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 과 선형대수학 에서 이차 형식 (二次形式, 영어 : quadratic form )은 다변수 2차 동차다항식 이다.
정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Q
: : -->
V
→ → -->
K
{\displaystyle Q\colon V\to K}
이다.[ 1] :244 [ 2] :54, (3.15)
(동차성) 임의의
a
∈ ∈ -->
K
{\displaystyle a\in K}
및
v
∈ ∈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Q
(
a
v
)
=
a
2
Q
(
v
)
{\displaystyle Q(av)=a^{2}Q(v)}
(쌍선형성) 함수
B
: : -->
V
× × -->
V
→ → -->
K
{\displaystyle B\colon V\times V\to K}
,
(
u
,
v
)
↦ ↦ -->
Q
(
u
+
v
)
− − -->
Q
(
u
)
− − -->
Q
(
v
)
{\displaystyle (u,v)\mapsto Q(u+v)-Q(u)-Q(v)}
를 정의하면,
B
{\displaystyle B}
는
V
{\displaystyle V}
위의 쌍선형 형식 을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u
,
v
,
w
∈ ∈ -->
V
{\displaystyle u,v,w\in V}
에 대하여,
Q
(
u
+
v
+
w
)
− − -->
Q
(
u
+
w
)
− − -->
Q
(
v
+
w
)
− − -->
Q
(
u
+
v
)
+
Q
(
u
)
+
Q
(
v
)
+
Q
(
w
)
=
0
{\displaystyle Q(u+v+w)-Q(u+w)-Q(v+w)-Q(u+v)+Q(u)+Q(v)+Q(w)=0}
임의의
a
,
b
∈ ∈ -->
K
{\displaystyle a,b\in K}
및
u
,
v
∈ ∈ -->
V
{\displaystyle u,v\in V}
에 대하여,
Q
(
a
u
+
b
v
)
− − -->
a
2
Q
(
u
)
− − -->
b
2
Q
(
v
)
− − -->
a
b
(
Q
(
u
+
v
)
− − -->
Q
(
u
)
− − -->
Q
(
v
)
)
=
0
{\displaystyle Q(au+bv)-a^{2}Q(u)-b^{2}Q(v)-ab(Q(u+v)-Q(u)-Q(v))=0}
이 경우,
B
{\displaystyle B}
를
Q
{\displaystyle Q}
의 연관 쌍선형 형식 (영어 : associated bilinear form )이라고 한다.[ 2] :54 연관 쌍선형 형식은 항상 대칭 쌍선형 형식 이며, 만약
char
-->
K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2}
라면 이는 추가로 교대 쌍선형 형식 이다.[ 2] :54
흔히 다루어지는 경우는
K
{\displaystyle K}
는 체 이거나 대수적 정수환 이며,
V
{\displaystyle V}
는 자유 가군 인 경우다.
같은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에 두 가군
V
{\displaystyle V}
,
V
′
{\displaystyle V'}
이 존재하고, 그 위에 각각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
Q
′
{\displaystyle Q'}
이 존재한다고 하자.
Q
{\displaystyle Q}
와
Q
′
{\displaystyle Q'}
사이의 동치 (영어 : equivalence )
i
{\displaystyle i}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i
: : -->
V
→ → -->
V
′
{\displaystyle i\colon V\to V'}
이다.
i
: : -->
V
→ → -->
V
′
{\displaystyle i\colon V\to V'}
는 가군의 동형 이다.
Q
′
∘ ∘ -->
i
=
Q
{\displaystyle Q'\circ i=Q}
이다.
두 이차 형식 사이에 동치가 존재한다면, 두 이차 형식이 서로 동치 (영어 : equivalent )라고 한다.
비퇴화 이차 형식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의 연관 쌍선형 형식이
B
{\displaystyle B}
라고 하자.
Q
{\displaystyle Q}
의 등방성 벡터 (等方性vector, 영어 : isotropic vector )는
Q
(
v
)
=
0
{\displaystyle Q(v)=0}
인 원소
v
∈ ∈ -->
V
{\displaystyle v\in V}
이다.[ 2] :58, §3.4.7
Q
{\displaystyle Q}
의 근기 (영어 : radical )
rad
-->
Q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Q}
는
B
{\displaystyle B}
의 근기
rad
-->
B
=
{
v
∈ ∈ -->
V
: : -->
∀ ∀ -->
u
∈ ∈ -->
V
: : -->
B
(
u
,
v
)
=
0
}
=
{
v
∈ ∈ -->
V
: : -->
∀ ∀ -->
u
∈ ∈ -->
V
: : -->
Q
(
u
+
v
)
=
Q
(
u
)
+
Q
(
v
)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B=\{v\in V\colon \forall u\in V\colon B(u,v)=0\}=\{v\in V\colon \forall u\in V\colon Q(u+v)=Q(u)+Q(v)\}}
에 속하는 등방성 벡터의 집합이다.[ 2] :58, §3.4.7
rad
-->
Q
=
{
v
∈ ∈ -->
rad
-->
B
: : -->
Q
(
v
)
=
0
}
=
{
v
∈ ∈ -->
V
: : -->
∀ ∀ -->
u
∈ ∈ -->
V
: : -->
Q
(
u
+
v
)
=
Q
(
u
)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Q=\{v\in \operatorname {rad} B\colon Q(v)=0\}=\{v\in V\colon \forall u\in V\colon Q(u+v)=Q(u)\}}
이는
V
{\displaystyle V}
의 부분 가군이자
rad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B}
의 부분 가군이다. 이는 임의의
u
,
v
∈ ∈ -->
rad
-->
B
{\displaystyle u,v\in \operatorname {rad} B}
에 대하여
Q
(
u
+
v
)
=
Q
(
u
)
+
Q
(
v
)
+
B
(
u
,
v
)
=
Q
(
u
)
+
Q
(
v
)
{\displaystyle Q(u+v)=Q(u)+Q(v)+B(u,v)=Q(u)+Q(v)}
이기 때문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비퇴화 이차 형식 이라고 한다.[ 3] :59–60, §2.3
연관 대칭 쌍선형 형식
B
(
u
,
v
)
=
Q
(
u
+
v
)
− − -->
Q
(
u
)
− − -->
Q
(
v
)
{\displaystyle B(u,v)=Q(u+v)-Q(u)-Q(v)}
이 비퇴화 쌍선형 형식 이다. 즉,
B
{\displaystyle B}
로부터 정의되는 사상
V
→ → -->
hom
K
-->
(
V
,
K
)
{\displaystyle V\to \hom _{K}(V,K)}
,
u
↦ ↦ -->
B
(
u
,
− − -->
)
{\displaystyle u\mapsto B(u,-)}
이 가군의 동형 사상 이다.
K
{\displaystyle K}
가 체이고,
V
{\displaystyle V}
가 그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rad
-->
Q
⊆ ⊆ -->
rad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Q\subseteq \operatorname {rad} B}
의 여차원 을 생각할 수 있다. 만약
K
{\displaystyle K}
의 표수가 2가 아니라면, 항상
rad
-->
Q
=
rad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Q=\operatorname {rad} B}
이다. 만약
K
{\displaystyle K}
가 표수 2의 완전체 라면, 여차원은 0 또는 1이다. 만약
char
-->
K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2}
이며, 완전체 가 아니라면, 여차원은 2 이상일 수 있다.
