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로이드
조합론 에서 매트로이드 (영어 : matroid 메이트로이드[* ] )는 일차 독립 의 성질을 공리화하여 얻은 조합론적 구조이다.[ 1] [ 2] [ 3] [ 4] [ 5] [ 6] 그래프 이론 · 선형대수학 · 체론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정의
매트로이드 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이 정의들은 서로 동치 이다.
독립 집합을 통한 정의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집합
E
{\displaystyle E}
집합족
I
⊆ ⊆ -->
Pow
-->
(
E
)
{\displaystyle {\mathcal {I}}\subseteq \operatorname {Pow} (E)}
. 그 원소를 독립 집합 (獨立集合, 영어 : independent set )이라고 하며, 독립 집합이 아닌
E
{\displaystyle E}
의 부분 집합 을 종속 집합 (從屬集合, 영어 : dependent set )이라고 한다.
이 데이터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7] :§1.1
(공집합의 독립성) 공집합 은 독립 집합이다. 즉,
∅ ∅ -->
∈ ∈ -->
I
{\displaystyle \varnothing \in {\mathcal {I}}}
이다.
(유전성 영어 : hereditary property ) 독립 집합의 부분집합은 독립이다. 즉, 만약
B
⊆ ⊆ -->
A
∈ ∈ -->
I
{\displaystyle B\subseteq A\in {\mathcal {I}}}
라면
B
∈ ∈ -->
I
{\displaystyle B\in {\mathcal {I}}}
이다.
(추가성 영어 : augmentation property ) 만약
A
,
B
∈ ∈ -->
I
{\displaystyle A,B\in {\mathcal {I}}}
이며,
A
{\displaystyle A}
는
I
{\displaystyle {\mathcal {I}}}
의 극대 원소 이지만
B
{\displaystyle B}
는
I
{\displaystyle {\mathcal {I}}}
의 극대 원소 가 아니라면,
B
∪ ∪ -->
{
a
}
∈ ∈ -->
I
{\displaystyle B\cup \{a\}\in {\mathcal {I}}}
인
a
∈ ∈ -->
A
∖ ∖ -->
B
{\displaystyle a\in A\setminus B}
가 존재한다.
(국소적 극대 독립 집합의 존재) 만약
I
∋ ∋ -->
A
⊂ ⊂ -->
B
⊂ ⊂ -->
E
{\displaystyle {\mathcal {I}}\ni A\subset B\subset E}
라면, 닫힌 구간
I
∩ ∩ -->
[
A
,
B
]
=
{
S
∈ ∈ -->
I
: : -->
A
⊆ ⊆ -->
S
⊂ ⊂ -->
B
}
{\displaystyle {\mathcal {I}}\cap [A,B]=\{S\in {\mathcal {I}}\colon A\subseteq S\subset B\}}
는 극대 원소 를 갖는다.
만약
E
{\displaystyle E}
가 유한 집합 이라면, 마지막 조건은 자동적으로 성립된다.
기저를 통한 정의
매트로이드
(
E
,
B
)
{\displaystyle (E,{\mathcal {B}})}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집합
E
{\displaystyle E}
집합족
B
⊆ ⊆ -->
Pow
-->
(
E
)
{\displaystyle {\mathcal {B}}\subseteq \operatorname {Pow} (E)}
. 그 원소를 기저 (基底, 영어 : basis )라고 하며, 기저의 부분 집합을 독립 집합 이라고 한다.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7] :§1.2
B
≠ ≠ -->
∅ ∅ -->
{\displaystyle {\mathcal {B}}\neq \varnothing }
(추가성) 임의의
B
,
B
′
∈ ∈ -->
B
{\displaystyle B,B'\in {\mathcal {B}}}
및
x
∈ ∈ -->
B
∖ ∖ -->
B
′
{\displaystyle x\in B\setminus B'}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x
′
∈ ∈ -->
B
′
∖ ∖ -->
B
{\displaystyle x'\in B'\setminus B}
가 항상 존재한다.
(
B
∖ ∖ -->
{
x
}
)
∪ ∪ -->
{
x
′
}
∈ ∈ -->
B
{\displaystyle (B\setminus \{x\})\cup \{x'\}\in {\mathcal {B}}}
(국소적 극대 독립 집합의 존재) 임의의 부분 집합
E
′
⊆ ⊆ -->
E
{\displaystyle E'\subseteq E}
및 기저
B
∈ ∈ -->
B
{\displaystyle B\in {\mathcal {B}}}
및 독립 집합
I
⊆ ⊆ -->
B
∩ ∩ -->
E
′
{\displaystyle I\subseteq B\cap E'}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저
B
′
∈ ∈ -->
B
{\displaystyle B'\in {\mathcal {B}}}
및 독립 집합
I
′
⊆ ⊆ -->
B
′
{\displaystyle I'\subseteq B'}
이 존재한다.
I
⊆ ⊆ -->
I
′
⊆ ⊆ -->
B
′
∈ ∈ -->
B
{\displaystyle I\subseteq I'\subseteq B'\in {\mathcal {B}}}
임의의
I
′
⊆ ⊆ -->
C
∈ ∈ -->
B
{\displaystyle I'\subseteq C\in {\mathcal {B}}}
에 대하여,
(
E
′
∖ ∖ -->
I
′
)
∩ ∩ -->
C
=
∅ ∅ -->
{\displaystyle (E'\setminus I')\cap C=\varnothing }
이다.
회로를 통한 정의
매트로이드
(
E
,
C
)
{\displaystyle (E,{\mathcal {C}})}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집합
E
{\displaystyle E}
집합족
C
⊆ ⊆ -->
Pow
-->
(
E
)
{\displaystyle {\mathcal {C}}\subseteq \operatorname {Pow} (E)}
. 그 원소를 회로 (回路, 영어 : circuit )라고 한다. 회로를 부분 집합 으로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독립 집합 이라고 한다.
이 데이터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7] :§1.4
(공집합의 독립성) 공집합 은 회로가 아니다. 즉,
∅ ∅ -->
∉
C
{\displaystyle \varnothing \not \in {\mathcal {C}}}
이다.
임의의
C
,
C
′
∈ ∈ -->
C
{\displaystyle C,C'\in {\mathcal {C}}}
에 대하여,
C
⊆ ⊆ -->
C
′
{\displaystyle C\subseteq C'}
라면
C
=
C
′
{\displaystyle C=C'}
이다.
