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해서는
그래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개의 꼭짓점 과 7개의 변을 갖는 그래프
수학 에서 그래프 (영어 : graph , 문화어 : 그라프)는 일련의 꼭짓점 들과 그 사이를 잇는 변들로 구성된 조합론 적 구조이다. 그래프를 연구하는 수학의 분야를 그래프 이론 이라고 한다. “그래프”라는 용어는 1878년 J. J. 실베스터 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 [ 2]
정의
그래프
(
V
,
∼ ∼ -->
)
{\displaystyle (V,\sim )}
는 집합
V
{\displaystyle V}
와
V
{\displaystyle V}
위의 반사 대칭관계
∼ ∼ -->
{\displaystyle \sim }
의 순서쌍 이다. 그래프
(
V
,
∼ ∼ -->
)
{\displaystyle (V,\sim )}
의 꼭짓점 (-點, 영어 : vertex 버텍스[* ] )은
V
{\displaystyle V}
의 원소이며,
u
,
v
∈ ∈ -->
V
{\displaystyle u,v\in V}
에 대하여
u
∼ ∼ -->
v
{\displaystyle u\sim v}
라면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가 인접 (영어 : adjacent )한다고 한다.
두 그래프
G
,
H
{\displaystyle G,H}
사이의 준동형 (영어 : homomorphism )
ϕ ϕ -->
: : -->
G
→ → -->
H
{\displaystyle \phi \colon G\to H}
은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함수
V
(
G
)
→ → -->
V
(
H
)
{\displaystyle V(G)\to V(H)}
이다.
임의의
u
,
v
∈ ∈ -->
V
(
G
)
{\displaystyle u,v\in V(G)}
에 대하여,
u
∼ ∼ -->
v
{\displaystyle u\sim v}
라면
ϕ ϕ -->
(
u
)
∼ ∼ -->
ϕ ϕ -->
(
v
)
{\displaystyle \phi (u)\sim \phi (v)}
모형 이론 의 관점에서, 그래프는 (반사 법칙 ·대칭 법칙 을 만족시키는) 이항 관계
∼ ∼ -->
{\displaystyle \sim }
가 주어진 구조 이며, 이 경우 그래프의 준동형은 구조의 준동형이다. 범주론 의 관점에서, 그래프의 범주
Graph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ph} }
는 다음과 같은 쉼표 범주 이다.
Graph
=
Set
↓ ↓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ph} =\operatorname {Set} \downarrow F}
여기서 함자
F
: : -->
Set
→ → -->
Set
{\displaystyle F\colon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Set} }
는
F
(
S
)
=
S
× × -->
S
∖ ∖ -->
{
(
s
,
s
)
: : -->
s
∈ ∈ -->
S
}
(
s
1
,
s
2
)
∼ ∼ -->
(
s
2
,
s
1
)
∀ ∀ -->
s
1
,
s
2
∈ ∈ -->
S
{\displaystyle F(S)={\frac {S\times S\setminus \{(s,s)\colon s\in S\}}{(s_{1},s_{2})\sim (s_{2},s_{1})\forall s_{1},s_{2}\in S}}}
F
(
f
: : -->
S
→ → -->
T
)
: : -->
{
s
1
,
s
2
}
↦ ↦ -->
{
f
(
s
1
)
,
f
(
s
2
)
}
{\displaystyle F(f\colon S\to T)\colon \{s_{1},s_{2}\}\mapsto \{f(s_{1}),f(s_{2})\}}
이다.
그래프는 표준적으로 CW 복합체 의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그래프의 각 꼭짓점은 0-세포에, 변은 1-세포에 대응한다.
기본 정의
(
V
,
∼ ∼ -->
)
{\displaystyle (V,\sim )}
의 변 (영어 : edge 에지[* ] )
{
v
1
,
v
2
}
{\displaystyle \{v_{1},v_{2}\}}
은
v
1
∼ ∼ -->
v
2
{\displaystyle v_{1}\sim v_{2}}
이지만
v
1
≠ ≠ -->
v
2
{\displaystyle v_{1}\neq v_{2}}
인 두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집합이며, 흔히
v
1
v
2
{\displaystyle v_{1}v_{2}}
로 표기한다. 그래프
G
=
(
V
,
∼ ∼ -->
)
{\displaystyle G=(V,\sim )}
의 꼭짓점의 집합은
V
(
G
)
{\displaystyle V(G)}
로, 변의 집합은
E
(
G
)
{\displaystyle E(G)}
로 표기한다.
