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의 서로 다른 공에 대한 총 6가지의 순열
루빅스 큐브 의 면에 대한 회전은 그 면의 9개의 부분에 대한 한 가지 순열이다.
수학 에서 순열 (順列, 문화어 : 차례무이, 영어 : permutation 퍼뮤테이션[* ] ) 또는 치환 (置換)은 순서가 부여된 임의의 집합 을 다른 순서로 뒤섞는 연산이다. 즉, 정의역 과 공역 이 같은 전단사 함수 이다.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에 대한 순열의 수는
n
{\displaystyle n}
의 계승
n
!
=
n
(
n
− − -->
1
)
(
n
− − -->
2
)
⋯ ⋯ -->
⋅ ⋅ -->
2
⋅ ⋅ -->
1
{\displaystyle n!=n(n-1)(n-2)\cdots \cdot 2\cdot 1}
과 같다.
주어진 집합의 순열은 함수의 합성 에 따라 대칭군 이라고 불리는 군 을 이룬다. 이와 같이 주어진 집합의 전부 또는 일부 순열들로 구성된 군(즉, 대칭군의 부분군 )을 순열군 (順列群, 영어 : permutation group )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짝순열의 집합은 대칭군의 부분군 이며, 이를 교대군 이라고 한다.
조합론 에서는 더 많은 순열의 개념들이 사용된다. 예컨대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에서
k
{\displaystyle k}
개의 원소를 골라 배열하는 방법들의 가짓수는 하강 계승
P
(
n
,
k
)
=
n
(
n
− − -->
1
)
⋯ ⋯ -->
(
n
− − -->
k
+
1
)
{\displaystyle P(n,k)=n(n-1)\cdots (n-k+1)}
과 같다.
정의
집합
X
{\displaystyle X}
의 순열 은 전단사 함수
X
→ → -->
X
{\displaystyle X\to X}
이다.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순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은 다음과 같이 표를 통해 표기할 수 있다.
σ σ -->
=
(
1
2
⋯ ⋯ -->
n
σ σ -->
(
1
)
σ σ -->
(
2
)
⋯ ⋯ -->
σ σ -->
(
n
)
)
{\displaystyle \sigma ={\begin{pmatrix}1&2&\cdots &n\\\sigma (1)&\sigma (2)&\cdots &\sigma (n)\end{pmatrix}}}
모든
X
{\displaystyle X}
의 순열은 함수의 합성 에 따라 군 을 이루며, 이를
X
{\displaystyle X}
의 대칭군
Sym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X)}
또는
S
X
{\displaystyle S_{X}}
이라고 한다.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순열의 대칭군은
Sym
-->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또는
S
n
{\displaystyle S_{n}}
으로 표기한다.
순환
양의 정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집합
X
{\displaystyle X}
의 길이
k
{\displaystyle k}
의 순환 (-循環, 영어 : cycle of length
k
{\displaystyle k}
)
(
x
1
x
2
⋯ ⋯ -->
x
k
)
{\displaystyle {\begin{pmatrix}x_{1}&x_{2}&\cdots &x_{k}\end{pmatrix}}}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순열이다. (여기서
x
i
∈ ∈ -->
X
{\displaystyle x_{i}\in X}
는 서로 다른 원소이다.)
x
1
↦ ↦ -->
x
2
↦ ↦ -->
⋯ ⋯ -->
↦ ↦ -->
x
k
↦ ↦ -->
x
1
{\displaystyle x_{1}\mapsto x_{2}\mapsto \cdots \mapsto x_{k}\mapsto x_{1}}
x
↦ ↦ -->
x
∀ ∀ -->
x
∈ ∈ -->
X
∖ ∖ -->
{
x
1
,
x
2
,
… … -->
,
x
k
}
{\displaystyle x\mapsto x\qquad \forall x\in X\setminus \{x_{1},x_{2},\dotsc ,x_{k}\}}
또한, 길이
ℵ ℵ -->
0
{\displaystyle \aleph _{0}}
의 순환 (-循環, 영어 : cycle of length
ℵ ℵ -->
0
{\displaystyle \aleph _{0}}
) 또는 무한 순환 (無限循環, 영어 : infinite cycle )
(
⋯ ⋯ -->
x
− − -->
1
x
0
x
1
⋯ ⋯ -->
)
{\displaystyle {\begin{pmatrix}\cdots &x_{-1}&x_{0}&x_{1}&\cdots \end{pmatrix}}}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순열이다. (여기서
x
i
∈ ∈ -->
X
{\displaystyle x_{i}\in X}
는 서로 다른 원소이다.)
⋯ ⋯ -->
↦ ↦ -->
x
− − -->
1
↦ ↦ -->
x
0
↦ ↦ -->
x
1
↦ ↦ -->
⋯ ⋯ -->
{\displaystyle \cdots \mapsto x_{-1}\mapsto x_{0}\mapsto x_{1}\mapsto \cdots }
x
↦ ↦ -->
x
∀ ∀ -->
x
∈ ∈ -->
X
∖ ∖ -->
{
… … -->
,
x
− − -->
1
,
x
0
,
x
1
,
… … -->
}
{\displaystyle x\mapsto x\qquad \forall x\in X\setminus \{\dots ,x_{-1},x_{0},x_{1},\dots \}}
특히, 호환 (互換, 영어 : transposition )
(
x
y
)
{\displaystyle {\begin{pmatrix}x&y\end{pmatrix}}}
은 2-순환
x
↦ ↦ -->
y
↦ ↦ -->
x
{\displaystyle x\mapsto y\mapsto x}
이다. 특히,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인접 호환 (隣接互換, 영어 : adjecent transposition )
(
x
x
+
1
)
{\displaystyle {\begin{pmatrix}x&x+1\end{pmatrix}}}
은 인접한 두 수에 대한 호환
x
↦ ↦ -->
x
+
1
↦ ↦ -->
x
{\displaystyle x\mapsto x+1\mapsto x}
이다.
