republic. For other uses, see Car (disambiguation), CARS (disambiguation), and Automobile (disambiguation). Passenger car redirects here. For the railroad car that carries passengers, see Passenger railroad car. For other uses, see Passenger car (disambiguation). This article may be in need of reorganization to comply with Wikipedia's layout guidelines. The reason given is: messy layout. Please help by editing the article t...
Berikut adalah Daftar perguruan tinggi swasta di Bali, yang pembinaannya berada di bawah Kementerian Pendidikan dan Kebudayaan Republik Indonesia dan Perguruan Tinggi Swasta Keagamaan, yang pembinaannya berada di bawah Kementerian Agama. Daftar ini tidak termasuk Perguruan Tinggi Kedinasan yang pembinaannya berada dibawah masing-masing kementerian/lembaga.] Selain itu beberapa diantaranya perguruan tinggi yang dahulunya IKIP kampus pencetak guru, baik guru sekolah maupun guru les privat di Ba...
The Right ReverendGérard Calvet, O.S.B.Abbot of Le Barroux AbbeyAppointed2 July 1989Term ended25 November 2003SuccessorDom Louis-Marie de Geyer d'OrthOrdersOrdination13 May 1956Personal detailsBornGérard Calvet(1927-11-18)18 November 1927Bordeaux, FranceDied28 February 2008(2008-02-28) (aged 80)NationalityFrenchDenominationRoman CatholicMottoPer Te VirgoCoat of arms Dom Gérard Calvet (18 November 1927 – 28 February 2008) was a French Catholic abbot and founder of the Sainte Madelein...
Line of notebook computers Not to be confused with Mac Pro or MacBook. For the larger range of MacBook Pro family from 2006 to the present, see MacBook Pro. MacBook Pro (Intel-based)MacBook Pro (15-inch, 2016)DeveloperApple Inc.ManufacturerFoxconn[1]Pegatron[2]Product familyMacBookTypeNotebookRelease date January 10, 2006 (2006-01-10) (Aluminium) October 18, 2008 (2008-10-18) (Unibody) June 11, 2012 (2012-06-11) (Retina) October...
Park in Halifax, Nova Scotia Sir Sandford Fleming ParkDingle Memorial Tower seen over the Northwest ArmTypePublic parkLocationHalifax, Nova ScotiaArea95 acres (38 ha)Created1908 - 1912Operated byCity of Halifax Sir Sandford Fleming Park is a 95-acre (38 ha) Canadian urban park located in the community of Jollimore in Halifax Regional Municipality. It is also known as Dingle Park or simply The Dingle,[1] named after the town of Dingle in southwestern Ireland. The park wa...
Long-distance runner Dave KomonenKomonen in 1933Personal informationFull nameTaavi KomonenNationalityFinnish[1]BornDecember 16, 1898[2]Käkisalmi, FinlandDiedApril 19, 1978(1978-04-19) (aged 79)Helsinki, FinlandSportSportAthleticsEventMarathonAchievements and titlesPersonal best2:32:53 (1934)[2] Medal record 1933 Boston 2:36:04 1934 Boston 2:32:53 Taavi Dave Komonen (December 16, 1898 – April 19, 1978) was a Finnish-Canadian athlete, who mainly competed in ...
Untuk tempat lain yang bernama sama, lihat Taman Baru. Taman BaruKelurahanKantor Kelurahan TamanbaruPeta lokasi Kelurahan Taman BaruNegara IndonesiaProvinsiJawa TimurKabupatenBanyuwangiKecamatanBanyuwangiKodepos68416Kode Kemendagri35.10.16.1017 Kode BPS3510180018 Luas... km2Jumlah penduduk... jiwaKepadatan... jiwa/km2 Kantor Bupati Banyuwangi yang berlokasi di Kelurahan Tamanbaru Masjid Ahmad Dahlan Taman Baru adalah sebuah kelurahan di wilayah Kecamatan Banyuwangi, Kabupaten Banyuwangi,...
Indra Heri Danpusdikif Pussenif TNI-ADPetahanaMulai menjabat 21 Januari 2022PendahuluTatan ArdiantoPenggantiPetahanaKomandan Korem 181/Praja Vira TamaMasa jabatan25 September 2020 – 21 Januari 2022PendahuluYulius SelvanusPenggantiWawan Erawan Informasi pribadiLahir0 Mei 1968 (umur 56)IndonesiaAlma materAkademi Militer (1993)Karier militerPihak IndonesiaDinas/cabang TNI Angkatan DaratMasa dinas1993—sekarangPangkat Brigadir Jenderal TNINRP11930068460568SatuanInfa...
هنودمعلومات عامةنسبة التسمية الهند التعداد الكليالتعداد قرابة 1.21 مليار[1][2]تعداد الهند عام 2011ق. 1.32 مليار[3]تقديرات عام 2017ق. 30.8 مليون[4]مناطق الوجود المميزةبلد الأصل الهند البلد الهند الهند نيبال 4,000,000[5] الولايات المتحدة 3,982,398[6] الإمار...