그래프
G
{\displaystyle G}
의 꼭짓점
v
∈ ∈ -->
V
(
G
)
{\displaystyle v\in V(G)}
의 차수 (영어 : degree )
deg
-->
v
{\displaystyle \deg v}
는 기수
deg
-->
v
=
|
{
u
∈ ∈ -->
V
(
G
)
: : -->
u
∼ ∼ -->
v
}
∖ ∖ -->
{
v
}
|
{\displaystyle \deg v=|\{u\in V(G)\colon u\sim v\}\setminus \{v\}|}
이다. 그래프
G
{\displaystyle G}
의 최대 차수
Δ Δ -->
(
G
)
{\displaystyle \Delta (G)}
는
Δ Δ -->
(
G
)
=
sup
v
∈ ∈ -->
V
(
G
)
deg
-->
(
v
)
{\displaystyle \Delta (G)=\sup _{v\in V(G)}\deg(v)}
이다.
두 그래프 사이의 전단사 준동형을 동형사상 이라고 하며, 동형사상이 존재하는 두 그래프를 서로 동형 이라고 한다. 만약
ι ι -->
: : -->
G
→ → -->
H
{\displaystyle \iota \colon G\to H}
가 단사준동형이라면,
G
{\displaystyle G}
를
H
{\displaystyle H}
의 부분 그래프 라고 한다. 또한, 만약
u
,
v
∈ ∈ -->
G
{\displaystyle u,v\in G}
에 대하여
u
∼ ∼ -->
v
⟺ ⟺ -->
ϕ ϕ -->
(
u
)
∼ ∼ -->
ϕ ϕ -->
(
v
)
{\displaystyle u\sim v\iff \phi (u)\sim \phi (v)}
라면,
G
{\displaystyle G}
가
H
{\displaystyle H}
의 유도 부분 그래프 라고 한다.
꼭짓점의 집합이 유한 집합 인 그래프를 유한 그래프 라고 한다.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유한한 그래프를 국소 유한 그래프 (영어 : locally finite graph )라고 한다. CW 복합체 인 위상 공간 )으로서 연결 공간 인 그래프를 연결 그래프 라고 한다.
성질
어떤 그래프에 있는 모든 꼭짓점 차수의 합은 이 그래프가 가진 변의 수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꼭짓점 차수의 합은 짝수가 되면, 차수가 홀수인 꼭짓점의 수도 짝수가 된다는 성질을 가진다.
범주론적 성질
그래프의 범주는 그로텐디크 준토포스 를 이룬다. 특히, 그래프의 범주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이 범주는 부분 대상 분류자 를 갖지 않아, 토포스 가 아니다.
그래프의 범주
Graph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ph} }
는 그래프를 그 꼭짓점 집합으로 대응시키는 망각 함자
V
: : -->
Graph
→ → -->
Set
{\displaystyle V\colon \operatorname {Graph} \to \operatorname {Set} }
를 갖는다. 이 함자는 극한과 쌍대극한을 보존시키며, 왼쪽·오른쪽 수반 함자 를 갖는다.
K
¯ ¯ -->
⊣ ⊣ -->
V
⊣ ⊣ -->
K
{\displaystyle {\bar {K}}\dashv V\dashv K}
여기서
K
: : -->
Set
→ → -->
Graph
{\displaystyle K\colon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Graph} }
는 완전 그래프 함자이며,
K
¯ ¯ -->
: : -->
Set
→ → -->
Graph
{\displaystyle {\bar {K}}\colon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Graph} }
는 무변 그래프 (완전 그래프 의 여 그래프 ) 함자이다.
