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결합 법칙 을 만족시키는 일반적인
대수 에 관한 것입니다.
순서론 과
조합론 에서, 근접 관계(
영어 : incidence )를 추상화한 대수적 구조에 대해서는
근접 대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추상대수학 에서 결합 대수 (結合代數, 영어 : associative algebra )는 결합 법칙 을 만족시키는 대수 이다. 즉, 가군 과 유사환 의 구조를 동시에 갖춘 대수 구조 이다. 가군 이 아벨 군 을 일반화하는 것처럼, 단위 결합 대수는 환 을 일반화한다.
정의
유사 결합 대수
가환 유사환
R
{\displaystyle R}
위의 유사 결합 대수 (영어 : (possibly) non-unital associative algebra )
(
M
,
0
,
+
,
{
r
⋅ ⋅ -->
}
r
∈ ∈ -->
R
,
∗ ∗ -->
)
{\displaystyle (M,0,+,\{r\cdot \}_{r\in R},*)}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 대수 구조 이다.
(
M
,
0
,
+
,
{
r
⋅ ⋅ -->
}
r
∈ ∈ -->
R
)
{\displaystyle (M,0,+,\{r\cdot \}_{r\in R})}
는
R
{\displaystyle R}
의 가군 을 이룬다.
(
M
,
0
,
+
,
∗ ∗ -->
)
{\displaystyle (M,0,+,*)}
은 유사환 을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은 추가 공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모든
r
∈ ∈ -->
R
{\displaystyle r\in R}
및
m
,
n
∈ ∈ -->
M
{\displaystyle m,n\in M}
에 대하여,
r
⋅ ⋅ -->
(
m
∗ ∗ -->
n
)
=
(
r
⋅ ⋅ -->
m
)
∗ ∗ -->
n
=
m
∗ ∗ -->
(
r
⋅ ⋅ -->
n
)
{\displaystyle r\cdot (m*n)=(r\cdot m)*n=m*(r\cdot n)}
이는 유사환의 준동형
R
→ → -->
Z
(
M
)
{\displaystyle R\to Z(M)}
과 같다. 여기서
Z
(
M
)
=
{
z
∈ ∈ -->
M
: : -->
m
∗ ∗ -->
z
=
z
∗ ∗ -->
m
}
{\displaystyle Z(M)=\{z\in M\colon m*z=z*m\}}
은
M
{\displaystyle M}
의 중심 이다.
유사 결합 대수의 준동형 은
(
0
,
+
,
{
r
⋅ ⋅ -->
}
r
∈ ∈ -->
R
,
∗ ∗ -->
)
{\displaystyle (0,+,\{r\cdot \}_{r\in R},*)}
를 보존시키는 함수이다. 즉, 가군의 준동형이자 유사환의 준동형을 이루는 함수이다. 유사 결합 대수와 유사 대수 준동형의 범주를
R
-nuAssoc
{\displaystyle R{\text{-nuAssoc}}}
이라고 하자.
결합 대수
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단위) 결합 대수 (單位結合代數, 영어 : (unital) associative algebra )
(
M
,
0
,
+
,
{
r
⋅ ⋅ -->
}
r
∈ ∈ -->
R
,
∗ ∗ -->
,
1
)
{\displaystyle (M,0,+,\{r\cdot \}_{r\in R},*,1)}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 대수 구조 이다.
(
M
,
0
,
+
,
{
r
⋅ ⋅ -->
}
r
∈ ∈ -->
R
,
∗ ∗ -->
)
{\displaystyle (M,0,+,\{r\cdot \}_{r\in R},*)}
는
R
{\displaystyle R}
위의 유사 결합 대수를 이룬다.
(
M
,
0
,
1
,
+
,
∗ ∗ -->
)
{\displaystyle (M,0,1,+,*)}
은 환 을 이룬다.
이는 환 준동형
R
→ → -->
Z
(
M
)
{\displaystyle R\to Z(M)}
과 같다. 여기서
Z
(
M
)
=
{
z
∈ ∈ -->
M
: : -->
m
∗ ∗ -->
z
=
z
∗ ∗ -->
m
}
{\displaystyle Z(M)=\{z\in M\colon m*z=z*m\}}
은
M
{\displaystyle M}
의 중심 이다.
