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성 리 대수
팔원수 에 대응되는 삼중성 리 대수
d
4
=
o
(
8
)
=
t
r
i
(
O
)
{\displaystyle {\mathfrak {d}}_{4}={\mathfrak {o}}(8)={\mathfrak {tri}}(\mathbb {O} )}
의 딘킨 도표 는 삼중성에 의하여 Sym(3) 대칭을 갖는다.
추상대수학 에서 삼중성 리 대수 (三重性Lie代數, 영어 : triality Lie algebra )는 합성 대수 로부터 정의되는, 3차 대칭군 의 작용 을 갖는 특별한 리 대수 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팔원수 로부터 정의되는 실수 리 대수
o
(
8
)
{\displaystyle {\mathfrak {o}}(8)}
이며, 이에 따라 이 리 대수의 8차원 벡터 표현 및 8차원 왼쪽·오른쪽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들이 서로 삼중성 아래 순열 로 변환한다.
정의
K
{\displaystyle K}
가 2와 3이 가역원인 체 라고 하자.
K
{\displaystyle K}
위의 합성 대수
A
{\displaystyle A}
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하자.
t
r
i
(
A
)
=
{
(
A
,
B
,
C
)
∈ ∈ -->
o
(
A
,
Q
)
⊕ ⊕ -->
3
: : -->
A
(
x
⋆ ⋆ -->
y
)
=
x
⋆ ⋆ -->
B
y
+
C
x
⋆ ⋆ -->
y
∀ ∀ -->
x
,
y
∈ ∈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A,B,C)\in {\mathfrak {o}}(A,Q)^{\oplus 3}\colon A(x\star y)=x\star By+Cx\star y\qquad \forall x,y\in A\}}
여기서
o
(
A
,
Q
)
{\displaystyle {\mathfrak {o}}(A,Q)}
는
A
{\displaystyle A}
의 이차 형식
Q
: : -->
A
→ → -->
K
{\displaystyle Q\colon A\to K}
(에 대응하는 대칭 쌍선형 형식 )에 대한 직교 리 대수 이다.
이는
o
(
A
,
Q
)
⊕ ⊕ -->
3
{\displaystyle {\mathfrak {o}}(A,Q)^{\oplus 3}}
의 부분 리 대수 를 이룬다. 이를
A
{\displaystyle A}
의 삼중성 리 대수 라고 하며,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로 표기한다.[ 1] :§4.1 [ 2] :18–24
이는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동형 사상을 갖는다.
t
r
i
(
A
)
≅ ≅ -->
d
e
r
(
A
)
⊕ ⊕ -->
Im
-->
(
A
)
⊕ ⊕ -->
Im
-->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cong {\mathfrak {der}}(A)\oplus \operatorname {Im} (A)\oplus \operatorname {Im} (A)}
증명:
각
a
∈ ∈ -->
A
{\displaystyle a\in A}
에 대하여, 교환자
[
x
,
y
,
z
]
=
(
x
⋆ ⋆ -->
y
)
z
− − -->
x
(
y
⋆ ⋆ -->
z
)
{\displaystyle [x,y,z]=(x\star y)z-x(y\star z)}
를 정의하면, 교대 법칙에 의하여
[
a
,
x
,
y
]
+
[
x
,
a
,
y
]
=
0
{\displaystyle [a,x,y]+[x,a,y]=0}
이며, 이는
(
L
a
,
− − -->
L
a
,
L
a
+
R
a
)
∈ ∈ -->
t
r
i
(
A
)
∀ ∀ -->
a
∈ ∈ -->
A
{\displaystyle ({\mathsf {L}}_{a},-{\mathsf {L}}_{a},{\mathsf {L}}_{a}+{\mathsf {R}}_{a})\in {\mathfrak {tri}}(A)\qquad \forall a\in A}
로 번역된다. 마찬가지로
[
x
,
y
,
b
]
+
[
x
,
b
,
y
]
=
0
{\displaystyle [x,y,b]+[x,b,y]=0}
은
(
R
b
,
L
b
+
R
b
,
− − -->
R
b
)
∈ ∈ -->
t
r
i
(
A
)
{\displaystyle ({\mathsf {R}}_{b},{\mathsf {L}}_{b}+{\mathsf {R}}_{b},-{\mathsf {R}}_{b})\in {\mathfrak {tri}}(A)}
로 번역된다. 이들은 각각 선형 변환
K
↪ ↪ -->
t
r
i
(
A
)
{\displaystyle K\hookrightarrow {\mathfrak {tri}}(A)}
를 정의한다.