(회로의 제거) 임의의 회로
C
∈ ∈ -->
C
{\displaystyle C\in {\mathcal {C}}}
및 회로의 족
U
⊆ ⊆ -->
C
{\displaystyle {\mathcal {U}}\subseteq {\mathcal {C}}}
이 주어졌으며, 집합
X
⊆ ⊆ -->
E
{\displaystyle X\subseteq E}
가
∀ ∀ -->
U
∈ ∈ -->
U
: : -->
|
X
∩ ∩ -->
U
|
=
1
{\displaystyle \forall U\in {\mathcal {U}}\colon |X\cap U|=1}
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이제,
Y
=
C
∖ ∖ -->
⋃ ⋃ -->
U
{\displaystyle \textstyle Y=C\setminus \bigcup {\mathcal {U}}}
로 놓자. 그렇다면,
∀ ∀ -->
x
: : -->
x
∈ ∈ -->
f
(
x
)
{\displaystyle \forall x\colon x\in f(x)}
인 함수
f
: : -->
Y
→ → -->
C
∩ ∩ -->
Pow
-->
(
Y
∖ ∖ -->
X
)
{\displaystyle \textstyle f\colon Y\to {\mathcal {C}}\cap \operatorname {Pow} (Y\setminus X)}
가 존재한다.
(국소적 극대 독립 집합의 존재) 임의의 부분 집합
E
′
⊆ ⊆ -->
E
{\displaystyle E'\subseteq E}
및 독립 집합
I
⊆ ⊆ -->
E
′
{\displaystyle I\subseteq E'}
에 대하여,
I
{\displaystyle I}
를 포함하며
E
′
{\displaystyle E'}
에 포함되는 독립 집합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대 원소 를 갖는다.
폐포를 통한 정의
매트로이드
(
E
,
cl
)
{\displaystyle (E,\operatorname {cl} )}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집합
E
{\displaystyle E}
함수
cl
: : -->
Pow
-->
(
E
)
→ → -->
Pow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colon \operatorname {Pow} (E)\to \operatorname {Pow} (E)}
. 이를 폐포 라고 한다. 또한, 부분 집합
D
⊆ ⊆ -->
E
{\displaystyle D\subseteq E}
에 대하여, 만약
x
∈ ∈ -->
D
∩ ∩ -->
cl
-->
(
D
∖ ∖ -->
{
x
}
)
{\displaystyle x\in D\cap \operatorname {cl} (D\setminus \{x\})}
인
x
{\displaystyle x}
가 존재한다면,
D
{\displaystyle D}
를 종속 집합 이라고 하며, 종속 집합이 아닌 부분 집합을 독립 집합 이라고 한다.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7] :§1.3
cl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
은 폐포 연산 이다. 즉,
임의의
X
⊆ ⊆ -->
E
{\displaystyle X\subseteq E}
에 대하여,
X
⊆ ⊆ -->
cl
-->
(
X
)
=
cl
-->
(
cl
-->
(
X
)
)
{\displaystyle X\subseteq \operatorname {cl} (X)=\operatorname {cl} (\operatorname {cl} (X))}
임의의
X
⊆ ⊆ -->
Y
⊆ ⊆ -->
E
{\displaystyle X\subseteq Y\subseteq E}
에 대하여,
cl
-->
(
X
)
⊆ ⊆ -->
cl
-->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X)\subseteq \operatorname {cl} (Y)}
임의의 부분 집합
X
⊆ ⊆ -->
E
{\displaystyle X\subseteq E}
에 대하여,
E
{\displaystyle E}
위의 다음 이항 관계 는 대칭 관계 이다.
x
∼ ∼ -->
X
y
⟺ ⟺ -->
x
∈ ∈ -->
cl
-->
(
X
∪ ∪ -->
{
y
}
)
∖ ∖ -->
cl
-->
(
X
)
{\displaystyle x\sim _{X}y\iff x\in \operatorname {cl} (X\cup \{y\})\setminus \operatorname {cl} (X)}
(국소적 극대 독립 집합의 존재) 임의의 부분 집합
E
′
⊆ ⊆ -->
E
{\displaystyle E'\subseteq E}
및 독립 집합
I
⊆ ⊆ -->
E
′
{\displaystyle I\subseteq E'}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독립 집합
I
⊆ ⊆ -->
I
′
⊆ ⊆ -->
E
′
{\displaystyle I\subseteq I'\subseteq E'}
이 존재한다.
I
′
{\displaystyle I'}
은 극대적이다. 즉, 임의의
x
∈ ∈ -->
E
′
∖ ∖ -->
I
′
{\displaystyle x\in E'\setminus I'}
에 대하여,
E
′
∪ ∪ -->
{
x
}
{\displaystyle E'\cup \{x\}}
는 종속 집합이다.
cl
-->
(
S
)
=
S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S)=S}
인 집합
S
{\displaystyle S}
를 닫힌집합 (-集合, 영어 : closed set ) 또는 평탄면 (平坦面, 영어 : flat 플랫[* ] )이라고 한다.
계수 함수를 통한 정의
매트로이드
(
E
,
rank
)
{\displaystyle (E,\operatorname {rank} )}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집합
E
{\displaystyle E}
.
함수
rank
-->
(
− − -->
|
− − -->
)
: : -->
Pair
-->
(
E
)
→ → -->
N
⊔ ⊔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colon \operatorname {Pair} (E)\to \mathbb {N} \sqcup \{\infty \}}
. 이를 상대 계수 함수 (相對係數函數, 영어 : relative rank function )라고 한다. 또한, 부분 집합
I
⊆ ⊆ -->
E
{\displaystyle I\subseteq E}
가
∀ ∀ -->
x
∈ ∈ -->
I
: : -->
rank
-->
(
I
|
I
∖ ∖ -->
{
x
}
)
>
0
{\displaystyle \forall x\in I\colon \operatorname {rank} (I|I\setminus \{x\})>0}
를 만족시킨다면,
I
{\displaystyle I}
를 독립 집합 이라고 하자.