반전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튜플
(
x
,
y
)
∈ ∈ -->
{
1
,
2
,
… … -->
,
n
}
2
{\displaystyle (x,y)\in \{1,2,\dotsc ,n\}^{2}}
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반전 (反轉 영어 : inversion )이라고 한다.
σ σ -->
− − -->
1
(
x
)
<
σ σ -->
− − -->
1
(
y
)
{\displaystyle \sigma ^{-1}(x)<\sigma ^{-1}(y)}
x
>
y
{\displaystyle x>y}
또한,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반전 벡터 (反轉-, 영어 : inversion vector )
i
n
v
v
e
c
-->
(
σ σ -->
)
∈ ∈ -->
{
0
,
1
,
… … -->
,
n
− − -->
1
}
n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vec} (\sigma )\in \{0,1,\dotsc ,n-1\}^{n-1}}
는
y
{\displaystyle y}
번째 성분이
y
{\displaystyle y}
로 끝나는 반전의 개수인 벡터이다. 즉, 이는 다음과 같다.
i
n
v
v
e
c
-->
(
σ σ -->
)
y
=
|
{
x
∈ ∈ -->
{
1
,
2
,
… … -->
,
n
}
: : -->
σ σ -->
− − -->
1
(
x
)
<
σ σ -->
− − -->
1
(
y
)
,
x
>
y
}
|
y
=
1
,
2
,
… … -->
,
n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vec} (\sigma )_{y}=|\{x\in \{1,2,\dotsc ,n\}\colon \sigma ^{-1}(x)<\sigma ^{-1}(y),\;x>y\}|\qquad y=1,2,\dotsc ,n-1}
또한,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반전수 (反轉數, 영어 : inversion number )
i
n
v
n
u
m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
또는
N
(
σ σ -->
)
{\displaystyle N(\sigma )}
는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모든 반전의 개수이다. 즉, 반전 벡터의 모든 성분의 합이다.
궤도
순열
σ σ -->
∈ ∈ -->
Sym
-->
(
X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X)}
의 순환군
⟨ ⟨ -->
σ σ -->
⟩ ⟩ -->
{\displaystyle \langle \sigma \rangle }
은
X
{\displaystyle X}
의 왼쪽에서 자연스럽게 작용 한다. 즉,
σ σ -->
{\displaystyle \sigma }
가
x
∈ ∈ -->
X
{\displaystyle x\in X}
에 작용한 결과는
σ σ -->
(
x
)
{\displaystyle \sigma (x)}
이다. 이 작용의 각 궤도
⟨ ⟨ -->
σ σ -->
⟩ ⟩ -->
(
x
)
{\displaystyle \langle \sigma \rangle (x)}
(
x
∈ ∈ -->
X
{\displaystyle x\in X}
)를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궤도 (軌道, 영어 : orbit )라고 한다.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의 감소량 (減少量, 영어 : decrement )
dec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
는
n
{\displaystyle n}
에서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궤도 의 개수를 뺀 것이다. 즉, 이는 다음과 같다. (이는
σ σ -->
{\displaystyle \sigma }
를 몇 차 대칭군의 원소로 여기는지와 무관하다.)
dec
-->
(
σ σ -->
)
=
n
− − -->
|
{
⟨ ⟨ -->
σ σ -->
⟩ ⟩ -->
(
x
)
: : -->
x
∈ ∈ -->
{
1
,
2
,
… … -->
,
n
}
}
|
=
∑ ∑ -->
⟨ ⟨ -->
σ σ -->
⟩ ⟩ -->
(
x
)
: : -->
σ σ -->
(
x
)
≠ ≠ -->
x
(
|
⟨ ⟨ -->
σ σ -->
⟩ ⟩ -->
(
x
)
|
−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n-|\{\langle \sigma \rangle (x)\colon x\in \{1,2,\dotsc ,n\}\}|=\sum _{\langle \sigma \rangle (x)\colon \sigma (x)\neq x}(|\langle \sigma \rangle (x)|-1)}
부호
순열의 부호 (符號, 영어 : sign )
sgn
: : -->
Sym
-->
(
n
)
→ → -->
{
−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 \colon \operatorname {Sym} (n)\to \{-1,1\}}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군 준동형 이다.