만약
char
-->
K
≠ ≠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neq 2}
이며,
v
∈ ∈ -->
rad
-->
B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rad} B}
라면,
Q
(
v
)
=
B
(
v
,
v
)
/
2
=
0
{\displaystyle Q(v)=B(v,v)/2=0}
이므로
v
∈ ∈ -->
rad
-->
Q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rad} Q}
이다.
이제,
K
{\displaystyle K}
가 표수 2의 완전체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K
{\displaystyle K}
위에 스칼라배
a
⋅ ⋅ -->
b
=
a
2
b
(
∀ ∀ -->
a
,
b
∈ ∈ -->
K
)
{\displaystyle a\cdot b=a^{2}b\qquad (\forall a,b\in K)}
를 주면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을 이룬다. 또한,
x
↦ ↦ -->
x
2
{\displaystyle x\mapsto x^{2}}
는
K
{\displaystyle K}
위의 전사 함수 이므로, 이 벡터 공간의 차원은 1이다. 임의의
a
,
b
∈ ∈ -->
K
{\displaystyle a,b\in K}
및
u
,
v
∈ ∈ -->
rad
-->
B
{\displaystyle u,v\in \operatorname {rad} B}
에 대하여,
Q
(
a
u
+
b
v
)
=
a
2
Q
(
u
)
+
b
2
Q
(
v
)
+
a
b
B
(
u
,
v
)
=
a
2
Q
(
u
)
+
b
2
Q
(
v
)
{\displaystyle Q(au+bv)=a^{2}Q(u)+b^{2}Q(v)+abB(u,v)=a^{2}Q(u)+b^{2}Q(v)}
이다. 즉,
Q
|
rad
-->
B
: : -->
rad
-->
B
→ → -->
K
{\displaystyle Q|_{\operatorname {rad} B}\colon \operatorname {rad} B\to K}
는 (
K
{\displaystyle K}
를 위에서 정의한 벡터 공간으로 여겼을 때)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을 이루며, 그 핵 은
ker
-->
(
Q
|
rad
-->
B
)
=
rad
-->
Q
{\displaystyle \ker(Q|_{\operatorname {rad} B})=\operatorname {rad} Q}
이다. 특히,
dim
K
-->
(
rad
-->
B
/
rad
-->
Q
)
≤ ≤ -->
1
{\displaystyle \dim _{K}(\operatorname {rad} B/\operatorname {rad} Q)\leq 1}
이다.
여차원이 2 이상인 이차 형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임의의 표수 2의 비완전체
K
{\displaystyle K}
속에서, 제곱이 아닌 (특히, 0이 아닌) 수
a
{\displaystyle a}
를 고르자. (예를 들어,
K
=
F
2
(
t
)
{\displaystyle K=\mathbb {F} _{2}(t)}
,
a
=
t
{\displaystyle a=t}
로 잡을 수 있다.) 그렇다면,
K
2
{\displaystyle K^{2}}
위의 이차 형식
x
2
+
a
y
2
{\displaystyle x^{2}+ay^{2}}
의 근기는
{
0
}
{\displaystyle \{0\}}
이지만, 그 연관 쌍선형 형식
B
=
0
{\displaystyle B=0}
의 근기는
K
2
{\displaystyle K^{2}}
이다.
만약
Q
{\displaystyle Q}
의 근기가
{
0
}
{\displaystyle \{0\}}
이라면,
Q
{\displaystyle Q}
를 비특이 이차 형식 (非特異二次形式, 영어 : nonsingular quadratic form )이라고 한다.[ 2] :58, §3.4.7 만약
Q
{\displaystyle Q}
의 연관 쌍선형 형식
B
{\displaystyle B}
가 비퇴화 쌍선형 형식 이라면 (즉,
B
{\displaystyle B}
의 근기가
{
0
}
{\displaystyle \{0\}}
이라면),
Q
{\displaystyle Q}
를 비퇴화 이차 형식 (非退化二次形式, 영어 : nondegenerate quadratic form )이라고 한다.[ 2] :58, §3.4.7 만약
char
-->
K
≠ ≠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neq 2}
라면 비특이 이차 형식의 개념과 비퇴화 이차 형식의 개념이 일치하지만,
char
-->
K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2}
일 경우 퇴화 비특이 이차 형식이 존재한다.
K
{\displaystyle K}
가 완전체 인 경우, 이는
dim
K
-->
rad
-->
B
=
1
{\displaystyle \dim _{K}\operatorname {rad} B=1}
dim
K
-->
rad
-->
Q
=
0
{\displaystyle \dim _{K}\operatorname {rad} Q=0}
인 경우이다.
정부호성
순서체
K
{\displaystyle K}
위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들을 정의한다.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 (陽의定符號二次形式, 영어 : positive-definite quadratic form ): 모든
v
∈ ∈ -->
V
∖ ∖ -->
{
0
}
{\displaystyle v\in V\setminus \{0\}}
에 대하여,
Q
(
v
)
>
0
{\displaystyle Q(v)>0}
이다.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 (陰의定符號二次形式, 영어 : negative-definite quadratic form ): 모든
v
∈ ∈ -->
V
∖ ∖ -->
{
0
}
{\displaystyle v\in V\setminus \{0\}}
에 대하여,
Q
(
v
)
<
0
{\displaystyle Q(v)<0}
이다.
양의 준정부호 이차 형식 (陽의準定符號二次形式, 영어 : positive-semidefinite quadratic form ): 모든
v
∈ ∈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Q
(
v
)
≥ ≥ -->
0
{\displaystyle Q(v)\geq 0}
이다.
음의 준정부호 이차 형식 (陰의準定符號二次形式, 영어 : negative-semidefinite quadratic form ): 모든
v
∈ ∈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Q
(
v
)
≤ ≤ -->
0
{\displaystyle Q(v)\leq 0}
이다.
부정부호 이차 형식 (不定符號二次形式, 영어 : indefinite quadratic form ):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이 아니며,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도 아니다.
이차 공간
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이차 공간 (二次空間, 영어 : quadratic space )
(
M
,
Q
)
{\displaystyle (M,Q)}
은
R
{\displaystyle R}
위의 가군
M
{\displaystyle M}
과 그 위의 이차 형식
Q
: : -->
M
→ → -->
R
{\displaystyle Q\colon M\to R}
의 순서쌍이다.
R
{\displaystyle R}
위의 두 이차 공간
(
M
,
Q
)
{\displaystyle (M,Q)}
,
(
M
′
,
Q
′
)
{\displaystyle (M',Q')}
사이의 사상 (영어 : morphism of quadratic spaces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 : -->
M
→ → -->
M
′
{\displaystyle f\colon M\to M'}
이다.
f
: : -->
M
→ → -->
M
′
{\displaystyle f\colon M\to M'}
은
R
{\displaystyle R}
-가군 의 가군 준동형 이다.
Q
′
∘ ∘ -->
f
=
Q
{\displaystyle Q'\circ f=Q}
이다.
단사 함수 인 이차 공간 사상을 이차 공간의 매장 (영어 : embedding )이라고 한다. 이차 공간의 매장
ι ι -->
: : -->
(
M
,
Q
)
→ → -->
(
M
′
,
Q
′
)
{\displaystyle \iota \colon (M,Q)\to (M',Q')}
이 주어졌을 때, 만약
coker
-->
ι ι -->
=
M
′
/
ι ι -->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iota =M'/\iota (M)}
이 자유 가군 이라면,
ι ι -->
{\displaystyle \iota }
를 원시 매장 (영어 : primitive embedding )이라고 한다.
