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 과 조합론 에서 뫼비우스 함수 (Möbius函數, 영어 : Möbius function )는 정수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인지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곱셈적 함수 이다. 뫼비우스 반전 공식 에 사용되며, 리만 가설 과도 깊은 관계를 가진다. 기호는
μ μ -->
(
n
)
{\displaystyle \mu (n)}
.
정의
뫼비우스 함수
μ μ -->
: : -->
Z
+
→ → -->
{
− − -->
1
,
0
,
+
1
}
{\displaystyle \mu \colon \mathbb {Z} ^{+}\to \{-1,0,+1\}}
는 양의 정수
n
∈ ∈ -->
Z
+
{\displaystyle n\in \mathbb {Z} ^{+}}
을 다음과 같이
{
− − -->
1
,
0
,
1
}
{\displaystyle \{-1,0,1\}}
가운데 하나에 대응시킨다.
n
{\displaystyle n}
이
k
{\displaystyle k}
개의 소인수를 갖는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라면
μ μ -->
(
n
)
=
(
− − -->
1
)
k
{\displaystyle \mu (n)=(-1)^{k}}
이다. (특수한 경우로,
n
=
1
{\displaystyle n=1}
은 0개의 소인수를 가지므로
μ μ -->
(
1
)
=
1
{\displaystyle \mu (1)=1}
이다.)
n
{\displaystyle n}
이 제곱 인수 가 없는 정수가 아니라면,
μ μ -->
(
n
)
=
0
{\displaystyle \mu (n)=0}
이다.
즉,
n
{\displaystyle n}
의 소인수 분해 가
n
=
∏ ∏ -->
p
p
n
p
{\displaystyle n=\prod _{p}p^{n_{p}}}
라면, 뫼비우스 함수는 다음과 같다.
μ μ -->
(
n
)
=
(
− − -->
1
)
∑ ∑ -->
p
n
p
∏ ∏ -->
p
[
n
p
≤ ≤ -->
1
]
{\displaystyle \mu (n)=(-1)^{\sum _{p}n_{p}}\prod _{p}[n_{p}\leq 1]}
여기서
[
⋯ ⋯ -->
]
{\displaystyle [\cdots ]}
는 아이버슨 괄호 (조건이 참이면 1, 아니면 0)이다.
뫼비우스 함수
μ μ -->
(
n
)
{\displaystyle \mu (n)}
은 또한 1의 원시적
n
{\displaystyle n}
제곱근 의 합이다.
μ μ -->
(
n
)
=
∑ ∑ -->
1
≤ ≤ -->
k
≤ ≤ -->
n
gcd
{
k
,
n
}
=
1
exp
-->
(
2
π π -->
i
k
/
n
)
{\displaystyle \mu (n)=\sum _{\scriptstyle 1\leq k\leq n \atop \scriptstyle \gcd\{k,n\}=1}\exp(2\pi ik/n)}
그렇기 때문에, 1보다 큰 임의의 자연수 n의 모든 약수에 대해서
μ μ -->
{\displaystyle \mu }
함숫값을 계산해서 더하면 언제나 0이 된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오일러
ϕ ϕ -->
{\displaystyle \phi }
함수에 대해, 임의의 자연수 n의 모든 약수의
ϕ ϕ -->
{\displaystyle \phi }
함숫값의 합은 언제나 n이 된다는 정리와 유사하다.
μ μ -->
{\displaystyle \mu }
는 양이 아닌 정수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메르텐스 함수 (Mertens函數, 영어 : Mertens function )는 뫼비우스 함수의 부분합이다. 즉,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M
: : -->
Z
+
→ → -->
Z
{\displaystyle M\colon \mathbb {Z} ^{+}\to \mathbb {Z} }
M
(
n
)
=
∑ ∑ -->
k
=
1
n
μ μ -->
(
k
)
{\displaystyle M(n)=\sum _{k=1}^{n}\mu (k)}
뫼비우스 함수는 1의 원시적
n
{\displaystyle n}
제곱근 의 합이므로, 메르텐스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M
(
n
)
=
∑ ∑ -->
a
∈ ∈ -->
F
n
exp
-->
(
2
π π -->
i
a
)
{\displaystyle M(n)=\sum _{a\in {\mathcal {F}}_{n}}\exp(2\pi ia)}
여기서
F
n
{\displaystyle {\mathcal {F}}_{n}}
은
n
{\displaystyle n}
차 페리 수열 이다.
