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사라 (1959년)

태풍 사라
맹렬한 태풍 (JMA 계급)
5등급 슈퍼 태풍 (SSHWS)
태풍 사라의 일기도
발생일1959년 9월 12일
소멸일1959년 9월 19일
최대 풍속10분 평균 풍속: 260 km/h (160 mph)
1분 평균 풍속: 305 km/h (190 mph)
최저 기압891 hPa (mbar); 26.31 inHg

1959년 9월 12일에 발생한 태풍 사라(태풍번호 5914[1],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 SARAH)는 열대저기압 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카테고리 5급”까지 발달했던 태풍으로, 대한민국 최대 명절인 추석한반도를 강타하여 당시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 일본에서는, 미야코섬 태풍(宮古島台風)[2]으로 불린다. 거의 없는 4등급의 태풍으로 영향을 준 태풍 중 하나이며, 일본 홋카이도까지 1등급의 태풍의 세력을 유지한 매우 강한 태풍으로 기록되었다.

개요

태풍 사라 (1959년)의 이동 경로

1959년 9월 12일 괌 섬 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태풍 사라는 점차 발달하면서 북서진하여, 9월 15일 오후 3시경 일본 오키나와현미야코섬 남동쪽 약 100 km 부근 해상에 이르러서는 중심기압 905 hPa, 최대풍속은 10분 평균으로 70 m/s[3], 1분 평균으로는 85 m/s 에 달하는 슈퍼태풍 급 태풍이 되었다. 그 후 조금씩 진행 방향을 북북서로 바꾸어 16일 새벽에는 동중국해에 진입, 동시에 전향을 시작하여 한반도를 향해 북상했다. 이때, 태풍의 경로에 위치했던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섬에서는 최저해면기압 908.1 hPa, 최대순간풍속 64.8 m/s 의 기록적인 값이 관측되었다.[4] 이 중, 기압 기록은 태풍 베이브에 의해 관측된 최저해면기압 907.3 hPa 에 이은 현재 일본의 최저해면기압 역대 2위 기록이기도 하다.

전향 후 다소 빠른 속도로 진행한 태풍은 북위 26도를 넘어서면서부터 서서히 쇠퇴해, 북위 30도를 돌파한 시점에서는 그 세력이 최성기 시에 비해서 다소 약화되어 있었지만 그럼에도 중심기압 935 hPa / 최대풍속 60 m/s 정도의 매우 강한 세력을 유지하였고, 당시 추석이었던 9월 17일 오전 12시경에 중심기압 945 hPa / 최대풍속 55 m/s[3] 라는, 한반도 기상 관측 사상 최강이라 할 수 있는 세력으로 부산 부근을 통과했다. 이윽고 동해상까지 진출했으며, 일본 홋카이도를 거쳐 9월 19일 오전 9시에는 사할린섬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바뀌었다.

태풍이 북상하면서 다소 동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부산 부근을 통과하는 경로가 되어, 한반도의 대부분이 태풍의 가항반원에 들어가 최악의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심기압 945 hPa 의 강력한 세력으로 한반도에 접근한 태풍 사라의 위력은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과거의 다른 태풍에 비해 월등한 것으로, 상륙을 하지 않았음에도 남부 지방에서는 전례 없는 폭풍우가 내렸다. 호우와 함께 동반된 강풍으로 제주에서는 최대순간풍속 46.9 m/s 가 관측되어 당시 최대순간풍속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그 외에도 울릉도에서 46.6 m/s, 여수에서 46.1 m/s 등을 관측했다. 여기에 남해안 지역에서는 태풍의 낮은 중심기압에 의한 해일까지 발생하여 피해를 키웠다. 당시에는 사라와 같은 강력한 태풍의 내습에 대처할만한 방재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전국, 특히 경상남도경상북도에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태풍이 지나가던 1959년 9월 17일 부산에서 관측된 최저해면기압 951.5 hPa 은 60여 년이 지난 2022년까지 그 기록이 깨지지 않아 아직까지 최저해면기압 부문 역대 1위 기록으로 남아있다.