− − -->
1
=
sgn
-->
(
(
1
2
)
)
=
sgn
-->
(
(
2
3
)
)
=
⋯ ⋯ -->
=
sgn
-->
(
(
n
− − -->
1
n
)
)
{\displaystyle -1=\operatorname {sgn}({\begin{pmatrix}1&2\end{pmatrix}})=\operatorname {sgn}({\begin{pmatrix}2&3\end{pmatrix}})=\cdots =\operatorname {sgn}({\begin{pmatrix}n-1&n\end{pmatrix}})}
구체적으로,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부호
sgn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sigma )}
는 다음의 두 값과 같다.
sgn
-->
(
σ σ -->
)
=
(
− − -->
1
)
i
n
v
n
u
m
-->
(
σ σ -->
)
=
(
− − -->
1
)
dec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sigma )=(-1)^{\operatorname {inv\,num} (\sigma )}=(-1)^{\operatorname {dec} (\sigma )}}
홀짝성
반전수·감소량·부호를 통해 유한 집합의 순열의 홀짝성 (-性, 영어 : parity )을 정의할 수 있다.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σ σ -->
{\displaystyle \sigma }
를 홀순열 (-順列, 영어 : odd permutation )이라고 한다.
i
n
v
n
u
m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
는 홀수 이다.
dec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
는 홀수이다.
sgn
-->
(
σ σ -->
)
=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sigma )=-1}
홀순열이 아닌 순열을 짝순열 (-順列, 영어 : even permutation )이라고 한다. 즉,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σ σ -->
{\displaystyle \sigma }
를 짝순열 이라고 한다.
i
n
v
n
u
m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
는 짝수 이다.
dec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
는 짝수이다.
sgn
-->
(
σ σ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sigma )=1}
순열의 수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모든 순열의 수는
n
{\displaystyle n}
의 계승
n
!
{\displaystyle n!}
이다. 이들 가운데 홀순열의 수는 다음과 같다.
{
0
n
=
0
,
1
n
!
/
2
n
≥ ≥ -->
2
{\displaystyle {\begin{cases}0&n=0,1\\n!/2&n\geq 2\end{cases}}}
또한, 짝순열의 수는 다음과 같다.
{
1
n
=
0
,
1
n
!
/
2
n
≥ ≥ -->
2
{\displaystyle {\begin{cases}1&n=0,1\\n!/2&n\geq 2\end{cases}}}
순열이 고정점 을 갖지 않는다면, 이 순열을 완전 순열 이라고 한다.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완전 순열의 수는 준계승
!
n
{\displaystyle !n}
으로 주어진다.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순열의 항이 번갈아 가면서 커졌다 작아졌다 (또는 작아졌다 커졌다) 하면, 이 순열을 교대 순열 (交代順列, 영어 : alternating permutation )이라고 한다. 교대 순열의 수
A
n
{\displaystyle A_{n}}
은 점화식을 통해 주어진다.
조합론 에서는 조금 더 일반화된 순열의 수가 연구되며, 이는 다음과 같다.
k -순열
음이 아닌 정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집합
X
{\displaystyle X}
의
k
{\displaystyle k}
-순열 (-順列, 영어 :
k
{\displaystyle k}
-permutation )은 단사 함수
{
1
,
2
,
… … -->
,
k
}
→ → -->
X
{\displaystyle \{1,2,\dotsc ,k\}\to X}
이다. 특히, 유한 집합
X
=
{
1
,
2
,
… … -->
,
n
}
{\displaystyle X=\{1,2,\dotsc ,n\}}
의 경우 이를
n
{\displaystyle n}
의
k
{\displaystyle k}
-순열 이라고 한다. 이 경우, 원래의 유한 순열은
n
{\displaystyle n}
의
n
{\displaystyle n}
-순열이다. 풀어 말해,
n
{\displaystyle n}
의
k
{\displaystyle k}
-순열은 서로 다른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 가운데 중복 없이
k
{\displaystyle k}
개를 골라서 순서 있게 나열한 것이다.
n
{\displaystyle n}
의
k
{\displaystyle k}
-순열의 수는
n
k
_ _ -->
,
n
P
k
,
P
n
,
k
,
P
(
n
,
k
)
{\displaystyle n^{\underline {k}},{}_{n}P_{k},P_{n,k},P(n,k)}
와 같이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하강 계승 으로 주어진다.
n
k
_ _ -->
=
n
(
n
− − -->
1
)
(
n
− − -->
2
)
⋯ ⋯ -->
(
n
− − -->
k
+
1
)
{\displaystyle n^{\underline {k}}=n(n-1)(n-2)\cdots (n-k+1)}
예를 들어, 6곡의 노래 가운데 3곡을 골라 재생 목록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다음과 같다.
6
3
_ _ -->
=
6
× × -->
5
× × -->
4
=
120
{\displaystyle 6^{\underline {3}}=6\times 5\times 4=120}
n
{\displaystyle n}
의
k
{\displaystyle k}
-순열의 수와
n
{\displaystyle n}
의
k
{\displaystyle k}
-조합 의 수(이항 계수 )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n
k
)
=
n
k
_ _ -->
k
!
{\displaystyle {\binom {n}{k}}={\frac {n^{\underline {k}}}{k!}}}
중복 순열
음이 아닌 정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집합
X
{\displaystyle X}
의
k
{\displaystyle k}
-중복 순열 (重複順列, 영어 :
k
{\displaystyle k}
-permutation with repetition )은
X
{\displaystyle X}
의
k
{\displaystyle k}
-튜플 을 뜻한다. 특히,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k
{\displaystyle k}
-튜플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풀어 말해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 가운데 중복이 가능한
k
{\displaystyle k}
개를 골라서 순서 있게 나열한 것이다. 그 수는
n
k
{\displaystyle n^{k}}
이다. 예를 들어, 26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 3글자 단어의 수는
26
3
=
17576
{\displaystyle 26^{3}=17576}
이다.