烏克蘭總理Прем'єр-міністр України烏克蘭國徽現任杰尼斯·什米加尔自2020年3月4日任命者烏克蘭總統任期總統任命首任維托爾德·福金设立1991年11月后继职位無网站www.kmu.gov.ua/control/en/(英文) 乌克兰 乌克兰政府与政治系列条目 宪法 政府 总统 弗拉基米尔·泽连斯基 總統辦公室 国家安全与国防事务委员会 总统代表(英语:Representatives of the President of Ukraine) 总...
Mustafa Akıncı (بالتركية: Mustafa Akıncı) رئيس قبرص الشمالية في المنصب30 أبريل 2015 – 23 أكتوبر 2020 رئيس الوزراء Özkan Yorgancıoğlu درويش إروغلو إرسين تاتار رئيس وزراء الشطر التركي في المنصب1999 – 2001 رئيس الوزراء Derviş Eroğlu عمدة الشطر الشمالي لنيقوسيا في المنصب1976 – 1990 Ziver Kemal Fuat Celalettin معلومات شخ...
This article relies largely or entirely on a single source. Relevant discussion may be found on the talk page.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introducing citations to additional sources.Find sources: 2016 Subic local elections – news · newspapers · books · scholar · JSTOR (August 2022) 2016 Subic local elections ← 2013 May 9, 2016 2019 → Nominee Jay Khonghun Rolando Ampunin Heber Bascon Party SZP PDP–Laban Independen...
Mark RypienRypien nel 2017Nazionalità Canada Altezza193 cm Peso102 kg Football americano RuoloQuarterback SquadraRitirato CarrieraGiovanili Washington State Cougars Squadre di club 1986 - 1993 Washington Redskins1994 Cleveland Browns1995 St. Louis Rams1996 Philadelphia Eagles1997 St. Louis Rams1998* Atlanta Falcons*pre-stagione2001 Indianapolis Colts2002* Seattle Seahawks2006Rochester Raiders(GLIFL) Palmarès Trofeo Vittorie Super Bowl 2 MVP...
UFC 250: Nunes vs. SpencerProdotto da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Data6 giugno 2020 Città Las Vegas SedeUFC APEX Spettatori0[1] Cronologia pay-per-viewUFC on ESPN: Woodley vs. BurnsUFC 250: Nunes vs. SpencerUFC on ESPN: Eye vs. Calvillo Progetto Wrestling Manuale UFC 250: Nunes vs. Spencer è stato un evento di arti marziali miste tenuto dalla 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il 6 giugno 2020 all'UFC APEX di Las Vegas negli Stati Uniti. Risultati Divisione Metodo Round Tempo Premio C...
Brazilian diplomat and politician Marcelo CaleroMarcelo Calero in 2016Secretary of Government and Public Integrity of Rio de JaneiroIn office1 January 2021 – 1 April 2022MayorEduardo PaesPreceded byPaulo Albino Santos SoaresSucceeded byTony ChalitaFederal Deputy for Rio de JaneiroIncumbentAssumed office 1 February 2019Minister of CultureIn office24 May 2016 – 18 November 2016PresidentMichel TemerPreceded byJuca FerreiraSucceeded byRoberto FreireSecretary of Culture o...
45th Rattray's SikhsActive1856–1922CountryIndian EmpireBranchArmyTypeInfantryPart ofBengal Army (to 1895)Bengal CommandNickname(s)Rattray's SikhsColors1859 Drab; faced blue1870 Red; faced light buff 1886 whiteEngagements1857–1859 Indian MutinyDefence of Arrah1858 Afghanistan1878 Ali Masjid Punjab Frontier MalakandMilitary unit The 45th Rattray's Sikhs was an infantry regiment of the British Indian Army. They could trace their origins to the 1st Bengal Military Police Battalion raise...
2nd President of the Dominican Republic (1848–49) In this Spanish name, the first or paternal surname is Jimenes and the second or maternal family name is González. Manuel JimenesPortrait of Manuel Jimenes c. 1840s2nd President of the Dominican RepublicIn officeSeptember 8, 1848 – May 29, 1849Preceded byCouncil of Secretaries of StateSucceeded byBuenaventura BáezGeneral and Minister of WarIn officeNovember 19, 1844 – August 4, 1848 Personal detailsBorn(...
French singer, songwriter and dancer (1939–1978) For the French painter and Recollect Franciscan monk, see Claude François (painter). Claude FrançoisFrançois in 1965Background informationBirth nameClaude Antoine Marie FrançoisAlso known asClocloBorn(1939-02-01)1 February 1939Ismailia, Kingdom of EgyptDied11 March 1978(1978-03-11) (aged 39)Paris, FranceGenresPopOccupation(s)Musician, singer, songwriter, record producer, editor-in-chiefInstrument(s)Vocals, violin, percussion and d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