그래프의 범주에서, 쌍대곱 은 그래프의 분리합집합
G
⊔ ⊔ -->
H
{\displaystyle G\sqcup H}
이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V
(
G
⊔ ⊔ -->
H
)
=
V
(
G
)
⊔ ⊔ -->
V
(
H
)
{\displaystyle V(G\sqcup H)=V(G)\sqcup V(H)}
u
∼ ∼ -->
v
⟺ ⟺ -->
(
u
,
v
∈ ∈ -->
V
(
G
)
∧ ∧ -->
u
∼ ∼ -->
G
v
)
∨ ∨ -->
(
u
,
v
∈ ∈ -->
V
(
H
)
∧ ∧ -->
u
∼ ∼ -->
H
v
)
{\displaystyle u\sim v\iff (u,v\in V(G)\land u\sim _{G}v)\lor (u,v\in V(H)\land u\sim _{H}v)}
그래프의 범주에서, 곱 은 텐서곱 (영어 : tensor product )
G
× × -->
H
{\displaystyle G\times H}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
V
(
G
× × -->
H
)
=
V
(
G
)
× × -->
V
(
H
)
{\displaystyle V(G\times H)=V(G)\times V(H)}
(
u
1
,
u
2
)
∼ ∼ -->
(
v
1
,
v
2
)
⟺ ⟺ -->
u
1
∼ ∼ -->
v
1
∧ ∧ -->
u
2
∼ ∼ -->
v
2
{\displaystyle (u_{1},u_{2})\sim (v_{1},v_{2})\iff u_{1}\sim v_{1}\land u_{2}\sim v_{2}}
그래프의 범주에서, 시작 대상 은 공 그래프
∅ ∅ -->
{\displaystyle \varnothing }
이다 (
V
(
∅ ∅ -->
)
=
E
(
∅ ∅ -->
)
=
∅ ∅ -->
{\displaystyle V(\varnothing )=E(\varnothing )=\varnothing }
). 그래프의 범주에서, 끝 대상 은 하나의 꼭짓점만을 갖는 그래프
K
1
{\displaystyle K_{1}}
이다.
데카르트 닫힌 범주 로서, 두 그래프
G
,
H
{\displaystyle G,H}
사이의 지수 대상
H
G
{\displaystyle H^{G}}
은 다음과 같다.
V
(
H
G
)
=
hom
Graph
-->
(
G
,
H
)
{\displaystyle V(H^{G})=\hom _{\operatorname {Graph} }(G,H)}
ϕ ϕ -->
χ χ -->
∈ ∈ -->
E
(
H
G
)
⟺ ⟺ -->
∀ ∀ -->
u
,
v
∈ ∈ -->
V
(
G
)
: : -->
u
∼ ∼ -->
v
⟹ ⟹ -->
ϕ ϕ -->
(
u
)
∼ ∼ -->
χ χ -->
(
v
)
{\displaystyle \phi \chi \in E(H^{G})\iff \forall u,v\in V(G)\colon u\sim v\implies \phi (u)\sim \chi (v)}
또한, 이 범주는 자연수 대상
K
¯ ¯ -->
(
N
)
{\displaystyle {\bar {K}}(\mathbb {N} )}
을 갖는다. 이는 자연수 집합에 대한 무변 그래프 이다. 이 경우, 바로 다음 수 함수
s
: : -->
K
¯ ¯ -->
(
N
)
→ → -->
K
¯ ¯ -->
(
N
)
{\displaystyle s\colon {\bar {K}}(\mathbb {N} )\to {\bar {K}}(\mathbb {N} )}
은
n
{\displaystyle n}
번째 꼭짓점을
n
+
1
{\displaystyle n+1}
번째 꼭짓점으로 대응시키는 그래프 준동형이다.
위상수학적 성질
그래프는 CW 복합체 이므로, 하우스도르프 파라콤팩트 공간 이다.
그래프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G
{\displaystyle G}
는 국소 콤팩트 공간 이다.
G
{\displaystyle G}
는 국소 유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콤팩트 공간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유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경우, CW 복합체 이므로 세포 호몰로지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특이 호몰로지 와 일치한다.) 그래프는 0-세포 및 1-세포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0차 및 1차 호몰로지
H
0
(
G
)
{\displaystyle H_{0}(G)}
,
H
1
(
G
)
{\displaystyle H_{1}(G)}
만이 자명하지 않다. 0차 베티 수 는 연결 성분의 수, 1차 베티 수 는 선형독립 순환 의 수이다.
논리학적 성질
그래프의 1차 논리 모형 이론 은 상당히 약하다. 하나의 1차 논리 명제로 정의할 수 있는 성질들은 다음을 들 수 있다.
완전 그래프 의 모임
∀ ∀ -->
u
∀ ∀ -->
v
: : -->
u
∼ ∼ -->
v
{\displaystyle \forall u\forall v\colon u\sim v}
임의의 자연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n
{\displaystyle n}
-정규 그래프 의 모임
임의의 하나의 유한 그래프
G
{\displaystyle G}
만을 포함하는 집합
{
G
}
{\displaystyle \{G\}}
임의의 자연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n
{\displaystyle n}
개의 꼭짓점을 갖는 그래프들의 집합
하나의 1차 논리 명제로 정의할 수 없는 성질들은 다음을 들 수 있다.
연결 그래프의 모임
유한 그래프의 집합
짝수 개의 꼭짓점을 갖는 유한 그래프의 집합
이분 그래프 의 모임
유한 그래프에 대하여, 기본 동치(영어 : elementary equivalence )는 그래프의 동형과 같다.