여기서
Pair
-->
(
E
)
=
{
(
S
,
T
)
⊆ ⊆ -->
E
: : -->
T
⊆ ⊆ -->
S
}
⊆ ⊆ -->
Pow
-->
(
E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Pair} (E)=\{(S,T)\subseteq E\colon T\subseteq S\}\subseteq \operatorname {Pow} (E)^{2}}
는
E
{\displaystyle E}
속의, 길이 2의 사슬 들의 집합이다.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7] :§1.5
임의의
(
A
,
B
)
∈ ∈ -->
Pair
-->
(
E
)
{\displaystyle (A,B)\in \operatorname {Pair} (E)}
에 대하여,
rank
-->
(
A
|
B
)
≤ ≤ -->
|
A
∖ ∖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B)\leq |A\setminus B|}
임의의
A
,
B
⊆ ⊆ -->
E
{\displaystyle A,B\subseteq E}
에 대하여,
rank
-->
(
A
|
A
∩ ∩ -->
B
)
≥ ≥ -->
rank
-->
(
A
∪ ∪ -->
B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A\cap B)\geq \operatorname {rank} (A\cup B|B)}
(유한 사슬 에 대한 분해) 임의의
C
⊆ ⊆ -->
B
⊆ ⊆ -->
A
⊆ ⊆ -->
E
{\displaystyle C\subseteq B\subseteq A\subseteq E}
에 대하여,
rank
-->
(
A
|
C
)
=
rank
-->
(
A
|
B
)
+
rank
-->
(
B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C)=\operatorname {rank} (A|B)+\operatorname {rank} (B|C)}
임의의 집합족
U
⊆ ⊆ -->
E
{\displaystyle {\mathcal {U}}\subseteq E}
에 대하여, 만약
∀ ∀ -->
U
∈ ∈ -->
U
: : -->
rank
-->
(
U
|
⋂ ⋂ -->
U
)
=
0
{\displaystyle \textstyle \forall U\in {\mathcal {U}}\colon \operatorname {rank} (U|\bigcap {\mathcal {U}})=0}
이라면,
rank
-->
(
⋃ ⋃ -->
U
|
⋂ ⋂ -->
U
)
=
0
{\displaystyle \textstyle \operatorname {rank} (\bigcup {\mathcal {U}}|\bigcap {\mathcal {U}})=0}
이다.
(국소적 극대 독립 집합의 존재) 임의의 부분 집합
E
′
⊆ ⊆ -->
E
{\displaystyle E'\subseteq E}
및 독립 집합
I
⊆ ⊆ -->
E
′
{\displaystyle I\subseteq E'}
에 대하여,
I
{\displaystyle I}
를 포함하며
E
′
{\displaystyle E'}
에 포함되는 독립 집합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대 원소 를 갖는다.
매트로이드
E
{\displaystyle E}
속에서, 부분 집합
F
⊆ ⊆ -->
E
{\displaystyle F\subseteq E}
가
rank
-->
(
E
|
F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E|F)=1}
를 만족시키는 것들 가운데 (부분 집합 관계에 대하여) 극대 원소 라면,
F
{\displaystyle F}
를 초평면 (超平面, 영어 : hyperplane 하이퍼플레인[* ] )이라고 한다.
정의들 사이의 관계
일부 정의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정의
독립 집합
I
{\displaystyle I}
종속 집합
D
{\displaystyle D}
기저
B
{\displaystyle B}
회로
C
{\displaystyle C}
닫힌집합
F
{\displaystyle F}
독립 집합을 통한 정의
—
독립 집합이 아닌 집합
극대 독립 집합
극소 종속 집합
임의의
F
⊇ ⊇ -->
I
∈ ∈ -->
I
{\displaystyle F\supseteq I\in {\mathcal {I}}}
및
x
∈ ∈ -->
E
{\displaystyle x\in E}
에 대하여,
I
∪ ∪ -->
{
x
}
∈ ∈ -->
I
⟹ ⟹ -->
x
∈ ∈ -->
F
{\displaystyle I\cup \{x\}\in {\mathcal {I}}\implies x\in F}
기저를 통한 정의
∃ ∃ -->
B
∈ ∈ -->
B
: : -->
I
⊆ ⊆ -->
B
{\displaystyle \exists B\in {\mathcal {B}}\colon I\subseteq B}
∀ ∀ -->
B
∈ ∈ -->
B
: : -->
D
⊈
B
{\displaystyle \forall B\in {\mathcal {B}}\colon D\not \subseteq B}
—
모든 진부분 집합 이 기저이지만, 기저가 아닌 집합
회로를 통한 정의
∀ ∀ -->
C
∈ ∈ -->
C
: : -->
C
⊈
I
{\displaystyle \forall C\in {\mathcal {C}}\colon C\not \subseteq I}
∃ ∃ -->
C
∈ ∈ -->
C
: : -->
C
⊆ ⊆ -->
D
{\displaystyle \exists C\in {\mathcal {C}}\colon C\subseteq D}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 극대 집합
—
계수를 통한 정의
∀ ∀ -->
x
∈ ∈ -->
I
: : -->
rank
-->
(
I
|
I
∖ ∖ -->
{
x
}
)
>
0
{\displaystyle \forall x\in I\colon \operatorname {rank} (I|I\setminus \{x\})>0}
∃ ∃ -->
x
∈ ∈ -->
D
: : -->
rank
-->
(
D
|
D
∖ ∖ -->
{
x
}
)
=
0
{\displaystyle \exists x\in D\colon \operatorname {rank} (D|D\setminus \{x\})=0}
극대 독립 집합
극소 종속 집합
임의의
x
∈ ∈ -->
E
{\displaystyle x\in E}
에 대하여
x
∈ ∈ -->
F
⟺ ⟺ -->
rank
-->
(
E
∪ ∪ -->
{
x
}
|
E
)
=
0
{\displaystyle x\in F\iff \operatorname {rank} (E\cup \{x\}|E)=0}
폐포를 통한 정의
∀ ∀ -->
x
∈ ∈ -->
I
: : -->
x
∉
cl
-->
(
I
∖ ∖ -->
{
x
}
)
{\displaystyle \forall x\in I\colon x\not \in \operatorname {cl} (I\setminus \{x\})}
∃ ∃ -->
x
∈ ∈ -->
D
: : -->
x
∈ ∈ -->
cl
-->
(
D
∖ ∖ -->
{
x
}
)
{\displaystyle \exists x\in D\colon x\in \operatorname {cl} (D\setminus \{x\})}
독립 집합이며, 또한 고정점 을 갖지 않는,
∀ ∀ -->
x
∈ ∈ -->
B
: : -->
f
(
x
)
∈ ∈ -->
cl
-->
(
I
∖ ∖ -->
{
x
,
f
(
x
)
}
)
{\displaystyle \forall x\in B\colon f(x)\in \operatorname {cl} (I\setminus \{x,f(x)\})}
인 함수
f
: : -->
B
→ → -->
B
{\displaystyle f\colon B\to B}
가 존재
종속 집합이며, 임의의
x
,
y
∈ ∈ -->
C
{\displaystyle x,y\in C}
에 대하여
y
∈ ∈ -->
cl
-->
(
C
∖ ∖ -->
{
x
,
y
}
)
⟹ ⟹ -->
x
=
y
{\displaystyle y\in \operatorname {cl} (C\setminus \{x,y\})\implies x=y}
F
=
cl
-->
F
{\displaystyle F=\operatorname {cl} F}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의 부분 집합
S
{\displaystyle S}
의 폐포
cl
-->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S)}
는 독립 집합들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l
-->
(
S
)
=
S
∪ ∪ -->
{
x
∈ ∈ -->
E
: : -->
∃ ∃ -->
I
∈ ∈ -->
I
: : -->
I
∪ ∪ -->
{
x
}
∉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S)=S\cup \{x\in E\colon \exists I\in {\mathcal {I}}\colon I\cup \{x\}\not \in {\mathcal {I}}\}}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의 부분 집합
S
{\displaystyle S}
의 폐포
cl
-->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S)}
는 마찬가지로 상대 계수 함수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l
-->
(
S
)
=
max
{
S
′
⊆ ⊆ -->
E
: : -->
rank
-->
(
S
′
|
S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S)=\max\{S'\subseteq E\colon \operatorname {rank} (S'|S)=0\}}
(이러한 최대 원소 가 항상 유일하게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의 상대 계수 함수는 독립 집합들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ank
-->
(
A
|
B
)
=
max
{
|
I
∖ ∖ -->
J
|
: : -->
E
⊇ ⊇ -->
I
⊇ ⊇ -->
J
,
I
∈ ∈ -->
I
∩ ∩ -->
Pow
-->
(
A
)
,
J
∈ ∈ -->
max
(
I
∩ ∩ -->
Pow
-->
(
B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B)=\max\{|I\setminus J|\colon E\supseteq I\supseteq J,\;I\in {\mathcal {I}}\cap \operatorname {Pow} (A),\;J\in \max({\mathcal {I}}\cap \operatorname {Pow} (B))\}}
종류
유한성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에 대하여,
만약
E
{\displaystyle E}
가 유한 집합 이라면,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를 유한 매트로이드 (有限matroid, 영어 : finite matroid )라고 한다.