성질
비트 소거 정리
임의의 표수의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이차 공간
(
V
1
,
Q
1
)
{\displaystyle (V_{1},Q_{1})}
,
(
V
2
,
Q
2
)
{\displaystyle (V_{2},Q_{2})}
,
(
V
3
,
Q
3
)
{\displaystyle (V_{3},Q_{3})}
이 주어졌다고 하자.
비트 소거 정리 (영어 : Witt cancellation theorem )에 따르면, 만약
(
V
1
,
Q
1
)
⊕ ⊕ -->
(
V
3
,
Q
3
)
≅ ≅ -->
(
V
2
,
Q
2
)
⊕ ⊕ -->
(
V
3
,
Q
3
)
{\displaystyle (V_{1},Q_{1})\oplus (V_{3},Q_{3})\cong (V_{2},Q_{2})\oplus (V_{3},Q_{3})}
이라면,
(
V
1
,
Q
1
)
≅ ≅ -->
(
V
2
,
Q
2
)
{\displaystyle (V_{1},Q_{1})\cong (V_{2},Q_{2})}
이다.
쌍선형 형식과의 관계
가환환
K
{\displaystyle K}
에서 2가 가역원 일 경우 (예를 들어,
K
{\displaystyle K}
가 표수 가 2가 아닌 체 일 경우),
K
{\displaystyle K}
-가군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은
V
{\displaystyle V}
위의 대칭 쌍선형 형식 과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 한다. 구체적으로,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의 연관 쌍선형 형식
B
(
u
,
v
)
=
Q
(
u
+
v
)
− − -->
Q
(
u
)
− − -->
Q
(
v
)
{\displaystyle B(u,v)=Q(u+v)-Q(u)-Q(v)}
이 주어졌다면, 이로부터 원래 이차 형식을 다음과 같이 되찾을 수 있다.
Q
(
v
)
=
1
2
B
(
v
,
v
)
{\displaystyle Q(v)={\frac {1}{2}}B(v,v)}
그러나 만약
K
{\displaystyle K}
에서 2가 가역원 이 아니라면 이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및
ϵ ϵ -->
∈ ∈ -->
{
± ± -->
1
}
⊆ ⊆ -->
K
{\displaystyle \epsilon \in \{\pm 1\}\subseteq K}
에 대하여, 2차 순환군
Z
/
2
=
⟨ ⟨ -->
t
|
t
2
=
1
⟩ ⟩ -->
{\displaystyle \mathbb {Z} /2=\langle t|t^{2}=1\rangle }
이 쌍선형 형식 의 공간
hom
K
-->
(
V
⊗ ⊗ -->
K
V
;
K
)
{\displaystyle \hom _{K}(V\otimes _{K}V;K)}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
t
⋅ ⋅ -->
B
)
(
u
,
v
)
=
ϵ ϵ -->
B
(
v
,
u
)
{\displaystyle (t\cdot B)(u,v)=\epsilon B(v,u)}
이에 대하여,
hom
K
-->
(
V
⊗ ⊗ -->
K
V
;
K
)
{\displaystyle \hom _{K}(V\otimes _{K}V;K)}
는 군환
Z
[
Z
/
2
]
{\displaystyle \mathbb {Z} [\mathbb {Z} /2]}
위의 가군 을 이룬다. 이 계수에 대하여 군 호몰로지 및 군 코호몰로지 를 정의할 수 있다. 0차 군 코호몰로지 는 군의 작용 의 불변량으로 구성되며, 만약
ϵ ϵ -->
=
+
1
{\displaystyle \epsilon =+1}
이라면 이는 대칭 쌍선형 형식 의 공간과 같다.
H
0
-->
(
Z
/
2
;
hom
K
-->
(
V
⊗ ⊗ -->
K
V
;
K
)
)
=
(
hom
K
-->
(
V
⊗ ⊗ -->
K
V
;
K
)
)
Z
/
2
=
{
B
∈ ∈ -->
hom
K
-->
(
V
⊗ ⊗ -->
K
V
;
K
)
: : -->
B
(
u
,
v
)
=
ϵ ϵ -->
B
(
v
,
u
)
∀ ∀ -->
u
,
v
∈ ∈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0}\left(\mathbb {Z} /2;\hom _{K}(V\otimes _{K}V;K)\right)=\left(\hom _{K}(V\otimes _{K}V;K)\right)^{\mathbb {Z} /2}=\left\{B\in \hom _{K}(V\otimes _{K}V;K)\colon B(u,v)=\epsilon B(v,u)\qquad \forall u,v\in V\right\}}
0차 군 호몰로지 는 군의 작용 의 쌍대불변량으로 구성된다.
H
0
-->
(
Z
/
2
;
hom
K
-->
(
V
⊗ ⊗ -->
K
V
;
K
)
)
=
(
hom
K
-->
(
V
⊗ ⊗ -->
K
V
;
K
)
)
Z
/
2
=
hom
K
-->
(
V
⊗ ⊗ -->
K
V
;
K
)
{
B
− − -->
t
⋅ ⋅ -->
B
: : -->
B
∈ ∈ -->
hom
K
-->
(
V
⊗ ⊗ -->
K
V
;
K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0}\left(\mathbb {Z} /2;\hom _{K}(V\otimes _{K}V;K)\right)=\left(\hom _{K}(V\otimes _{K}V;K)\right)_{\mathbb {Z} /2}={\frac {\hom _{K}(V\otimes _{K}V;K)}{\{B-t\cdot B\colon B\in \hom _{K}(V\otimes _{K}V;K)\}}}}
만약
ϵ ϵ -->
=
− − -->
1
{\displaystyle \epsilon =-1}
일 경우, 이는
M
{\displaystyle M}
위의 이차 형식의 공간
QForms
-->
(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QForms} (M;K)}
과 다음과 같이 동형이다.
[
B
(
− − -->
,
− − -->
)
]
↦ ↦ -->
(
Q
B
: : -->
(
u
∈ ∈ -->
V
)
↦ ↦ -->
B
(
u
,
u
)
)
{\displaystyle [B(-,-)]\mapsto \left(Q_{B}\colon (u\in V)\mapsto B(u,u)\right)}
다시 말해,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가군 의 완전열 이 존재한다.
0
→ → -->
H
0
-->
(
Z
/
2
;
hom
K
-->
(
V
⊗ ⊗ -->
K
V
;
K
)
)
→ → -->
hom
K
-->
(
V
⊗ ⊗ -->
K
V
;
K
)
→
1
− − -->
t
hom
K
-->
(
V
⊗ ⊗ -->
K
V
;
K
)
→ → -->
H
0
-->
(
Z
/
2
;
hom
K
-->
(
V
⊗ ⊗ -->
K
V
;
K
)
)
→ → -->
0
{\displaystyle 0\to \operatorname {H} ^{0}\left(\mathbb {Z} /2;\hom _{K}(V\otimes _{K}V;K)\right)\to \hom _{K}(V\otimes _{K}V;K){\xrightarrow {1-t}}\hom _{K}(V\otimes _{K}V;K)\to \operatorname {H} _{0}\left(\mathbb {Z} /2;\hom _{K}(V\otimes _{K}V;K)\right)\to 0}
클리퍼드 대수와의 관계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가 주어졌을 때, 이 데이터로부터 클리퍼드 대수
Cliff
-->
(
V
,
Q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iff} (V,Q;K)}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K
{\displaystyle K}
-단위 결합 대수 이다.