G
≅ ≅ -->
H
⟺ ⟺ -->
Th
-->
(
G
)
=
Th
-->
(
H
)
{\displaystyle G\cong H\iff \operatorname {Th} (G)=\operatorname {Th} (H)}
또한, 임의의 유한 그래프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H
⊨ ⊨ -->
ϕ ϕ -->
G
⟺ ⟺ -->
H
≅ ≅ -->
G
{\displaystyle H\models \phi _{G}\iff H\cong G}
인 1차 논리 명제
ϕ ϕ -->
G
{\displaystyle \phi _{G}}
가 존재한다.
무한 그래프의 경우, 기본 동치이지만 서로 동형이지 않는 두 그래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꼭짓점 집합이
Z
{\displaystyle \mathbb {Z} }
이고, 변 집합이
{
(
n
,
(
n
+
1
)
)
: : -->
n
∈ ∈ -->
Z
}
{\displaystyle \{(n,(n+1))\colon n\in \mathbb {Z} \}}
인 그래프
C
∞ ∞ -->
{\displaystyle C_{\infty }}
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C
∞ ∞ -->
{\displaystyle C_{\infty }}
와
C
∞ ∞ -->
⊔ ⊔ -->
C
∞ ∞ -->
{\displaystyle C_{\infty }\sqcup C_{\infty }}
는 동형이 아니지만 기본 동치이다.[ 3]
예
공 그래프 는 꼭짓점과 변이 둘 다 없는 그래프이다. 즉,
(
V
,
E
)
=
(
∅ ∅ -->
,
∅ ∅ -->
)
{\displaystyle (V,E)=(\varnothing ,\varnothing )}
이다.
한원소 그래프 는 한 개의 꼭짓점을 가지고, 변이 없는 그래프이다. 즉,
V
(
G
)
=
{
∙ ∙ -->
}
{\displaystyle V(G)=\{\bullet \}}
,
E
(
G
)
=
∅ ∅ -->
{\displaystyle E(G)=\varnothing }
이다.
무변 그래프 는 변이 없는 그래프이다. 즉,
E
(
G
)
=
∅ ∅ -->
{\displaystyle E(G)=\varnothing }
이다.
완전 그래프 는 그래프에 속하는 모든 꼭짓점이, 다른 꼭짓점과 인접해 있는 그래프이다.
완전 그래프의 꼭짓점들은 모두 같은 개수의 꼭짓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 그래프는 정규 그래프 이다.
n
{\displaystyle n}
개의 꼭짓점을 가진 완전 그래프는
n
(
n
− − -->
1
)
/
2
{\displaystyle n(n-1)/2}
개의 변을 가진다.
완전 이분 그래프 는 꼭짓점의 집합이
V
1
{\displaystyle V_{1}}
과
V
2
{\displaystyle V_{2}}
의 합집합이고, 모든
V
1
{\displaystyle V_{1}}
의 꼭짓점이
V
2
{\displaystyle V_{2}}
의 꼭짓점 각각과 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분 그래프 : 그래프
G
=
(
V
,
E
)
{\displaystyle G=(V,E)}
에서, 꼭짓점 집합
V
{\displaystyle V}
를 두 개의 집합
V
1
{\displaystyle V_{1}}
와
V
2
{\displaystyle V_{2}}
로 나누되 모든 변은
V
1
{\displaystyle V_{1}}
의 꼭짓점과
V
2
{\displaystyle V_{2}}
의 꼭짓점과 동시에 접하도록 할 수 있는 경우
G
{\displaystyle G}
를 이분 그래프라고 한다.
정규 그래프 는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수의 이웃(즉, 동일한 차수)을 가지는 그래프이다. 정규 그래프에서 꼭짓점에 연결된 이웃이 k 개인 경우, k-정규 그래프 라 불린다.
평면 그래프 는 평면 상에 꼭짓점과 변을 그리되 변과 변이 꼭짓점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도록 그릴 수 있는 그래프이다.
나무 는 모든 꼭짓점들이 연결 되어 있고 순환 을 포함하지 않는 그래프이다.
숲 은 순환 을 포함하지 않는 그래프이다.
관련 개념
유향 그래프 는 각 변이 방향을 갖춘 그래프이다. 유향 그래프와 구별하기 위해, 그래프를 무향 그래프 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는 각 변에 방향 구조를 갖춘 그래프로 볼 수 있다.