만약 모든 회로가 유한 집합 이라면 (즉, 임의의
A
⊆ ⊆ -->
E
{\displaystyle A\subseteq E}
에 대하여, 만약
A
{\displaystyle A}
의 모든 유한 부분 집합이 독립 집합인 경우
A
{\displaystyle A}
또한 독립 집합이라면),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를 유한형 매트로이드 (有限形matroid, 영어 : finitary matroid )라고 한다.[ 7] :18, §0
만약 모든 회로와 쌍대 회로의 교집합 이 유한 집합이라면,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를 유순 매트로이드 (柔順matroid, 영어 : tame matroid )라고 한다.[ 7] :28, §2.6 [ 8] :§1
즉,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유한 매트로이드 ⇒ 유한형 매트로이드 ⇒ 유순 매트로이드 ⇒ 매트로이드
작은 회로의 부재
크기 1의 회로는 고리 (영어 : loop )라고 하며, 크기 2의 회로는 평행변 (平行邊, 영어 : parallel lines )이라고 한다. (이러한 용어는 다중 그래프 에 대응되는 순환 그래프 에서 유래하였다.)
모든 회로의 크기가 2 이상인 매트로이드를 단순 매트로이드 (영어 : simple matroid )라고 한다. 모든 회로의 크기가 1 이상인 매트로이드를 고리 없는 매트로이드 (영어 : loopless matroid )라고 한다.
연산
부분 매트로이드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의 부분 집합
S
⊆ ⊆ -->
E
{\displaystyle S\subseteq E}
위에서,
(
S
,
I
∩ ∩ -->
Pow
-->
(
S
)
)
{\displaystyle (S,{\mathcal {I}}\cap \operatorname {Pow} (S))}
는 매트로이드를 이룬다. 이를
E
{\displaystyle E}
의 부분 매트로이드 (영어 : submatroid )라고 한다. 매트로이드의 부분 집합
S
{\displaystyle S}
의 계수 는 부분 매트로이드로서의 계수이다.
쌍대 매트로이드
매트로이드
(
E
,
I
)
{\displaystyle (E,{\mathcal {I}})}
의 쌍대 매트로이드
(
E
∗ ∗ -->
,
I
∗ ∗ -->
)
{\displaystyle (E^{*},{\mathcal {I}}^{*})}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집합으로서,
E
=
E
∗ ∗ -->
{\displaystyle E=E^{*}}
이지만,
I
∗ ∗ -->
=
{
S
∈ ∈ -->
P
(
E
)
: : -->
cl
I
-->
(
E
∖ ∖ -->
S
)
=
E
}
{\displaystyle {\mathcal {I}}^{*}=\{S\in {\mathcal {P}}(E)\colon \operatorname {cl} _{\mathcal {I}}(E\setminus S)=E\}}
이다. 이에 따라,
E
{\displaystyle E}
의 기저는 항상
E
∗ ∗ -->
{\displaystyle E^{*}}
의 기저의 여집합 이다.
이 연산은 쌍대성을 가진다. 즉,
E
∗ ∗ -->
∗ ∗ -->
=
E
{\displaystyle E^{**}=E}
이다.
직합
두 매트로이드
(
E
1
,
I
1
)
{\displaystyle (E_{1},{\mathcal {I}}_{1})}
,
(
E
2
,
I
2
)
{\displaystyle (E_{2},{\mathcal {I}}_{2})}
가 주어졌을 때, 분리합집합
E
=
E
1
⊔ ⊔ -->
E
2
{\displaystyle E=E_{1}\sqcup E_{2}}
위에 매트로이드 구조
I
=
{
I
1
⊔ ⊔ -->
I
2
: : -->
I
1
∈ ∈ -->
I
1
,
I
2
∈ ∈ -->
I
2
}
{\displaystyle {\mathcal {I}}=\{I_{1}\sqcup I_{2}\colon I_{1}\in {\mathcal {I}}_{1},\;I_{2}\in {\mathcal {I}}_{2}\}}
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이 두 매트로이드의 직합 (直合, 영어 : direct sum )이라고 하며,
E
1
⊕ ⊕ -->
E
2
{\displaystyle E_{1}\oplus E_{2}}
로 표기한다. (이 용어는 벡터 공간 의 부분 집합으로 나타내어지는 매트로이드의 경우, 매트로이드 직합은 해당 벡터 공간 들의 직합 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래하였다.)
마이너
부분 매트로이드를 취하는 연산 및 쌍대 매트로이드의 부분 매트로이드의 쌍대 매트로이드를 취하는 연산을 반복하여 얻는 매트로이드를 매트로이드 마이너 라고 한다. 이는 그래프 마이너 의 일반화이다.
안둘레와 밖둘레
이 부분의 본문은
안둘레 입니다.
