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두인

싯두인
စစ်တုရင်
싯두인판 및 시작 위치
Years active8세기경 ~ 현재
장르
플레이어2
셋업 타임약 1분
플레이 타임평균 20분에서 몇 시간까지
랜덤 찬스없음

싯두인(버마어: စစ်တုရင် Sittuyin[1])은 8세기 경에 차투랑가에서 직계 파생하여 생겨난 변형 체스 게임의 일종이다. 미얀마(버마)의 장기이다. Sit은 현대 버마어로 "군대" 또는 "전쟁"을 뜻한다. sittuyin이라는 단어는 "군대의 네 가지 특성(전차, 코끼리, 기병, 보병)의 표현"으로 번역될 수 있다.

본토에서는 이 게임이 서양(국제) 체스에 의해 크게 가려졌지만 북서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인기가 있다.[2]

싯두인판은 64개의 칸, 8행 8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스처럼 색상이 번갈아 표시되지 않고 선으로 구분된다. 판에는 sit-ke-myin (버마어: စစ်ကဲမျဉ်း, 장군의 선)으로 알려진 모서리 사이를 잇는 두 개의 대각선이 있다.

기물 및 행마법

기물은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지며 때로는 상아로 만들어진다. 기물의 높이는 등급에 따라 다르다. 기물의 공식 색상은 빨간색과 검정색이다.

  • 민지 (Min-gyi, 버마어: မင်းကြီး, 玉)는 체스의 에 해당하며, 행마는 아무 방향으로 한 칸 움직일 수 있다.
싯케의 행마법
신의 행마법
  • 싯케(Sit-ke, 버마어: စစ်ကဲ, 將)는 체스의 에 해당하며, 행마는 샤트란지의 퍼즈와 마찬가지로 대각선으로 1칸 움직일 수 있다.
  • (Sin, 버마어: ဆင်, 象)은 체스의 비숍 또는 장기의 에 해당하며, 행마는 쇼기의 은장과 마찬가지로 대각선 및 전방으로 1칸 움직일 수 있다.
  • (Myin, 버마어: မြင်း, 馬)은 체스의 나이트, 장기의 에 해당하며, 행마는 체스의 나이트와 마찬가지로 두 칸 앞으로 간 후 대각선 한 칸 움직일 수 있으며, 중간의 기물을 뛰어넘어 갈 수 있다.
  • 야타(Yahhta, 버마어: ရထား, 車)는 체스의 , 장기의 에 해당하며, 행마는 체스의 룩과 마찬가지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 (Nè, 버마어: နယ်, 兵)는 체스의 폰에 해당하며, 앞으로 한 칸 갈 수 있고, 뒤나 옆으로는 갈수 없다. 상대의 기물을 잡을 경우에는 대각선 앞으로 한 칸 간다.

규칙

설정 단계가 완료된 후 위치

초기 위치에는 '네'(폰)만 판에 있다. 게임은 빨간색 플레이어(여기에는 흰색 기물로 묘사)로 시작하고 검은색 플레이어가 이어서 다른 기물을 판의 절반에 여덟 수 동안 아무데로나 배치한다(싯티(sit-tee) 또는 병력 배치라고 함). '야타'는 바닥 줄의 어느 칸에나 놓을 수 있다. 정식 대회에서는 "싯티" 단계에서 선수들이 서로 배치되는 것을 보지 못하도록 판의 가운데에 가림판을 사용한다. 가능한 게임 오프닝 중 하나가 도표에 나와 있다.

'네'는 판에 표시된 대각선상에 도달했을 때 '싯케'로 승격할 수 있다. 승격은 그 선수의 싯케가 잡혔을 때만 가능하다. 만약 선수가 승격 칸에 '네'가 있고 이들의 싯케가 더 이상 판에 없다면, 선수는 (원하는 경우) 움직이는 대신 '네'를 장군으로 승격시킬 수 있다. 승격 칸을 통과한 '네'는 더 이상 승격할 수 없다.

게임의 목표는 외통수이며, 스테일메이트는 패배이다.

1913년 머레이 저 《체스의 역사》에 보고된 버전에서는 시투인 게임이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각각 8개의 동작: 위에서 설명한 sit-tee 단계이지만 '야타' 배치에는 제한이 없다. 머레이는 커튼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플레이어는 자신의 폰 중 하나가 있던 곳에 말을 놓을 수 있고, 같은 동작으로 해당 폰을 자신의 폰 줄 뒤의 자유 사각형에 놓을 수 있다.
  2. 두 번째 단계: 각 이동에서 각 플레이어는 일반적인 이동 규칙을 무시하고 자신의 말(폰 제외) 중 하나를 보드의 자신의 절반에 있는 다른 빈 장소로 이동한다. 또는 폰을 한 칸 앞으로 이동하면 두 번째 단계가 끝나고 세 번째 단계가 시작된다.
  3. 평범한 플레이, 기물 움직임에 대한 기본적 규칙을 따른다.

주사위 규칙

앤 선넉스는 어떤 변형에서는 주사위를 3개씩 던져서 각 플레이어가 한 번에 3개씩 움직였다고 쓰고 있다.[3]

같이 보기

각주

  1. 버마어가 보이지 않는 환경을 위해 그림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Pritchard (1994), p. 31
  3. Anne Sunnucks, The Encyclopaedia of Chess, St. Martin's Press, 1970, pp. 97–98.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