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선물 대표 동양그룹 종합조정실 사장 LG유플러스 이사 동양종합금융증권 이사 동양종합금융증권 부사장 제3·4대 인천광역시장 새누리당 인천광역시당 위원장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자유한국당 전국위원회 의장 제15대 국회의원(인천 계양구·강화군 갑) 제19대 국회의원(인천 서구·강화군 을) 제20대 국회의원(인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안상수는 인천시장 재임기간 동안 송도국제도시를 조성하였다. 한국에서 국고 지원 없이 민간자본으로 건설된 최초의 도시이다. 송도를 세계적인 도시로 키우겠다는 목표아래 컨벤션 센터, 국제학교, 박물관, 생태관, 문화센터, 잭 니클라우스 골프 클럽, 동북아 트레이드 타워(NEATT), 퍼스트 월드 주상복합, 센트럴 파크 등을 조성하였다. 특히 안 시장은 뉴욕주립대학교 분교를 비롯한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국내외 명문대학교를 유치하였다. 그 결과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과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송도사무소,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가 들어서게 되었다.[2][3] 안상수가 인천시장 임기 초 2002년에 시 예산이 2조 7000억원이었는데 2009년에는 세 배인 7조 5000억원으로 불어났고, 아파트와 토지 등 시 전체 부동산 가치도 80조원에서 200조원 규모로 상승하였다.
부정평가
인천시의 천문학적 부채 증가
그가 인천시장에 취임한 2002년 당시 인천시 본청의 부채는 약 6천억원이었으나 2010년 퇴임 당시의 부채규모가 9조원을 초과하며, 이자만 3천억원에 달해 비판을 받았다.[4].
<인천시 부채 동향>
연도
기관명
부채현황
합계
2002년
인천시본청
6,462억원
6,462억원
2003년
인천시본청
5,993억원
5,993억원
2004년
인천시본청
8,026억원
9,406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1,380억원
2005년
인천시본청
1조1195억원
1조5461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4,266억원
2006년
인천시본청
1조2366억원
2조4233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1조1867억원
2007년
인천시본청
1조4063억원
3조5735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2조1672억원
2008년
인천시본청
1조5431억원
4조4688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2조9287억원
2009년
인천시본청
2조3343억원
6조7952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4조4069억원
2010년
인천시본청
2조7526억원
9조3950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
6조6424억원
2010년 당시 인천시 산하 공기업 부채(교통공사 1,602억원, 메트로 1,281억원, 관광공사 1,165억원, 시설관리공단 33억원, 환경공단 16억원)는 제외한 도표임.
인천세계도시축전 파행
2010년 인천세계도시축전에 대한 감사원 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사업 실적 부풀리기, 예산 낭비, 기업 특혜, 분식회계 등이 잇따라 밝혀졌으며, 특히 152억원의 적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회계 조작을 통해 18억원의 흑자로 둔갑시켰음이 추가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실제 적자가 수백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있다. 이후, 대폭 수정된 사업 계획으로 인한 설계용역비 낭비, 업무진비 집행내역 허위 작성 등 5억여원에 달하는 금액을 임의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5]
월미은하레일 건설 실패
800여억원이 투입된 월미은하레일 건설 당시 안전성 검사 미흡으로 인해 시운전 과정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고, 부실시공 논란이 터지면서 사업 기간이 연장되고 말았다. 이후 2010년 3월 26일에 개통 예정이라는 공식 발표가 있었으나 연이어 개통을 연기하였고 그 과정에서 부실 공사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시공되었다. 하지만 2010년 임기 말, 월미은하레일 사업은 결국 전면 백지화되었다.[6] 그런데 임기를 마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2년 1월 무면허 업체가 하도급을 받아 공사를 진행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인천아시아게임 유치 비용
인천시장 재임시 야심차게 유치한 인천아시안게임의 유치 비용 1조 7천 200억원 중 1조 2천 500억원이 인천시의 부채로 넘어와 더욱 빚을 늘리는 요인이 되었다.[8]
보도자료 베껴 정책자료집 발간
2015년 12월 정부 보도자료와 연구보고서를 출처 표기없이 통째로 베껴 본인 이름으로 정책자료집 발간.[9] 발간 비용으로 국회 예산 890만 원 청구. 취재에 막무가내식 비협조로 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