고리 그래프 (영어 : loop graph )는 양끝이 같은 꼭짓점인 변을 허용하는 그래프이며, 이러한 변을 고리 (영어 : loop 루프[* ] )라고 한다. 이는 각 꼭짓점에
{
0
,
1
}
{\displaystyle \{0,1\}}
의 원소(고리의 유무 여부)를 추가한 그래프로 볼 수 있다.
다중 그래프 (영어 : multigraph )는 무향 또는 유향 그래프의 정의와 유사하나, 변 집합
E
{\displaystyle E}
가 집합 대신 중복집합 이다. 즉, 두 꼭짓점 사이에 여러 개의 변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각 변에 양의 정수(변의 중복수)를 추가한 그래프로 볼 수 있다. 그래프를 다중 그래프와 구별하기 위해 단순 그래프 (영어 : simple graph )라고 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고리 다중 그래프 나 유향 다중 그래프 등을 정의할 수 있다.
다중 그래프
다중 그래프의 예시. 회색의 원은 꼭짓점을, 푸른 선은 고리를, 붉은 선은 중복되는 변을, 검은 선은 중복되지 않는 변을 나타낸다.
같은 두 끝점을 가지는 여러 개의 변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한 그래프를 다중 그래프 (영어 : multigraph )라 한다. 같은 두 끝점을 가지는 변이 최대 하나인 그래프는 단순 그래프 (영어 : simple graph )라 한다. 다중 그래프는 함수
∂ ∂ -->
{\displaystyle \partial }
가 정의된 튜플
G
=
(
V
,
E
,
∂ ∂ -->
)
{\displaystyle G=(V,E,\partial )}
이며, 여기서
∂ ∂ -->
{\displaystyle \partial }
는 아래와 같은 함수이다.
∂ ∂ -->
: : -->
E
→ → -->
S
2
(
V
)
,
S
2
(
V
)
=
{
{
u
,
v
}
: : -->
u
,
v
∈ ∈ -->
V
}
{\displaystyle \partial \colon E\to S^{2}(V),S^{2}(V)=\{\{u,v\}\colon u,v\in V\}}
∂ ∂ -->
e
=
{
u
,
v
}
{\displaystyle \partial e=\{u,v\}}
일 때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를
e
{\displaystyle e}
의 끝점이라고 하며, 다중 그래프에서 양 끝점이 같은 변을 고리 (영어 : loop ) 또는 루프 라고 한다.
유향 그래프
3개의 꼭짓점과 4개의 변을 가지는 그래프의 예시. 양쪽 화살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는 두 화살표를 의미한다.
변이 방향을 가지는 그래프를 유향 그래프 영어 : directed graph, digraph ) 또는 방향 그래프 라 한다. 유향 단순 그래프
G
{\displaystyle G}
는 무향 단순 그래프처럼 순서쌍
G
=
(
V
,
E
)
{\displaystyle G=(V,E)}
로 정의되며, 단 변
e
{\displaystyle e}
가 두 꼭짓점의 집합이 아니라 순서쌍으로 정의된다. 즉
E
{\displaystyle E}
는 아래와 같은 집합이다.
E
⊆ ⊆ -->
{
(
u
,
v
)
|
(
u
,
v
)
∈ ∈ -->
V
2
,
u
≠ ≠ -->
v
}
{\displaystyle E\subseteq \{(u,v)|(u,v)\in V^{2},u\neq v\}}
유향 그래프의 변은 화살표(영어 : arrow, arc )라고도 부른다. 변
e
=
(
u
,
v
)
{\displaystyle e=(u,v)}
을
u
{\displaystyle u}
에서
v
{\displaystyle v}
로 가는 변이라 표현하며,
u
{\displaystyle u}
를 변의 꼬리 (영어 : tail ),
v
{\displaystyle v}
를 변의 머리 (영어 : head )라 한다.
유향 다중 그래프
G
{\displaystyle G}
는 함수
ϕ ϕ -->
{\displaystyle \phi }
가 정의된 튜플
G
=
(
V
,
E
,
ϕ ϕ -->
)
{\displaystyle G=(V,E,\phi )}
이며, 여기서
ϕ ϕ -->
{\displaystyle \phi }
는 아래와 같은 함수이다.
ϕ ϕ -->
: : -->
E
→ → -->
{
(
u
,
v
)
: : -->
(
u
,
v
)
∈ ∈ -->
V
2
,
u
≠ ≠ -->
v
}
{\displaystyle \phi \colon E\to \{(u,v)\colon (u,v)\in V^{2},u\neq v\}}
응용
그래프의 개념은 정보과학 등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응용된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