성질
뫼비우스 함수는 곱셈적 함수 이다. 즉, 서로소 정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μ μ -->
(
a
b
)
=
μ μ -->
(
a
)
μ μ -->
(
b
)
(
gcd
{
a
,
b
}
=
1
)
{\displaystyle \mu (ab)=\mu (a)\mu (b)\qquad (\gcd\{a,b\}=1)}
뫼비우스 함수는 디리클레 합성곱 아래 상수 함수 1의 역원이다.
(
μ μ -->
∗ ∗ -->
1
)
(
n
)
=
∑ ∑ -->
d
∣ ∣ -->
n
μ μ -->
(
d
)
=
δ δ -->
n
,
1
=
{
1
n
=
1
0
n
>
1
{\displaystyle (\mu *1)(n)=\sum _{d\mid n}\mu (d)=\delta _{n,1}={\begin{cases}1&n=1\\0&n>1\end{cases}}}
이 성질 때문에 뫼비우스 함수는 뫼비우스 반전 공식 에 등장한다.
생성 함수
뫼비우스 함수의 생성 함수 는 다음과 같다.
∑ ∑ -->
n
=
1
∞ ∞ -->
μ μ -->
(
n
)
x
n
=
x
− − -->
∑ ∑ -->
a
=
2
∞ ∞ -->
x
a
+
∑ ∑ -->
a
=
2
∞ ∞ -->
∑ ∑ -->
b
=
2
∞ ∞ -->
x
a
b
− − -->
∑ ∑ -->
a
=
2
∞ ∞ -->
∑ ∑ -->
b
=
2
∞ ∞ -->
∑ ∑ -->
c
=
2
∞ ∞ -->
x
a
b
c
+
∑ ∑ -->
a
=
2
∞ ∞ -->
∑ ∑ -->
b
=
2
∞ ∞ -->
∑ ∑ -->
c
=
2
∞ ∞ -->
∑ ∑ -->
d
=
2
∞ ∞ -->
x
a
b
c
d
− − -->
⋯ ⋯ -->
{\displaystyle \sum _{n=1}^{\infty }\mu (n)x^{n}=x-\sum _{a=2}^{\infty }x^{a}+\sum _{a=2}^{\infty }\sum _{b=2}^{\infty }x^{ab}-\sum _{a=2}^{\infty }\sum _{b=2}^{\infty }\sum _{c=2}^{\infty }x^{abc}+\sum _{a=2}^{\infty }\sum _{b=2}^{\infty }\sum _{c=2}^{\infty }\sum _{d=2}^{\infty }x^{abcd}-\cdots }
뫼비우스 함수의 람베르트 급수 는 다음과 같다.
∑ ∑ -->
n
=
1
∞ ∞ -->
μ μ -->
(
n
)
q
n
1
− − -->
q
n
=
q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mu (n)q^{n}}{1-q^{n}}}=q}
이는
|
q
|
<
1
{\displaystyle |q|<1}
에 대하여 수렴한다.
뫼비우스 함수의 디리클레 급수 는 리만 제타 함수 의 역수이다.
∑ ∑ -->
n
=
1
∞ ∞ -->
μ μ -->
(
n
)
n
s
=
1
ζ ζ -->
(
s
)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mu (n)}{n^{s}}}={\frac {1}{\zeta (s)}}}
점근적 성질
메르텐스 추측은 메르텐스 함수의 그래프가 포물선 속에 머무른다는 추측이다. 이는 작은 수에 대해서 성립하지만, 매우 큰 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뫼비우스 함수의 값이
{
± ± -->
1
,
0
}
{\displaystyle \{\pm 1,0\}}
뿐이므로, 메르텐스 함수는 매우 느리게 움직이며 또한 자명하게
|
M
(
n
)
|
≤ ≤ -->
n
∀ ∀ -->
n
∈ ∈ -->
Z
+
{\displaystyle |M(n)|\leq n\qquad \forall n\in \mathbb {Z} ^{+}}
이다.
