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순서론과
조합론에서, 결합 관계(
영어: incidence)를 추상화한 대수적 구조에 관한 것입니다.
결합법칙(
영어: associativity)을 만족시키는 일반적인
대수에 대해서는
대수 (환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서론에서 근접 대수(近接代數, 영어: incidence algebra)는 부분 순서 집합에 대하여 정의된, 일반화 뫼비우스 반전 공식이 성립하는 단위 결합 대수이다.
정의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영어: locally finite poset)은 모든 폐구간이 유한집합인 부분 순서 집합이다. 즉, 부분 순서 집합 가 주어지고, 임의의 에 대하여 폐구간
가 유한집합이라면, 를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 와, (단위원을 갖는) 가환환 가 주어졌다고 하고, 가 속의, 공집합이 아닌 폐구간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위의, 계수의 근접 대수 는 꼴의 함수들의 집합이다.
에 대하여, 편의상 로 쓰자. 또한, 는 일종의 행렬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를 (무한할 수 있는) 행렬
로 생각할 수 있다.
점별 덧셈과 곱셈
근접 대수 위에는 다음과 같은 -대수 구조 및 합성곱을 정의할 수 있다.
- (덧셈)
- (곱셈)
덧셈과 곱셈 아래, 근접 대수 는 -가환 대수를 이룬다. 즉, 는 가환환을 이루며, 표준적인 단사 환 준동형
이 존재한다.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값이 1인 상수 함수
이며, 이를 제타 함수(영어: zeta function)라고 한다.
근접 대수의 원소를 행렬로 생각하였을 때, 덧셈은 행렬의 덧셈, 곱셈은 행렬의 아다마르 곱에 대응한다.
합성곱
또한, 근접 대수 위에는 합성곱(영어: convolution)이라는 다음과 같은 이항 연산 이 존재한다.
근접 대수의 원소를 행렬로 생각하였을 때, 합성곱은 행렬의 곱에 대응한다. 즉,
가 되어 좌변은 행렬의 곱이 된다.
합성곱은 결합 법칙 및 덧셈과의 분배 법칙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교환 법칙은 따르지 않는다. 합성곱의 항등원은 델타 함수 이다.
이는 일종의 단위 행렬이다. 따라서, 합성곱 아래 근접 대수 는 위의 단위 결합 대수를 이룬다.
체 계수의 근접 대수의 원소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합성곱 아래 역원을 갖는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제타 함수는 합성곱 아래 역원을 가지는데, 이를 뫼비우스 함수 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
함수 위의 작용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가 최대 원소를 갖는다는 것은 위 조건의 충분조건이다.) 그렇다면, 근접 대수 는 위의, 값을 갖는 함수의 집합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는 환 의 왼쪽 가군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만약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가 최소 원소를 갖는다는 것은 위 조건의 충분조건이다.) 그렇다면, 근접 대수 는 위의, 값을 갖는 함수의 집합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는 환 의 오른쪽 가군을 이룬다.
만약
이며, 가 합성곱 아래 역원을 갖는다면
가 된다. 특히, 만약 일 경우 이다. 즉, 왼쪽 가군 작용의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
마찬가지로, 오른쪽 가군 작용의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
이를 뫼비우스 반전 공식(영어: Möbius inversion formula)이라고 한다. 이는 수론에서의 뫼비우스 반전 공식의 일반화이다.
예
대표적인 근접 대수들은 다음과 같다. 아래 예들에서 계수환은 항상 이다.
집합 |
부분 순서 |
뫼비우스 함수 |
반전 공식
|
양의 정수의 집합 |
는 의 약수: |
(는 수론에서의 뫼비우스 함수) |
뫼비우스 반전 공식
|
음이 아닌 정수의 집합 |
|
|
유한 차분의 기본 정리 (는 유한 차분, )
|
유한 집합 의 멱집합 |
|
|
포함배제의 원리
|
유한 집합 의 분할들의 집합 |
가 보다 더 세밀한 분할 |
. 는 의 블록 수, 는 의 블록 수, 는 정확하게 개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블록들의 수 |
|
역사
잔카를로 로타가 1964년 정의하였다.[1]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