중복집합 순열
집합의 순열과 달리, 중복집합 순열에서는 같은 색깔의 원소들을 구별이 불가능하다고 여기며, 이에 따라 순열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중복집합
n
1
{
1
}
+
n
2
{
2
}
+
⋯ ⋯ -->
+
n
k
{
k
}
{\displaystyle n_{1}\{1\}+n_{2}\{2\}+\cdots +n_{k}\{k\}}
의 중복집합 순열 (重複集合順列, 영어 : multiset permutation ) 또는 같은 것이 있는 순열 (-順列)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σ σ -->
: : -->
{
1
,
2
,
… … -->
,
n
}
→ → -->
{
1
,
2
,
… … -->
,
k
}
{\displaystyle \sigma \colon \{1,2,\dotsc ,n\}\to \{1,2,\dotsc ,k\}}
이다.
|
σ σ -->
− − -->
1
(
x
)
|
=
m
(
x
)
x
=
1
,
2
,
… … -->
,
k
{\displaystyle |\sigma ^{-1}(x)|=m(x)\qquad x=1,2,\dotsc ,k}
풀어 말해, 중복집합 순열은 중복집합의 각 원소를 그 중복도만큼씩 순서 있게 나열한 것이다. 다시 말해, 원래의 순열의 정의에서, 주어진 방식대로 짝지어진 원소들을 같다고 여겨 얻는 개념이다. 그 수는 다음과 같이 다항 계수 로 주어진다.
(
n
n
1
,
n
2
,
… … -->
,
n
k
)
=
n
!
n
1
!
n
2
!
⋯ ⋯ -->
n
k
!
{\displaystyle {\binom {n}{n_{1},n_{2},\dotsc ,n_{k}}}={\frac {n!}{n_{1}!n_{2}!\cdots n_{k}!}}}
예를 들어, 영어 단어 "MISSISSIPPI"의 어구전철 의 수는 다음과 같다.
(
11
1
,
4
,
4
,
2
)
=
11
!
1
!
× × -->
4
!
× × -->
4
!
× × -->
2
!
=
34650
{\displaystyle {\binom {11}{1,4,4,2}}={\frac {11!}{1!\times 4!\times 4!\times 2!}}=34650}
원순열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원순열 (圓順列, 영어 : circular permutation )은
⟨ ⟨ -->
(
1
2
⋯ ⋯ -->
n
)
⟩ ⟩ -->
{\displaystyle \langle {\begin{pmatrix}1&2&\cdots &n\end{pmatrix}}\rangle }
의
Sym
-->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위의 오른쪽 작용의 궤도를 뜻한다. 이는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n
{\displaystyle n}
-순환(즉,
(
1
2
⋯ ⋯ -->
n
)
{\displaystyle {\begin{pmatrix}1&2&\cdots &n\end{pmatrix}}}
의 켤레 원소)과 일대일 대응한다. 풀어 말해, 이는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를 원형 탁자에 둘러앉힌 것이다. 다시 말해, 원래의 순열의 정의에서, 서로 회전만의 차이가 있는 순열을 같다고 여겨 얻는 개념이다. 원순열의 수는 다음과 같다.
{
1
n
=
0
(
n
− − -->
1
)
!
n
≥ ≥ -->
1
{\displaystyle {\begin{cases}1&n=0\\(n-1)!&n\geq 1\end{cases}}}
이는 원래의
n
!
{\displaystyle n!}
에서 겹치는 배수인
n
{\displaystyle n}
을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중심 대칭 시계 속의 1~12를 다시 배열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서로 다른 기능의 시계의 수는
11
!
=
39916800
{\displaystyle 11!=39916800}
이다.
염주 순열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염주 순열 (念珠順列) 또는 목걸이 순열 (영어 : necklace permutation )은
⟨ ⟨ -->
(
1
2
⋯ ⋯ -->
n
)
,
n
+
1
− − -->
id
n
⟩ ⟩ -->
{\displaystyle \langle {\begin{pmatrix}1&2&\cdots &n\end{pmatrix}},n+1-\operatorname {id} _{n}\rangle }
의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위의 오른쪽 작용의 궤도를 뜻한다. 풀어 말해, 이는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를 염주에 꿴 것이다. 다시 말해, 원래의 순열의 정의에서, 서로 회전 및 뒤집기만의 차이가 있는 순열을 같다고 여겨 얻는 개념이다. 염주 순열의 수는 다음과 같다.
{
1
n
=
0
,
1
,
2
(
n
− − -->
1
)
!
/
2
n
≥ ≥ -->
3
{\displaystyle {\begin{cases}1&n=0,1,2\\(n-1)!/2&n\geq 3\end{cases}}}
이는 원래의
n
!
{\displaystyle n!}
에서 겹치는 배수인
2
n
{\displaystyle 2n}
을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팔찌에 7개의 무지개색 구슬을 꿰었을 때 얻을 수 있는 서로 다른 모양의 팔찌의 수는
6
!
/
2
=
360
{\displaystyle 6!/2=360}
이다. 처음 몇 염주 순열의 수는 다음과 같다. (
n
=
1
,
2
,
… … -->
{\displaystyle n=1,2,\dots }
)
1, 1, 1, 3, 12, 60, 360, 2520, ... (OEIS 의 수열 A001710 )
성질
연산에 대한 닫힘
집합
X
{\displaystyle X}
의 순열의 집합
Sym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X)}
는 군 을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항등 함수
id
X
: : -->
x
↦ ↦ -->
x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X}\colon x\mapsto x}
는
X
{\displaystyle X}
의 순열이다. (이는 군의 항등원 이다.)