소수 정리 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1
n
M
(
n
)
=
0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1}{n}}M(n)=0}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1
n
∑ ∑ -->
k
=
0
n
|
μ μ -->
(
n
)
|
=
∏ ∏ -->
p
(
1
− − -->
1
p
2
)
=
1
ζ ζ -->
(
2
)
=
6
π π -->
2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1}{n}}\sum _{k=0}^{n}|\mu (n)|=\prod _{p}\left(1-{{1} \over {p^{2}}}\right)={{1} \over {\zeta (2)}}={{6} \over {\pi ^{2}}}}
즉, 점근적으로
3
/
π π -->
2
≈ ≈ -->
30.4
% % -->
{\displaystyle 3/\pi ^{2}\approx 30.4\%}
의 수에 대하여 뫼비우스 함수가 +1이며,
3
/
π π -->
2
≈ ≈ -->
30.4
% % -->
{\displaystyle 3/\pi ^{2}\approx 30.4\%}
의 수에 대하여 뫼비우스 함수가 −1이며,
1
− − -->
6
/
π π -->
2
≈ ≈ -->
39.2
% % -->
{\displaystyle 1-6/\pi ^{2}\approx 39.2\%}
의 수에 대하여 뫼비우스 함수가 0이다.
리만 가설 은 메르텐스 함수에 대한 다음 조건과 동치 이다.
M
(
n
)
=
O
(
x
1
/
2
+
ϵ ϵ -->
)
∀ ∀ -->
ϵ ϵ -->
∈ ∈ -->
R
+
{\displaystyle M(n)=O(x^{1/2+\epsilon })\qquad \forall \epsilon \in \mathbb {R} ^{+}}
메르텐스 추측 (Mertens推測, 영어 : Mertens conjecture )은
∀ ∀ -->
n
∈ ∈ -->
Z
+
: : -->
|
M
(
n
)
|
≤ ≤ -->
n
{\displaystyle \forall n\in \mathbb {Z} ^{+}\colon |M(n)|\leq {\sqrt {n}}}
라는 명제이다. 이는 오랫동안 난제로 있었으나, 1985년에 거짓으로 판명되었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1] [ 2] :188–189
lim inf
M
(
n
)
n
<
− − -->
1.009
{\displaystyle \liminf {\frac {M(n)}{\sqrt {n}}}<-1.009}
lim sup
M
(
n
)
n
>
1.06
{\displaystyle \limsup {\frac {M(n)}{\sqrt {n}}}>1.06}
그러나 리만 가설 은 현재 (2021년) 미해결 문제이다. 메르텐스 추측보다 더 약하지만 리만 가설보다 더 강한 명제
M
(
x
)
=
O
(
x
1
/
2
)
{\displaystyle M(x)=O(x^{1/2})}
역시 아직 반증되지 않았으나, 이는 아마 거짓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1]
급수
뫼비우스 함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급수가 존재한다.
∑ ∑ -->
n
=
1
∞ ∞ -->
(
μ μ -->
(
n
)
/
n
)
2
=
15
/
π π -->
2
{\displaystyle \sum _{n=1}^{\infty }(\mu (n)/n)^{2}=15/\pi ^{2}}
∑ ∑ -->
n
=
1
∞ ∞ -->
μ μ -->
(
n
)
ln
-->
n
n
=
− − -->
1
{\displaystyle \sum _{n=1}^{\infty }\mu (n){\frac {\ln n}{n}}=-1}
표
처음 몇 개의 양의 정수에 대해서 뫼비우스 함수와 메르텐스 함수의 값은 다음과 같다. (OEIS 의 수열 A008683 ), (OEIS 의 수열 A002321 )
n
{\displaystyle n}
1
2
3
4
5
6
7
8
9
10
11
12
μ μ -->
(
n
)
{\displaystyle \mu (n)}
1
−1
−1
0
−1
1
−1
0
0
1
−1
0
M
(
n
)
{\displaystyle M(n)}
1
0
−1
−1
−2
−1
−2
−2
−2
−1
−2
−2
뫼비우스 함수의 값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메르텐스 함수의 104 까지의 값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μ μ -->
(
n
)
=
0
{\displaystyle \mu (n)=0}
인 정수
n
{\displaystyle n}
(즉,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가 아닌 수)은 다음과 같다.