클리퍼드 대수는 표준적인 단사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ι ι -->
0
: : -->
K
↪ ↪ -->
Cliff
-->
(
V
,
Q
;
K
)
{\displaystyle \iota _{0}\colon K\hookrightarrow \operatorname {Cliff} (V,Q;K)}
ι ι -->
1
: : -->
V
↪ ↪ -->
Cliff
-->
(
V
,
Q
;
K
)
{\displaystyle \iota _{1}\colon V\hookrightarrow \operatorname {Cliff} (V,Q;K)}
를 갖는다.
이차 형식의 클리퍼드 대수는 이차 형식의 불변량을 이룬다. 비퇴화 이차 형식의 클리퍼드 대수는 항상 등급 아즈마야 대수 를 이루며, 따라서 브라우어-월 군
BW
-->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BW} (K)}
의 원소를 정의한다. 이 역시 비퇴화 이차 형식의 불변량으로 생각할 수 있다.
대각화와 비트 분해 정리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K
n
=
Span
K
-->
{
x
1
,
… … -->
,
x
n
}
{\displaystyle K^{n}=\operatorname {Span} _{K}\{x_{1},\dots ,x_{n}\}}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가
∑ ∑ -->
i
=
1
n
a
i
x
i
2
(
a
1
,
… … -->
,
a
n
∈ ∈ -->
K
)
{\displaystyle \sum _{i=1}^{n}a_{i}x_{i}^{2}\qquad (a_{1},\dots ,a_{n}\in K)}
의 꼴의 이차 형식과 동치라면,
Q
{\displaystyle Q}
를 대각화 가능 이차 형식 (對角化可能二次形式, 영어 : diagonalizable quadratic form )이라고 한다.
표수가 2가 아닌 체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위의 모든 이차 형식은 대각화 가능 이차 형식이다. 그러나 이는 표수 2의 경우 성립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대각화 알고리즘 은 다음과 같은 그람-슈미트 과정 의 일종이다. 표수가 2가 아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가 주어졌을 때,
Q
=
0
{\displaystyle Q=0}
일 경우 이미 대각화돼 있으므로
Q
≠ ≠ -->
0
{\displaystyle Q\neq 0}
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Q
(
v
)
≠ ≠ -->
0
{\displaystyle Q(v)\neq 0}
인
v
∈ ∈ -->
V
{\displaystyle v\in V}
를 고를 수 있으며, 이 경우
V
=
Span
-->
{
v
}
⊕ ⊕ -->
(
Span
-->
{
v
}
)
⊥ ⊥ -->
{\displaystyle V=\operatorname {Span} \{v\}\oplus (\operatorname {Span} \{v\})^{\perp }}
u
=
B
(
u
,
v
)
v
/
B
(
v
,
v
)
⏟ ⏟ -->
Span
-->
{
v
}
+
(
u
− − -->
B
(
u
,
v
)
v
/
B
(
v
,
v
)
)
⏟ ⏟ -->
(
Span
-->
{
v
}
)
⊥ ⊥ -->
∀ ∀ -->
u
∈ ∈ -->
V
{\displaystyle u=\underbrace {B(u,v)v/B(v,v)} _{\operatorname {Span} \{v\}}+\underbrace {\left(u-B(u,v)v/B(v,v)\right)} _{(\operatorname {Span} \{v\})^{\perp }}\qquad \forall u\in V}
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Q
(
v
′
)
≠ ≠ -->
0
{\displaystyle Q(v')\neq 0}
인
v
′
∈ ∈ -->
(
Span
-->
{
v
}
)
⊥ ⊥ -->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Span} \{v\})^{\perp }}
를 골라 위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비트 분해 정리 (Witt分解定理, 영어 : Witt decomposition theorem )에 따르면, 표수가 2가 아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이차 공간
(
V
,
Q
)
{\displaystyle (V,Q)}
는 다음과 같은 꼴로 표준적으로 분해된다.[ 4] :12, Theorem 4.1
(
V
,
Q
)
=
(
V
0
,
0
)
⊕ ⊕ -->
(
V
1
,
Q
1
)
⊕ ⊕ -->
(
V
2
,
Q
2
)
{\displaystyle (V,Q)=(V_{0},0)\oplus (V_{1},Q_{1})\oplus (V_{2},Q_{2})}
여기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
V
0
,
0
)
{\displaystyle (V_{0},0)}
은 이차 형식이 0인 이차 공간이다.
(
V
1
,
Q
1
)
{\displaystyle (V_{1},Q_{1})}
은 비등방성 이차 공간 (영어 : anisotropic quadratic space )이다. 즉,
V
1
{\displaystyle V_{1}}
속에서
Q
1
(
v
)
=
0
{\displaystyle Q_{1}(v)=0}
인 벡터
v
∈ ∈ -->
V
1
{\displaystyle v\in V_{1}}
은
v
=
0
{\displaystyle v=0}
뿐이다. 특히,
Q
1
{\displaystyle Q_{1}}
은 비퇴화 이차 형식이다.
(
V
2
,
Q
2
)
{\displaystyle (V_{2},Q_{2})}
는 분해 이차 공간 (영어 : split quadratic space )이다. 즉,
Q
2
{\displaystyle Q_{2}}
는 비퇴화 이차 형식이며,
dim
K
-->
V
2
=
2
n
{\displaystyle \dim _{K}V_{2}=2n}
는 짝수이며,
V
2
{\displaystyle V_{2}}
속에서
Q
2
|
W
=
0
{\displaystyle Q_{2}|_{W}=0}
인
n
{\displaystyle n}
차원 부분 공간
W
⊆ ⊆ -->
V
2
{\displaystyle W\subseteq V_{2}}
이 존재한다.
이 경우
(
V
1
,
Q
1
)
{\displaystyle (V_{1},Q_{1})}
을
(
V
,
Q
)
{\displaystyle (V,Q)}
의 핵심 (영어 : core )이라고 한다. 또한,
dim
K
-->
(
V
1
⊕ ⊕ -->
V
2
)
{\displaystyle \dim _{K}(V_{1}\oplus V_{2})}
를
Q
{\displaystyle Q}
의 계수 (영어 : rank )라고 하며,
(
dim
K
-->
V
2
)
/
2
{\displaystyle (\dim _{K}V_{2})/2}
를
Q
{\displaystyle Q}
의 비트 지표 (영어 : Witt index )라고 한다.[ 2] :58 비트 정리에 따라 만약
Q
{\displaystyle Q}
가 비퇴화 이차 형식이라면,
Q
|
W
=
0
{\displaystyle Q|_{W}=0}
이 되는 부분 벡터 공간들의 포함 관계에 대한 부분 순서 집합 에서, 극대 원소 들의 차원은 항상 비트 지표와 같다.