임의의
X
{\displaystyle X}
의 순열
σ σ -->
,
τ τ -->
{\displaystyle \sigma ,\tau }
에 대하여, 그 합성
τ τ -->
σ σ -->
: : -->
x
↦ ↦ -->
τ τ -->
(
σ σ -->
(
x
)
)
{\displaystyle \tau \sigma \colon x\mapsto \tau (\sigma (x))}
역시
X
{\displaystyle X}
의 순열이다. (이는 군의 곱셈 이며, 결합 법칙 을 만족한다.)
임의의
X
{\displaystyle X}
의 순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에 대하여, 그 역
σ σ -->
− − -->
1
: : -->
σ σ -->
(
x
)
↦ ↦ -->
x
{\displaystyle \sigma ^{-1}\colon \sigma (x)\mapsto x}
역시
X
{\displaystyle X}
의 순열이다. (이는 군의 역원 연산이다.)
반전수
유한 집합의 순열의 반전수·감소량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0
≤ ≤ -->
i
n
v
n
u
m
-->
(
σ σ -->
)
≤ ≤ -->
(
n
2
)
{\displaystyle 0\leq \operatorname {inv\,num} (\sigma )\leq {\binom {n}{2}}}
0
≤ ≤ -->
dec
-->
(
σ σ -->
)
≤ ≤ -->
{
0
n
=
0
n
− − -->
1
n
≥ ≥ -->
1
{\displaystyle 0\leq \operatorname {dec} (\sigma )\leq {\begin{cases}0&n=0\\n-1&n\geq 1\end{cases}}}
또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한다.
i
n
v
n
u
m
-->
(
σ σ -->
(
x
x
+
1
)
)
=
{
i
n
v
n
u
m
-->
(
σ σ -->
)
+
1
σ σ -->
(
x
)
<
σ σ -->
(
x
+
1
)
i
n
v
n
u
m
-->
(
σ σ -->
)
− − -->
1
σ σ -->
(
x
)
>
σ σ -->
(
x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begin{pmatrix}x&x+1\end{pmatrix}})={\begin{cases}\operatorname {inv\,num} (\sigma )+1&\sigma (x)<\sigma (x+1)\\\operatorname {inv\,num} (\sigma )-1&\sigma (x)>\sigma (x+1)\end{cases}}}
dec
-->
(
(
x
y
)
σ σ -->
)
=
{
dec
-->
(
σ σ -->
)
+
1
y
∉
{
σ σ -->
(
x
)
,
σ σ -->
2
(
x
)
,
… … -->
}
dec
-->
(
σ σ -->
)
− − -->
1
y
∈ ∈ -->
{
σ σ -->
(
x
)
,
σ σ -->
2
(
x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begin{pmatrix}x&y\end{pmatrix}}\sigma )={\begin{cases}\operatorname {dec} (\sigma )+1&y\not \in \{\sigma (x),\sigma ^{2}(x),\dots \}\\\operatorname {dec} (\sigma )-1&y\in \{\sigma (x),\sigma ^{2}(x),\dots \}\end{cases}}}
또한, 서로 역순열의 반전수·감소량는 서로 같다. 즉,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i
n
v
n
u
m
-->
(
σ σ -->
)
=
i
n
v
n
u
m
-->
(
σ σ -->
−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operatorname {inv\,num} (\sigma ^{-1})}
dec
-->
(
σ σ -->
)
=
dec
-->
(
σ σ -->
−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operatorname {dec} (\sigma ^{-1})}
순환 분해
순열
σ σ -->
∈ ∈ -->
Sym
-->
(
X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X)}
의 궤도
⟨ ⟨ -->
σ σ -->
⟩ ⟩ -->
(
x
)
{\displaystyle \langle \sigma \rangle (x)}
(
x
∈ ∈ -->
X
{\displaystyle x\in X}
)들은
X
{\displaystyle X}
의 분할 을 이루며, 각 궤도에서의 제한은 다음과 같이 어떤 순환이다.