기록

한국에서의 기록

참고

태풍 사라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던 1959년에는 관측 지점이 주로 큰 도시에 한정되어 있어, 당시 관측된 풍속 및 강수량 등의 기록이 최근의 태풍에 비해 극히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태풍 사라에 의한 최대순간풍속의 극값은 제주에서 관측된 46.9 m/s이지만, 다른 장소에서 이보다 강한 바람이 불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태풍이 남부 지방 전체에 영향을 미쳤던 반면에 기상 요소의 관측은 남부 지방의 일부에서만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의 기록

피해

끊긴 선로 다리
좌초된 어선
무너진 민가

대한민국

  • 인명 피해[5]
    • 사망·실종 849명
    • 부상자 2533명
    • 이재민 37만 여명
  • 재산 피해[5]
    • 2800억여 원 (2006년 화폐가치 기준)

대부분의 피해는 강풍보다는 주로 호우와 해일에 의한 것이었다. 호우로 하천이 범람하거나 역류했고, 태풍의 중심에 가까웠던 경상남도 남해안에서는 해일까지 발생하여 각지의 침수 피해 면적이 집계하기 힘들 만큼 매우 광범위했다. 때문에 피해 주택은 1만여 동, 침수된 농경지는 20만여 ha 에 이르렀고, 이재민은 37만 명이 넘었다.

전국적으로 도로 10226개소, 제방 1618개소, 축대 152개소, 교량 2개소가 유실 되거나 파손되는 등, 공공시설의 피해도 컸으며 해상에서는 강풍에 의한 높은 파도와 해일이 겹치면서 9천 척이 넘는 선박이 파손되거나 침몰했다. 인명 피해는 사망·실종 849명, 부상자 2533명에 달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최대의 자연재해가 되었다. 특히 경상도 지역의 피해가 너무도 극심했기 때문에, 꽤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까지 사라는 악명높은 태풍의 대명사로 꼽히고 있다.

일본

태풍은 일본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태풍의 위험반원에 놓여있던 일본의 오키나와, 규슈,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사망·실종 99명, 부상자 509명의 인명 피해가 나왔다.[4] 그중 오키나와 미야코섬의 피해는 매우 심각하여, 태풍 사라는 일본 기상청에 의해 미야코섬 태풍[2]으로 명명되었다.

그 외

태풍 사라의 경로는, 일본 기상청에서는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한반도에는 상륙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지만, JTWC에서는 태풍이 경남 충무 (현 통영시) 앞 바다를 통과한 뒤, 거제/진해/부산/울산/포항 등을 거쳐 동해상으로 빠져나갔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6] 두 곳은 모두 공신력있는 기관으로서, 어느 쪽의 해석이 옳다고 할 수는 없다. 이따금, 태풍 사라에 대해 언급하는 서적이나 기사 등에서는 “태풍 사라는 남해안에 상륙했다” 혹은 “태풍 사라는 대한해협을 통과했다” 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둘 다 맞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관련 통계