분류
이차 형식의 동치에 대한 분류는 수론 과 선형대수학 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복소수 이차 형식의 분류
K
{\displaystyle K}
가 표수 가 2가 아닌 이차 폐체 (영어 : quadratically closed field , 모든 원소가 제곱근을 갖는 체)라고 하자. (예를 들어,
K
{\displaystyle K}
가 복소수체이거나, 표수가 2가 아닌 체의 대수적 폐포 인 경우 이에 해당된다.) 그렇다면, 유한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K
n
{\displaystyle K^{n}}
위의 이차 형식은 그 계수
r
{\displaystyle r}
에 따라서 완전히 분류된다. 즉, 모든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이차 형식과 동치이다.
z
1
2
+
z
2
2
+
⋯ ⋯ -->
+
z
r
2
(
1
≤ ≤ -->
r
≤ ≤ -->
n
)
{\displaystyle z_{1}^{2}+z_{2}^{2}+\cdots +z_{r}^{2}\qquad (1\leq r\leq n)}
이 경우, 이차 형식은 계수
r
{\displaystyle r}
에 의하여 완전히 분류된다.
실수 이차 형식의 분류
(
K
,
≤ ≤ -->
)
{\displaystyle (K,\leq )}
가 에우클레이데스 체 (영어 : Euclidean field , 모든 양수가 제곱근을 갖는 순서체 )라고 하자. (예를 들어,
K
{\displaystyle K}
가 실수체
R
{\displaystyle \mathbb {R} }
이거나 보다 일반적으로 실폐체 일 경우 이에 해당된다.)
유한 차원 실수 벡터 공간
K
n
{\displaystyle K^{n}}
위의 이차 형식은 그 계수 및 부호수
(
s
,
k
)
{\displaystyle (s,k)}
에 따라서 완전히 분류된다 (
1
≤ ≤ -->
s
≤ ≤ -->
k
≤ ≤ -->
n
{\displaystyle 1\leq s\leq k\leq n}
). 즉, 모든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이차 형식과 동치이다.
x
1
2
+
x
2
2
+
⋯ ⋯ -->
+
x
s
2
− − -->
x
s
+
1
2
− − -->
⋯ ⋯ -->
− − -->
x
r
2
(
1
≤ ≤ -->
s
≤ ≤ -->
k
≤ ≤ -->
n
)
{\displaystyle x_{1}^{2}+x_{2}^{2}+\cdots +x_{s}^{2}-x_{s+1}^{2}-\cdots -x_{r}^{2}\qquad (1\leq s\leq k\leq n)}
구체적으로, n 변수의
K
{\displaystyle K}
계수 이차 형식
Q
(
x
1
,
… … -->
,
x
n
)
{\displaystyle Q(x_{1},\dots ,x_{n})}
은
n
× × -->
n
{\displaystyle n\times n}
대칭 행렬
M
{\displaystyle M}
으로 나타낼 수 있다.
Q
(
x
1
,
… … -->
,
x
n
)
=
(
x
1
⋯ ⋯ -->
x
n
)
M
(
x
1
⋮ ⋮ -->
x
n
)
{\displaystyle Q(x_{1},\dots ,x_{n})={\begin{pmatrix}x_{1}&\cdots &x_{n}\end{pmatrix}}M{\begin{pmatrix}x_{1}\\\vdots \\x_{n}\end{pmatrix}}}
Q
{\displaystyle Q}
의 부호수 (영어 : signature )
(
n
+
,
n
0
,
n
− − -->
)
{\displaystyle (n_{+},n_{0},n_{-})}
는
M
{\displaystyle M}
의 양의 고윳값 의 수
n
+
∈ ∈ -->
N
{\displaystyle n_{+}\in \mathbb {N} }
, 고윳값 0의 중복도
n
0
∈ ∈ -->
N
{\displaystyle n_{0}\in \mathbb {N} }
, 음의 고윳값의 수
n
− − -->
∈ ∈ -->
N
{\displaystyle n_{-}\in \mathbb {N} }
의 순서쌍이다. 물론
n
+
+
n
0
+
n
− − -->
=
n
{\displaystyle n_{+}+n_{0}+n_{-}=n}
이다. 여기서,
n
+
{\displaystyle n_{+}}
등은 고윳값의 중복도를 고려하여 센다. 그렇다면
(
n
+
,
n
0
,
n
− − -->
)
{\displaystyle (n_{+},n_{0},n_{-})}
는 실수 계수 이차 형식의 완전한 불변량이다. 즉, 두 실수 계수 이차 형식이 서로 동치일 필요충분조건 은 두 이차 형식의 부호수가 같은 것이다. 이를 실베스터 관성 법칙 (Sylvester慣性法則, 영어 : Sylvester’s law of inertia )이라고 한다.
국소체 위의 이차 형식의 분류
p진수체 위의 이차 형식은 그 계수와 하세-비트 불변량 에 따라 완전히 분류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국소체 위의 이차 형식도 완전히 분류되었다.
대역체 위의 이차 형식의 분류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에 따르면, 대역체
K
{\displaystyle K}
위의 두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
Q
′
{\displaystyle Q'}
이 동치일 필요충분조건 은 다음과 같다.
K
{\displaystyle K}
의 완비화인 모든 국소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Q
k
{\displaystyle Q_{k}}
와
Q
k
′
{\displaystyle Q'_{k}}
는 서로 동치이다. 여기서
Q
k
{\displaystyle Q_{k}}
는
Q
{\displaystyle Q}
를
k
⊃ ⊃ -->
K
{\displaystyle k\supset K}
계수로 간주한,
k
{\displaystyle k}
위의 이차 형식이다.
홀수 표수의 유한체 위의 이차 형식의 분류
표수 가 2가 아닌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위의 벡터 공간
F
q
n
{\displaystyle \mathbb {F} _{q}^{n}}
위의 이차 형식의 동치류는 총
2
n
+
1
{\displaystyle 2n+1}
개가 있으며, 이들 가운데 비퇴화 이차 형식인 것은 두 개이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
∈ ∈ -->
F
q
{\displaystyle a\in \mathbb {F} _{q}}
가 제곱수가 아닌 임의의 수라고 하자.
∄ ∄ -->
b
∈ ∈ -->
F
q
: : -->
b
2
=
a
{\displaystyle \nexists b\in \mathbb {F} _{q}\colon b^{2}=a}
이러한 수는 항상 존재한다. 그렇다면, 모든 비퇴화 이차 형식(의 연관 대칭 쌍선형 형식 )은 다음 두 대각 행렬 가운데 정확히 하나와 서로 동치이다.
Q
1
(
n
)
=
diag
-->
(
1
,
… … -->
,
1
,
1
)
{\displaystyle Q_{1}^{(n)}=\operatorname {diag} (1,\dots ,1,1)}
Q
2
(
n
)
=
diag
-->
(
1
,
… … -->
,
1
,
a
)
{\displaystyle Q_{2}^{(n)}=\operatorname {diag} (1,\dots ,1,a)}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Q
1
(
n
)
(
x
)
=
x
1
2
+
x
2
2
+
⋯ ⋯ -->
+
x
n
2
{\displaystyle Q_{1}^{(n)}(x)=x_{1}^{2}+x_{2}^{2}+\cdots +x_{n}^{2}}
Q
2
(
n
)
(
x
)
=
x
1
2
+
x
2
2
+
⋯ ⋯ -->
+
a
x
n
2
{\displaystyle Q_{2}^{(n)}(x)=x_{1}^{2}+x_{2}^{2}+\cdots +ax_{n}^{2}}
만약
n
{\displaystyle n}
이 홀수라면,
Q
2
(
n
)
{\displaystyle Q_{2}^{(n)}}
는
α α -->
Q
1
(
n
)
{\displaystyle \alpha Q_{1}^{(n)}}
과 동치이다.[ 2] :69 이 경우 비트 지표는
Q
1
(
n
)
{\displaystyle Q_{1}^{(n)}}
,
Q
2
(
n
)
{\displaystyle Q_{2}^{(n)}}
둘 다
(
n
− − -->
1
)
/
2
{\displaystyle (n-1)/2}
이다.
