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16년 4월)
템플스테이(영어: Temple Stay) 또는 산사체험은 한국의 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 생활을 체험하고 한국 불교의 전통 문화와 수행 정신을 체험해보는 것을 의미한다. 2002년 FIFA 월드컵이 열렸던 2002년 외국인 관람객들의 숙박시설부족으로 시작되었다.
템플스테이의 탄생
템플스테이는 2002년 FIFA 월드컵이 열렸을 때 외국인 관람객들의 숙박시설 부족으로 시작됐다.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들로부터 좋은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지금은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다.
한국불교는 1,700여 년의 역사 속에서 대승불교권에서는 유일하게 간화선 수행의 전통이 광범위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해마다 안거 때면 2,500여 스님들이 전국의 100여 개 사찰로 100일 동안 안거에 들어간다.
이런 수행의 전통은 사찰의 구조와 생활 전반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쳐 한국의 사찰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심신의 안정과 평화를 느끼게 된다.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을 문화월드컵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내외국인에게 산문을 개방하고 산사에 머물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한일 월드컵이 치러지는 2002년 5월 31일부터 6월 30일까지 30여 일 동안 1천 명의 외국인과 1만 명의 내국인이 템플스테이를 체험하게 된다. 총 11,000명에 달하는 참가자의 수도 성과였지만, 이 기간 동안 CNN, 뉴욕타임즈, BBC, NHK 등 전 세계 언론에서 템플스테이를 집중 보도하면서 한국불교와 템플스테이가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한일 월드컵이 끝난 후 대한불교조계종은 템플스테이를 상설화할 것을 발표하는(2002. 7. 2)한편,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을 발족해서(2002. 7. 16) 지속적인 템플스테이 운영을 표방했다. 정부에서도 상설화에 따른 예산 지원을 약속하면서 첫해 31곳이었던 운영사찰은 현재 110곳으로 늘어났다.
템플스테이는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으로 자리잡았다. 2009년 OECD 관광보고서에서는 전 세계 가장 성공적인 5개 문화콘텐츠 가운데 하나로 템플스테이를 선정하기도 했으며, 2011년 5월 29일에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02년 이후 10년 동안 70만 명이 템플스테이를 체험했다고 알려졌다.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사찰안내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로 대부분의 사찰에서 가장 먼저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처음 사찰을 찾은 사람들에게 사찰의 오랜 전통과 문화 그리고 스님들만의 생활방식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욕실이나 식당, 화장실 등을 안내해주는 시간이다. 혼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사찰의 건축, 회화, 공예, 조경 등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기도 하고, 사찰 곳곳에 담긴 옛 이야기도 들을 수 있는 시간이다.
참선
참선은 명상과 비슷하지만 명상과 다르게 한 가지 의심을 들고 다른 생각이 떠오르지 않게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참선은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다. 대개 50분 정도 앉아서 참선을 하고 이후 10분을 걷도록 하는데 이를 포행 혹은 경행이라 한다. 사찰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간단히 1시간 이내의 체험을 하는 곳에서부터 숙련자를 위한 전문 참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까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님과의 차담
스님들에게는 모든 일상이 수행의 연속인데, 차를 마시는 일도 중요한 일과요 수행으로 여긴다. 차를 마시면서 상대에 대해 알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이 시간에 사찰이나 스님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기도 하고 자신의 삶의 고민에 대해 상담도 할 수 있다.
발우공양
불교에서는 밥 먹는 것을 ‘공양한다’고 표현한다. 공양이란 ‘받들고 베푸는’ 일로서 내 입으로 밥 한 술, 반찬 한 입이 들어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인연과 수고가 쌓였는지 가슴 깊이 새기는 일이 바로 공양이다. 발우공양을 할 때는 공양게를 외우고, 발우에 담긴 음식을 한 톨도 남기지 않고 다 먹는다. 나 아닌 다른 존재를 먹는 것에 대한 경건함과 연기법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수행 가운데 하나가 바로 바로공양이다.
예불
예불은 한국 사찰의 일과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새벽과 오전 11시경 그리고 저녁, 하루 세 차례 법당에 모여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일이 예불이다. 사찰에서는 예불로 하루를 열고 예불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사찰에 머물고 있는 대중이 모두 참석하며 불전사물인 범종과, 법고와 목어와 운판을 차례로 치면서 주변의 중생들에게 법음을 들려준다. 여러 불보살님들과 역대 조사스님들께 귀의하겠다는 다짐, 그리고 반야심경과 발원문 낭독 순으로 진행된다.
108배
중요한 수행 방법 가운데 하나가 절이다. 3배, 108배, 1,080배, 3,000배 등 수에 따라 절의 종류가 나뉘지만 모든 절은 나를 이루고 있던 탐욕과 집착을 내려놓는 행위이다. 그 중에서도 108배는 참회를 의미하는데, 지금껏 가지고 있던 무명과 탐착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그로 인해 생겨난 108 가지의 번뇌를 참회하면서 소멸시키는 과정이다.
연꽃 만들기
불교에서 연꽃은 개개인마다의 본래 성품인 불성을 상징한다. 연꽃이 진흙 속에서 피어나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것처럼 무명에 싸인 중생이라도 깨달음을 얻으면 본래 부처의 성품을 드러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에서는 해마다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성대하게 연등축제를 개최한다. 이때 신도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연등을 정성껏 만들어 나와서 밤늦도록 연등놀이를 한다. 얇은 종이를 한 잎 한 잎 접어서 풀로 붙여 만드는 과정 자체가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간절한 정성을 모으는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