1분 평균 최대풍속이 높았던 태풍 (1945년~)
순위 태풍번호 태풍이름 최대풍속 (1분 평균)
1위 6118 NANCY 185 kt
2위 6124 VIOLET 180 kt
3위 5822 IDA 175 kt
4위 1330
1614
2019
HAIYAN
MERANTI
GONI
170 kt
5위 1923
7920
2102
HALONG
TIP
SURIGAE
165 kt
6위 1919
1013
HAGIBIS
MEGI
160 kt
7위 1821 JEBI 155 kt
8위 1826 WUTU 150 kt
9위 1902 WUTIP 145 kt
10위 1626 NOCK-TEN 140 kt
대한민국 상륙 시(직전)의 중심 기압이 낮았던 태풍(1951년-)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상륙 지점
1위 5914* 사라 942 hPa 경남 거제도
2위 0314 매미 950 hPa 경남 고성군 부근
2위 2009 마이삭 950 hPa 부산광역시 부근
4위 2010 하이선 955 hPa 울산광역시 부근
4위 2211 힌남노 955 hPa 부산광역시 부근
6위 0014 사오마이 959 hPa** 경남 고성군 부근
7위 0215 루사 960 hPa 전남 고흥군
8위 9503 페이 960 hPa 남해도
9위 1216 산바 965 hPa 남해도
9위 8613 베라 965 hPa 충남 보령시 부근
9위 5707 아그네스 965 hPa 경남 사천시 부근
※비고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통영에서의 실측치.
대한민국 지상에서 관측된 최저해면기압이 낮았던 태풍
(1904년~)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최저 해면 기압 관측 연월일 관측 장소
1위 5914 사라 951.5 hPa 1959/9/17 부산
2위 0314 매미 954.0 hPa 2003/9/12 통영
3위 2009 마이삭 957.0 hPa 2020/9/03 거제
4위 2010 하이선 957.6 hPa 2020/9/07 부산
5위 3693 (태풍 3693호) 959.4 hPa 1936/8/27 제주
6위 0014 사오마이 959.6 hPa 2000/9/16 통영
7위 2211 힌남노 959.7 hPa 2022/9/6 부산
8위 8705 셀마 961.5 hPa 1987/7/15 서귀포
9위 8712 다이너 961.7 hPa 1987/8/31 부산
10위 1215 볼라벤 961.9 hPa 2012/8/28 흑산도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순간 풍속
(1938년~)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최대 순간 풍속 관측 연월일 관측 장소
1위 0314 매미 60.0 m/s 2003/9/12 제주
2위 0012 프라피룬 58.3 m/s 2000/8/31 흑산도
3위 0215 루사 56.7 m/s 2002/8/31 고산
4위 1618 차바 56.5 m/s 2016/10/5 고산
5위 1913 링링 54.4 m/s 2019/9/7 흑산도
6위 0711 나리 52.4 m/s 2007/9/17 울릉도
7위 1215 볼라벤 51.8 m/s 2012/8/28 완도
8위 9219 테드 51.0 m/s 1992/9/25 울릉도
9위 2009 마이삭 49.2 m/s 2020/9/3 고산
10위 8613 베라 49.0 m/s 1986/8/28 울진
태풍의 인명피해 순위
(1904~)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사망·실종(명)
1위 3693 3693호 1,232
2위 2353 2353호 1,157
3위 5914 사라 849
4위 7214 베티 550
5위 2560 2560호 516
6위 1428 1428호 432
7위 3383 3383호 415
8위 8705 셀마 345
9위 3486 3486호 265
10위 0215 루사 246


각주

  1. Digital Typhoon:Typhoon 195914 (SARAH) - 국립 정보학 연구소
  2. 일본 기상청일본에 큰 피해나 영향을 끼친 태풍에, 따로 정식 이름을 명명하기도 한다. 태풍 사라는 그 중 하나이며, 이외에 7개의 일본 기상청 명명 태풍이 있다.
  3. (일본어) 『1959年(昭和34) 9月17日 台風第14号』[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본 기상청
  4. (일본어) 『宮古島台風』 Archived 2012년 5월 8일 - 웨이백 머신 - 일본 기상청
  5. 피해 집계 기록은, 기상청의 『태풍 백서』 및 『주요 태풍의 인명 및 재산 피해』 Archived 2010년 6월 9일 - 웨이백 머신에 의한다.
  6. 만일 JTWC의 해석을 따른다면 당시 태풍이 상륙을 앞두고 있을 무렵인 9월 17일 오전 11시경에 미군의 비행기가 태풍의 중심 부근에서 942 hPa 의 기압을 실측했으므로, 그것을 한반도 상륙 직전의 중심기압으로 볼 수 있다.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