만약
n
{\displaystyle n}
이 짝수라면,
Q
1
(
n
)
{\displaystyle Q_{1}^{(n)}}
은
α α -->
Q
1
(
n
)
{\displaystyle \alpha Q_{1}^{(n)}}
과 동치이며, 비트 지표는 다음과 같다.[ 2] :59
n
≡ ≡ -->
2
(
mod
4
)
{\displaystyle n\equiv 2{\pmod {4}}}
이며
q
≡ ≡ -->
3
(
mod
4
)
{\displaystyle q\equiv 3{\pmod {4}}}
인 경우,
Q
1
(
n
)
{\displaystyle Q_{1}^{(n)}}
의 비트 지표는
n
/
2
− − -->
1
{\displaystyle n/2-1}
이며
Q
2
(
n
)
{\displaystyle Q_{2}^{(n)}}
의 비트 지표는
n
/
2
{\displaystyle n/2}
이다.
n
≡ ≡ -->
0
(
mod
4
)
{\displaystyle n\equiv 0{\pmod {4}}}
이거나 또는
q
≡ ≡ -->
1
(
mod
4
)
{\displaystyle q\equiv 1{\pmod {4}}}
인 경우,
Q
1
(
n
)
{\displaystyle Q_{1}^{(n)}}
의 비트 지표는
n
/
2
{\displaystyle n/2}
이며
Q
2
(
n
)
{\displaystyle Q_{2}^{(n)}}
의 비트 지표는
n
/
2
− − -->
1
{\displaystyle n/2-1}
이다.
이 경우, 비트 지표가
n
/
2
{\displaystyle n/2}
인 경우를 플러스형 (영어 : plus-type ),
n
/
2
− − -->
1
{\displaystyle n/2-1}
인 경우를 마이너스형 (영어 : minus-type )이라고 한다.[ 2] :59
비트 분해 정리에 의하여, 모든 (퇴화 또는 비퇴화) 이차 형식은 비퇴화 이차 형식과 0의 직합과 동치이다. 즉, 다음 두 꼴 가운데 하나와 동치이다.
diag
-->
(
1
,
… … -->
,
1
,
1
,
0
,
… …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1,\dots ,1,1,0,\dots ,0)}
diag
-->
(
1
,
… … -->
,
1
,
a
,
0
,
… …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1,\dots ,1,a,0,\dots ,0)}
홀수 차수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의 비트 환의 크기는 4이며, 이는
q
{\displaystyle q}
에 따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4] :37
W
(
F
q
)
≅ ≅ -->
{
Z
/
(
4
)
q
≡ ≡ -->
3
(
mod
4
)
F
2
[
F
q
× × -->
/
(
F
q
× × -->
)
2
]
q
≡ ≡ -->
1
(
mod
4
)
{\displaystyle W(\mathbb {F} _{q})\cong {\begin{cases}\mathbb {Z} /(4)&q\equiv 3{\pmod {4}}\\\mathbb {F} _{2}[\mathbb {F} _{q}^{\times }/(\mathbb {F} _{q}^{\times })^{2}]&q\equiv 1{\pmod {4}}\end{cases}}}
이 동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q
≡ ≡ -->
3
(
mod
4
)
{\displaystyle q\equiv 3{\pmod {4}}}
인 경우
Z
/
(
4
)
{\displaystyle \mathbb {Z} /(4)}
0
1
2
3
W
(
F
q
)
{\displaystyle W(\mathbb {F} _{q})}
Q
1
(
0
)
{\displaystyle Q_{1}^{(0)}}
Q
1
(
1
)
{\displaystyle Q_{1}^{(1)}}
Q
1
(
2
)
{\displaystyle Q_{1}^{(2)}}
Q
2
(
1
)
{\displaystyle Q_{2}^{(1)}}
q
≡ ≡ -->
1
(
mod
4
)
{\displaystyle q\equiv 1{\pmod {4}}}
인 경우
F
2
[
x
]
/
(
x
2
)
{\displaystyle \mathbb {F} _{2}[x]/(x^{2})}
0
1
x
1+x
W
(
F
q
)
{\displaystyle W(\mathbb {F} _{q})}
Q
1
(
0
)
{\displaystyle Q_{1}^{(0)}}
Q
1
(
1
)
{\displaystyle Q_{1}^{(1)}}
Q
2
(
2
)
{\displaystyle Q_{2}^{(2)}}
Q
2
(
1
)
{\displaystyle Q_{2}^{(1)}}
짝수 표수의 유한체 위의 이차 형식의 분류
표수 가 2가 아닌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위의 벡터 공간
F
q
n
{\displaystyle \mathbb {F} _{q}^{n}}
위의 이차 형식의 동치류는 총
⌈ ⌈ -->
(
3
n
+
1
)
/
2
⌉ ⌉ -->
{\displaystyle \lceil (3n+1)/2\rceil }
개가 있으며, 이들 가운데 비특이 이차 형식인 것은
n
{\displaystyle n}
이 양의 짝수일 경우 2개, 홀수이거나 0일 경우 1개이다.[ 2] :58–59, §3.4.7
n
{\displaystyle n}
이 홀수라면 비특이 이차 형식은 퇴화 이차 형식이지만,
n
{\displaystyle n}
이 짝수라면 비특이 이차 형식은 모두 비퇴화 이차 형식이다.
구체적으로,
n
{\displaystyle n}
이 홀수일 경우, 모든 비특이 이차 형식은 다음과 같은 블록 대각 행렬과 동치이다.
diag
-->
(
1
,
(
0
1
0
0
)
,
⋯ ⋯ -->
,
(
0
1
0
0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left(1,{\begin{pmatrix}0&1\\0&0\end{pmatrix}},\cdots ,{\begin{pmatrix}0&1\\0&0\end{pmatrix}}\right)}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Q
(
x
)
=
x
1
2
+
x
2
x
3
+
x
4
x
5
+
⋯ ⋯ -->
+
x
n
− − -->
1
x
n
{\displaystyle Q(x)=x_{1}^{2}+x_{2}x_{3}+x_{4}x_{5}+\cdots +x_{n-1}x_{n}}
이 경우
Q
{\displaystyle Q}
의 연관 대칭 쌍선형 형식 은
B
=
diag
-->
(
0
,
(
0
1
1
0
)
,
⋯ ⋯ -->
,
(
0
1
1
0
)
)
{\displaystyle B=\operatorname {diag} \left(0,{\begin{pmatrix}0&1\\1&0\end{pmatrix}},\cdots ,{\begin{pmatrix}0&1\\1&0\end{pmatrix}}\right)}
이다. 즉,
rad
-->
B
=
Span
F
q
-->
{
x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rad} B=\operatorname {Span} _{\mathbb {F} _{q}}\{x_{1}\}}
이다.
