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도스테론
알도스테론
이름
IUPAC 이름
(8S ,9S ,10R ,11S ,13R ,14S ,17S )-11-hydroxy-17-(2-hydroxyacetyl)-10-methyl-3-oxo-1,2,6,7,8,9,11,12,14,15,16,17-dodecahydrocyclopenta[a ]phenanthrene-13-carbaldehyde
별칭
Aldocorten; Aldocortin; Electrocortin; Reichstein X; 18-Aldocorticosterone; 18-Oxocorticosterone; 11β,21-Dihydroxy-3,20-dioxopregn-4-en-18-al
식별자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00.128
KEGG
MeSH
Aldosterone
UNII
InChI=1S/C21H28O5/c1-20-7-6-13(24)8-12(20)2-3-14-15-4-5-16(18(26)10-22)21(15,11-23)9-17(25)19(14)20/h8,11,14-17,19,22,25H,2-7,9-10H2,1H3/t14-,15-,16+,17-,19+,20-,21+/m0/s1
예 Key: PQSUYGKTWSAVDQ-ZVIOFETBSA-N
예 InChI=1/C21H28O5/c1-20-7-6-13(24)8-12(20)2-3-14-15-4-5-16(18(26)10-22)21(15,11-23)9-17(25)19(14)20/h8,11,14-17,19,22,25H,2-7,9-10H2,1H3/t14-,15-,16+,17-,19+,20-,21+/m0/s1
Key: PQSUYGKTWSAVDQ-ZVIOFETBBV
O=C(CO)[C@@H]4[C@@]3(C=O)C[C@H](O)[C@@H]2[C@@]1(/C(=C\C(=O)CC1)CC[C@H]2[C@@H]3CC4)C
성질
C 21 H 28 O 5
몰 질량
360.450 g·mol−1
약리학
H02AA01 (WHO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 (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알도스테론 (aldosterone )은 부신 의 겉질 의 한 층인 사구대 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으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에 속한다.[ 1] [ 2] 집합관 과 네프론 의 원위세뇨관 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3]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체내 수분량, 혈압, 혈액량 에도 영향을 미친다.[ 4] 알도스테론은 콩팥 , 침샘 , 땀샘 , 잘록창자 등에서 나트륨을 보존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나트륨과 칼륨, 혈압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조절되지 않는 알도스테론 분비는 병을 일으켜 심혈관질환 과 콩팥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 5] 심장 에서 분비되는 심방성 나트륨이뇨펩타이드 (ANP)와는 그 작용이 완전히 정반대이다.[ 4]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 의 일부분이다. 혈장 반감기 는 20분 이하이다.[ 6] 알도스테론은 혈액 양을 증가시켜 혈압 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 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 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 에 사용되는 약에는 안지오텐신 변화효소 (ACE)를 억제하는 ACE 억제제 가 있다. 이들은 알도스테론 작용을 막으므로 나트륨과 수분 저류를 감소시키고 칼륨의 배설을 막는다. 또 다른 알도스테론 관련 약물인 스피로놀락톤 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스피로놀락톤은 고리 이뇨제 등이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과 대조적으로 칼륨 재흡수를 촉진하므로 칼륨 보존 이뇨제 라고 한다.
애디슨병 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 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다. 알도스테론을 처음 분리한 것은 1953년 실비아 심슨 과 제임스 프란시스 타이트 로,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도 이에 협력했다.[ 7] [ 8] [ 9]
같이 보기
추가 이미지
각주
↑ Jaisser F, Farman N (January 2016). “Emerging Roles of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Pathology”. 《Pharmacological Reviews 》 68 (1): 49–75. doi :10.1124/pr.115.011106 . PMID 26668301 .
↑ Marieb, Elaine Nicpon; Hoehn, Katja (2013). 〈Chapter 16〉. 《Human anatomy & physiology》 9판. Boston: Pearson. 629, Question 14쪽. OCLC 777127809 .
↑ 가 나 Arai, Keiko; Chrousos, George P. (2000년 1월 1일). 〈Aldosterone Deficiency and Resistance〉 . De Groot, Leslie J.; Chrousos, George; Dungan, Kathleen; Feingold, Kenneth R.; Grossman, Ashley; Hershman, Jerome M.; Koch, Christian; Korbonits, Márta; McLachlan, Robert. 《Endotext》. South Dartmouth (MA): MDText.com, Inc. PMID 25905305 .
↑ 가 나 Marieb Human Anatomy & Physiology 9th edition, chapter:16, page:629, question number:14
↑ Gajjala, Prathibha Reddy; Sanati, Maryam; Jankowski, Joachim (2015년 7월 8일).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Chronic Kidney Disease with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s Its Comorbidities” . 《Frontiers in Immunology》 6 : 340. doi :10.3389/fimmu.2015.00340 . ISSN 1664-3224 . PMC 4495338 . PMID 26217336 .
↑ “Pharmacokinetics of Corticosteroids” . 2003.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Connell, John M. C.; Davies, Eleanor (2005년 7월 1일). “The new biology of aldosterone” . 《Journal of Endocrinology》 (미국 영어) 186 (1): 1–20. doi :10.1677/joe.1.06017 . ISSN 0022-0795 . PMID 16002531 .
↑ Tait, Sylvia A.S; Tait, James F; Coghlan, John P (2004년 3월 31일). “The discover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dosterone: reflections on emerging regulation and function” .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영어) 217 (1–2): 1–21. doi :10.1016/j.mce.2003.10.004 . PMID 15134795 . S2CID 5738857 .
↑ Williams JS, Williams GH (June 2003). “50th anniversary of aldosterone”. 《J Clin Endocrinol Metab》 88 (6): 2364–72. doi :10.1210/jc.2003-030490 . PMID 12788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