σ σ -->
|
⟨ ⟨ -->
σ σ -->
⟩ ⟩ -->
(
x
)
=
{
(
⋯ ⋯ -->
σ σ -->
− − -->
1
(
x
)
x
σ σ -->
(
x
)
⋯ ⋯ -->
)
|
⟨ ⟨ -->
σ σ -->
⟩ ⟩ -->
(
x
)
|
≥ ≥ -->
ℵ ℵ -->
0
(
x
σ σ -->
(
x
)
⋯ ⋯ -->
σ σ -->
|
⟨ ⟨ -->
σ σ -->
⟩ ⟩ -->
(
x
)
|
− − -->
1
(
x
)
)
|
⟨ ⟨ -->
σ σ -->
⟩ ⟩ -->
(
x
)
|
<
ℵ ℵ -->
0
{\displaystyle \sigma |_{\langle \sigma \rangle (x)}={\begin{cases}{\begin{pmatrix}\cdots &\sigma ^{-1}(x)&x&\sigma (x)&\cdots \end{pmatrix}}&|\langle \sigma \rangle (x)|\geq \aleph _{0}\\{\begin{pmatrix}x&\sigma (x)&\cdots &\sigma ^{|\langle \sigma \rangle (x)|-1}(x)\end{pmatrix}}&|\langle \sigma \rangle (x)|<\aleph _{0}\end{cases}}}
만약 비자명 궤도(=크기가 1이 아닌 궤도)의 개수가 유한하다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는 이러한 서로소 비자명 순환들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서로소 순환들은 항상 가환한데,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서로소 비자명 순환 분해는 곱하는 순서를 따지지 않으면 유일하다. 이러한 분해를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순환 분해 (循環分解, 영어 : cycle decomposition )라고 한다. 순환 분해의 길이(=곱해지는 비자명 순환의 개수)는 비자명 궤도의 개수
|
{
⟨ ⟨ -->
σ σ -->
⟩ ⟩ -->
(
x
)
: : -->
σ σ -->
(
x
)
≠ ≠ -->
x
}
|
{\displaystyle |\{\langle \sigma \rangle (x)\colon \sigma (x)\neq x\}|}
와 같다. 특히, 쌍대 유한 고정점 집합을 갖는 순열은 항상 서로소 비자명 유한 순환들의 곱으로 유일하게 분해할 수 있다. 특히, 유한 집합의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의 순환 분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σ σ -->
=
(
min
{
x
: : -->
σ σ -->
(
x
)
≠ ≠ -->
x
}
⋯ ⋯ -->
)
(
min
(
{
x
: : -->
σ σ -->
(
x
)
≠ ≠ -->
x
}
∖ ∖ -->
⟨ ⟨ -->
σ σ -->
⟩ ⟩ -->
(
min
{
x
: : -->
σ σ -->
(
x
)
≠ ≠ -->
x
}
)
)
⋯ ⋯ -->
)
⋯ ⋯ -->
{\displaystyle \sigma ={\begin{pmatrix}\min\{x\colon \sigma (x)\neq x\}&\cdots \end{pmatrix}}{\begin{pmatrix}\min(\{x\colon \sigma (x)\neq x\}\setminus \langle \sigma \rangle (\min\{x\colon \sigma (x)\neq x\}))&\cdots \end{pmatrix}}\cdots }
호환 분해
유한 순환은 항상 호환들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해는 유일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어떤 호환의 짝수 제곱을 인수로 추가하면 새로운 호환 분해를 얻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해식들이 성립한다.
(
x
1
x
2
⋯ ⋯ -->
x
j
⋯ ⋯ -->
x
k
)
=
(
x
1
x
2
⋯ ⋯ -->
x
j
)
(
x
j
x
j
+
1
⋯ ⋯ -->
x
k
)
=
(
x
1
x
2
)
(
x
2
x
3
)
⋯ ⋯ -->
(
x
k
− − -->
1
x
k
)
{\displaystyle {\begin{pmatrix}x_{1}&x_{2}&\cdots &x_{j}&\cdots &x_{k}\end{pmatrix}}={\begin{pmatrix}x_{1}&x_{2}&\cdots &x_{j}\end{pmatrix}}{\begin{pmatrix}x_{j}&x_{j+1}&\cdots &x_{k}\end{pmatrix}}={\begin{pmatrix}x_{1}&x_{2}\end{pmatrix}}{\begin{pmatrix}x_{2}&x_{3}\end{pmatrix}}\cdots {\begin{pmatrix}x_{k-1}&x_{k}\end{pmatrix}}}
(
x
1
x
2
⋯ ⋯ -->
x
k
)
=
(
x
1
x
k
)
(
x
1
x
k
− − -->
1
)
⋯ ⋯ -->
(
x
1
x
2
)
{\displaystyle {\begin{pmatrix}x_{1}&x_{2}&\cdots &x_{k}\end{pmatrix}}={\begin{pmatrix}x_{1}&x_{k}\end{pmatrix}}{\begin{pmatrix}x_{1}&x_{k-1}\end{pmatrix}}\cdots {\begin{pmatrix}x_{1}&x_{2}\end{pmatrix}}}
홀순열의 호환 분해의 길이는 항상 홀수이며, 짝순열의 호환 분해의 길이는 항상 짝수이다. 이를 순열의 홀짝성을 정의하는 데 쓸 수 있다.
유한 집합의 순열의 호환 분해의 최소 길이는 감소량과 같다. 즉,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c
-->
(
σ σ -->
)
=
min
{
l
∈ ∈ -->
N
: : -->
σ σ -->
=
(
x
1
y
1
)
⋯ ⋯ -->
(
x
l
y
l
)
,
x
i
,
y
i
∈ ∈ -->
{
1
,
2
,
… … -->
,
n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c} (\sigma )=\min\{l\in \mathbb {N} \colon \sigma ={\begin{pmatrix}x_{1}&y_{1}\end{pmatrix}}\cdots {\begin{pmatrix}x_{l}&y_{l}\end{pmatrix}},\;x_{i},y_{i}\in \{1,2,\dotsc ,n\}\}}
인접 호환 분해
유한 집합의 호환은 항상 인접 호환들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해는 유일할 필요가 없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해식이 성립한다.