a
∈ ∈ -->
F
q
{\displaystyle a\in \mathbb {F} _{q}}
가
x
2
+
x
+
a
=
0
{\displaystyle x^{2}+x+a=0}
의 해가 존재하지 않는 임의의 수라고 하자. (이러한 수는 항상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n
{\displaystyle n}
이 양의 짝수일 경우, 모든 비특이 이차 형식은 다음과 같은 두 블록 대각 행렬 가운데 정확히 하나와 동치이다.[ 2] :58–59, §3.4.7
diag
-->
(
(
0
1
0
0
)
,
⋯ ⋯ -->
,
(
0
1
0
0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left({\begin{pmatrix}0&1\\0&0\end{pmatrix}},\cdots ,{\begin{pmatrix}0&1\\0&0\end{pmatrix}}\right)}
diag
-->
(
(
a
1
0
1
)
,
(
0
1
0
0
)
,
⋯ ⋯ -->
,
(
0
1
0
0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left({\begin{pmatrix}a&1\\0&1\end{pmatrix}},{\begin{pmatrix}0&1\\0&0\end{pmatrix}},\cdots ,{\begin{pmatrix}0&1\\0&0\end{pmatrix}}\right)}
즉, 각각 다음과 같은 꼴이다.
Q
+
(
x
)
=
x
1
x
2
+
x
3
x
4
+
⋯ ⋯ -->
+
x
n
− − -->
1
x
n
{\displaystyle Q_{+}(x)=x_{1}x_{2}+x_{3}x_{4}+\cdots +x_{n-1}x_{n}}
Q
− − -->
(
x
)
=
a
x
1
2
+
x
2
2
+
x
1
x
2
+
x
3
x
4
+
⋯ ⋯ -->
+
⋯ ⋯ -->
+
x
n
− − -->
1
x
n
{\displaystyle Q_{-}(x)=ax_{1}^{2}+x_{2}^{2}+x_{1}x_{2}+x_{3}x_{4}+\cdots +\cdots +x_{n-1}x_{n}}
이 경우
Q
+
{\displaystyle Q_{+}}
를 플러스형 (영어 : plus-type ),
Q
− − -->
{\displaystyle Q_{-}}
를 마이너스형 (영어 : minus-type )이라고 한다.[ 2] :59
Q
+
{\displaystyle Q_{+}}
의 비트 지표는
n
/
2
{\displaystyle n/2}
이며,
Q
− − -->
{\displaystyle Q_{-}}
의 비트 지표는
n
/
2
− − -->
1
{\displaystyle n/2-1}
이다.
비트 분해 정리에 따라, 모든 이차 형식은 비특이 이차 형식과 0의 직합으로 나타내어진다.
정수환 위의 이차 형식의 분류
정수환
Z
{\displaystyle \mathbb {Z} }
이나 다른 대수적 정수환 위의 유한 차원 자유 가군 (=유한 생성 자유 아벨 군 ) 위의 이차 형식의 경우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가 성립하지 않으며, 이들의 분류는 일반적으로 어렵다.
정수 계수 부정부호 형식의 경우, 마르틴 아이클러(독일어 : Martin Eichler )는 스피너 종수 (영어 : spinor genus )를 사용하여 완전히 분류하였다.[ 5] :§15.1 정수 계수 정부호 형식의 경우는 유클리드 공간 속의 격자 에 대응하며, 이는 낮은 차원(대략 24차원 이하)에서는 에른스트 비트 와 마르틴 크네저(독일어 : Martin Kneser ), 한스폴커 니마이어(독일어 : Hans-Volker Niemeier )가 개발한 접착법(영어 : gluing method )을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5] :§15.1 이보다 더 큰 차원에서의 정부호 형식의 분류는 불가능하다고 추측된다.[ 5] :§15.1
정수 계수 이차 형식의 경우, 동치보다 더 거친 종수 (種數, 영어 : genus )라는 동치 관계가 존재한다.
Z
n
{\displaystyle \mathbb {Z} ^{n}}
위의 두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
Q
′
{\displaystyle Q'}
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같은 종수 에 속한다고 한다.
Q
{\displaystyle Q}
와
Q
′
{\displaystyle Q'}
는 실수 계수 위에서 서로 동치이다.
모든 소수
p
=
2
,
3
,
5
,
… … -->
{\displaystyle p=2,3,5,\dots }
에 대하여, p진 정수환
Z
p
{\displaystyle \mathbb {Z} _{p}}
를 정의한다면,
Q
{\displaystyle Q}
와
Q
′
{\displaystyle Q'}
는
Z
p
{\displaystyle \mathbb {Z} _{p}}
계수 위에서 서로 동치이다.
즉, 이는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와 유사하게, 각 유한 · 무한 소수에서의 "정수환"에서 동치인 것이다. 그러나 유리수 계수의 경우와 달리 같은 종수에 속하는 두 정수 계수 이차 형식이 서로 동치이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종수에 속한 모든 이차 형식들의 (적절한 무게를 부여한) 수는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에 의하여 주어진다.
응용
이차 형식의 이론은 다른 여러 수학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대수기하학
임의의 0이 아닌 n변수 이차 형식은 사영 공간 에 n-2차원 이차 초곡면 을 정의한다. 이런 관점에서, 3변수 2차형식은 원뿔 곡선 에 대응된다.
모듈러 형식
임의의 이차 형식에 대하여 세타 함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듈러 형식 을 이룬다. 이를 일반화하여 힐베르트 모듈러 형식 · 지겔 모듈러 형식 · 야코비 형식 등의 이론이 이차 형식 이론과 깊은 관계를 가진다.
격자 이론
정수 계수의 이차 형식은 유클리드 공간 속의 격자 의 이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를 통해 이차 형식 이론은 민코프스키의 수 기하학(영어 : geometry of numbers )이나 코드 이론 (영어 : coding theory ), 암호학 등에 응용된다.
역사
고대 수학에서의 이차 형식
특수한 정수 계수 이차 형식의 연구는 고대 수학에서 이미 등장한다. 한 예는 정수 계수 2변수 이차 형식
x
2
+
y
2
{\displaystyle x^{2}+y^{2}}
의 상 을 계산하는 문제로, 이는 피타고라스 수 에 관련된다. 이 문제는 1640년에 피에르 드 페르마 가 페르마 두 제곱수 정리 로서 해결하였다.
기원후 7세기에 인도의 수학자 브라마굽타 는 펠 방정식 의 해를 제시하였다. 이 역시 특수한 2변수 이차 형식
x
2
− − -->
n
y
2
{\displaystyle x^{2}-ny^{2}}
을 연구하는 문제이다.
19세기 이차 형식 이론
1801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는 《산술 연구》(영어 : Disquisitiones Arithmeticae )에서 정수 계수 2변수 이차 형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1852년에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는 실수 계수 이차 형식을 실베스터 관성 법칙을 통해 완전히 분류하였다.[ 6] 이 정리의 어원은 실베스터가 오늘날 부호수로 불리는 개념을 "관성"(영어 : inertia )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1867년에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는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을 최초로 발견하였으나,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7] 1885년에 헤르만 민코프스키 는 박사 학위 논문[ 8] 에서 이차 형식의 종수(영어 : genus )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을 재발견하였다.