결합 대수의 준동형 은
(
0
,
1
,
+
,
{
r
⋅ ⋅ -->
}
r
∈ ∈ -->
R
,
∗ ∗ -->
)
{\displaystyle (0,1,+,\{r\cdot \}_{r\in R},*)}
를 보존시키는 함수이다. 즉, 가군의 준동형이자 환 준동형 을 이루는 함수이다. 이들은 유사 결합 대수의 준동형 가운데, 단위원을 추가로 보존하는 것들이다. 결합 대수와 결합 대수 준동형의 범주를
R
-Assoc
{\displaystyle R{\text{-Assoc}}}
이라고 하자.
가환 대수
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결합 대수 가운데, 가환환 인 것을 가환 대수 (영어 : commutative algebra )라고 한다.
R
{\displaystyle R}
위의 단위 가환 대수
M
{\displaystyle M}
은 가환환 준동형
R
→ → -->
M
{\displaystyle R\to M}
과 같다.
성질
결합 대수의 모임과 유사 결합 대수의 모임 둘 다 대수 구조 다양체 를 이루며, 이에 따라 곱 · 쌍대곱 · 시작 대상 · 끝 대상 의 존재를 알 수 있다.
구조
유사 결합 대수
결합 대수
시작 대상
영가군
R
{\displaystyle R}
끝 대상
영가군
영가군
곱
유사환으로서의 곱
(유사)환으로서의 곱
쌍대곱
결합 대수의 자유곱
단위 결합 대수의 자유곱
즉, 유사 결합 대수의 범주는 영 대상 을 가지지만, 결합 대수의 경우는 시작 대상 과 끝 대상 이 서로 다르다. 두 범주에서 곱은 서로 같으며, 곱집합 과 호환되지만, 쌍대곱 은 서로 다르다.
또한, (유사) 결합 대수의 범주에는 텐서곱
⊗ ⊗ -->
R
{\displaystyle \otimes _{R}}
이 존재하며, 이는
R
{\displaystyle R}
위의 가군 의 텐서곱 과 같다. 이에 따라 결합 대수의 범주는 대칭 모노이드 범주 를 이룬다.
망각 함자
유사 결합 대수의 범주에서 유사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R
-nuAssoc
→ → -->
Rng
{\displaystyle R{\text{-nuAssoc}}\to \operatorname {Rng} }
및 결합 대수의 범주에서 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R
-Assoc
→ → -->
Ring
{\displaystyle R{\text{-Assoc}}\to \operatorname {Ring} }
가 존재한다. 후자의 왼쪽 수반 함자 는
S
↦ ↦ -->
R
⊗ ⊗ -->
Z
S
{\displaystyle S\mapsto R\otimes _{\mathbb {Z} }S}
이다.
또한, 결합 대수의 범주에서 유사 결합 대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R
-Assoc
→ → -->
R
-nuAssoc
{\displaystyle R{\text{-Assoc}}\to R{\text{-nuAssoc}}}
가 존재한다. 이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 는
단위원이 없는 유사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를
A
↦ ↦ -->
R
⊕ ⊕ -->
A
{\displaystyle A\mapsto R\oplus A}
로 대응시킨다 (
⊕ ⊕ -->
{\displaystyle \oplus }
는 아벨 군 의 직합 ). 이 경우,
R
⊕ ⊕ -->
A
{\displaystyle R\oplus A}
위의 연산은 다음과 같다.
s
⋅ ⋅ -->
(
r
,
a
)
=
(
s
r
,
s
⋅ ⋅ -->
a
)
{\displaystyle s\cdot (r,a)=(sr,s\cdot a)}
(
r
,
a
)
∗ ∗ -->
(
s
,
b
)
=
(
r
s
,
s
⋅ ⋅ -->
a
,
r
⋅ ⋅ -->
b
,
a
∗ ∗ -->
b
)
{\displaystyle (r,a)*(s,b)=(rs,s\cdot a,r\cdot b,a*b)}
분류
복소수체 위의 5차원 이하의 (유사) 결합 대수는 모두 완전히 분류되었다.[ 1]
3차원 이하 복소수 결합 대수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1차원 결합 대수는
C
{\displaystyle \mathbb {C} }
자체 밖에 없다.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2차원 단위 결합 대수는 두 개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C
[
x
]
/
(
x
2
− − -->
1
)
{\displaystyle \mathbb {C} [x]/(x^{2}-1)}
C
[
x
]
/
(
x
2
)
{\displaystyle \mathbb {C} [x]/(x^{2})}
둘 다 가환 대수이므로, 대수기하학 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수기하학 적으로, 전자는 두 개의 닫힌 점
± ± -->
1
{\displaystyle \pm 1}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자는 (축소환 이 아니므로) 원점을 닫힌 점으로 하는 비축소 스킴이다. 이 둘은 각각 1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 · 퇴화 이차 형식에 대한 클리퍼드 대수 이다.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3차원 결합 대수는 다섯 개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C
[
x
,
y
]
/
(
x
2
− − -->
x
,
y
2
− − -->
y
,
x
y
)
{\displaystyle \mathbb {C} [x,y]/(x^{2}-x,y^{2}-y,xy)}
C
[
x
,
y
]
/
(
x
2
− − -->
x
,
y
2
,
x
y
)
{\displaystyle \mathbb {C} [x,y]/(x^{2}-x,y^{2},xy)}
C
[
x
,
y
]
/
(
x
2
,
y
2
,
x
y
)
{\displaystyle \mathbb {C} [x,y]/(x^{2},y^{2},xy)}
C
[
x
]
/
(
x
4
)
{\displaystyle \mathbb {C} [x]/(x^{4})}
C
⟨ ⟨ -->
x
,
y
⟩ ⟩ -->
/
(
x
2
− − -->
1
,
y
2
,
(
x
− − -->
1
)
y
,
y
(
x
− − -->
1
)
)
{\displaystyle \mathbb {C} \langle x,y\rangle /\left(x^{2}-1,y^{2},(x-1)y,y(x-1)\right)}
이 가운데 처음 네 개는 가환 대수이며, 마지막 하나는 비가환 대수이다.