매트로이드의 안둘레 는 가장 작은 회로의 크기이다. 마찬가지로, 매트로이드의 밖둘레 는 회로들의 크기의 상한 이다.
성질
계수
유한 매트로이드의 서로 다른 기저들의 크기 는 서로 같다.
만약 일반화 연속체 가설 이 참이라면, 모든 (유한 또는 무한) 매트로이드들의 서로 다른 기저들의 크기 는 서로 같은 기수 이다.[ 9] :861, Theorem 2 이 경우, 기저의 크기를 매트로이드의 계수 (係數, 영어 : rank )라고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κ κ -->
∈ ∈ -->
Card
{\displaystyle \kappa \in \operatorname {Card} }
이하에서 일반화 연속체 가설 이 성립한다면 (즉,
∀ ∀ -->
ℵ ℵ -->
0
≤ ≤ -->
λ λ -->
≤ ≤ -->
κ κ -->
: : -->
λ λ -->
+
=
2
λ λ -->
{\displaystyle \forall \aleph _{0}\leq \lambda \leq \kappa \colon \lambda ^{+}=2^{\lambda }}
), 크기가
κ κ -->
{\displaystyle \kappa }
이하인 매트로이드의 모든 기저의 크기는 같다.
만약 선택 공리 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ZFC)이 무모순적이라면, “임의의 매트로이드에서, 기저들의 크기 는 같다”라는 명제는 ZFC와 독립적이다.[ 10] :§4, Corollary 17
작은 매트로이드의 수
작은 크기의 매트로이드의 동형류의 수 및 고리 없는 매트로이드의 동형류의 수 및 단순 매트로이드의 동형류의 수는 다음과 같다.[ 11] :§5, Table 1, Table 2
크기
매트로이드 동형류의 수 (OEIS 의 수열 A55545 )
고리 없는 매트로이드 동형류의 수 (OEIS 의 수열 A58718 )
단순 매트로이드 동형류의 수 (OEIS 의 수열 A2773 )
주어진 집합 위의 매트로이드 구조의 수 (OEIS 의 수열 A58673 )
주어진 집합 위의 고리 없는 매트로이드 구조의 수 (OEIS 의 수열 A58712 )
주어진 집합 위의 단순 매트로이드 구조의 수 (OEIS 의 수열 A58721 )
0
1
1
1
1
1
0
1
2
1
1
2
1
0
2
4
2
1
5
2
1
3
8
4
2
16
6
2
4
17
9
4
68
27
7
5
38
21
9
406
165
49
6
98
60
26
3807
2135
733
7
306
208
101
75164
55129
29760
8
1724
1418
950
10607540
10094077
9000402
9
383172
381448
376467
크기가
n
{\displaystyle n}
인 집합 위의 매트로이드 구조의 수를
m
n
{\displaystyle m_{n}}
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2] :Theorem 3; (1)
n
− − -->
3
2
log
2
-->
n
+
1
2
log
2
-->
2
π π -->
− − -->
o
(
1
)
≤ ≤ -->
log
2
-->
log
2
-->
m
n
≤ ≤ -->
n
− − -->
3
2
log
2
-->
n
+
1
2
log
2
-->
2
π π -->
+
1
+
o
(
1
)
{\displaystyle n-{\frac {3}{2}}\log _{2}n+{\frac {1}{2}}\log _{2}{\frac {2}{\pi }}-o(1)\leq \log _{2}\log _{2}m_{n}\leq n-{\frac {3}{2}}\log _{2}n+{\frac {1}{2}}\log _{2}{\frac {2}{\pi }}+1+o(1)}
범주론적 성질
임의의 두 유한 매트로이드
E
{\displaystyle E}
,
E
′
{\displaystyle E'}
사이의 함수
f
: : -->
E
→ → -->
E
′
{\displaystyle f\colon E\to E'}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강사상 (強寫像, 영어 : strong morphism )이라고 하자.
임의의
B
⊆ ⊆ -->
A
⊆ ⊆ -->
E
{\displaystyle B\subseteq A\subseteq E}
에 대하여,
rank
-->
(
f
(
A
)
|
f
(
B
)
)
≤ ≤ -->
rank
-->
(
A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f(A)|f(B))\leq \operatorname {rank} (A|B)}
이다.
임의의
A
⊆ ⊆ -->
E
{\displaystyle A\subseteq E}
에 대하여,
cl
-->
(
f
(
A
)
)
=
f
(
cl
-->
(
A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f(A))=f(\operatorname {cl} (A))}
이다.
E
{\displaystyle E}
의 닫힌집합의 상 은 항상
E
′
{\displaystyle E'}
의 닫한집합이다.
유한 매트로이드와 강사상의 작은 범주 를
finMatr
{\displaystyle \operatorname {finMatr} }
라고 하자. 또한, 유한 집합 과 함수 의 작은 범주 를
fin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finSet} }
라고 하자.
그렇다면,
finMatr
{\displaystyle \operatorname {finMatr} }
는 구체적 범주 이며, 망각 함자
|
− − -->
|
: : -->
finMatr
→ → -->
finSet
{\displaystyle |-|\colon \operatorname {finMatr} \to \operatorname {finSet} }
가 존재한다. 이 밖에도, 균등 매트로이드 함자
Unif
-->
(
− − -->
,
0
)
: : -->
finSet
→ → -->
finMatr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colon \operatorname {finSet} \to \operatorname {finMatr} }
Unif
-->
(
− − -->
,
0
)
∗ ∗ -->
: : -->
finSet
→ → -->
finMatr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colon \operatorname {finSet} \to \operatorname {finMatr} }
Unif
-->
(
− − -->
,
0
)
: : -->
S
↦ ↦ -->
Unif
-->
(
S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colon S\mapsto \operatorname {Unif} (S,0)}
Unif
-->
(
− − -->
,
0
)
∗ ∗ -->
: : -->
S
↦ ↦ -->
Unif
-->
(
S
,
0
)
∗ ∗ -->
=
Unif
-->
(
S
,
|
S
|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colon S\mapsto \operatorname {Unif} (S,0)^{*}=\operatorname {Unif} (S,|S|)}
및
(
− − -->
)
0
: : -->
finMatr
→ → -->
finSet
{\displaystyle (-)_{0}\colon \operatorname {finMatr} \to \operatorname {finSet} }
(
− − -->
)
0
: : -->
E
↦ ↦ -->
cl
E
-->
(
∅ ∅ -->
)
{\displaystyle (-)_{0}\colon E\mapsto \operatorname {cl} _{E}(\varnothing )}
(
− − -->
)
0
: : -->
(
E
→
f
E
′
)
↦ ↦ -->
(
f
↾ ↾ -->
(
cl
E
-->
(
∅ ∅ -->
)
)
)
{\displaystyle (-)_{0}\colon (E{\xrightarrow {f}}E')\mapsto \left(f\upharpoonright (\operatorname {cl} _{E}(\varnothing ))\right)}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수반 함자 관계를 이룬다.[ 13] :Theorem 2.9
Unif
-->
(
− − -->
,
0
)
∗ ∗ -->
⊣ ⊣ -->
|
− − -->
|
⊣ ⊣ -->
Unif
-->
(
− − -->
,
0
)
⊣ ⊣ -->
(
− −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dashv |-|\dashv \operatorname {Unif} (-,0)\dashv (-)_{0}}
즉, 균등 매트로이드
Unif
-->
(
S
,
0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S,0)^{*}}
은 “자유 매트로이드”이며,
Unif
-->
(
S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S,0)}
은 “쌍대 자유 매트로이드”이다.