이에 따라,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d
e
r
(
A
)
⊕ ⊕ -->
K
⊕ ⊕ -->
K
→ → -->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oplus K\oplus K\to {\mathfrak {tri}}(A)}
(
δ δ -->
,
a
,
b
)
↦ ↦ -->
(
δ δ -->
,
0
,
0
)
+
(
L
a
,
− − -->
L
a
,
L
a
+
R
a
)
+
(
R
b
,
L
b
R
b
,
− − -->
R
b
)
{\displaystyle (\delta ,a,b)\mapsto (\delta ,0,0)+({\mathsf {L}}_{a},-{\mathsf {L}}_{a},{\mathsf {L}}_{a}+{\mathsf {R}}_{a})+({\mathsf {R}}_{b},{\mathsf {L}}_{b}{\mathsf {R}}_{b},-{\mathsf {R}}_{b})}
이 존재한다. 또한, 이는 왼쪽 역사상
(
A
,
B
,
C
)
↦ ↦ -->
(
A
− − -->
L
a
+
R
b
,
a
,
b
)
{\displaystyle (A,B,C)\mapsto (A-{\mathsf {L}}_{a}+{\mathsf {R}}_{b},a,b)}
a
=
1
3
B
(
1
)
+
2
3
C
(
1
)
{\displaystyle a={\frac {1}{3}}B(1)+{\frac {2}{3}}C(1)}
b
=
2
3
B
(
1
)
+
1
3
C
(
1
)
{\displaystyle b={\frac {2}{3}}B(1)+{\frac {1}{3}}C(1)}
를 갖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왼쪽 역사상 은 단사 함수 인 것을 다음과 같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B
(
y
)
=
A
(
1
⋆ ⋆ -->
y
)
− − -->
C
(
1
)
⋆ ⋆ -->
y
{\displaystyle B(y)=A(1\star y)-C(1)\star y}
C
(
x
)
=
A
(
x
⋆ ⋆ -->
1
)
− − -->
x
⋆ ⋆ -->
B
(
1
)
{\displaystyle C(x)=A(x\star 1)-x\star B(1)}
성질
3차 대칭군의 작용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위에는 다음과 같은 자기 동형 이 존재한다.
θ θ -->
,
ζ ζ -->
: : -->
t
r
i
(
A
)
→ → -->
t
r
i
(
A
)
{\displaystyle \theta ,\zeta \colon {\mathfrak {tri}}(A)\to {\mathfrak {tri}}(A)}
θ θ -->
: : -->
(
A
,
B
,
C
)
↦ ↦ -->
(
B
∗ ∗ -->
,
C
,
A
∗ ∗ -->
)
{\displaystyle \theta \colon (A,B,C)\mapsto (B^{*},C,A^{*})}
ζ ζ -->
: : -->
(
A
,
B
,
C
)
↦ ↦ -->
(
A
∗ ∗ -->
,
C
∗ ∗ -->
,
B
∗ ∗ -->
)
{\displaystyle \zeta \colon (A,B,C)\mapsto (A^{*},C^{*},B^{*})}
여기서
A
∗ ∗ -->
(
x
)
=
(
A
(
x
∗ ∗ -->
)
)
∗ ∗ -->
{\displaystyle A^{*}(x)=(A(x^{*}))^{*}}
를 뜻한다. 그렇다면,
θ θ -->
2
: : -->
(
A
,
B
,
C
)
↦ ↦ -->
(
C
∗ ∗ -->
,
A
∗ ∗ -->
,
B
)
{\displaystyle \theta ^{2}\colon (A,B,C)\mapsto (C^{*},A^{*},B)}
θ θ -->
3
=
ζ ζ -->
2
=
id
{\displaystyle \theta ^{3}=\zeta ^{2}=\operatorname {id} }
ζ ζ -->
∘ ∘ -->
θ θ -->
=
θ θ -->
2
∘ ∘ -->
ζ ζ -->
: : -->
(
A
,
B
,
C
)
↦ ↦ -->
(
B
,
A
,
C
∗ ∗ -->
)
{\displaystyle \zeta \circ \theta =\theta ^{2}\circ \zeta \colon (A,B,C)\mapsto (B,A,C^{*})}
θ θ -->
∘ ∘ -->
ζ ζ -->
=
ζ ζ -->
∘ ∘ -->
θ θ -->
2
: : -->
(
A
,
B
,
C
)
↦ ↦ -->
(
C
,
B
∗ ∗ -->
,
A
)
{\displaystyle \theta \circ \zeta =\zeta \circ \theta ^{2}\colon (A,B,C)\mapsto (C,B^{*},A)}
가 된다. 즉, 이는 군 준동형
Sym
-->
(
3
)
→ → -->
Aut
-->
(
t
r
i
(
A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3)\to \operatorname {Aut} ({\mathfrak {tri}}(A))}
를 정의한다 (
Sym
-->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3)}
은 3차 대칭군 ). 이를 삼중성 (영어 : triality )이라고 한다.
또한,
d
e
r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
와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사이에,
Im
-->
(
A
)
⊕ ⊕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A)^{\oplus 2}}
의 대각 성분으로 구성되는, 벡터 공간 으로서
d
e
r
(
A
)
⊕ ⊕ -->
Im
-->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oplus \operatorname {Im} (A)}
인 리 대수
t
r
i
′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가 존재한다. 이 위에는
Sym
-->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3)}
삼중성이
Sym
-->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
이중성으로 깨지게 된다.
