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냉전, 탈식민지화의 일부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의 몽타주
날짜1966년 8월 26일~ 1990년 3월 21일
장소
결과

일시적 정전[18][19]

교전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휘관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또는 나미비아 독립 전쟁, 때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앙골라 부시 전쟁이라 불리는 이 전쟁은 남서아프리카잠비아, 앙골라에서 1966년 8월 26일부터 1990년 3월 21일까지 발생한 국지전이다. 남아프리카 연방군과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의 군대인 나미비아 인민해방군의 충돌로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몇몇 큰 전투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고, 동시대 분쟁이었던 앙골라 내전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유엔국제 사법 재판소가 수십 년간 나미비아의 독립에 대한 비성공적인 탄원 이후 남서아프리카 인민 기구가 소련, 중화인민공화국을 비롯한 공산권과 동정적 여론을 지닌 탄자니아, 가나, 알제리 등의 물자 지원으로 1962년 창립되었다.[23]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과 남아프리카 연방 정부와의 충돌이 1966년 8월 발발했다. 1975년부터 1988년까지 남아프리카 연방군은 나미비아 인민해방군의 전진기지를 파괴하기 위해 앙골라와 잠비아에 대규모 전통적 기습 작전을 수행했다.[24] 남아프리카 연방군은 외부 수색 및 게릴라 운동을 색출하는 제32대대와 코에보엣 부대를 파견했다.[25]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전략은 전쟁이 진행될 수록 더욱 공격적으로 바뀌었다.[24]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침투로 앙골라 국민들 내에서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앙골라 경제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제 기반 시설들이 부차적으로 파괴되기도 했다.[26] 이러한 공습을 멈추고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과 남아프리카 연방군 사이 동맹을 파괴하기 위해[27] 소련은 1980년대에 최신 방어기술로 구성된 약 40억 달러의 자산과 수많은 군사 고문관을 파견해 앙골라 인민해방군을 지원했다.[28] 1984년부터 소련군이 지휘하는 앙골라 정규군이 남아프리카 연방군에 맞설 정도로 자신감이 생기기 시작했다.[28] 이 무렵 쿠바도 앙골라에 개입했기 때문에 이들의 자신감은 더욱 상승했다.[28] 남아프리카 연방과 앙골라 간의 전쟁은 루사카 협정으로 짧게 나마 종결되었지만 나미비아 인민해방전선과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이 휴전 기간 동안 유격활동을 극대화하며 이익을 취하자 전쟁은 재개되었다.[26]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미국의 중재로 체결된 앙골라 삼자협상으로 종결되었고, 이 협정에서 쿠바의 앙골라 철수와 남아공의 남서아프리카 철수가 합의되었다.[29] PLAN은 1989년 3월 유격전을 개시했다.[30] 남서아프리카는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했다.[19]