4, 8, 9, 12, 16, 18, 20, 24, 25, 27, 28, 32, 36, 40, 44, 45, 48, 49, 50, 52, 54, 56, 60, 63, … (OEIS 의 수열 A013929 )
역사
레온하르트 오일러 는 1748년 저서[ 3] 에 뫼비우스 함수를 정의하고 암묵적으로 사용하였지만, 자세하게 다루지 않았다.[ 4] :99, Notes to §3.1 1798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는 《산술 연구》(라틴어 : Disquisitiones Arithmeticae )[ 5] 에서 1의 원시
n
{\displaystyle n}
거듭제곱근 의 합이
μ μ -->
(
n
)
{\displaystyle \mu (n)}
이라는 것을 보였으나, 역시 이 함수를 특별히 연구하지 않았다.
1831년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 는 뫼비우스 함수를 최초로 명시적으로 도입하였다.[ 6] [ 4] :99, Notes to §3.1 1874년에 프란츠 메르텐스 가 최초로 오늘날 사용되는 기호 μ를 사용하였다.[ 7] :53 [ 4] :99, Notes to §3.1
1885년 7월 11일에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는 샤를 에르미트 에게 보낸 편지에서 메르텐스 함수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 편지는 1905년에 출판되었다.[ 8] ) 스틸티어스는
M
(
n
)
=
O
(
n
)
{\displaystyle M(n)=O({\sqrt {n}})}
임을 증명하였다고 주장하였고, 또 메르텐스 추측 (
|
M
(
n
)
|
≤ ≤ -->
n
{\displaystyle |M(n)|\leq {\sqrt {n}}}
)을 추측하였다. 스틸티어스는 뫼비우스 함수를
f
(
n
)
{\displaystyle f(n)}
으로, 메르텐스 함수를
g
(
n
)
{\displaystyle g(n)}
으로 표기하였다. 이 편지에서 스틸티어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러나 스틸티어스는 이 "증명"을 출판하지 않았다.
1897년에 프란츠 메르텐스 는 메르텐스 함수를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고, 메르텐스 추측을 스틸티어스와 독자적으로 추측하였다.[ 9]
1985년에 앤드루 마이클 오들리스코(영어 : Andrew Michael Odlyzko , 1949~)와 헤르마뉘스 요하너스 요서프 터 릴러(네덜란드어 : Hermanus Johannes Joseph te Riele , 1947~)는 메르텐스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하였다.[ 1]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다 Odlyzko, A. M.; te Riele, H. J. J. (1985). “Disproof of the Mertens conjecture” (PDF)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영어) 357 : 138–160. doi :10.1515/crll.1985.357.138 . ISSN 0075-4102 . MR 783538 . Zbl 0544.10047 .
↑ Sándor, József; Mitrinović, Dragoslav S.; Crstici, Borislav, 편집. (2006). 《Handbook of number theory I》 . Dordrecht: Springer. 187 –189쪽. ISBN 1-4020-4215-9 . Zbl 1151.11300 .
↑ Eulerus, Leonhardus (1748). 《Introductio in analysin infinitorum》 (라틴어). 로잔 : Apud Marcum-Michaelem Bousquet & Socios.
↑ 가 나 다 Shapiro, Harold N. (1983).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영어). Wiley. ISBN 0-471-86737-3 .
↑ Gavss, Carolus Fridericus (1801). 《Disqvisitiones arithmeticae》 (라틴어). 라이프치히 : in commissis apvd Gerh. Fleischer, Jun.
↑ Möbius, A. F. (1832). “Über eine besondere Art von Umkehrung der Reihen”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832 (9): 105-123. doi :10.1515/crll.1832.9.105 . ISSN 0075-4102 . Zbl 009.0333cj .
↑ Mertens, F. (1874). “Ein Beitrag zur analytischen Zahlentheorie”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874 (78): 46–62. doi :10.1515/crll.1874.78.46 . ISSN 0075-4102 . JFM 06.0116.01 .
↑ 가 나 Stieltjes, T. J. (1905). 〈79. Stieltjes a Hermite. Paris, 11 juillet 1885〉 . B. Baillaud, H. Bourget. 《Correspondance d’Hermite et Stieltjes》 (프랑스어). 파리 : Gauthier-Villars. 160–164쪽.
↑ Mertens, F. (1897). “Ueber eine zahlentheoretische Function”. 《Sitzungsberichte der Kaiser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athematisch-Naturwissenschaftliche Klasse, Abteilung 2a》 (독일어) 106 : 761–830. JFM 28.0177.01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