프로이덴탈 마방진과의 관계
두 실수 합성 대수
A
{\displaystyle A}
,
B
{\displaystyle B}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실수 벡터 공간 동형 사상 이 존재한다.[ 1] :Theorem 4.4, §4.3
f
r
e
u
d
(
3
;
A
,
B
)
≅ ≅ -->
t
r
i
(
A
)
⊕ ⊕ -->
t
r
i
(
B
)
⊕ ⊕ -->
(
A
⊗ ⊗ -->
R
B
)
⊕ ⊕ -->
3
{\displaystyle {\mathfrak {freud}}(3;A,B)\cong {\mathfrak {tri}}(A)\oplus {\mathfrak {tri}}(B)\oplus (A\otimes _{\mathbb {R} }B)^{\oplus 3}}
여기서
f
r
e
u
d
(
3
;
A
,
B
)
{\displaystyle {\mathfrak {freud}}(3;A,B)}
는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로 정의되는 3×3 프로이덴탈 마방진 실수 리 대수 이다. 특히, 우변에서
t
r
i
(
A
)
⊕ ⊕ -->
t
r
i
(
B
)
{\displaystyle {\mathfrak {tri}}(A)\oplus {\mathfrak {tri}}(B)}
는
f
r
e
u
d
(
3
;
A
,
B
)
{\displaystyle {\mathfrak {freud}}(3;A,B)}
의 부분 리 대수 를 이룬다.
또한, 임의의 실수 합성 대수
A
{\displaystyle A}
에 대하여, 그 위의 3×3 에르미트 행렬 로 구성된 실수 요르단 대수
H
-->
(
3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3;A)}
의 미분 리 대수 는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실수 벡터 공간 동형 사상 을 갖는다.[ 1] :Theorem 4.1, §4.1
d
e
r
(
H
-->
(
3
;
A
)
)
≅ ≅ -->
t
r
i
(
A
)
⊕ ⊕ -->
A
⊕ ⊕ -->
3
{\displaystyle {\mathfrak {der}}(\operatorname {H} (3;A))\cong {\mathfrak {tri}}(A)\oplus A^{\oplus 3}}
특히, 우변에서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는
d
e
r
(
H
-->
(
3
;
A
)
)
{\displaystyle {\mathfrak {der}}(\operatorname {H} (3;A))}
의 부분 리 대수 이다.
예
실수 합성 대수 에 대하여, 삼중성 리 대수는 다음과 같다.
실수 합성 대수
A
{\displaystyle A}
d
e
r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
t
r
i
′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t
r
i
(
A
)
{\displaystyle {\mathfrak {tri}}(A)}
R
{\displaystyle \mathbb {R} }
0
0
0
C
{\displaystyle \mathbb {C} }
0
o
(
2
)
{\displaystyle {\mathfrak {o}}(2)}
o
(
2
)
⊕ ⊕ -->
2
{\displaystyle {\mathfrak {o}}(2)^{\oplus 2}}
C
~ ~ -->
{\displaystyle {\tilde {\mathbb {C} }}}
0
o
(
1
,
1
)
{\displaystyle {\mathfrak {o}}(1,1)}
o
(
1
,
1
)
⊕ ⊕ -->
2
{\displaystyle {\mathfrak {o}}(1,1)^{\oplus 2}}
H
{\displaystyle \mathbb {H} }
o
(
3
)
{\displaystyle {\mathfrak {o}}(3)}
o
(
4
)
{\displaystyle {\mathfrak {o}}(4)}
o
(
3
)
⊕ ⊕ -->
3
{\displaystyle {\mathfrak {o}}(3)^{\oplus 3}}
H
~ ~ -->
{\displaystyle {\tilde {\mathbb {H} }}}
o
(
1
,
2
)
{\displaystyle {\mathfrak {o}}(1,2)}
o
(
2
,
2
)
{\displaystyle {\mathfrak {o}}(2,2)}
o
(
1
,
2
)
⊕ ⊕ -->
3
{\displaystyle {\mathfrak {o}}(1,2)^{\oplus 3}}
O
{\displaystyle \mathbb {O} }
g
2
{\displaystyle {\mathfrak {g}}_{2}}
o
(
7
)
{\displaystyle {\mathfrak {o}}(7)}
o
(
8
)
{\displaystyle {\mathfrak {o}}(8)}
O
~ ~ -->
{\displaystyle {\tilde {\mathbb {O} }}}
g
2
(
2
)
{\displaystyle {\mathfrak {g}}_{2(2)}}
o
(
3
,
4
)
{\displaystyle {\mathfrak {o}}(3,4)}
o
(
4
,
4
)
{\displaystyle {\mathfrak {o}}(4,4)}
여기서
C
~ ~ -->
=
R
⊕ ⊕ -->
R
{\displaystyle {\tilde {\mathbb {C} }}=\mathbb {R} \oplus \mathbb {R} }
,
H
~ ~ -->
=
Mat
-->
(
2
,
R
)
{\displaystyle {\tilde {\mathbb {H} }}=\operatorname {Mat} (2,\mathbb {R} )}
,
O
~ ~ -->
=
Zorn
-->
(
R
)
{\displaystyle {\tilde {\mathbb {O} }}=\operatorname {Zorn} (\mathbb {R} )}
는 각각 분할복소수 · 분할 사원수 · 분할 팔원수의 실수 합성 대수 이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