(
x
y
)
=
(
x
x
+
1
⋯ ⋯ -->
y
)
(
y
− − -->
1
y
− − -->
2
⋯ ⋯ -->
x
)
=
(
x
x
+
1
)
⋯ ⋯ -->
(
y
− − -->
1
y
)
(
y
− − -->
1
y
− − -->
2
)
⋯ ⋯ -->
(
x
+
1
x
)
{\displaystyle {\begin{pmatrix}x&y\end{pmatrix}}={\begin{pmatrix}x&x+1&\cdots &y\end{pmatrix}}{\begin{pmatrix}y-1&y-2&\cdots &x\end{pmatrix}}={\begin{pmatrix}x&x+1\end{pmatrix}}\cdots {\begin{pmatrix}y-1&y\end{pmatrix}}{\begin{pmatrix}y-1&y-2\end{pmatrix}}\cdots {\begin{pmatrix}x+1&x\end{pmatrix}}}
유한 집합의 순열의 인접 호환 분해의 최소 길이는 반전수와 같다. 즉, 순열
σ σ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
n
v
n
u
m
-->
(
σ σ -->
)
=
min
{
l
∈ ∈ -->
N
: : -->
σ σ -->
=
(
x
1
x
1
+
1
)
⋯ ⋯ -->
(
x
l
x
l
+
1
)
,
x
i
∈ ∈ -->
{
1
,
2
,
… … -->
,
n
− −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sigma )=\min\{l\in \mathbb {N} \colon \sigma ={\begin{pmatrix}x_{1}&x_{1}+1\end{pmatrix}}\cdots {\begin{pmatrix}x_{l}&x_{l}+1\end{pmatrix}},\;x_{i}\in \{1,2,\dotsc ,n-1\}\}}
군론적 성질
순열
σ σ -->
∈ ∈ -->
Sym
-->
(
X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X)}
의 위수 는 다음과 같다.
ord
-->
(
σ σ -->
)
=
{
lcm
x
∈ ∈ -->
X
-->
|
⟨ ⟨ -->
σ σ -->
⟩ ⟩ -->
(
x
)
|
{
|
⟨ ⟨ -->
σ σ -->
⟩ ⟩ -->
(
x
)
|
: : -->
x
∈ ∈ -->
X
}
∈ ∈ -->
P
<
ℵ ℵ -->
0
(
Z
+
)
ℵ ℵ -->
0
{
|
⟨ ⟨ -->
σ σ -->
⟩ ⟩ -->
(
x
)
|
: : -->
x
∈ ∈ -->
X
}
∉
P
<
ℵ ℵ -->
0
(
Z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sigma )={\begin{cases}\operatorname {lcm} _{x\in X}|\langle \sigma \rangle (x)|&\{|\langle \sigma \rangle (x)|\colon x\in X\}\in {\mathcal {P}}_{<\aleph _{0}}(\mathbb {Z} ^{+})\\\aleph _{0}&\{|\langle \sigma \rangle (x)|\colon x\in X\}\not \in {\mathcal {P}}_{<\aleph _{0}}(\mathbb {Z} ^{+})\end{cases}}}
특히, 순환의 위수는 그 길이와 같다.
대칭군
Sym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X)}
의 켤레류 는
|
X
|
{\displaystyle |X|}
를 양의 기수들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과 자연스럽게 일대일 대응한다. 즉, 순열
σ σ -->
,
τ τ -->
∈ ∈ -->
Sym
-->
(
X
)
{\displaystyle \sigma ,\tau \in \operatorname {Sym}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σ σ -->
,
τ τ -->
{\displaystyle \sigma ,\tau }
는 서로 켤레이다.
σ σ -->
,
τ τ -->
{\displaystyle \sigma ,\tau }
의 궤도의 개수와 각 궤도의 크기는 각각 서로 같다.
대칭군
Sym
-->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의 켤레류 는
n
{\displaystyle n}
의 분할 과 자연스럽게 일대일 대응한다. 즉, 순열
σ σ -->
,
τ τ -->
∈ ∈ -->
Sym
-->
(
n
)
{\displaystyle \sigma ,\tau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σ σ -->
,
τ τ -->
{\displaystyle \sigma ,\tau }
는 서로 켤레이다.
σ σ -->
,
τ τ -->
{\displaystyle \sigma ,\tau }
의 서로소 순환 분해의 길이와 각 순환의 길이는 각각 서로 같다.
유한 집합의 순열의 홀짝성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항등 함수는 짝순열이다.
두 홀순열의 합성은 짝순열이며, 두 짝순열의 합성 역시 짝순열이다. 홀순열과 짝순열의 합성은 홀순열이다.
홀순열의 역은 홀순열이며, 짝순열의 역은 짝순열이다.
달리 말해, 순열의 부호 함수
sgn
: : -->
Sym
-->
(
n
)
→ → -->
{
− −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 \colon \operatorname {Sym} (n)\to \{-1,1\}}
는 군 준동형 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sgn
-->
(
id
n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operatorname {id} _{n})=1}
sgn
-->
(
τ τ -->
σ σ -->
)
=
sgn
-->
(
τ τ -->
)
sgn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tau \sigma )=\operatorname {sgn}(\tau )\operatorname {sgn}(\sigma )}
sgn
-->
(
σ σ -->
− − -->
1
)
=
sgn
-->
(
σ σ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gn}(\sigma ^{-1})=\operatorname {sgn}(\sigma )}
이에 따라, 짝순열들은 대칭군의 부분군
Alt
-->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Alt} (n)}
을 이루며, 이를 교대군 이라고 한다. 사실, 교대군은 이 부호 함수의 핵 이므로, 대칭군의 정규 부분군 이다.
Alt
-->
(
n
)
=
ker
-->
sgn
⊲ ⊲ -->
Sym
-->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Alt} (n)=\ker \operatorname {sgn} \vartriangleleft \operatorname {Sym} (n)}
홀순열의 집합은 부분군이 아니다. 또한,
n
=
0
,
1
{\displaystyle n=0,1}
의 경우 홀순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n
≥ ≥ -->
2
{\displaystyle n\geq 2}
의 경우 홀순열의 집합은 크기가 교대군과 같으며, 교대군의 (자기 자신을 제외하면 유일한) 잉여류 이다.