finMatr
{\displaystyle \operatorname {finMatr} }
는 모든 유한 쌍대곱 을 갖지만, 모든 유한 곱 을 갖지 못하며, 또한 유한 쌍대 극한 가운데 일부는 존재하지 못한다.,[ 13] :§3
예
균등 매트로이드
임의의 집합
E
{\displaystyle E}
위에,
I
=
{
∅ ∅ -->
}
{\displaystyle {\mathcal {I}}=\{\varnothing \}}
B
=
{
∅ ∅ -->
}
{\displaystyle {\mathcal {B}}=\{\varnothing \}}
C
=
{
{
x
}
: : -->
x
∈ ∈ -->
E
}
{\displaystyle {\mathcal {C}}=\{\{x\}\colon x\in E\}}
rank
-->
(
A
|
B
)
=
0
(
B
⊆ ⊆ -->
A
⊆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B)=0\qquad (B\subseteq A\subseteq E)}
cl
-->
(
A
)
=
E
(
A
⊆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A)=E\qquad (A\subseteq E)}
를 부여하면, 이는 매트로이드를 이룬다. 이를
Unif
-->
(
E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0)}
라고 하자.
마찬가지로, 임의의 집합
E
{\displaystyle E}
위에,
I
=
Pow
-->
(
E
)
{\displaystyle {\mathcal {I}}=\operatorname {Pow} (E)}
B
=
{
E
}
{\displaystyle {\mathcal {B}}=\{E\}}
rank
-->
(
A
|
B
)
=
{
|
A
∖ ∖ -->
B
|
|
A
∖ ∖ -->
B
|
<
ℵ ℵ -->
0
∞ ∞ -->
|
A
∖ ∖ -->
B
|
≥ ≥ -->
ℵ ℵ -->
0
(
B
⊆ ⊆ -->
A
⊆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A|B)={\begin{cases}|A\setminus B|&|A\setminus B|<\aleph _{0}\\\infty &|A\setminus B|\geq \aleph _{0}\end{cases}}\qquad (B\subseteq A\subseteq E)}
cl
-->
(
A
)
=
A
(
A
⊆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A)=A\qquad (A\subseteq E)}
을 부여하면, 이는 매트로이드를 이룬다. 이는
Unif
-->
(
E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0)}
의 쌍대 매트로이드
Unif
-->
(
E
,
0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0)^{*}}
이다.
이들의 성질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성질
Unif
-->
(
E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0)}
Unif
-->
(
E
,
0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0)^{*}}
독립 집합
공집합
모든 집합
기저
공집합
전체 집합
E
{\displaystyle E}
종속 집합
공집합이 아닌 집합
(없음)
회로
한원소 집합
(없음)
폐포 연산
전체 집합 값의 상수 함수
항등 함수
닫힌집합
전체 집합
E
{\displaystyle E}
모든 집합
상대 계수 함수
0 값의 상수 함수
차집합 의 크기
이와 같은 두 종류의 매트로이드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매트로이드를 이산 매트로이드 (離散matroid, 영어 : discrete matroid )라고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집합
E
{\displaystyle E}
및 자연수
0
≤ ≤ -->
k
{\displaystyle 0\leq k}
에 대하여, 균등 매트로이드 (均等matroid, 영어 : uniform matroid )
Unif
-->
(
E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k)}
는
E
{\displaystyle E}
위의 다음과 같은 매트로이드이다.
I
=
{
S
⊆ ⊆ -->
E
: : -->
|
S
|
≤ ≤ -->
k
}
{\displaystyle {\mathcal {I}}=\{S\subseteq E\colon |S|\leq k\}}
B
=
{
S
⊆ ⊆ -->
E
: : -->
|
S
|
=
k
}
{\displaystyle {\mathcal {B}}=\{S\subseteq E\colon |S|=k\}}
C
=
{
S
⊆ ⊆ -->
E
: : -->
|
S
|
=
k
+
1
}
{\displaystyle {\mathcal {C}}=\{S\subseteq E\colon |S|=k+1\}}
이는 항상 유한형 매트로이드이다.
만약
E
{\displaystyle E}
가 유한 집합 일 때,
Unif
-->
(
E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k)}
의 쌍대 매트로이드는
Unif
-->
(
E
,
|
E
|
− −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E|-k)}
이다. 만약
E
{\displaystyle E}
가 무한 집합이라면,
Unif
-->
(
E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E,k)}
의 쌍대 매트로이드는 더 이상 유한형 매트로이드가 아니다.
벡터 공간의 부분 집합의 매트로이드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한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유한 부분 중복집합
E
⊂ ⊂ -->
V
{\displaystyle E\subset V}
를 생각하자. (임의로 순서를 잡으면, 이는
K
{\displaystyle K}
에 대한 행렬 로 나타낼 수 있다.)
I
(
E
)
⊂ ⊂ -->
P
(
E
)
{\displaystyle {\mathcal {I}}(E)\subset {\mathcal {P}}(E)}
가
E
{\displaystyle E}
의 일차독립 부분 중복집합 들의 집합이라고 하면,
(
E
,
I
(
E
)
)
{\displaystyle (E,{\mathcal {I}}(E))}
는 매트로이드를 이룬다. 이를 선형 매트로이드 (영어 : linear matroid )라고 한다.
그래프의 매트로이드
모든 그래프 에는 순환 매트로이드 라는 유한형 매트로이드 및 그 쌍대 매트로이드인 접합 매트로이드 가 대응된다.
작은 크기의 매트로이드
공집합 위에는 유일한 매트로이드 구조가 존재하며, 이는 균등 매트로이드
Unif
-->
(
0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0,0)}
이다.
