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하이드록시카복실산(영어: alpha-hydroxycarboxylic acid) 또는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영어: α-hydroxy carboxylic acid)은 인접한 (α) 탄소에 하이드록실기치환기가 있는 카복실산으로 구성된 화합물의 부류이다. 2-하이드록시카복실산(영어: 2-hydroxycarboxylic acid)이라고도 한다.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대표적인 예로는 글리콜산, 젖산, 만델산, 시트르산이 있다.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대응하는 비α-하이드록시카복실산보다 강산이다. 이들의 증가된 산성도는 수소 결합에 기인한다.[1][2]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사료 첨가제 및 중합체의 단위체로 산업적으로 사용된다.[3][4][5][6]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또한 화학적으로 각질을 제거하고 보습을 하기 위한 용도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7]
젖산과 젖산의 고리형 에스터인 락타이드는 폴리젖산(PLA)의 전구체이다.[3] 폴리젖산은 생분해성 의료 임플란트, 약물 전달 시스템 및 봉합사로 사용할 수 있다.[4]
글리콜산은 또한 압축 중합체 또는 폴리글리콜산(PGA)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중합체의 조밀한 특성은 높은 결정화도, 열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포함하여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5] 폴리글리콜산은 때때로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선전되지만 단위체는 천연의 글리콜산에서 얻는 것이 아니라 합성된 것이다, 폴리젖산과 마찬가지로 폴리글리콜산은 완전히 생분해되므로 일반 플라스틱보다 환경 친화적이다.[5]
만델산 기반 중합체
또 다른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인 만델산은 헬스 케어 분야에서 중요하다. 만델산을 황산으로 처리했을 때의 축합 생성물은 SAMMA이다.[6] 실험실 테스트에서 SAMMA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및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변종에 대해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6]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일반적으로 권장 복용량을 사용하여 화장품으로 피부에 사용할 때 안전하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경미한 피부 자극 발적 벗겨짐이다.[7]미국 식품의약국(FDA)과 미국 화장품 원료 검토위원회 전문가 패널 모두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저농도, pH 3.5 이상으로 판매되고 철저한 안전 지침이 포함되어 있는 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고 제안한다.[7]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업계가 후원하는 연구에서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일광 화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을 사용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소비자들에게 경고했다.[7] 이 효과는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사용을 중단하면 되돌릴 수 있다. 다른 출처에서는 특히 글리콜산이 햇빛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7]
↑ 가나다라마Nutri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2022년 11월 22일). “Alpha Hydroxy Acids”. 《FDA》 (영어).
↑Lemme, A.; Hoehler, D.; Brennan, JJ; Mannion, PF (2002). “Relative effectiveness of methionine hydroxy analog compared to DL-methionine in broiler chickens”. 《Poultry Science》 81 (6): 838–845. doi:10.1093/ps/81.6.838. PMID12079051.
↑Ôeda H (1934). “Oxidation of some α-hydroxy-acids with lead tetraacetate”. 《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9 (1): 8–14. doi:10.1246/bcsj.9.8.
↑Nwaukwa S, Keehn P (1982). “Oxidative cleavage of α-diols, α-diones, α-hydroxy-ketones and α-hydroxy- and α-keto acids with calcium hypochlorite [Ca(OCl)2]”. 《Tetrahedron Letters》 23 (31): 3135–3138. doi:10.1016/S0040-4039(00)88578-0.
Atzori L, Brundu MA, Orru A, Biggio P (March 1999). “Glycolic acid peeling in the treatment of acne”.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 (2): 119–22. doi:10.1111/j.1468-3083.1999.tb01000.x. PMID10343939. S2CID9721678.
“Alpha Hydroxy Acids for Skin Care”. 《Cosmetic Dermatology, Supplement》: 1–6. October 1994.
Kalla G, Garg A, Kachhawa D (2001). “Chemical peeling--glycolic acid versus trichloroacetic acid in melasma”.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67 (2): 82–4. PMID17664715.
Kempers S, Katz HI, Wildnauer R, Green B (June 1998).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n alpha hydroxy acid-blend skin cream in the cosmetic improvement of symptoms of moderate to severe xerosis, epidermolytic hyperkeratosis, and ichthyosis”. 《Cutis》 61 (6): 347–50. PMID9640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