예
순열의 합성의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1
2
3
4
5
3
2
1
5
4
)
(
1
2
3
4
5
2
5
4
3
1
)
=
(
2
5
4
3
1
2
4
5
1
3
)
(
1
2
3
4
5
2
5
4
3
1
)
=
(
1
2
3
4
5
2
4
5
1
3
)
{\displaystyle {\begin{pmatrix}1&2&3&4&5\\3&2&1&5&4\end{pmatrix}}{\begin{pmatrix}1&2&3&4&5\\2&5&4&3&1\end{pmatrix}}={\begin{pmatrix}2&5&4&3&1\\2&4&5&1&3\end{pmatrix}}{\begin{pmatrix}1&2&3&4&5\\2&5&4&3&1\end{pmatrix}}={\begin{pmatrix}1&2&3&4&5\\2&4&5&1&3\end{pmatrix}}}
순열의 역의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1
2
3
4
5
6
7
3
1
4
7
6
5
2
)
− − -->
1
=
(
2
7
1
3
6
5
4
1
2
3
4
5
6
7
)
− − -->
1
=
(
1
2
3
4
5
6
7
2
7
1
3
6
5
4
)
{\displaystyle {\begin{pmatrix}1&2&3&4&5&6&7\\3&1&4&7&6&5&2\end{pmatrix}}^{-1}={\begin{pmatrix}2&7&1&3&6&5&4\\1&2&3&4&5&6&7\end{pmatrix}}^{-1}={\begin{pmatrix}1&2&3&4&5&6&7\\2&7&1&3&6&5&4\end{pmatrix}}}
순열의 서로소 순환 분해의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1
2
3
4
5
4
1
5
2
3
)
=
(
1
4
2
3
5
4
2
1
5
3
)
=
(
1
4
2
)
(
3
5
)
{\displaystyle {\begin{pmatrix}1&2&3&4&5\\4&1&5&2&3\end{pmatrix}}={\begin{pmatrix}1&4&2&3&5\\4&2&1&5&3\end{pmatrix}}={\begin{pmatrix}1&4&2\end{pmatrix}}{\begin{pmatrix}3&5\end{pmatrix}}}
순열의 홀짝성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항등 함수는 짝순열이다.
호환은 홀순열이다.
짝수 길이의 순환은 홀순열이다.
홀수 길이의 순환은 항상 짝순열이다.
크기 3의 대칭군
Sym
-->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3)}
의 켤레류 는 다음과 같다.
(
1
2
3
)
∼ ∼ -->
(
1
3
2
)
{\displaystyle {\begin{pmatrix}1&2&3\end{pmatrix}}\sim {\begin{pmatrix}1&3&2\end{pmatrix}}}
(
1
2
)
(
3
)
∼ ∼ -->
(
1
3
)
(
2
)
∼ ∼ -->
(
2
3
)
(
1
)
{\displaystyle {\begin{pmatrix}1&2\end{pmatrix}}{\begin{pmatrix}3\end{pmatrix}}\sim {\begin{pmatrix}1&3\end{pmatrix}}{\begin{pmatrix}2\end{pmatrix}}\sim {\begin{pmatrix}2&3\end{pmatrix}}{\begin{pmatrix}1\end{pmatrix}}}
(
1
)
(
2
)
(
3
)
{\displaystyle {\begin{pmatrix}1\end{pmatrix}}{\begin{pmatrix}2\end{pmatrix}}{\begin{pmatrix}3\end{pmatrix}}}
이들에 대응하는 3의 분할 은 각각 다음과 같다.
3
=
3
{\displaystyle 3=3}
3
=
2
+
1
{\displaystyle 3=2+1}
3
=
1
+
1
+
1
{\displaystyle 3=1+1+1}
순열의 반전수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i
n
v
n
u
m
-->
(
id
n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operatorname {id} _{n})=0}
i
n
v
n
u
m
-->
(
(
x
y
)
)
=
|
{
(
y
,
x
+
1
)
,
(
y
,
x
+
2
)
,
… … -->
,
(
y
,
y
− − -->
1
)
,
(
x
+
1
,
x
)
,
(
x
+
2
,
x
)
,
… … -->
,
(
y
− − -->
1
,
x
)
,
(
y
,
x
)
}
|
=
2
|
y
− − -->
x
|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begin{pmatrix}x&y\end{pmatrix}})=|\{(y,x+1),(y,x+2),\dotsc ,(y,y-1),(x+1,x),(x+2,x),\dotsc ,(y-1,x),(y,x)\}|=2|y-x|-1}
i
n
v
n
u
m
-->
(
(
1
2
⋯ ⋯ -->
n
n
n
− − -->
1
⋯ ⋯ -->
1
)
)
=
(
n
2
)
=
{
0
n
=
0
,
1
n
(
n
− − -->
1
)
/
2
n
≥ ≥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num} ({\begin{pmatrix}1&2&\cdots &n\\n&n-1&\cdots &1\end{pmatrix}})={\binom {n}{2}}={\begin{cases}0&n=0,1\\n(n-1)/2&n\geq 2\end{cases}}}
관련 개념
순열 행렬
순열의 합성은 순열 행렬의 곱셈에 대응한다.
유한 집합
{
1
,
2
,
… … -->
,
n
}
{\displaystyle \{1,2,\dotsc ,n\}}
의 순열은
n
× × -->
n
{\displaystyle n\times n}
순열 행렬 과 자연스럽게 일대일 대응한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