이는 무변 그래프 의 순환 매트로이드 이자, 임의의 벡터 공간 속의 공집합 으로부터 정의되는 선형 매트로이드이다.
크기 1
크기 1의 매트로이드 동형류들은 다음 두 가지이다.
Unif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1,1)}
(계수 1). 이는 한 변을 갖는 경로 그래프
P
2
{\displaystyle P_{2}}
의 순환 매트로이드 이다.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1,0)}
(계수 0). 이는 하나의 꼭짓점과 하나의 변을 갖는 다중 그래프 의 순환 매트로이드 이다.
크기 2
크기 2의 매트로이드 동형류들은 다음 네 가지이다.
Unif
-->
(
2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2)}
(계수 2)
Unif
-->
(
1
,
1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1,1)\oplus \operatorname {Unif} (1,0)}
(계수 1)
Unif
-->
(
2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
(계수 1)
Unif
-->
(
2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0)}
(계수 0)
이 가운데 단순 매트로이드인 것은 첫째 밖에 없다.
크기 3
크기 3의 매트로이드 동형류들은 다음 여덟 가지이다.
Unif
-->
(
3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3)}
(계수 3)
Unif
-->
(
3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2)}
(계수 2)
Unif
-->
(
2
,
2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2)\oplus \operatorname {Unif} (1,0)}
(계수 2)
Unif
-->
(
2
,
1
)
⊕ ⊕ -->
Unif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oplus \operatorname {Unif} (1,1)}
(계수 2)
Unif
-->
(
3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1)}
(계수 1)
Unif
-->
(
2
,
1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oplus \operatorname {Unif} (1,0)}
(계수 1)
Unif
-->
(
2
,
0
)
⊕ ⊕ -->
Unif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0)\oplus \operatorname {Unif} (1,1)}
(계수 1)
Unif
-->
(
3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0)}
(계수 0)
이 가운데 단순 매트로이드인 것은 처음 두 개이다.
크기 4
크기 4의 매트로이드는 총 17개가 있으며, 하나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균등 매트로이드들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계수 0:
Unif
-->
(
4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4,0)}
계수 1:
Unif
-->
(
4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4,1)}
Unif
-->
(
3
,
1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1)\oplus \operatorname {Unif} (1,0)}
Unif
-->
(
2
,
1
)
⊕ ⊕ -->
Unif
-->
(
2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oplus \operatorname {Unif} (2,0)}
Unif
-->
(
1
,
1
)
⊕ ⊕ -->
Unif
-->
(
3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1,1)\oplus \operatorname {Unif} (3,0)}
계수 2:
Unif
-->
(
4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4,2)}
Unif
-->
(
3
,
1
)
⊕ ⊕ -->
Unif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1)\oplus \operatorname {Unif} (1,1)}
Unif
-->
(
3
,
2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3,2)\oplus \operatorname {Unif} (1,0)}
Unif
-->
(
2
,
1
)
⊕ ⊕ -->
Unif
-->
(
2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oplus \operatorname {Unif} (2,1)}
Unif
-->
(
2
,
2
)
⊕ ⊕ -->
Unif
-->
(
2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2)\oplus \operatorname {Unif} (2,0)}
Unif
-->
(
2
,
1
)
⊕ ⊕ -->
Unif
-->
(
1
,
1
)
⊕ ⊕ -->
Unif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f} (2,1)\oplus \operatorname {Unif} (1,1)\oplus \operatorname {Unif} (1,0)}
균등 매트로이드의 직합이 아닌 매트로이드
X
{\displaystyle X}
계수 3 및 계수 4의, 크기 4의 매트로이드들은 각각 계수 1 및 계수 0의 것들의 쌍대 매트로이드로 얻어진다.
여기서, 매트로이드
X
{\displaystyle X}
는 다음과 같다.
E
=
{
a
,
b
,
c
,
d
}
{\displaystyle E=\{{\mathsf {a}},{\mathsf {b}},{\mathsf {c}},{\mathsf {d}}\}}
B
=
{
S
⊆ ⊆ -->
E
: : -->
|
S
|
=
2
,
S
≠ ≠ -->
{
a
,
b
}
}
{\displaystyle {\mathcal {B}}=\{S\subseteq E\colon |S|=2,\;S\neq \{{\mathsf {a}},{\mathsf {b}}\}\}}
C
=
{
{
a
,
b
}
,
{
b
,
c
,
d
}
,
{
a
,
c
,
d
}
}
{\displaystyle {\mathcal {C}}=\left\{\{{\mathsf {a}},{\mathsf {b}}\},\{{\mathsf {b}},{\mathsf {c}},{\mathsf {d}}\},\{{\mathsf {a}},{\mathsf {c}},{\mathsf {d}}\}\right\}}
이는 다음과 같은 다중 그래프 에 대응하는 순환 매트로이드 이다.
마찬가지로, 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수 벡터 공간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의 부분 집합
{
a
,
b
,
c
,
d
}
{\displaystyle \{{\mathsf {a}},{\mathsf {b}},{\mathsf {c}},{\mathsf {d}}\}}
에 대응되는 매트로이드와 동형이다.
a
=
(
1
,
0
)
{\displaystyle {\mathsf {a}}=(1,0)}
b
=
(
2
,
0
)
{\displaystyle {\mathsf {b}}=(2,0)}
c
=
(
0
,
1
)
{\displaystyle {\mathsf {c}}=(0,1)}
d
=
(
1
,
1
)
{\displaystyle {\mathsf {d}}=(1,1)}
역사
매트로이드의 개념은 해슬러 휘트니 가 1935년에 도입하였다.[ 14] 1938년에 일본의 나카자와 다케오 (일본어 : 中澤 武雄 , 1913~1946)가 동일한 개념을 독립적으로 발견하였으나,[ 15] [ 16] [ 17] [ 18] 크게 알려지지 못했다.
이후 윌리엄 토머스 텃 이 매트로이드 이론을 발달시켰고, 텃 다항식 과 같은 중요한 개념들을 발견하였다.[ 19]
1970년에 잔카를로 로타 와 헨리 하울런드 크레이포(영어 : Henry Howland Crapo )는 매트로이드 이론에 대한 최초의 책을 출판하였다.[ 20] (이 책에서는 “매트로이드” 대신 “조합 기하”(영어 : combinatorial geometry )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듬해에 윌리엄 토머스 텃은 매트로이드 이론에 대한 둘째 책을 출판하였다.[ 21]
무한 매트로이드의 올바른 정의는 오랫동안 미해결 문제였다. 1966년에 리하르트 라도 는 무한 매트로이드의 올바른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22] :263, §6(c), Problem P531 데니스 힉스(영어 : Denis A. Higgs , 1932~2011)는 1969년에 무한 매트로이드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그 가운데 하나는 “B-매트로이드”(영어 : B-matroid )라는 개념이었다.[ 23]
이후 1978년에 제임스 옥슬리(영어 : James G. Oxley )는 “B-매트로이드”의 모임이 쌍대성을 가지며 매트로이드 마이너 에 대하여 닫혀 있는 가장 큰 모임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24] 이후 2010년에 이 “B-매트로이드”에 대한 여러 자연스러운 공리화들이 발견되었으며,[ 7] 이후 이 개념이 무한 매트로이드의 통상적인 정의로 굳어지게 되었다.