이웃 국가와의 대규모 전쟁에도 불구하고 남아프리카 국경 분쟁은 남아프리카 사회에 문화 및 정치적으로 경이로운 영향을 미쳤다.[31]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소련의 지역적 확장주의에 맞선 봉쇄 정책의 일부로 전쟁을 수행했고,[32] 국민의 반공 감정을 적극적으로 고양시키려 했다.[33] 남아프리카 문학에서 일시적으로 통합적 주제로 이 전쟁을 다뤘고, 아프리카어는 국경 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 범주를 탄생시켰다.[26]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Domínguez, Jorge (1989).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Cuba's Foreign Polic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14–120, 168–169쪽. ISBN 978-0674893252. 
  2. “Rhodesian Insurgency – Part 2”. Rhodesia.nl. 2013년 1월 15일에 확인함. 
  3.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988. Page 140-147
  4. SWAPO Information Bulletin," 1983. Page 37.
  5. Hughes, Geraint (2014). 《My Enemy's Enemy: Proxy Warfare in International Politics》. Brighton: Sussex Academic Press. 73–86쪽. ISBN 978-1845196271. 
  6.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988. Page 70.
  7. Polack, Peter (2013년 12월 13일). 《The Last Hot Battle of the Cold War: South Africa vs. Cuba in the Angolan Civil War》 illurat판. Casemate Publishers. 66–83쪽. ISBN 9781612001951. 2015년 2월 25일에 확인함. 
  8. AAPSO Presidium Committee on Africa held in Algeria, 17–18 February 1985, 1985. Page 26.
  9. David A. Granger. “Forbes Burnham and the Liberation of Southern Africa” (PDF).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일에 확인함. 
  10. Interparliamentary Union Conference, Sofia, Bulgaria: Report of the United States Delegation to the 64th Conference of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Held at Sofia, Bulgaria, 21–30 September 1977. Page 42
  11. Record of Proceedings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6, 1982. Page 4.
  12. Tanzania: A Political Economy, 2013. Page 355.
  13. SWAPO and the Struggle for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Namibia, 1980. Page 33.
  14. Abegunrin, Olayiwola (1997). 《Nigerian Foreign Policy Under Military Rule, 1966-1999》.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Publishers. 93쪽. ISBN 978-0275978815. 
  15. The Foreign Policy of Yugoslavia, 1973–1980, 1980. Page 125
  16. Yugoslavia in the 1980s, 1985. Page 265.
  17. Namibia: The Road to Self-government, 1979. Page 41.
  18. Vanneman, Peter (1990). 《Soviet Strategy in Southern Africa: Gorbachev's Pragmatic Approach》.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41–44쪽. ISBN 978-0817989026. 
  19. Hampson, Fen Osler (1996). 《Nurturing Peace: Why Peace Settlements Succeed Or Fail》. Stanford: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53–70쪽. ISBN 978-1878379573. 
  20. Fryxell, Cole. 《To Be Born a Nation》. 13쪽. 
  21. Lulat, Y.G.M. (1992).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South Africa: A Critical Overview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orporated. 143–146, 210쪽. ISBN 978-0820479071. 
  22. Cann, John (2015). 《Flight Plan Africa: Portuguese Airpower in Counterinsurgency, 1961–1974》. Solihull: Helion & Company. 362–363쪽. ISBN 978-1909982062. 
  23. Hooper, Jim (2013) [1988]. 《Koevoet! Experiencing South Africa's Deadly Bush War》. Solihull: Helion and Company. 86–93쪽. ISBN 978-1868121670. 
  24. Clayton, Anthony (1999).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Philadelphia: UCL Press, Limited. 120–124쪽. ISBN 978-1857285253. 
  25. Stapleton, Timothy (2013). 《A Military History of Africa》. Santa Barbara: ABC-CLIO. 251–257쪽. ISBN 978-0313395703. 
  26. Jacklyn Cock, Laurie Nathan (1989). 《War and Society: The Militarisation of South Africa》. New Africa Books. 124–276쪽. ISBN 978-0-86486-115-3. 
  27. Weigert, Stephen (2011). 《Angola: A Modern Military History》. Basingstoke: Palgrave-Macmillan. 71–72쪽. ISBN 978-0230117778. 
  28. Blank, Stephen (1991). 《Responding to Low-Intensity Conflict Challenges》. Montgomery: Air University Press. 223–236쪽. ISBN 978-0160293320. 
  29. Harris, Geoff (1999). 《Recovery from Armed Conflict in Developing Countries: An Economic and Political Analysis》. Oxfordshire: Routledge Books. 262–264쪽. ISBN 978-0415193795. 
  30. Hearn, Roger (1999). 《UN Peacekeeping in Action: The Namibian Experience》. Commack,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89–95쪽. ISBN 978-1-56072-653-1. 
  31. Du Preez, Max (2011). 《Pale Native: Memories of a Renegade Reporter》. Cape Town: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88–90쪽. ISBN 978-1770220607. 
  32. Mashiri, Mac; Shaw, Timothy (1989). 《Africa in World Politics: Into the 1990s》. Basingstoke: Palgrave-Macmillan. 208–209쪽. ISBN 978-0333429310. 
  33. Baines, Gary (2014). 《South Africa's 'Border War': Contested Narratives and Conflicting Memories》. London: Bloomsbury Academic. 1–4, 138–140쪽. ISBN 978-1472509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