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에서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小)'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즉,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말은 각기 따로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1][2][4] 그리고, 각기 따로 일어난다는 것이란,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심한 번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크게 보아 불선(악)으로 분류되는 번뇌들이다. [7]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이 중수번뇌심소나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보다 더 심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더 오염된 마음작용들이다. '소(小)'가 심하지 않은 번뇌 또는 덜 오염된 마음작용을 의미한다고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 가나다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諸隨煩惱其相云何。頌曰。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 13誑諂與害憍 無慚及無愧 掉舉與惛沈 不信并懈怠 14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論曰。唯是煩惱分位差別。等流性故名隨煩惱。此二十種類別有三。謂忿等十各別起故名小隨煩惱。無慚等二遍不善故名中隨煩惱。掉舉等八遍染心故名大隨煩惱。"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호법_등_지음,_현장_한역T.1585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광(誑)·첨(諂)과 해(害)·교(憍)· 무참(無慚) 및 무괴(無愧), 도거(掉擧)와 혼침, 불신 아울러 해태(懈怠),
방일(放逸) 및 실념(失念),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이다.238) 논하여 말한다. 이것은 오직 번뇌의 분위의 차이이고, 등류하는 성질이므로 수번뇌라고 이름한다. 이 스무 종류는 구분하면 세 가지가 있다. 분(忿) 등 열 가지239)는 각기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소수번뇌(小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무참(無慚) 등 두 가지240)는 불선(不善)에 두루하기 때문에 중수번뇌(中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도거심소 등 여덟 가지241)는 잡염심에 두루하기 때문에 대수번뇌(大隨煩惱)라고 이름한다. 238) 수번뇌심소 스무 가지를 밝힌다. 수번뇌심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심소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로서 이끌려 일어난다. 239)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해(害) · 교(憍) 심소이다. 240) 무참(無慚) · 무괴(無愧) 심소이다. 241) 도거(掉擧) · 혼침(惛沈)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실념(失念) ·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의 심소이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호법_등_지음,_현장_한역,_김묘주_번역K.614,_T.1585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황욱 1999, 6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쪽 "‘隨煩惱’란 ‘隨惑’이라고도 하는데, 곧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를 가리킨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황욱1999 (help)
↑ 가나다星雲,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一)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二)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一)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二)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三)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一)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二)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三)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운허,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수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 (惱)·해(害)·한(恨)·광(誑)·첨(諂)·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한·부·뇌·질·간·광·첨·해·교(이상은 소수혹)·무참·무괴(이상은 중수혹)·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失念)·산란·부정지(不正知,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다운허,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유식종에서 근본 번뇌에 따라서 일어나는 번뇌를 20종으로 나눈 것. 분(忿)·한(恨)·부(覆)·뇌(惱)·간(慳)·질(嫉)·광(誑)·첨(諂)·해(害)·교(憍).(이상은 소수번뇌) 무참(無慚)·무괴(無愧).(이상은 중수번뇌)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해태(懈怠)·방일(放逸)·실념(失念)·산란(散亂)·부정지(不正知).(이상은 대수번뇌)"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星雲, "小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191DTITLEA4pC0HB7D0B4o 小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호법 등 조, 현장 한역(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제6권.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35a27║小七中二唯不善攝。小三大八
T31n1585_p0035a28║亦通無記。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 《성유식론》 제6권:
소수번뇌심소 중의 일곱 가지338)와 두 가지 중수번뇌는 오직 불선의 성품에 포함된다.339) 소수번뇌심소 중 세 가지340)와 여덟 가지 대수번뇌심소는 역시 무기에도 통한다.
338) 열 가지 소수번뇌심소 중에서 첨ㆍ광ㆍ교 심소를 제외한 나머지이다.
339) 수번뇌심소의 3성(性) 관계를 판별한다[三性門].
340) 첨ㆍ광ㆍ교 심소이다.