각주
↑ Gordon, Gary; McNulty, Jennifer (2012년 9월). 《Matroids: a geometric introduction》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1139049443 . ISBN 978-052176724-8 .
↑ Oxley, James G. (1992). 《Matroid theory》 (영어).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53563-5 . MR 1207587 . Zbl 0784.05002 .
↑ Recski, András (1989). 《Matroid theory and its applications in electric network theory and in statics》 (영어). Springer-Verlag, Akademiai Kiado. ISBN 3-540-15285-7 . MR 1027839 .
↑ Bryant, Victor; Perfect, Hazel (1980). 《Independence theory in combinatorics》 (영어). London and New York: Chapman and Hall. ISBN 0-412-22430-5 .
↑ Welsh, Dominic James Anthony (1976). 《Matroid theory》. London Mathematical Society Monographs (영어) 8 . Academic Press. ISBN 0-12-744050-X . Zbl 0343.05002 .
↑ Wilson, Robin James (1973년 5월). “An introduction to matroid theory”.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80 (5): 500–525. doi :10.2307/2319608 . JSTOR 2319608 . Zbl 0275.05018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Bruhn, Henning; Diestel, Reinhard; Kriesell, Matthias; Pendavingh, Rudi A.; Wollan, Paul (2013년 6월 1일). “Axioms for infinite matroids”.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239 : 18–46. arXiv :1003.3919 . Bibcode :2010arXiv1003.3919B . doi :10.1016/j.aim.2013.01.011 . Zbl 1279.05013 .
↑ Bowler, Nathan; Carmesin, Johannes (2014년 7월). “Matroids with an infinite circuit-cocircuit intersection”.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B》 (영어) 107 : 78–91. arXiv :1202.3406 . Bibcode :2012arXiv1202.3406C . doi :10.1016/j.jctb.2014.02.005 .
↑ Higgs, Denis A. (1969년 3월). “Equicardinality of bases in B-matroids”. 《Canadian Mathematical Bulletin》 (영어) 12 : 861–862. doi :10.4153/CMB-1969-112-6 . ISSN 0008-4395 .
↑ Bowler, Nathan; Geschke, Stefan (2016). “Self-dual uniform matroids on infinite sets” (PDF) .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44 : 459–471. doi :10.1090/proc/12667 . ISSN 0002-9939 . MR 3430826 .
↑ Mayhew, Dillon; Royle, Gordon F. (2007). “Matroids with nine elements” (영어). arXiv :math/0702316 . Bibcode :2007math......2316M .
↑ Bansal, Nikhil; Pendavingh, Rudi A.; van der Pol, Jorn G. (2015년 4월). “On the number of matroids”. 《Combinatorica》 (영어) 35 (3): 253–277. arXiv :1206.6270 . Bibcode :2012arXiv1206.6270B . doi :10.1007/s00493-014-3029-z . ISSN 0209-9683 .
↑ 가 나 Heunen, Chris; Patta, Vaia (2017). “The category of matroids”. 《Applied Categorical Structures》 (영어) 25 . arXiv :1512.01390 . Bibcode :2015arXiv151201390H . doi :10.1007/s10485-017-9490-2 . ISSN 0927-2852 .
↑ Whitney, Hassler (1935). “On the abstract properties of linear dependence” .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57 (3): 509–533. doi :10.2307/2371182 . JFM 61.0073.03 . JSTOR 2371182 . MR 1507091 . Zbl 0012.00404 .
↑ Nakasawa, Takeo (1935).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Ⅰ” .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독일어) (東京文理科大学) 2 : 235–255. JFM 61.1341.03 . Zbl 0012.22001 .
↑ Nakasawa, Takeo (1936).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Ⅱ” .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독일어) (東京文理科大学) 3 : 45–69. JFM 62.0649.01 . Zbl 0013.31406 .
↑ Nakasawa, Takeo (1936).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Ⅲ” .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독일어) (東京文理科大学) 3 : 123–136. JFM 62.1400.01 . Zbl 0016.03704 .
↑ Nishimura, Hirokazu; Kuroda, Susumu (2009). 《A lost mathematician, Takeo Nakasawa: the forgotten father of matroid theory》 (영어).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7643-8573-6 . ISBN 978-3-7643-8572-9 . Zbl 1163.01001 .
↑ Tutte, William Thomas (1965). “Lectures on matroids”. 《Journal of Research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U.S.A.) B》 (영어) 69 : 1–47. doi :10.6028/jres.069b.001 . Zbl 0151.33801 .
↑ Crapo, Henry Howland; Rota, Gian-Carlo (1970). 《On the Foundations of Combinatorial Theory Ⅱ. Combinatorial geometries》 (영어).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ISBN 978-0-262-53016-3 . MR 0290980 .
↑ Tutte, William Thomas (1971).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matroids》. Modern Analytic and Computational Methods in Science and Mathematics (영어) 37 . Elsevier. Zbl 0231.05027 .
↑ Rado, Richard (1966). “Abstract linear dependence” . 《Colloquim Mathematicae》 (영어) 14 (1): 257–264. ISSN 0010-1354 . Zbl 0136.26203 .
↑ Higgs, Denis A. (1969). “Matroids and duality” . 《Colloquium Mathematicae》 (영어) 20 (2): 215–20. ISSN 0010-1354 . Zbl 0192.33402 .
↑ Oxley, James G. (1978년 9월). “Infinite matroid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7 (3): 259–272. doi :10.1112/plms/s3-37.2.259 . Zbl 0436.05017 .
외부 링크
“Matroid”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Tutte polynomial”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Matroid”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Oriented matroid”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Matroid” . 《nLab》 (영어).
Kingan, Sandra. “Matroid theory” (영어).
Mayhew, Dillon; van Zwam, Stefan; Nelson, Peter; Pivotto, Irene; Huynh, Tony; Bowler, Nathan. “Matroid Union” (영어).
Dukes, W. M. B. “The number of matroids up to n =8”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