20세기~21세기 이차 형식 이론
헬무트 하세 (1898~1979)는 쿠르트 헨젤 의 p진수 를 유리수 계수 이차 형식의 분류에 도입하여,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를 완성하였다. 카를 루트비히 지겔 (1896~1982)은 1935년에 민코프스키가 제시한 질량 공식의 오류를 교정하여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을 완성하였고,[ 9] 이를 비롯한 세 편의 논문[ 9] [ 10] [ 11] 에서 이차 형식의 해석적 이론을 제창하였다.
에른스트 비트 (1911~1991)는 1937년 하빌리타치온 논문[ 12] 에서 비트 소거 정리와 비트 분해 정리 및 비트 환 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로서 이차 형식의 대수적 이론을 제창하였다.[ 13]
마르틴 아이클러(독일어 : Martin Eichler , 1912~1992)는 스피너 종수 (영어 : spinor genus )를 사용하여 부정부호 정수 계수 이차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5] :§15.1 마르틴 크네저(독일어 : Martin Kneser , 1928~2004), 한스폴커 니마이어(독일어 : Hans-Volker Niemeier , 1940~)는 접착법(영어 : gluing method )을 사용하여 낮은 차원의 정부호 정수 계수 이차 형식의 분류를 완성하였다.[ 5] :§15.1 현대의 이차 형식 이론은 이차 수체 와 모듈러 형식 의 이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현대 수론 의 주요 분야로 성장하게 되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Rotman, Joseph (1994).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48 4판. Springer. doi :10.1007/978-1-4612-4176-8 . ISBN 978-1-4612-8686-8 . ISSN 0072-5285 . Zbl 0810.2000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Wilson, Robert (2009). 《The finite simple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51 . Springer. doi :10.1007/978-1-84800-988-2 . ISBN 978-1-84800-987-5 . ISSN 0072-5285 .
↑ Helmstetter, Jacques; Micali, Artibano (2008). 《Quadratic mappings and Clifford algebras》 (영어). Birkhäuser. doi :10.1007/978-3-7643-8606-1 . ISBN 978-3-7643-8605-4 .
↑ 가 나 Lam, Tsit-Yuen (2005). 《Introduction to quadratic forms over fields》 .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67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0-8218-1095-2 . MR 2104929 . Zbl 1068.11023 .
↑ 가 나 다 라 마 Conway, John Horton; Sloane, N. J. A. (1999). 《Sphere packings, lattices and group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290 3판. Springer. doi :10.1007/978-1-4757-6568-7 . ISBN 0-387-98585-9 . ISSN 0072-7830 . Zbl 0915.52003 .
↑ Sylvester, James Joseph (1852). “A demonstration of the theorem that every homogeneous quadratic polynomial is reducible by real orthogonal substitutions to the form of a sum of positive and negative squares” (PDF) . 《Philosophical Magazine (series 4)》 (영어) 4 (23): 138–142. doi :10.1080/14786445208647087 .
↑ Smith, H. J. Stephen (1867). “On the orders and genera of quadratic forms containing more than three indeterminat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영어) 16 : 197–208. doi :10.1098/rspl.1867.0036 . JFM 01.0054.03 . JSTOR 112491 .
↑ Minkowski, Hermann (1885). “Untersuchungen über quadratische Formen. I. Bestimmung der Anzahl verschiedener Formen, welche ein gegebenes Genus enthält”. 《Acta Mathematica》 (독일어) 7 : 201–258. doi :10.1007/BF02402203 . ISSN 0001-5962 . JFM 17.0159.01 .
↑ 가 나 Siegel, Carl Ludwig (1935년 7월). “Über die analytische Theorie der quadratischen Formen”.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독일어) 36 (3): 527–606. doi :10.2307/1968644 . JFM 61.0140.01 . JSTOR 1968644 . Zbl 0012.19703 .
↑ Siegel, Carl Ludwig (1936년 1월). “Über die analytische Theorie der quadratischen Formen II”.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독일어) 37 (1): 230–263. doi :10.2307/1968694 . JSTOR 1968694 .
↑ Siegel, Carl Ludwig (1937년 1월). “Über die analytische Theorie der quadratischen Formen III”.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독일어) 38 (1): 212–291. doi :10.2307/1968520 . JSTOR 1968520 .
↑ Witt, Ernst (1937). “Theorie der quadratischen Formen in beliebigen Körpern”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937 (176): 31-44. doi :10.1515/crll.1937.176.31 . ISSN 0075-4102 . JFM 62.0106.02 . Zbl 0015.05701 .
↑ Scharlau, R. (2009). 〈Martin Kneser’s work on quadratic forms and algebraic groups〉 (PDF) . Baeza, Ricardo; Chan, Wai Kiu; Hoffmann, Detlev W.; Schulze-Pillot, Rainer. 《Quadratic Forms—Algebra, Arithmetic, and Geometry: Algebraic and Arithmetic Theory of Qudratic Forms, December 13–19, 2007, Frutillar, Chile》 . Contemporary Mathematics (영어) 493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39–357쪽. doi :10.1090/conm/493 . ISBN 978-0-8218-4648-3 . MR 2537110 .
Conway, John Horton ; Fung, Francis Y. C. (1997). 《The sensual (quadratic) form》 . Carus Mathematical Monographs (영어).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ISBN 978-0-88385-030-5 . Zbl 0885.11002 .
Cassels, J.W.S. (1978). 《Rational quadratic form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Monographs (영어) 13 . Academic Press. ISBN 0-12-163260-1 . Zbl 0395.10029 .
Kitaoka, Yoshiyuki (1993). 《Arithmetic of quadratic forms》. Cambridge Tracts in Mathematics (영어) 106 .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0511666155 . ISBN 978-052140475-4 . MR 1245266 . Zbl 0785.11021 .
Milnor, John ; Husemoller, Dale (1973). 《Symmetric bilinear form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73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42-88330-9 . ISBN 978-3-642-88332-3 . MR 0506372 . Zbl 0292.10016 .
O’Meara, O.T. (2000). 《Introduction to quadratic forms》. Die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117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42-62031-7 . ISBN 978-3-540-66564-9 . Zbl 0259.10018 .
Pfister, Albrecht (2001년 2월). 《Quadratic forms with applications to algebraic geometry and topology》.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영어) 106 .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0511526077 . ISBN 978-052146755-1 . Zbl 0847.11014 .
Shimura, Goro (1993). 《Arithmetic of quadratic form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106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419-1732-4 . ISBN 978-1-4419-1731-7 . ISSN 1439-7382 . MR 2665139 . Zbl 1202.11026 .
Siegel, Carl Ludwig (1955). “Lectures on quadratic forms” (PDF) (영어). 뭄바이 : 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 MR 0271028 . Zbl 0248.10019 .
Knus, Max-Albert (1991). 《Quadratic and hermitian forms over ring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294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42-75401-2 . ISBN 978-3-642-75403-6 . ISSN 0072-7830 . MR 1096299 . Zbl 0756.11008 .
Elman, Richard; Karpenko, Nikita; Merkurjev, Alexander (2008). 《The algebraic and geometric theory of quadratic forms》 . Colloquium Publications (영어) 56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329-1 . MR 2427530 . Zbl 1165.11042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