예
환론
특별한 가환환 위의 (유사) 결합 대수는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이름이 있다.
가환환
R
{\displaystyle R}
R
{\displaystyle R}
위의 유사 결합 대수
R
{\displaystyle R}
위의 결합 대수
정수환
Z
{\displaystyle \mathbb {Z} }
유사환
환
Z
/
(
n
)
{\displaystyle \mathbb {Z} /(n)}
표수 가
n
{\displaystyle n}
의 약수인 유사환 (
n
s
=
0
∀ ∀ -->
s
{\displaystyle ns=0\forall s}
)
표수 가
n
{\displaystyle n}
의 약수인 환
모든 환
S
{\displaystyle S}
는 스스로의 중심
Z
(
S
)
{
r
∈ ∈ -->
S
: : -->
r
s
=
s
r
∀ ∀ -->
s
∈ ∈ -->
S
}
{\displaystyle Z(S)\{r\in S\colon rs=sr\forall s\in S\}}
에 대한 결합 대수를 이룬다. 또한, 임의의 가환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환 준동형
R
→ → -->
Z
(
S
)
{\displaystyle R\to Z(S)}
가 주어졌다면,
S
{\displaystyle S}
는
R
{\displaystyle R}
위의 결합 대수를 이룬다. 특히, 가환환의 준동형
R
→ → -->
S
{\displaystyle R\to S}
가 주어졌다면,
S
{\displaystyle S}
는
R
{\displaystyle R}
위의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룬다.
추가 구조를 갖는 대수
리 대수 의 보편 포락 대수 는 결합 대수이다. 마찬가지로, 클리퍼드 대수 나 외대수 는 결합 대수이다.
복소수체
C
{\displaystyle \mathbb {C} }
와 사원수 대수
H
{\displaystyle \mathbb {H} }
는 실수 위의 결합 대수이다. 복소수체에서 사원수 대수로 가는 포함 관계
a
+
b
i
⊆ ⊆ -->
{
a
+
b
i
+
c
j
+
d
k
}
{\displaystyle a+bi\subseteq \{a+bi+cj+dk\}}
를 잡으면, 사원수 대수는 복소수체 위의 결합 대수를 이룬다.
함수 대수
R
{\displaystyle R}
가 위상환 이라고 하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연속 함수
C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X;R)}
의 집합은 자연스럽게
R
{\displaystyle R}
위의 결합 대수의 구조가 존재한다.
r
⋅ ⋅ -->
f
: : -->
x
↦ ↦ -->
r
⋅ ⋅ -->
f
(
x
)
{\displaystyle r\cdot f\colon x\mapsto r\cdot f(x)}
f
∗ ∗ -->
g
: : -->
x
↦ ↦ -->
f
(
x
)
⋅ ⋅ -->
g
(
x
)
{\displaystyle f*g\colon x\mapsto f(x)\cdot g(x)}
0
: : -->
x
↦ ↦ -->
0
R
{\displaystyle 0\colon x\mapsto 0_{R}}
1
: : -->
x
↦ ↦ -->
1
R
{\displaystyle 1\colon x\mapsto 1_{R}}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함수 의 집합
C
∞ ∞ -->
(
M
;
R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R} )}
은 실수체 위의 결합 대수의 구조를 가진다.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